KR20200035683A -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 Google Patents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683A
KR20200035683A KR1020180115087A KR20180115087A KR20200035683A KR 20200035683 A KR20200035683 A KR 20200035683A KR 1020180115087 A KR1020180115087 A KR 1020180115087A KR 20180115087 A KR20180115087 A KR 20180115087A KR 20200035683 A KR20200035683 A KR 2020003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guide
water
spa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527B1 (ko
Inventor
최종환
Original Assignee
최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환 filed Critical 최종환
Priority to KR102018011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5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며 토양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가로 격벽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과 구획되는 수납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화분 몸체;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화분 몸체의 수납부로 삽입되거나 추출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흐르는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 및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를 상기 수납부에서 추출시키기 위해 상기 물받이의 전면을 가압하면 상기 물받이를 상기 화분 몸체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쉬 캐치를 포함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한다.
따라서, 화분 몸체의 수납부에 수납된 물받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납부에서 추출할 수 있어 작업자가 무거운 화분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Flower pots with a one touch drawer type sink}
본 발명은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에서 흐르는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를 화분 몸체의 수납부에서 원터치 방식에 의해 수납부에서 추출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관상용으로 주로 쓰이고 있으나, 공기정화를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둘레와 하부는 막혀 있어 내부에 스티로폼을 깔고, 그 위에 배양토를 채워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식물에 물을 주게 되면 배양토에 스며든 물이 화분의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밖으로 흘러나와 주위를 지저분하게 만들기 때문에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즉, 쟁반 형태의 받침대를 화분의 하단에 배치함으로써,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화분주위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받침대는 단순히 화분에서 배출된 물을 담아두는 용도로만 국한되어 있었고, 배출된 물 역시 대부분 그대로 방치되고 있어 위생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받침대에 담긴 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식물이 심겨진 화분을 들어올려서 옆으로 운반해야 함으로써 화분을 들어올리는 작업자가 부상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9-0000432호(2009.01.15.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물이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물받이에 저장되며, 화분 몸체에 수납된 물받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화분 몸체에서 추출할 수 있어 배출되는 물이 물받이를 넘치지 않도록 하면서 작업자가 화분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며 토양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가로 격벽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과 구획되는 수납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화분 몸체;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화분 몸체의 수납부로 삽입되거나 추출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흐르는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 및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를 상기 수납부에서 추출시키기 위해 상기 물받이의 전면을 가압하면 상기 물받이를 상기 화분 몸체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쉬 캐치를 포함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가로 격벽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하부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은 상기 가로 격벽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토양이 상기 이동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양측면에는 상기 물받이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받이의 양측면이 밀착되는 상기 수납부의 양측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물받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이격되게 위치되는 세로 격벽에 의해 복수개의 물받이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물받이공간은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기 세로 격벽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하부로 흐르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메인 물받이공간과, 상기 메인 물받이공간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세로 격벽을 넘친 물이 저장되는 보조 물받이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 격벽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 물받이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보조 물받이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은 상기 물받이에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가 측정한 상기 물받이의 저장된 물위 수위를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에 있어서, 상기 푸쉬 캐치는 일측면이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과 결합되며,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가이드리브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리브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 내측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받이부의 후면을 가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형으로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리브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회전 운동하는 원통형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와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물받이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전달받아 좌우 운동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연동시키는 회전연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연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과 연동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와 맞닿는 일단의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부재와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은 다음과 같은 효과르 가진다.
첫째, 화분 몸체의 수납부에 수납된 물받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납부에서 추출할 수 있어 작업자가 무거운 화분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둘째, 물받이가 세로 격벽에 의해 메인 물받이공간과 보조 물받이공간으로 구획되고 세로 격벽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메인 물받이공간에서 넘친 물이 보조 물받이공간으로 유동하게 함으로써 물이 물받이를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받이가 화분 몸체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물받이의 전면을 가압하면 푸쉬 캐치에 의해 물받이가 수납부에서 추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푸쉬 캐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푸쉬 캐치를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이동수단이 이동되는 과정을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예인 수위 센서 및 알람부재가 구비된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1000)은 화분 몸체(1100)와, 물받이(1200)와, 푸쉬 캐치(1300)를 포함하며, 거름망(1400), 수위 센서(1500), 알람부재(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화분 몸체(1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토양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20)이 형성된다. 상기 화분 몸체(1100)는 원통형상 또는 사각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분 몸체(1100)에는 가로 격벽(114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20)과 구획되는 수납부(1160)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160)는 상기 수용공간(1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1120)과 상기 수납부(1160)를 구획하는 상기 가로 격벽(1140)에는 상기 수용공간(1120)으로 공급된 물이 상기 수납부(1160)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홀(1140a)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이동홀(1140a)은 후술되는 상기 물받이(1200)가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로 격벽(114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이동홀(1140a) 상부에는 거름망(1400)이 구비된다.
