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44Y1 - 착탈식 화분 - Google Patents

착탈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44Y1
KR200481744Y1 KR2020150000865U KR20150000865U KR200481744Y1 KR 200481744 Y1 KR200481744 Y1 KR 200481744Y1 KR 2020150000865 U KR2020150000865 U KR 2020150000865U KR 20150000865 U KR20150000865 U KR 20150000865U KR 200481744 Y1 KR200481744 Y1 KR 200481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hook
drain
wir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833U (ko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우리꽃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꽃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우리꽃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2020150000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4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8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착탈식 화분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착탈식 화분은, 식물이 생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화분 본체; 및 상기 화분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걸이대의 와이어에 이중으로 걸려 결합되는 이중 걸이용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식 화분{A flowerpot}
본 고안은, 착탈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걸이대에 걸려 결합되는 화분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화분이 임의로 떨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착탈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꽃과 다른 식물을 심어서 가꾸는 그릇의 총칭이다. 화분의 형태는 다양하며, 가정 등에서 조경 등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화분의 경우, 단위화분(1)의 후면 상하부(A 부분)에 한글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요홈(3)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요홈(3)의 내부에는 걸쇠(4)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쇠(4)는 ㄷ자 단면을 가지는 수직부재(5)에 형성된 걸이공(6)에 끼워 결합됨으로써 화분을 통한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화분의 결합 구조가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ㄷ자 단면을 가지는 수직부재(5)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등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걸쇠(4)가 단순히 걸려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화분의 결합력이 약해 외력에 의해 화분에 쉽게 떨어질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2296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4438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0836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58905호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의 걸이대에 걸려 결합되는 화분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화분이 임의로 떨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착탈식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식물이 생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화분 본체; 및 상기 화분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걸이대의 와이어에 이중으로 걸려 결합되는 이중 걸이용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중 걸이용 결합부는, 상기 화분 본체의 중간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대의 제1 와이어에 걸려 결합되는 중간 걸고리; 및 상기 화분 본체의 상부 영역에 다수 개 마련되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와이어에 걸려 결합되는 상부 걸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중 걸이용 결합부는, 상기 중간 걸고리와 상기 상부 걸고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 걸고리와 상기 상부 걸고리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에 각각 걸려 결합될 때, 반대편에서 상기 제2 와이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중간 걸고리와 상기 상부 걸고리가 임의로 걸림 해제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탄성 지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편은 상기 화분 본체로부터 양측이 절개된 상태로 상기 화분 본체에 결합되되 상단부의 높이는 상기 상부 걸고리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걸고리가 위치되는 상기 화분 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화분 본체의 전면을 향해 단차지게 함몰된 단차함몰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부 사이드 영역에는 호스가 배치되는 호스 배치용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분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 본체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기구는, 상기 화분 본체의 밑면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배수호스가 끼워지는 배수호스 끼움부; 및 상기 배수호스 끼움부와 연결되며, 상기 화분 본체 내의 바닥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일측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수용 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통상의 걸이대에 걸려 결합되는 화분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화분이 임의로 떨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효율적인 배수기능이 완비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이 걸이대에 걸려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착탈식 화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착탈식 화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착탈식 화분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착탈식 화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동작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이 걸이대에 걸려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착탈식 화분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착탈식 화분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착탈식 화분의 저면도, 도 8은 착탈식 화분의 단면 구조도, 그리고 도 9는 도 8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100)은 통상의 걸이대(150)에 걸려 결합되는 화분(100)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화분(100)이 임의로 떨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배수기능이 완비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화분 본체(110), 이중 걸이용 결합부(120), 그리고 배수기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화분 본체(110)는 식물이 생장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즉 화분 본체(110) 내에 적당량의 흙과 비료가 채워지고 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식물이 식목되어 생장될 수 있다.
따라서 화분 본체(110)는 흙은 담을 수 있을 정도로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구조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외장의 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화분 본체(110)의 형상을 유선형의 곡선형으로 제작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화분 본체(110)의 양측면은 평평한 반면 배면에는 단차함몰부(115)가 형성되도록 하고, 전면은 볼록한 외형을 갖는다.
