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781A -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 Google Patents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781A
KR20040045781A KR1020020073639A KR20020073639A KR20040045781A KR 20040045781 A KR20040045781 A KR 20040045781A KR 1020020073639 A KR1020020073639 A KR 1020020073639A KR 20020073639 A KR20020073639 A KR 20020073639A KR 20040045781 A KR20040045781 A KR 20040045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t
prefabricated
horizontal member
flow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영
Original Assignee
하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현영 filed Critical 하현영
Priority to KR102002007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5781A/ko
Publication of KR2004004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7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미화를 위한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결합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단위화분을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한 조립식 입체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은 프레임에 단위화분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입체화분에서, 상기 프레임은 소정간격마다 경사홈을 구비하고 있는 막대형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경사홈에 끼워지는 관부재로 이루어진 수평부재의 결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단위화분은 후면에 걸쇠를 형성하여, 상기 걸쇠가 프레임의 수평부재에 걸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단위화분은 원통형상을 8등분한 형태, 또는 16등분한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단위화분은 후면의 중앙에 내측으로 요입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는 다수의 통공을 천공하여, 상기 통공과 수평부재를 연결관으로 연결하면, 수평부재와 단위화분의 수분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Four seasons flower pot assembly}
본 발명은 환경미화를 위한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결합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단위화분을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한 조립식 입체화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화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화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화분은 단위화분(1)의 후면 상하에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요홈(3)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요홈의 내부에 걸쇠(4)를 형성하여, 상기 걸쇠(4)를 ㄷ자 단면을 가지는 수직부재(5)에 형성된 체결공(6)에 끼워 결합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화분은 수직부재를 다른 벽면이나 건물등에 고정한 후 단위화분을 상기 수직부재에 끼워 조립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구현할 수 있는 형상에 있어서 한계가 있어서 벽면을 장식하기에는 용이하나, 화분을 조립하여 원뿔형상을 만든다거나 독립적인 조형물을 제작하기에는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화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홈을 형성하고 있는 수직부재와 상기 경사홈에 삽입되는 관 부재로 이루어진 수평부재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단위화분을 걸어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립식 입체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화가 생장하지 못하는 동절기에는 상기 조립식 입체화분을 조화로 장식 할 수 있도록 조화꽂이판을 제공하여 사계절 내내 이용할 수 있는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화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의 단위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의 단위화분의 걸쇠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화분이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
도 6a, 6b 및 6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을 원뿔형상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a, 7b, 7c, 7d, 7e, 7f 및 7g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화분 모양을 변경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8b, 8c 및 8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에 조화꽂이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직부재12 : 경사홈
20 : 수평부재100 : 단위화분
104 : 오목부110 : 걸쇠
200 : 물탱크300 : 조화꽂이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은 프레임에 단위화분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입체화분에서, 상기 프레임은 소정간격마다 경사홈을 구비하고 있는 막대형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경사홈에 끼워지는 관부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단위화분은 후면에 걸쇠를 형성하여, 상기 걸쇠가 프레임의 수평부재에 걸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단위화분은 원통형상을 8등분한 형태, 또는 16등분한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단위화분은 후면의 중앙에 내측으로 요입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는 다수의 통공을 천공하여, 상기 통공과 수평부재를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수평부재와 단위화분 사이에 수분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쇠는 다른 직경을 가지는 원이 교차된 형상의 홈을 가지도록 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수평부재들과 모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오목부의 하단에 배수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화분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조화꽂이판을 더 구비하여 동절기에는 조화를 꽂을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부재(10)는 길다란 막대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소정간격마다 경사홈(12)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경사홈(12)에 수평부재(20)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수평부재(20)는 단위화분을 걸어 지지하는 역할과 아울러 급수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단면이 관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화분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지녀야한다. 이러한 수평부재로는 주로 가벼운 특성의 PVC관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강관등 일반적으로 배관작업에 사용되는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직부재(10)가 수평부재(20)를 지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0)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4각기둥, 5각기둥 등의 다각기둥 형상의 꽃탑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고, 수평부재(20)가 원형을 가지면 원기둥이나 원뿔형상의 꽃탑 구조물을 구성할 수도 있다. 각각의 층의 수평부재(20) 형상을 적절히 변화시키면 동물의 형태나 특수한 형태의 조형물 등 소비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컨대, 원뿔형상의 형성은 수직부재(10)를 비스듬히 설치하고, 직경이 다른 수평부재(20)를 상기 수직부재(10)의 경사홈(12)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부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화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위화분(100)은 원통형상을 균등 분할한 조각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원통을 8등분한 조각의 형태를 띠는 단위화분과 16등분한 조각의 형태를 띠는 단위화분을 기준으로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a 내지 7g에 나타낸 것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의 변형도 가능하다.