상기 거름망(1400)은 상기 가로 격벽(11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120)의 토양이 상기 이동홀(1140a)을 통해 물받이(120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거름망(1400)은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화분 몸체(1100)의 수납부(1160)에는 물받이(1200)가 수납되며, 상기 물받이(1200)는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수납부(1160)에 삽입되거나 추출되고, 상기 물받이(1200)에는 상기 복수개의 이동홀(1140a)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20)에서 흐르는 물이 저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물받이(1200)의 양측면에는 상기 물받이(120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220)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1200)의 양측면이 밀착되는 상기 수납부(1160)의 양측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220)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160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20)과 상기 가이드돌기(1160a)에 의해 상기 물받이(1200)가 상기 수납부(1160)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물받이(1200)는 세로 격벽(1240)에 의해 복수개의 물받이공간(1260)으로 구획된다. 상기 세로 격벽(1240)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세로 격벽(1242)과 제2세로 격벽(1244)로 구성되며, 상기 물받이공간(1260)은 메인 물받이공간(1262)와 보조 물받이공간(1264)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물받이공간(1262)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세로 격벽(1242)과 제2세로 격벽(1244)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1120)에서 하부로 흐르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된다.
상기 보조 물받이공간(1264)는 상기 메인 물받이공간(1462)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세로 격벽(1242)과 제2세로 격벽(1244)을 넘친 물이 저장된다. 상기 제1세로 격벽(1242)과 제2세로 격벽(1244)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 물받이공간(1462)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보조 물받이공간(1464)로 이동시키는 제1관통홀(1242a)과 제2관통홀(1244a)이 형성된다. 제1관통홀(1242a)과 제2관통홀(1244a)은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분 몸체(1100) 및 상기 물받이(1200)의 색상이나 재질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색상이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160)의 내측에는 푸쉬 캐치(1300)가 구비되며, 상기 푸쉬 캐치(1300)는 상기 물받이(1200)를 상기 수납부(1160)에서 추출시키기 위해 상기 물받이(1200)의 전면을 가압하면 상기 물받이(1200)를 상기 화분 몸체(1100)의 수납부(1160)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푸쉬 캐치(1300)는 가이드부(1310)와, 탄성부재(1320)와, 이동수단(1330)과, 연결부재(13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1310)는 상기 물받이(12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1310)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일측면은 상기 수납부(1160)의 내측면과 결합되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리브(131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312)는 상기 가이드부(1310)의 내두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리브(1312)의 상단은 내주면의 둘레를 다라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리브(1312)는 요입홈(131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입홈(1312a)의 사이에는 걸림턱(131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320)는 상기 가이드부(13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탄성부재(1320)는 상기 물받이(1200)의 전면에 가압력이 가해져 상기 물받이(1200)가 상기 수납부(116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1320)는 압축되며 상기 탄성부재(1320)의 탄성력으로 상기 가이드리브(13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물받이(1200)의 후면을 가압하는 후술되는 연결부재(1340)가 상기 수납부(1160)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물받이부(1200)가 상기 수납부(1160)에서 추출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320)의 일측에는 이동수단(1330)이 장착되며, 상기 이동수단(1330)에는 상기 가이드리브(1312)에 대응되는 걸림돌기(1330a)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수단(1330)은 상기 가이드부(1310)의 내측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이동수단(1330)는 회전부재(1332)와 회전연동부재(133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1332)는 상기 탄성부재(1320)의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부재(1332)는 상기 가이드부(1310)의 내부에 장착되며 회전운동하는 원통형으로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1310)의 가이드리브(1312)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돌기(133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돌기(1332a)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리브(1312)의 하단과 대향되는 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리브(1312)의 일측과 상기 가이드돌기(1332a)의 일측이 맞닿아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332a)는 상기 가이드리브(1312)에 형성된 상기 요입홈(1312a)에 들어가므로 상기 요입홈(1312a)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리브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과 크기는 상기 요입홈(1312a)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동부재(1334)는 상기 회전부재(1332)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1312a)와 대응되는 고정돌기(133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연동부재(1334)는 상기 연결부재(1332)를 통해 상기 물받이(1200)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전달받아 좌우 운동하여 상기 회전부재(1332)의 회전운동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고정돌기(1334a)는 상기 탄성부재(1320)에 의한 상기 이동수단(1330)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회전연동부재(1334)에는 상기 회전부재(1332)와 맞닿는 일단의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부재(1332)와 대응되는 톱니(1334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연동부재(1334)의 일단에 형성된 톱니(1334b)와 상기 회전부재(1332)의 경사진 일측이 맞닿아 상기 톱니(1334b)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회전부재(1332)가 회전운동하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수단(1330)을 통해 연겨부재(1340)가 이동된다.
