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23Y1 - 실내 조경용 화분 - Google Patents

실내 조경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23Y1
KR200475823Y1 KR2020130001866U KR20130001866U KR200475823Y1 KR 200475823 Y1 KR200475823 Y1 KR 200475823Y1 KR 2020130001866 U KR2020130001866 U KR 2020130001866U KR 20130001866 U KR20130001866 U KR 20130001866U KR 200475823 Y1 KR200475823 Y1 KR 200475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flowerpot
pot
plan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044U (ko
Inventor
이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Priority to KR2020130001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2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06Labels or label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lan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와,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식재부와, 상기 식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화분통;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에 각각 매달려서 상기 화분통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통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경용 화분에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화분의 양단을 고정대에 결합하고 고정대의 상단을 그 일단이 장착부에 고정된 와이어에 결합함으로써 실내 바닥에 대한 구조변경 없이 고정형 화분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분을 고정설치하는데 드는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 조경용 화분{LANDSCAPING FLOWER POT}
본 고안은 고정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을 대나무 형태로 형성하고 와이어를 사용하여 천장에 고정하여 그 외관이 미려하게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견고한 고정구조를 가지며,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와 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가 파이프로 연결되어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실내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실내를 장식하거나 관상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화분은 그 내부에 흙을 담아 꽃이나 나무를 심을 수 있게 되며, 실내의 바닥, 탁자 또는 베란다 등에 배치되고 있다.
종래에는, 실내에 화분을 배치하려면 반드시 일정공간의 바닥면적을 차지해야 했으므로, 실내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화분은 주로 코너 부근이나 가장자리의 공간에 배치되고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선반이나 진열대를 사용하여 화분을 올려놓기도 하였으나, 선반이나 진열대는 각 단의 천장부가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서로 높이가 다른 식물을 거치하기에는 부적합하였으며, 선반이나 진열대를 실내의 중앙에 설치할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에 쉽게 넘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47997호 '화분 거치구조'(이하에서는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일정공간에 다단으로 화분을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문헌을 참조하면, 화분 거치구조는 중간에 설치된 길이 조절구(11)를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천장과 실내의 바닥에 입설되는 지주(10)와, 양단이 관통된 단관 형태의 지지관(21) 양측에 상향으로 개방되는 반원형의 삽지요구(23)를 갖는 횡간 받침구(22)를 일체로 형성하는 횡간 결속구(20)와, 횡간 결속구(20)의 횡간 받침구(22) 상에 재치되는 한 조의 횡간(30)과, 횡간(30)에 결합되는 반원형의 삽지요구(42)를 갖는 삽지편(41)을 저면에 일체로 구성하는 화분 받침대(4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원형봉 형태의 지주(10)를 실내의 바닥과 천장에 입설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화분 거치구조를 설치하려면 반드시 실내의 바닥과 천장에 대한 천공작업 및 지주(10)의 입설을 위한 공사가 진행되어야 하므로 상당한 설치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분 거치구조가 바닥과 천장에 고정되어 있어서 추후에 거치구조를 이동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실내 공간활용의 변동에 의해 철거해야 하는 경우에는 바닥과 천장에 구멍이 남게 되어 실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횡간결속구(20)의 높이조절이 지주(10)에 끼워진 고무링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지주(10)의 양측에 개재된 고무링이 화분의 하중을 고스란히 지지하게 되어 고무재질의 특성상 고무링은 일정시간 이상 외력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쉽게 파단이 발생하여 화분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삽지편(41)과 횡간(30)의 반원형 접촉면에 의해 화분이 올려지는 화분받침대(40)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이루어져 양측으로 돌출된 화분받침대(40)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화분받침대(40)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화분받침대(40)가 이탈되지 않더라도 외력에 의해 화분받침대(40)의 구조적 불안정성에 의해 상면에 놓여진 화분이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화분이 개별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화분마다 개별적으로 물을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의 천장에 매달아 장착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조경미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공기 정화 및 습도 조절 기능이 발휘될 수 있고, 광고 홍보물을 장착하여 시각적인 광고 기능도 구현될 수 있도록 한 실내 조경용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화분의 설치 및 식물의 성장에 따른 화분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고정대에 화분통이 고정결합되지 않으면서도, 화분의 일측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화분이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그 결합구조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복수개로 설치되는 화분에 편리하고 안정적인 물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순한 구조의 통합적인 관수체계(灌水體系)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장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식재부와, 상기 식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이 형성된 화분통; 상기 와이어에 매달려서 상기 화분통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통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경용 화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화분통의 양단에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대는 상기 결합부의 하단부와 선접촉되고, 상기 결합부에 상기 고정대가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면접촉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화분통의 회전이 단속된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지지몸체와, 말굽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중간부는 상기 화분통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한다.