그리고 화분 본체(110)의 상면 역시, 직선형이 아닌 파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장의 미를 드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화분 본체(110)의 형상이 반드시 도면과 같을 필요는 없는 바,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분 본체(110)의 배면에서 중간 걸고리(121)가 위치되는 영역에는 화분 본체(110)의 전면을 향해 단차지게 함몰된 단차함몰부(115)가 형성된다. 단차함몰부(115)는 중간 걸고리(121)가 제1 와이어(151)에 걸리도록 하는 공간(space)을 형성할 수 있다.
화분 본체(110)의 상단부 사이드 양측에는 영역에는 호스, 즉 수전에서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호스가 배치되는 호스 배치용 홈부(11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화분 본체(110)의 상단부 사이드 양측에 호스 배치용 홈부(116)가 형성되고, 이곳에 호스가 배치됨에 따라 호스를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에서 해방될 수 있다.
이때, 화분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테두리 덧살부(112)가 형성된다. 테두리 덧살부(112)는 화분 본체(110)의 상단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이중 걸이용 결합부(120)는 화분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걸이대(150)의 제1 및 제2 와이어(151,152)에 이중으로 걸려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를 통해 전술한 것처럼 걸쇠(4, 도 1 및 도 2 참조)가 단순히 걸려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화분의 결합력이 약해 외력에 의해 화분에 쉽게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이중 걸이용 결합부(120)에 의해 화분(100)이 걸이대(150)에 결합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화분(100)이 걸이대(150)로부터 임의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이중 걸이용 결합부(120)는 화분 본체(110)의 중간 영역에 마련되며, 걸이대(150)의 제1 와이어(151)에 걸려 결합되는 중간 걸고리(121)와, 화분 본체(110)의 상부 영역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제1 와이어(15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와이어(152)에 걸려 결합되는 상부 걸고리(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중간 걸고리(121)가 1개, 그리고 상부 걸고리(122)가 2개 마련되나 이들의 개수, 그리고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중간 걸고리(121) 및 상부 걸고리(122) 외에도 이중 걸이용 결합부(120)에는 탄성 지지편(123)이 더 마련된다.
탄성 지지편(123)은 중간 걸고리(121)와 상부 걸고리(122) 사이에 배치되며, 중간 걸고리(121)와 상부 걸고리(122)가 제1 및 제2 와이어(152)에 각각 걸려 결합될 때, 반대편에서 제2 와이어(15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중간 걸고리(121)와 상부 걸고리(122)가 임의로 걸림 해제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 지지편(123)은 화분 본체(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서, 스프링이 아니더라도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면서 제2 와이어(15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 지지편(123)의 상단부의 높이는 상부 걸고리(122)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탄성 지지편(123)에 제2 와이어(152)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착탈식 화분(100)을 전진시켰다가 들어주고 다시 후퇴시켜 내려주면 상부 걸고리(122)와 탄성 지지편(123) 사이에 제2 와이어(152)가 끼워지져 결합되고, 중간 걸고리(121) 역시 제1 와이어(151)에 걸려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착탈식 화분(100)은 이중 걸이용 결합부(120)의 중간 걸고리(121)와 상부 걸고리(122)가 제1 와이어(151)와 제2 와이어(152) 2개에 걸쳐 결합되고, 그 반대편에서 탄성 지지편(123)이 제2 와이어(152)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착탈식 화분(100)이 쉽게 분리되어 떨어지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배수기구(1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본체(1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화분 본체(110)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수기구(130)는 화분 본체(110)의 밑면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배수호스가 끼워지는 배수호스 끼움부(131)와, 배수호스 끼움부(131)와 연결되며, 화분 본체(110) 내의 바닥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일측에 배수구(133)가 형성되는 배수용 보스부(132)를 포함한다.