원통형상을 균등 분할한 형태를 가진 단위화분(100)은,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벽(102)이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프레임과 결합하는 후면벽은 그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오목부(10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104)는 그 상단과 하단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있는데, 상단의 통공(120)은 비가 오거나 수분 공급이 과도할 때 수분을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 배수공의 역할을 하며, 또한 연결관을 통과시키는 구멍 역할도 한다. 하단의 통공(130)은 배수공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배수공을 후면 하단에 배치하게 되면 단위화분들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을 때, 상층의 단위화분에서 배수되는 물이 하층의 단위화분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단위화분의 후면의 중앙에는 오목부(10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프레임에 단위화분을 고정하기 위한 걸쇠(110)를 형성하고 있어서, 프레임의 수평부재에 상기 걸쇠(110)를 걸어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4b는 도 4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상기 걸쇠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쇠는 서로 다른 직경의 수평부재가 교차하는 형상에 따른 홈을 형성하고 있어서, 그 중앙(112)은 폭이 좁고 끝부분(113)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진다. 따라서 수평부재의 직경이 달라서 그 곡률이 다르다고 하더라도 상기 끝부분의 넓은 홈의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걸쇠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수평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면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단위화분 8조각을 합하여 원을 이룰때의 곡률반경(R)은 단위화분 16조각을 합하여 동일원을 이룰때의 곡률반경(R')보다 크지만 걸쇠의 단면형상을 양단이 넓어지도록 구성하면, 단위화분의 갯수에 관계없이 동일한 걸쇠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마찬가지로, 단위화분 8조각을 합하여 반지름(r)의 원을 이루는 경우 반지름 (2r)의 원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면, 동일한 단위을 16개 사용하면 되므로 제작의 표준과 효율성을 기할수 있는 것이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화분이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화분이 원통형상을 8등분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8개의 단위화분을 수평부재(20)에 결합하면 조립된 단위화분들의 외형은 원형이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직부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단위화분(100)의사이(또는 단위화분(100)의 후면의 오목부(104))에 위치해야 수직부재(10)가 단위화분의 체결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수평부재(20)는 급수관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관부재로 제작되므로, 앞서 설명한 단위화분(100) 상단의 통공(120)과 수평부재(20)를 연결관(150)으로 연결하면 수평부재(20)와 단위화분(100)사이에 수분 소통이 가능해지며, 상기 수평부재에 급수장치를 연결하면 자동급수 장치가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50)은 그 확대 측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어서 수평부재(20)의 일측에 천공을 한 후, 상기 수평부재(20)의 천공된 구멍과 단위화분 상단의 통공(120)에 돌려 끼우면 된다.
자동급수장치는 물탱크, 펌프, 밸브 등으로 이루어져 일정시간 간격으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장치인데, 이러한 자동급수장치는 임의의 공지기술이라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b는 단위화분(100)이 수평부재에 결합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단과 하단의 걸쇠(110)가 모두 수평부재를 걸고 있으므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6a, 6b 및 6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을 원뿔형상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에는 16개의 단위화분을 합친 길이와 원주가 같은 수평부재를 끼워서 16개의 단위화분으로 원형을 형성하고, 상단으로 갈수록 하나씩 적은 개수의 단위화분으로 원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면, 조립식 입체화분의전체 형상은 군형잡힌 원뿔형태가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단위화분의 걸쇠 단면의 변형에의해 동일한 단위화분으로 그 갯수만을 늘려가면서 1층부터 9층까지 각각의 원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형상에서 상단 또는 하단에 물탱크(200)를 설치하고, 배관을 수평부재(20)에 연결하고, 수평부재(20)와 단위화분을 연결관(도 5a의 150)으로 연결하면 물탱크(200)의 물을 개별단위 화분에 골고루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위화분(100)의 배수공(130)에 의하여, 공급된 물이 수평부재(20)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하여 자연낙하되므로 아래 화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직경이 서로 다른 수평부재(20)에 단위화분(100)을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수직부재(10)의 위치와 단위화분(100)의 간섭인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화분(100)의 수가 짝수인 경우에는 수직부재(10)가 단위화분의 사이공간(105) 또는 단위화분의 오목부(104)에 위치하게 되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고, 단위화분의 갯수가 홀수인 경우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단위화분(100) 크기의 절반(여기서는 8등분이 기본이므로 16등분)이 되는 단위화분(100') 2개를 기본 단위화분(100) 1개와 교체하여, 수직부재(10)가 단위화분의 사이공간(105)과, 교체된 단위화분(10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면 수직부재(1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도 7a, 7b, 7c, 7d, 7e, 7f 및 7g 는 단위화분 모양을 변경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화분(100a, 100b)의 걸쇠(110a, 110b)가 직선형의 수평부재(20)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구성시에 수평부재(20)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수직부재(10)는 상기 수평부재(2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c, 7d, 7e, 7f 및 7g는 조립식 입체화분으로 다각형을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단위화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화분 두개가 소정각도(도면에서는 각각 60°, 90°, 120°, 135°, 180°)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단위화분(100c, 100d, 100e, 100f, 100g)을 형성하고, 수평부재를 다각형으로 형성하면 조립식 입체화분의 외주면이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구사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기술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a,8b, 8c 및 8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에 조화꽂이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와 8b는 상단화분과 하단화분의 사이에 조화꽂이판을 부착한 것으로, 조화꽂이판(300)은 소정간격마다 조화를 꽂을 수 있는 조화 꽂이관(330)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외주면은 단위화분의 전면판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화꽂이판(300)은 그 상단과 하단에 각각 끼움돌기(310)와 끼움홈(320)을 구비하여, 단위화분의 끝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조화꽂이판(300)들이 상하로 결합하여 조립식 입체화분 전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8c와 8d는 다른형태로 조화꽂이판을 결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화분의 개구부를 덮는 형태의 조화꽂이판(300a)이 적용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단위화분의 전면 상단부의 모서리에 끼움홈(103)을 구비하고, 조화꽂이판(300a)의 내측에 끼움돌기(302)를 형성하여 단위화분의 개구부를 덮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렇게 조립식 입체화분에 조화꽂이판을 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초화가 생장하지 못하는 동절기에는 상기와 같이 조화꽂이판을 부착하여 입체화분을 조화로 장식할 수 있게 해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조립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부재에 단위화분을 걸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조립식 화분에 비해 훨씬 다양한 형태의 입체화분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은 수평부재와 단위화분을 연결하고, 상기 수평부재를 급수시설에 연결하면,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자동급수 시설을 갖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화분은 단위화분의 사이 또는 단위화분의 윗면에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조화꽂이판을 구비하여 초화가 생장하지 못하는 시기에는 조화를 사용하여 장식하도록 함으로써 4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는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을 제공한다.