상기 화분통의 일측에 저수부가 형성되어 상기 식재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화분통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대에 세로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저수부는 상기 고정대의 최상측에 결합되는 화분통에 형성된다.
상기 저수부의 상측에 물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하측에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파이프가 연결되는 물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수파이프는 하측에 형성된 상기 화분통의 식재부에 각각 병렬 배치되어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단이 천장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고정되며 조명램프가 형성된 화분고정대; 상기 화분고정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분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경용 화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화분고정대는 원형이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브라켓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화분통이 끼워지는 링 형상의 결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통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대에 끼워지도록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통은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통이 결합되며 상기 화분고정대에 결합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분의 양단을 고정대에 결합하고 고정대의 상단을 그 일단이 천장 등의 장작부에 고정된 와이어에 결합함으로써 실내 바닥에 대한 구조변경 없이 고정형 화분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분을 고정설치하는데 드는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분통이 고정대에 고정결합되지 않고 결합부의 하단과 지지구 상단의 선접촉 부위에서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마찰력에 의해 안착됨으로써 화분통의 설치 및 화분통의 높이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몸체와 결합구의 끼움결합에 의해 화분통의 회전이 단속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최상단의 화분통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를 형성하고 하부에 구비되는 화분통에 연장되어 물이 유통되는 관수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다단으로 구성된 화분통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분을 관리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샹들리에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실내 습도 조절과 조경미를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1)은, 식물(P)이 식재(植栽)되는 화분통(10)과, 화분통(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대(20)와, 고정대(20)를 천장 등의 장착부(C)에 연결하는 와이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분통(10)은 그 외관이 대나무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 또는 합성목재(플라스틱과 목재 혼합 성형품), 자연 대나무로 형성되어 도색되거나 대나무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그 내부에 방수층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방수층은 방수도료(防銹塗料)를 도포하거나 합성수지를 식재공간(111)의 형태로 형성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화분통(10)은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이 개구되는 식재부(11)와, 식재부(11) 사이마다 형성되는 격벽(12)과, 화분통(10)의 양단에 형성되어 고정대(20)에 결합되는 결합부(13)를 포함한다.
식재부(11)는 가로방향의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형성된 식재공간(111)에 흙과 식물(P)이 수용되고, 식재공간(111)에서 생육하는 식물(P)의 줄기가 상측으로 자라나게 된다.
격벽(12)은 대나무에 형성되는 마디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화분통(10)을 길이방향으로 구획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격벽(12) 사이에 식재부(11)가 위치하게 된다.
결합부(13)는 화분통(10)의 양단에 형성된 격벽(12)으로부터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대(20)에 결합되며, 결합부(13)의 상·하측에는 고정대(20)가 삽입되도록 고정대(20)의 단면형상에 대응형성된 결합홈(131)이 각각 형성된다.
결합부(13)는 화분통(10)이 연속되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결합부(13)를 포함하는 화분통(10)의 전체적인 외관이 대나무의 줄기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내 조경용 화분(1)은 화분통(10)이 복수로 구성되어 고정대(20)에 세로방향으로 다단 결합되며, 고정대(20)의 최상측에 결합되는 화분통 (10)에는 저수부(14)가 형성되어 하부에 구비되는 화분통(10)의 식재부(11)에 각각 관수파이프(40)로 연결하여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14)가 형성된다.