먼저, 도 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1332a)는 상기 가이드리브(1312)의 걸림턱(1312b)에 위치해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물받이(1200)를 누루면 상기 물받이(1200)의 후면과 밀착된 상기 연결부재(1340)가 일측으로 밀리고, 상기 탄성부재(13200는 힘을 전달받아 압축된다. 동시에 상기 이동수단(1330)은 상기 가이드부(131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리브(1312)의 가이드를 받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동부재(1334)에 형성되어 있은 톱니(1334b)가 상기 회전부재(1332)를 상기 가이드리브(1312)의 걸림턱(1312b)에서 벗어나도록 일측으로 밀어낸다. 상기 회전부재(1332)는 상기 걸림턱(1312b)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상기 톱니(1334b)와, 상기 가이드리브(131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힘을 받아 압축되었던 상기 탄성부재(13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수단(1330)은 상기 가이드리브(1312)의 형상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1332a)가 상기 가이드부(1310)에 형성된 요입홈(1312a)에 들어가게 되고 상기 이동수단(1330)이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1330)이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타측에 장착된 상기 연결부재(1340)가 상기 물받이(1200)의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물받이(1200)가 상기 수납부(1160)의 외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물받이(1200)에는 수위 센서(15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위 센서(1500)가 상기 물받이(1200)에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물받이(1200)는 복수개의 물받이공간(1260)으로 구획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위 센서(1500)는 상기 물받이(1200)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물의 수위츨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위 센서(1600)는 알람부재(16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람부재(1600)는 상기 물받이(1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외부로 알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받이(1200)에 적정수위로 물이 저장되면 상기 수위 센서(1500)가 수위를 측정한 후 신호를 상기 알람부재(160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알람부재(1600)가 알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상기 물받이(1200)에 저장된 물을 버림으로써 상기 물받이(1200)에 저장되는 물이 넘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따라서, 화분 몸체(1100)의 수납부(1160)에 수납된 물받이(1200)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납부(1160)에서 추출할 수 있어 작업자가 무거운 화분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수용공간(1120)에서 배출되는 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물받이(1200)가 세로 격벽(1240)에 의해 메인 물받이공간(1262)과 보조 물받이공간(1264)으로 구획되고 세로 격벽(1240)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메인 물받이공간(1262)에서 넘친 물이 보조 물받이공간(1264)으로 유동하게 함으로써 물이 물받이를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1100 : 화분 몸체 1120 : 수용공간
1140 : 가로 격벽 1160 : 수납부
1200 : 물받이 1220 : 가이드홈
1240 : 세로 격벽 1260 : 물받이공간
1300 : 푸쉬 캐치 1320 : 가이드부
1340 : 탄성부재 1360 : 이동수단
1380 : 연결부재 1400 : 거름망
1500 : 수위 센서 1600 : 알람부재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되며 토양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가로 격벽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과 구획되는 수납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화분 몸체;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화분 몸체의 수납부로 삽입되거나 추출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흐르는 물이 저장되는 물받이; 및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를 상기 수납부에서 추출시키기 위해 상기 물받이의 전면을 가압하면 상기 물받이를 상기 화분 몸체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쉬 캐치를 포함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 격벽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하부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 격벽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토양이 상기 이동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양측면에는 상기 물받이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의 양측면이 밀착되는 상기 수납부의 양측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물받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이격되게 위치되는 세로 격벽에 의해 복수개의 물받이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복수개의 물받이공간은,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기 세로 격벽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하부로 흐르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메인 물받이공간과,
