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26Y1 - 제단용 꽃 장식대 - Google Patents

제단용 꽃 장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26Y1
KR200480826Y1 KR2020160000116U KR20160000116U KR200480826Y1 KR 200480826 Y1 KR200480826 Y1 KR 200480826Y1 KR 2020160000116 U KR2020160000116 U KR 2020160000116U KR 20160000116 U KR20160000116 U KR 20160000116U KR 200480826 Y1 KR200480826 Y1 KR 200480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flower arrangement
plate
altar
arrange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구
이희우
Original Assignee
이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우 filed Critical 이희우
Priority to KR2020160000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2007/048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plant pot

Abstract

본 고안은 장례식장의 빈소에서 고인의 영정을 모신 제단을 장식하기 위한 꽃 장식대로서, 제단의 꽃을 장식시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양한 문양으로 꽃을 장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단용 꽃 장식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획일적인 제단용 꽃 장식대를 벗어나서 고인의 생전 생활 습관, 취향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다양한 문양의 꽃 장식대로 장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제단용 꽃 장식대와는 달리 플로럴 폼(일명, '오아시스'라 함)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불필요한 폐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제단용 꽃 장식대{A flowers decoration holder for an altar}
본 고안은 제단용 꽃 장식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례식장의 빈소에서 고인의 영정을 모신 제단을 장식하기 위한 꽃 장식대로서, 제단의 꽃을 장식시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양한 문양으로 꽃을 장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단용 꽃 장식대에 관한 것이다.
빈소에 설치된 제단은 도 1에 게재된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조의 제단용 꽃 장식대로서 영전사진의 좌우측 등에 하얀 국화를 꽃꽂이하여 장식하게 된다.이러한 제단용 꽃 장식대에 꽃꽂이를 할 경우 일정 크기의 플로럴 폼(업계에서는 '오아시스'로 불려진다.)을 적층하여 그물망으로 고정한 후 꽃송이가 가지런히 보이도록 플로럴 폼에 꽃꽂이용 절화(cut flower)들의 줄기를 꽃꽂이하고, 플로럴 폼에 적당량의 물을 공급한 상태로 제단위에 올려서 장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단용 꽃 장식대는 제단에 국화를 꽃꽂이하여 장식할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꽃송이가 가지런하게 배열하기 위해서는 숙련자만이 꽃꽂이를 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가 과도하게 소요되었으며, 장례 기간이 3~5일 소요되는 동안 꽃을 싱싱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단용 꽃의 장식시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한 비용절감과 함께 꽃을 장시간 싱싱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사용 후 재사용 할 수 있는 제단용 꽃꽂이 통을 개발하여 특허문헌 1로 등록시킨 바가 있지만, 상기 제단용 꽃꽂이 통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호형 형태 등과 같은 획일적인 구조로 규격화된 제단용 꽃꽂이 통을 사용함에 따라 도 1에 게재된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단용 꽃 장식의 디자인은 규격화되어 획일적인 디자인에만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단에 꽃을 장식할 경우 고인의 생전 생활 습관, 취미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단의 꽃을 장식할 수 있는 맞춤용 제단 꽃 장식대를 개발함으로써 본 고안을 완성할 수 있게 되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203호(2008년 07월 23일 등록) 제단용 꽃꽂이 통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호형 구조 등과 같은 획일적인 제단용 꽃 장식대를 벗어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의 생전 생활 습관, 취향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다양한 문양의 꽃을 디자인하여 도 1과 같은 제단용 꽃 장식대에 장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단용 꽃 장식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전면을 향해 원호 형상의 면으로 벤딩되어 이루어진 꽃꽂이판(10)과; 상기 꽃꽂이판(10)을 지지하기 위하여 꽃꽂이판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하단 지지판(20)과; 상기 하단 지지판(20)의 후면으로 절곡되어 제단과 평행되게 평면으로 구성된 바닥판(30) 및; 상기 꽃꽂이판(10)의 후면과 바닥판(30)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꽃꽂이판을 고정하는 고정바(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단용 꽃 장식대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꽃꽂이판(1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면 방향을 향해 경사지고, 전면에 종선과 횡선에 의해 격자 문양이 형성되고, 종선과 횡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하측 방향으로 걸림홈(51)이 형성된 수통 삽입공(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통 삽입공(50)에는 꽃꽂이용 수통(60)이 삽입되고, 상기 꽃꽂이용 수통(60)은 꽃이 삽입되는 삽입구(6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삽입구의 하단에 꽃 받침대(62)가 형성되고, 상기 꽃 받침대(62)의 하부에 통기공(63)이 형성되고, 상기 꽃 받침대(62)와 통기공(6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통 삽입공(50)의 걸림홈(51)에 끼워지는 고정턱(64)과, 상기 고정턱(64)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꽃꽂이판(10)의 후면과 밀착되는 걸림턱(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단용 꽃 장식대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호형 구조 등과 같은 획일적인 제단용 꽃 장식대를 벗어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의 생전 생활 습관, 취향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다양한 문양의 꽃을 디자인하여 도 1과 같은 제단용 꽃 장식대에 장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제단용 꽃 장식대와는 달리 플로럴 폼(일명, '오아시스'라 함)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불필요한 폐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빈소의 제단용 꽃 장식대의 디자인을 나타낸 사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제단용 꽃 장식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단용 꽃 장식대를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단용 