저수부(14)는 식재부(11)의 상측이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화분통(10)의 단부에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이 없는 대나무의 줄기형태로 형성되어 화분통(10)의 전체적인 미관과 조화를 이루게 된다.
고정대(20)에 화분통(10)이 세로방향으로 두 개가 결합된 경우에는 최상측 화분통(10)의 좌측 또는 우측의 단부에 하나의 저수부(14)가 형성되고, 고정대(20)에 화분통(10)이 세 개가 결합된 경우에는 최상측 화분통(10)의 좌측과 우측단부에 저수부(14)가 각각 형성되어 최하측과 중간에 형성된 화분통(10)에 각각 물을 공급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화분통(10)이 고정대(20)에 세 개가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저수부(14)의 상측에는 저수부(1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주입구(14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물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저수부(1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화분통(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관수파이프(41,42)가 각각 연결된다.
물주입구(141)에는 호스(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물이 공급되며, 평상시에는 마개(미도시)가 결합되어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된다.
물배출구(미도시)는 저수부(14)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관수파이프(41,42)가 각각 연결된다. 화분통(10)의 양단에 형성된 저수부(14)와 연결되는 한 쌍의 관수파이프(41,42)는 하측에 형성된 화분통(10)의 식재부(11)에 각각 병렬 배치되어 물을 공급한다.
즉, 좌측의 저수부(14)에 결합되는 제1관수파이프(41)는 최하단의 화분통(10)으로 연장형성되어 각각의 식재부(11)에 물을 공급하고, 우측의 저수부(14)에 결합되는 제2관수파이프(42)는 중단의 화분통(10)으로 연장형성되어 각각의 식재부(11)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제1 및 제2관수파이프(41,42)의 수직하게 형성된 부분은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유니온(Union,43)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내 조경용 화분(1)은 식물(P)의 성장 또는 새로운 식물(P)의 식재에 따라 고정대(20)에 결합된 화분통(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화분통(10)의 높이조정시에 지지몸체(2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볼트홀(25)의 간격에 따라 미리 절단된 파이프(미도시)를 유니온(43)을 사용하여 제1 또는 제2관수파이프(41,42)에 결합함으로써 관수파이프(41,42)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관수파이프(41,42)의 상측에는 저수부(14)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유통과 차단을 하기 위해 콕(Cock,44) 또는 볼 밸브(Ball Valve)가 설치된다. 물론, 병렬 배치된 관수파이프(40)의 말단부에 각각 콕(44) 또는 볼 밸브를 설치하여 식재부(11)마다 물을 유통하거나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30)는 화분통(10)을 장착부(C)와 연결하는 고정와이어(31)와, 고정와이어(3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와이어(32)로 구성된다.
고정와이어(31)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화분통(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대(20)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각각 장착부(C)에 고정되어 고정대(20)에 결합된 화분통(10)이 지면에 접촉되지 않고 장착부(C)에 매달리게 된다.
연결와이어(32)는 고정와이어(31)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광고판(50)이 매달린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내 조경용 화분(1)은 식물(P)이 생육하는 화분통(10)의 상측에 연결와이어(32)만을 사용하여 광고판(50)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높은 주목도(注目度)의 광고판(5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고정대(20)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어 화분통(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단은 와이어(30)의 타측에 결합되어 장착부(C)에 매달린다. 그 구성은 지지몸체(21)와, 지지몸체(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와이어(30)가 연결되는 연결고리(22)와, 지지몸체(21)에 결합되어 화분통(10)을 지지하는 지지구(23)를 포함한다.
지지몸체(21)는 목재, 철재 또는 알루미늄 재질, 합성수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고, 각목 또는 사각파이프로 형성되어 화분통(10)의 결합부(13)에 형성된 결합홈(131)에 삽입된다.