배수호스 끼움부(131)의 주변에는 화분 본체(110)의 밑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그루브(G)가 형성되는데, 배수호스는 그루브(G) 사이에서 배수호스 끼움부(131)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배수용 보스부(13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화분 본체(110) 내의 바닥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그 상단부에 배수구(133)가 형성되기 때문에 화분 본체(110) 내의 바닥부 영역에서 배수용 보스부(132)의 높이만큼 저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의 지속적인 생육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착탈식 화분(100)은 도 3처럼 혹은 도 3과는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여러 단을 상하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예컨대 3~4단에 하나씩 호스를 걸쳐놓고 점적관수가 이루어지게 하면 상부측 화분에 채워진 물이 오버플로우하여 배수구(133)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어 하부에 위치된 화분에 물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관수에 어느 정도의 여유가 있더라도 식물이 고사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생육될 수 있다.
마지막 단의 경우 저면에 형성된 배수호스 끼움부(131)에 배수호스를 끼우고, 배수호스를 배수로에 연결시킬 경우, 물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깔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맨 아랫단의 화분의 배수호스 끼움부(131)에 배수호스를 끼워 사용할 경우, 흙이 튀지 않고 지저분하지 않게 깨끗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의 걸이대(150)에 걸려 결합되는 화분(100)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화분(100)이 임의로 떨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효율적인 배수기능이 완비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200)에도 화분 본체(110)의 하단부에 배수기능을 위한 배수기구(230)가 마련된다.
배수기구(230)는 화분 본체(110)의 밑면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배수호스가 끼워지는 배수호스 끼움부(231)와, 배수호스 끼움부(231)와 연결되며, 화분 본체(110) 내의 바닥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배수용 보스부(2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배수구(233)는 배수구(133)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통상의 걸이대(150)에 걸려 결합되는 화분(200)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화분(200)이 임의로 떨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배수기능이 완비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동작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300)에도 화분 본체(110)의 하단부에 배수기능을 위한 배수기구(330)가 마련된다.
배수기구(330)는 화분 본체(110)의 밑면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배수호스가 끼워지는 배수호스 끼움부(331)와, 배수호스 끼움부(331)와 연결되며, 화분 본체(110) 내의 바닥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배수용 보스부(332)와, 배수용 보스부(33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보스부(333)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배수구(334)는 슬라이딩 보스부(333)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슬라이딩 보스부(333)를 적용하게 되면 화분 본체(110) 내의 물의 저수공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도 11의 상태보다 도 12의 상태가 화분 본체(110) 내의 저수공간을 좀 더 확장시킨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통상의 걸이대(150)에 걸려 결합되는 화분(300)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화분(300)이 임의로 떨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배수기능이 완비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400) 역시, 화분 본체(410), 이중 걸이용 결합부(120), 그리고 배수기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호스 배치용 홈부(416)는 화분 본체(410)의 일측 사이드에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통상의 걸이대(150)에 걸려 결합되는 화분(400)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화분(400)이 임의로 떨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배수기능이 완비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화분(500) 역시, 화분 본체(510), 이중 걸이용 결합부(120), 그리고 배수기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화분 본체(510)의 상단부는 굴곡되지 않은 평평한 사각의 폐루프 형상을 이루며, 양 사이드에 호스 배치용 홈부(51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통상의 걸이대(150)에 걸려 결합되는 화분(500)의 결합력을 종래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외력에 의해 화분(500)이 임의로 떨어지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배수기능이 완비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착탈식 화분 110 : 화분 본체
112 : 테두리 덧살부 115 : 단차함몰부
116 : 호스 배치용 홈부 120 : 이중 걸이용 결합부
121 : 중간 걸고리 122 : 상부 걸고리
123 : 탄성 지지편 130 : 배수기구
131 : 배수호스 끼움부 132 : 배수용 보스부
133 : 배수구 150 : 걸이대
151 : 제1 와이어 152 : 제2 와이어

Claims (6)

  1. 삭제
  2. 식물이 생장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화분 본체; 및
    상기 화분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걸이대의 와이어에 이중으로 걸려 결합되는 이중 걸이용 결합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화분에 있어서,
    상기 이중 걸이용 결합부는,
    상기 화분 본체의 중간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대의 제1 와이어에 걸려 결합되는 중간 걸고리; 및
    상기 화분 본체의 상부 영역에 다수 개 마련되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와이어에 걸려 결합되는 상부 걸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걸이용 결합부는,
    상기 중간 걸고리와 상기 상부 걸고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 걸고리와 상기 상부 걸고리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에 각각 걸려 결합될 때, 반대편에서 상기 제2 와이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중간 걸고리와 상기 상부 걸고리가 임의로 걸림 해제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탄성 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상기 화분 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되, 상단부의 높이는 상기 상부 걸고리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걸고리가 위치되는 상기 화분 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화분 본체의 전면을 향해 단차지게 함몰된 단차함몰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부 사이드 영역에는 호스가 배치되는 호스 배치용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 본체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기구는,
    상기 화분 본체의 밑면에서 돌출되게 마련되어 배수호스가 끼워지는 배수호스 끼움부; 및
    상기 배수호스 끼움부와 연결되며, 상기 화분 본체 내의 바닥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일측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수용 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화분.