꽃 장식대를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단용 꽃 장식대를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단용 꽃 장식대에 적용하는 꽃꽂이용 수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단용 꽃 장식대를 사용하여 특정 문양의 꽃꽂이 디자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단용 꽃 장식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 내용 중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은 설명 내용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면을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단용 꽃 장식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을 향해 원호 형상의 면으로 벤딩되어 이루어진 꽃꽂이판(10)과, 꽃꽂이판(10)을 지지하기 위하여 꽃꽂이판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하단 지지판(20)과, 하단 지지판(20)의 후면으로 절곡되어 제단과 평행되게 평면으로 구성된 바닥판(30) 및 꽃꽂이판(10)의 후면과 바닥판(30)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꽃꽂이판을 고정하는 고정바(40)로 구성된다.
한편, 꽃꽂이판(1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면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진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꽃꽂이판(10)이 바닥판(30)에 대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면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꽃꽂이판(10)은 바닥판(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외부의 힘에도 전면 또는 후면으로 넘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꽃꽂이판(10)은 전면에 종선과 횡선에 의해 격자 문양이 형성되고, 종선과 횡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수통 삽입공(50)이 형성되고, 수통 삽입공(50)에는 꽃꽂이용 수통(60)이 삽입된다. 이때, 수통 삽입공(50)의 격자 문양의 교차하는 부분에는 하측 방향으로 걸림홈(51)이 형성된다.
꽃꽂이용 수통(60)은 꽃꽂이판의 수통 삽입공(50)에 삽입되고, 꽃이 수용되는 것으로, 꽃이 삽입되는 삽입구(6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삽입구의 하단에 꽃 받침대(62)가 형성되며, 꽃 받침대(62)의 하부에 통기공(63)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구(61)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꽃꽂이판(10)의 전면이 전면 방향을 향해 경시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꽃꽂이판(10)에 형성된 수통 삽입공(50)에 꽃꽂이용 수통(60)이 삽입되었을 시 꽃이 꽃꽂이판(10)의 전면에서 정면을 향해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꽃꽂이용 수통(6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꽃 받침대(62)와 통기공(63) 사이에 위치되어 수통 삽입공(50)의 걸림홈(51)에 끼워지는 고정턱(64)과, 고정턱(64)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꽃꽂이판(10)의 후면과 밀착되는 걸림턱(6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꽃꽂이용 수통(60)에 고정턱(64)과 겅림턱(65)을 형성함으로써 수통 삽입공(50)에 꽃꽂이용 수통(60)를 삽입되어 고정턱(64)이 걸림홈(51)에 걸리도록 하여 꽃꽂이용 수통(60)이 꽃꽂이판(10)으로부터 좌우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꽃꽂이용 수통(60)의 걸림턱(65)에 의해 꽃꽂이용 수통(60)이 꽃꽂이판(10)의 후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꽃꽂이용 수통(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꽃 받침대(62)는 꽃꽂이용 수통(60)에 삽입되는 꽃의 잎 부분이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손바닥 모양으로 형성하여 꽃을 받치도록 형성하였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기공(63)은 꽃꽂이용 수통(60)의 상단부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공기가 통하도록 하거나 꽃꽂이용 수통(60)의 내부에 수용된 꽃의 줄기부분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물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단 지지판(20)은 꽃꽂이판(1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꽃꽂이판(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단과 평행되게 평면으로 구성되는 바닥판(30)과 직각되도록 형성되고, 이 하단 지지판(20)의 상단에 꽃꽂이판(10)이 일정 각도(θ)를 갖고 전면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꽃꽂이판(10)이 하단 지지판(20)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일정 각도는 10° 이내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바(40)는 꽃꽂이판(10)의 후면과 바닥판(30)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꽃꽂이판(10)을 고정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꽃꽂이판(10)의 중심측과 중심측의 양측에 각가 형성하여 3개를 구성하였지만, 꽃꽂이판(10)의 크기, 꽃꽂이용 수통(60) 또는 꽃꽂이용 수통(60)에 수용된 꽃의 무게 등에 따라 고정바(40)의 수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단용 꽃 장식대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획일적인 제단용 꽃 장식대를 벗어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의 생전 생활 습관, 취향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다양한 문양의 꽃 장식대로 장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단용 꽃 장식대를 사용하여 특정 문양의 꽃꽂이 디자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7을 참조하여 꽃꽂이 디자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꽃꽂이판(10)의 전면에 형성된 격자 문양에 원하는 문양을 도시한다. 이때, 원하는 문양이라 함은 고인에 대한 마음, 그리움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하트 문양, 고인의 생전 생활 습관, 취향 등을 고려하여 고인을 기리기 위한 어떤 문양이든지 무방할 것이다. 문양을 도시한 이후에는 이 문양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가위 등과 같은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재단(裁斷)하되, 문양의 하단 부분은 지지판(20)과 연결된 상태로 재단한다. 이와 같이 꽃꽂이판(10)을 재단할 수 있는 것은 꽃 장식대가 합성수지재의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는 것이다. 문양이 재단되면 횡선과 종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된 수통 삽입공(50)에 꽃이 수용된 꽃꽂이용 수통(60)을 삽입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완성된 꽃 장식대는 제단에 안치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단용 꽃 장식대를 상기에서 설명하고, 설명에 따라 도면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꽃꽂이판 20 : 하단 지지판
30 : 바닥판 40 : 고정바
50 : 수통 삽입공 60 : 꽃꽂이용 수통
61 : 삽입구 62 : 꽃 받침대
63 : 통기공