화분통(10)의 결합부(13)가 지지몸체(21)에 끼워지면 화분통(10)의 축방향의 회전이 방지되고, 축방향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화분통(10)은 지지몸체(21)의 상,하 방향을 따라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지지몸체(21)와 결합홈(131)의 끼워지는 관계는 중간 끼워맞춤, 헐거운 끼워맞춤 및 억지 끼워맞춤이 모두 가능하다.
지지몸체(21)의 전,후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지지구(23)가 볼트(24)로 조립되는 볼트홀(25)이 지지구(23)의 결합위치가 조정되도록 높이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연결고리(22)는 와이어(30)의 하측 단부와 결합되어 고정대(20)가 그 일단이 장착부(C)에 고정된 와이어(30)에 매달리게 된다.
지지구(23)는 철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말굽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몸체(21)의 측면에 결합되며, 결합부(13)의 하측과 선접촉하여 지지하는 중간부(231)와, 중간부(231)의 양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232)로 구성된다.
연장부(232)는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지지몸체(21)의 전,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중간부(231)는 연장부(232)의 일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대(20)와 결합된 결합부(13)의 하단을 선접촉하여 지지한다. 연장부(232)에는 지지구(23)가 지지몸체(21)에 결합되도록 지지몸체(21)에 형성된 볼트홀(25)에 대응하는 관통홀(233)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몸체(21)에 각각 결합된 지지구(23)의 상단면에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결합부(13)의 하단이 선접촉되어 안착되고, 실내 조경용 화분(1)은 지지구(23)의 상단면과 결합부(13)의 하단부 사이의 선접촉 부위(CL)에서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마찰에 의해 구속되어 고정대(20)에 매달리게 되며, 화분통(1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13)의 결합홈(131)에 지지몸체(21)가 각각 삽입됨에 따라 화분통(10)의 축방향 회전이 억제되어 안정된 결합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화분통(10)은 고정대(20)에 볼트, 피스 또는 서로 대응형성되는 걸림부와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결합되지 않고도 선접촉 부위(CL)에서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마찰력에 의해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지고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내 조경용 화분(1)이 실내의 장착부(C)에 설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고정와이어(31)의 상단을 장착부(C)에 각각 고정한다. 장착부(C)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와이어(31) 간의 거리는 화분통(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대(2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고정와이어(31)의 하단을 지지몸체(21)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고리(22)에 결합시킨다. 이로써 한 쌍의 지지몸체(21)는 각각 고정와이어(31)의 하단에 매달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지지몸체(21)에 다단으로 결합되는 화분의 간격에 맞춰서 지지구(23)를 각각 결합한다. 지지구(23)와 지지몸체(21)의 결합은 지지구(23)에 형성된 관통홀(233)과 지지몸체(21)에 형성된 볼트홀(25)을 대응시켜서 볼트(24)로 조립된다.
이후, 한 쌍의 고정대(20) 사이에 화분통(10)을 위치시키고, 결합부(13)를 지지구(23)의 상측에서 지지몸체(21)에 끼움결합하여 지지구(23)의 중간부(231)에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결합부(13)의 하단이 중간부(231)의 선접촉부위(CL)에 안착된다.
그리고, 저수부(14) 하측에 형성된 물배출구(미도시)에 제1 및 제2관수파이프(41,42)를 각각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광고판(50)을 연결와이어(32)에 결합하면 실내 조경용 화분(1)의 설치가 완료된다.
(제2실시예)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A2)은, 상단이 천장에 연결되는 와이어(W); 상기 와이어(W)의 하단에 고정되며 조명램프(700)가 다수로 형성된 화분고정대(500); 상기 화분고정대(5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분통(600); 을 포함한다.
와이어(W)는 천장에 형성된 장착부에 연결되는 메인와이어(W-1)와, 상기 메인와이어(W)에 연결되어 분산되며 화분고정대(500)에 연결되는 분기와이어(W-2)로 구성된다.
메인와이어(W-1)는 천장에 형성된 장착부, 예컨대 앵커볼트와 같은 연결부위에 연결된다.