KR2020150000865U 2015-02-06 2015-02-06 착탈식 화분 KR200481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65U KR200481744Y1 (ko) 2015-02-06 2015-02-06 착탈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65U KR200481744Y1 (ko) 2015-02-06 2015-02-06 착탈식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33U KR20160002833U (ko) 2016-08-17
KR200481744Y1 true KR200481744Y1 (ko) 2016-11-04

Family

ID=5685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865U KR200481744Y1 (ko) 2015-02-06 2015-02-06 착탈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710B1 (ko) * 2018-07-17 2020-02-13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366A (ja) * 2000-01-31 2002-05-28 Keiji Sekiguchi 花 器
KR200413752Y1 (ko) * 2006-01-10 2006-04-13 김차권 장식용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640Y1 (ko) * 1993-01-08 1995-10-12 이영국 배수 및 통풍 촉진 화분
US5599107A (en) 1995-06-13 1997-02-04 Reedrill Corporation Self-aligning linear bearing
AU6532196A (en) 1995-09-05 1997-03-27 Mukoyama Orchids Ltd. Support for plant culture and method for plant growth
KR100330783B1 (ko) 1999-12-30 2002-04-01 이계안 자동차용 촉매 시스템
KR20010008362A (ko) 2000-11-27 2001-02-05 장영수 인터넷을 이용한 출판대행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5781A (ko) * 2002-11-25 2004-06-02 하현영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366A (ja) * 2000-01-31 2002-05-28 Keiji Sekiguchi 花 器
KR200413752Y1 (ko) * 2006-01-10 2006-04-13 김차권 장식용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33U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376Y1 (ko)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KR101291237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101343379B1 (ko) 화분
KR200481744Y1 (ko) 착탈식 화분
CN205962012U (zh) 园林立体花坛用花盆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JP2007104986A (ja) 壁面用植栽基盤とその製造方法
KR200465181Y1 (ko) 화분 겸용 테이블
KR101678155B1 (ko) 수경 재배기
CN204350717U (zh) 一种观赏性蔬菜花卉架
KR20160074150A (ko) 다용도 화분받침
KR101256044B1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0469808Y1 (ko) 식물 재배용기
CN208370519U (zh) 一种绿化墙组合花盆
KR20100007706U (ko) 물받이 일체형 화분
KR20170052837A (ko) 수세미외 섬유로 제조된 천연배지를 구비한 액자용 선인장 화분
KR200259874Y1 (ko) 장식용 화분
KR101914112B1 (ko) 화분
CN201667856U (zh) 植栽盒结构
CN217445972U (zh) 多功能绿植盆
CN104620952A (zh) 一种保湿花盆
KR200353522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JP3107012U (ja) 植木鉢台
CN210202602U (zh) 一种蔬菜植物种植装置
CN201781812U (zh) 具活动式底座的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