Claims (8)

  1. 전면을 향해 원호 형상의 면으로 벤딩되어 이루어진 꽃꽂이판(10)과;
    상기 꽃꽂이판(10)을 지지하기 위하여 꽃꽂이판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하단 지지판(20)과;
    상기 하단 지지판(20)의 후면으로 절곡되어 제단과 평행되게 평면으로 구성된 바닥판(30) 및;
    상기 꽃꽂이판(10)의 후면과 바닥판(30)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꽃꽂이판을 고정하는 고정바(40);로 구성되되;
    상기 꽃꽂이판(1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면 방향을 향해 경사지고,
    상기 꽃꽂이판(10)은 전면에 종선과 횡선에 의해 격자 문양이 형성되고, 종선과 횡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하측 방향으로 걸림홈(51)이 형성된 수통 삽입공(50)이 형성되며,
    상기 수통 삽입공(50)에는 꽃꽂이용 수통(60)이 삽입되고,
    상기 꽃꽂이용 수통(60)은 꽃이 삽입되는 삽입구(6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삽입구의 하단에 꽃 받침대(62)가 형성되고, 상기 꽃 받침대(62)의 하부에 통기공(63)이 형성되며, 상기 꽃 받침대(62)와 통기공(6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수통 삽입공(50)의 걸림홈(51)에 끼워지는 고정턱(64)과, 상기 고정턱(64)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꽃꽂이판(10)의 후면과 밀착되는 걸림턱(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단용 꽃 장식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단용 꽃 장식대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단용 꽃 장식대.
KR2020160000116U 2016-01-07 2016-01-07 제단용 꽃 장식대 KR200480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16U KR200480826Y1 (ko) 2016-01-07 2016-01-07 제단용 꽃 장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16U KR200480826Y1 (ko) 2016-01-07 2016-01-07 제단용 꽃 장식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26Y1 true KR200480826Y1 (ko) 2016-07-11

Family

ID=5649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16U KR200480826Y1 (ko) 2016-01-07 2016-01-07 제단용 꽃 장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9686A1 (en) * 2020-08-05 2022-02-10 Kanizsa Designs Inc. Free-standing floral fr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0995B2 (ko) * 1986-03-29 1992-07-06 Kanegafuchi Chemical Ind
KR200441203Y1 (ko) 2007-05-14 2008-07-31 이용구 제단용 꽃꽂이 통
KR20120026363A (ko) * 2010-09-09 2012-03-19 이용구 제단(祭壇)용 꽃꽂이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0995B2 (ko) * 1986-03-29 1992-07-06 Kanegafuchi Chemical Ind
KR200441203Y1 (ko) 2007-05-14 2008-07-31 이용구 제단용 꽃꽂이 통
KR20120026363A (ko) * 2010-09-09 2012-03-19 이용구 제단(祭壇)용 꽃꽂이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9686A1 (en) * 2020-08-05 2022-02-10 Kanizsa Designs Inc. Free-standing floral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237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US20140209034A1 (en) Aquarium landscape system
KR200477986Y1 (ko) 도자기꽃병
KR200480826Y1 (ko) 제단용 꽃 장식대
KR101603205B1 (ko) 오아시스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화환받침대
KR101224633B1 (ko) 제단(祭壇)용 꽃꽂이구
US20210227756A1 (en) Vertical planter box
JP2007104986A (ja) 壁面用植栽基盤とその製造方法
KR20170009397A (ko) 포트 설치대를 이용한 포트 꽂이형 화환
US10674676B2 (en) Floral and plant bouquet arranging fixture
CN206434122U (zh) 一种便于插花的花瓶
CN103783888A (zh) 一种固定式花架
KR200438549Y1 (ko)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101012174B1 (ko) 제단용 화환대
KR101639179B1 (ko) 제단용 꽃 장식대
KR20130130940A (ko) 분리형 화환대
CN204796307U (zh) 一种能储水的可夹可挂式花盆
CN201491548U (zh) 实用简易组合花盆
KR101673486B1 (ko) 제단용 꽃 장식대
KR200267647Y1 (ko) 어항덮개
CN212786784U (zh) 一种基于园林的自供水花盆
CN211657471U (zh) 仿真花盆栽
JP2000197549A (ja) 花支持具および花支持具用花器ならびに花支持具付き花器
KR100921741B1 (ko) 화분
JP3111186U (ja) 花立て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