분기와이어(W-2)는 메인와이어(W-1)의 하단에 연결되어 여러개로 분기되며, 분기된 상태에서 화분고정대(500)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길이가 설정된다.
화분고정대(5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 금속재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분기와이어(W)가 연결되도록 복수의 브라켓(5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조명램프(700)가 다수로 형성된다.
조명램프(700)는 근래 각광받고 있는 엘이디램프가 바람직하다.
또한 화분고정대(500)는 일정 면적의 폭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그 외면에 광고판(D)이 부착될 수 있어 광고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브라켓(510)에 연결되어 화분통(600)이 끼워지도록 판형이면서 링 형상의 곡률을 갖도록 결합대(520)가 형성된다.
화분통(600)은 대나무를 잘라 형성되거나 또는 원통형상의 합성수지 및 합성목재로도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대(520)에 끼워지도록 슬릿(650)이 형성된다.
따라서 화분통(600)은 결합대(520)에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므로 갯수를 조절하거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장착될 수 있고, 분갈이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식재된 수종의 교체가 언제든지 자유로워질 수 있다.
(제3실시예)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실내 조경용 화분(A3)은, 상단이 천장에 연결되는 와이어(W); 와이어(W)의 하단에 고정되며 조명램프(700)가 형성된 화분고정대(500); 화분고정대(5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분통(600);을 포함한다.
와이어(W)는 천장에 형성된 장착부에 연결되는 메인와이어(W-1)와, 상기 메인와이어(W)에 연결되어 분산되며 화분고정대(500)에 연결되는 분기와이어(W-2)로 구성된다.
메인와이어(W-1)는 천장에 형성된 장착부, 예컨대 앵커볼트와 같은 연결부위에 연결된다.
분기와이어(W-2)는 메인와이어(W-1)의 하단에 연결되어 여러개로 분기되며, 분기된 상태에서 화분고정대(500)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길이가 설정된다.
화분통(600)은 원통형이되 눕혀진 채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각 화분통(600)은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공간(630)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630)을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64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화분통(600)에 결합되며 상기 화분고정대(500)에 결합되는 장착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장착부재는 화분고정대(500)와 화분통(60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밴드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이 적당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실내 조경용 화분(A1,A2)은 천장에 매달아 샹들리에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수의 화분통(600)에 식재된 식물에 의해 공기 정화 및 습도 조절 기능이 발휘될 수 있고, 또한 광고 홍보물을 장착하여 시각적인 광고 기능도 구현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실내 조경용 화분 10 : 화분통
20 : 고정대 30 : 와이어
40 : 관수파이프 50 : 광고판
11 : 식재부 21 : 지지몸체
12 : 격벽 22 : 연결고리
13 : 결합부 23 : 지지구
14 : 저수부 24 : 볼트
41 : 제1관수파이프 25 : 볼트홀
42 : 제2관수파이프 31 : 고정와이어
43 : 유니온 32 : 연결와이어
44 : 콕 P : 식물
C : 장착부

Claims (12)

  1. 장착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식재부와, 상기 식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화분통;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에 각각 매달려서 상기 화분통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통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화분통의 양단에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대는 상기 결합부의 하단부와 선접촉되며,
    상기 결합부에 상기 고정대가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면접촉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화분통의 회전이 단속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지지몸체와, 말굽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중간부는 상기 화분통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화분통의 일측에 저수부가 형성되어 상기 식재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것이며,
    상기 화분통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대에 결합되고,
    상기 저수부는 상기 고정대의 최상측에 결합되는 화분통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부의 상측에 물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하측에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파이프가 연결되는 물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수파이프는 하측에 형성된 상기 화분통의 식재부에 각각 병렬 배치되어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경용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상단이 천장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고정되며 조명램프가 형성된 화분고정대;
    상기 화분고정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분통;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고정대는 원형이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브라켓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어 화분통이 끼워지는 링 형상의 결합대를 포함하며,
    상기 화분통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결합대에 끼워지도록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경용 화분.