Claims (6)

  1. 프레임에 단위화분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입체화분에서,
    상기 프레임은 소정간격마다 경사홈을 구비하고 있는 막대형상의 수직부재와, 상기 경사홈에 끼워지는 관부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단위화분은 후면에 걸쇠를 형성하여, 상기 걸쇠가 프레임의 수평부재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화분은 원통형상을 8등분한 형태, 또는 16등분한 형태의 외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화분은 후면의 중앙에 내측으로 요입된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상단에는 다수의 통공을 천공하여, 상기 통공과 수평부재를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수평부재와 단위화분 사이에 수분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화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다른 직경을 가지는 원이 교차된 형상의 홈을 가지도록 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수평부재들과 모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화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화분은 오목부의 하단에 배수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화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화분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조화꽂이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화분.
KR1020020073639A 2002-11-25 2002-11-25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KR20040045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639A KR20040045781A (ko) 2002-11-25 2002-11-25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639A KR20040045781A (ko) 2002-11-25 2002-11-25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261U Division KR200304006Y1 (ko) 2002-11-26 2002-11-26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781A true KR20040045781A (ko) 2004-06-02

Family

ID=3734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639A KR20040045781A (ko) 2002-11-25 2002-11-25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578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99B1 (ko) *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적층식 꽃탑 및 그 시공방법
KR101035461B1 (ko) * 2008-09-10 2011-05-18 김철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WO2015118413A3 (en) * 2014-01-24 2015-12-17 John Rodney Keats A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CN105594475A (zh) * 2016-03-13 2016-05-25 苏州固特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种植植物的安装组件
KR200480803Y1 (ko) * 2015-04-01 2016-07-07 김동환 실내 녹화 장치
KR20160002833U (ko) * 2015-02-06 2016-08-17 우리꽃 영농조합법인 착탈식 화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99B1 (ko) *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적층식 꽃탑 및 그 시공방법
KR101035461B1 (ko) * 2008-09-10 2011-05-18 김철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WO2015118413A3 (en) * 2014-01-24 2015-12-17 John Rodney Keats A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KR20160002833U (ko) * 2015-02-06 2016-08-17 우리꽃 영농조합법인 착탈식 화분
KR200480803Y1 (ko) * 2015-04-01 2016-07-07 김동환 실내 녹화 장치
CN105594475A (zh) * 2016-03-13 2016-05-25 苏州固特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种植植物的安装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283B2 (en) Column elements for a device for the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US5502922A (en) Plant holder
CN201690831U (zh) 一种可组合的直角花盆
WO1992003039A1 (en) Hanging rope mounted adjustable position plant pot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KR20140002207U (ko) 다단식 회전 화분걸이장치
JPH01196231A (ja) 着生植物用多孔式栽培容器
KR20040045781A (ko)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KR200475823Y1 (ko) 실내 조경용 화분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CN112314386B (zh) 一种苗木丛植的模块化预丛植移栽方法
KR200304006Y1 (ko)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US6202349B1 (en) Winding device, and a vessel incorporating advantages of a flower-arranging vase, a flower-pot, and an artificial-flower basket
WO2021125707A1 (ko) 분리형 화분
KR200220769Y1 (ko) 점적식 가로등 부착형 거리미화용 화분
KR200367528Y1 (ko) 급수식 다용도 화분
WO2020071859A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KR200242458Y1 (ko) 조립식 화분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200367986Y1 (ko)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KR200288854Y1 (ko) 조명장치가 설치된 실내용 자동급수화분
KR200497496Y1 (ko)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KR102340878B1 (ko) 화분 거치대
KR200250452Y1 (ko) 벽면설치용 다단화분
KR101158252B1 (ko) 식생 공간이 구비된 적층형 파티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