    상기 메인 물받이공간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세로 격벽을 넘친 물이 저장되는 보조 물받이공간을 포함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로 격벽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 물받이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보조 물받이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에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가 측정한 상기 물받이의 저장된 물위 수위를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 캐치는,
    일측면이 상기 수납부의 내측면과 결합되며,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가이드리브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리브에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 내측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물받이부의 후면을 가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형으로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리브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회전 운동하는 원통형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와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물받이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전달받아 좌우 운동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연동시키는 회전연동부재를 포함하는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과 연동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와 맞닿는 일단의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부재와 대응되는 톱니가 형성되는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KR1020180115087A 2018-09-27 2018-09-27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KR102199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087A KR102199527B1 (ko) 2018-09-27 2018-09-27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087A KR102199527B1 (ko) 2018-09-27 2018-09-27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683A true KR20200035683A (ko) 2020-04-06
KR102199527B1 KR102199527B1 (ko) 2021-01-07

Family

ID=7028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087A KR102199527B1 (ko) 2018-09-27 2018-09-27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5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74Y1 (ko) * 2001-09-18 2002-01-05 권해용 장식용 화분
KR20100007706U (ko) * 2009-01-22 2010-07-30 박소영 물받이 일체형 화분
WO2012128730A2 (en) * 2011-03-22 2012-09-27 Lama D.D. Dekani A touch-latch device for opening and holding a furniture opening component in a closed position
KR101459047B1 (ko) * 2014-05-19 2014-11-07 홍복선 이동식 쌈 채소 화분의 수위 감지장치
KR20140145905A (ko) * 2013-06-15 2014-12-24 전돈국 자동 급수 장치
KR200485858Y1 (ko) * 2016-05-02 2018-03-06 오미숙 물받이 화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874Y1 (ko) * 2001-09-18 2002-01-05 권해용 장식용 화분
KR20100007706U (ko) * 2009-01-22 2010-07-30 박소영 물받이 일체형 화분
WO2012128730A2 (en) * 2011-03-22 2012-09-27 Lama D.D. Dekani A touch-latch device for opening and holding a furniture opening component in a closed position
KR20140145905A (ko) * 2013-06-15 2014-12-24 전돈국 자동 급수 장치
KR101459047B1 (ko) * 2014-05-19 2014-11-07 홍복선 이동식 쌈 채소 화분의 수위 감지장치
KR200485858Y1 (ko) * 2016-05-02 2018-03-06 오미숙 물받이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527B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2394B1 (en) Plant watering device
CA2718299A1 (en) Stackable planter
US20130291435A1 (en) Double-walled planter with water reservoir and water level gauge
WO2012148086A2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CA3027845A1 (en)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101343379B1 (ko) 화분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KR20200035683A (ko)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KR20080050363A (ko) 자석 부착식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JP2009082102A (ja) 緑化ユニットおよび緑化システムならびに植栽ホルダーおよび収納コンテナ
JPH06315321A (ja) パネル植装形植栽器
KR200470650Y1 (ko) 칫솔보관이 가능한 치약 공급장치
CN109362401B (zh) 一种隔热花盆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JP2014027909A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KR200485858Y1 (ko) 물받이 화분
KR200486775Y1 (ko)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KR101229172B1 (ko) 이동식 화분 급수장치
KR200416033Y1 (ko)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CN210053968U (zh) 一种隔热花盆
KR20100007706U (ko) 물받이 일체형 화분
KR20110003363U (ko) 원뿔형 종이컵 수거용구
KR200259874Y1 (ko) 장식용 화분
KR20150019469A (ko) 조립식 화분 장치
KR20110011906U (ko) 서랍이 내장된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