  9. 삭제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통은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경용 화분.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통과 화분고정대를 연결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조경용 화분.
KR2020130001866U 2013-03-13 2013-03-13 실내 조경용 화분 KR200475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66U KR200475823Y1 (ko) 2013-03-13 2013-03-13 실내 조경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66U KR200475823Y1 (ko) 2013-03-13 2013-03-13 실내 조경용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44U KR20140005044U (ko) 2014-09-23
KR200475823Y1 true KR200475823Y1 (ko) 2015-01-08

Family

ID=5245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866U KR200475823Y1 (ko) 2013-03-13 2013-03-13 실내 조경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89A (ko) * 2018-04-06 2019-10-16 이훈재 급수화분을 갖는 식물재배화분
KR20200110853A (ko) * 2019-03-18 2020-09-28 최은희 커튼식 화분 및 장식물 걸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8462B (zh) * 2018-05-31 2019-12-20 华北理工大学 基于大数据的循环式楼体外墙环保绿化系统
CN109025086B (zh) * 2018-08-01 2020-07-28 重庆科技学院 一种简易单元模块化绿色屋顶
KR200494519Y1 (ko) * 2021-05-20 2021-10-29 이건우 수직형 화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117Y1 (ko) * 2005-01-21 2005-04-18 경기도(농업기술원) 현가식 실내 수경재배기
KR20070094676A (ko) * 2006-03-18 2007-09-21 주식회사 필룩스 발광화분
KR100863077B1 (ko) 2007-06-14 2008-10-10 김영숙 화분걸이대
KR20130129585A (ko) * 2012-05-21 2013-11-29 하승국 화분걸이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117Y1 (ko) * 2005-01-21 2005-04-18 경기도(농업기술원) 현가식 실내 수경재배기
KR20070094676A (ko) * 2006-03-18 2007-09-21 주식회사 필룩스 발광화분
KR100863077B1 (ko) 2007-06-14 2008-10-10 김영숙 화분걸이대
KR20130129585A (ko) * 2012-05-21 2013-11-29 하승국 화분걸이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89A (ko) * 2018-04-06 2019-10-16 이훈재 급수화분을 갖는 식물재배화분
KR102038769B1 (ko) * 2018-04-06 2019-10-30 이훈재 급수화분을 갖는 식물재배화분
KR20200110853A (ko) * 2019-03-18 2020-09-28 최은희 커튼식 화분 및 장식물 걸이
KR102160876B1 (ko) * 2019-03-18 2020-09-29 최은희 커튼식 화분 및 장식물 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44U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870B2 (en) Multifunctional hanging-type plant-growing assembly
US8136296B2 (en) Releasably integrated structural planter and adjustable irrigation system for controllably watering the planter and terrain
KR200475823Y1 (ko) 실내 조경용 화분
KR102117368B1 (ko) 이동식 화분 진열대
KR20150087510A (ko)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KR101317939B1 (ko) 다단조립식 화분
WO2009122210A1 (en) A planting tray
US10154630B2 (en) Self-contained plant watering apparatus system
KR20140002207U (ko) 다단식 회전 화분걸이장치
JP6025279B1 (ja) 多段積層用の飾り鉢ユニット
KR101338367B1 (ko) 커튼형 화분
CN203575200U (zh) 一种多功能垂直绿化架
KR101011377B1 (ko) 관상식물용 천정 부착형 지지체
KR100863077B1 (ko) 화분걸이대
KR200493876Y1 (ko) 천정 녹화 시스템
KR200388910Y1 (ko) 화분상자의 다단 지지장치
KR20130058129A (ko) 벽면 녹화용 걸이식 화분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KR102083841B1 (ko) 실내 장식용 화분
KR200367986Y1 (ko)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20140019690A (ko) 프로파일재를 이용한 수경재배용 화분대
CN203802136U (zh) 一种组合式花园架
CN217428750U (zh) 一种花卉装饰部件用的台座
CN214482425U (zh) 一种园林景观组合式立体花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