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986Y1 -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986Y1
KR200367986Y1 KR20-2004-0015469U KR20040015469U KR200367986Y1 KR 200367986 Y1 KR200367986 Y1 KR 200367986Y1 KR 20040015469 U KR20040015469 U KR 20040015469U KR 200367986 Y1 KR200367986 Y1 KR 200367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water supply
mounting member
supply pip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수진
Original Assignee
황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수진 filed Critical 황수진
Priority to KR20-2004-0015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9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9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화초가 심어지는 화분부재와 화분부재가 안착 비치되는 거치부재가 하나의 유니트를 형성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는 종래의 단독형 화분에서 느낄 수 없는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며, 특히, 사무실이나 영업장의 벽면을 따라 설치하거나 공간을 구분할 때 파티션용으로 사용하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도 자연친화적인 인테리어를 달성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INTERIOR FLOWERPOT UNI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화초가 심어지는 화분부재와 화분부재가 안착 비치되는 거치부재가 하나의 유니트를 형성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화단이나 정원을 별도로 구비하기 어려운 도시의 가정이나 사무실, 영업장 등의 실내에는 화초 등의 관상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화분을 비치하여 자연친화적인 분위기 연출과 실내 공기 정화 등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형태의 화분은 도자기나 토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다각형의 분체로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화분은 지금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하나의 화분을 독립적으로 비치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실내환경에 맞추어 조화롭게 비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전통적인 화분의 변형은 기껏해야 표면의 색상이나 장식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적인 화분의 형태를 개선한 변형된 형태의 화분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된 화분들의 개발은 주로 베란다나 실외 조경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어 실내 인테리어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형태의 화분의 개발은 적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양한 실내환경에 대응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최대한 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여러 종류나 여러 포기의 화초를 식재하여 즐길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인테리어용 화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 형태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형태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형태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의 일례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110, 210, 310 : 화분부재
120, 220, 320 : 거치부재
130, 230, 330 : 급수관
140, 240 : 배수관
본 고안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의 제 1 형태는,
내부에 다수의 화초가 식재될 수 있는 가로로 긴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을 구성하는 배면부는 전면부보다 높게 형성된 평판형으로 상단은 전면쪽으로 굴곡되어 외주면에 급수공이 천공된 급수관이 지나갈 수 있는 급수관 통로가 형성되며, 식재부의 측면 또는 저면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화분부재와;
상기 화분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받침을 구비하며, 건물의 벽면에 고정하거나 바닥에 세우기 위한 고정공 또는 발이 형성된 세로로 긴 형태의 거치부재를 2개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하나의 거치부재에 세로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안착받침이 형성되어 상하로 2개 이상의 화분의 비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하나의 거치부재의 전후면에 각각 1개 이상의 안착받침이 형성되어 거치부재의 앞뒤로 각각 1개 이상의 화분을 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는 평판이 아니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횡단면 형상이 "┗┛"형 또는 ""으로 이루어지고, 급수관 또는 배수관이 내부로 삽입되는 급수관공 또는 배수관공이 뚫려 있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 급수관과 배수관이 지나가도록 구성하여, 급수관이나 배수관이 어지럽게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의 제 2 형태는,
중공의 봉이 굴곡되어 전체적으로 나선형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굴곡이 적은 편평한 부분을 절입하여 형성한 하나 이상의 안치홈과, 상기 나선형 몸체에서 안치홈의 윗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천공 형성되며 몸체 내부의 중공에 삽입된 급수관과 연결된 급수공, 및 상기 나선형 몸체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우기 위한 발이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의 안치홈에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화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형태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형태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10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다수의 화초가 식재될 수 있는 가로로 긴 식재공간(111)이 형성된 화분부재(110)와, 상기 화분부재(110)가 안착 비치되는 2개 이상의 거치부재(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분부재(110)는 평판형의 배면(112)과 양측면(113, 114) 및 하나의 판이 굴곡되어 형성된 저면(115)과 전면(116)을 형성하는 판재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형태로 윗쪽은 개방되어 내부에 흙을 담아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111)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면(112)을 형성하는 판재는 다른 부분보다 상단이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앞쪽으로 굴곡되어 굴곡된 안쪽으로 급수관이 지날 수 있는 통로(117)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주면에 주기적으로 천공이 이루어진 급수관(130)이 상기 통로(117)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급수관의 일단에 설치된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화초에 물을 공급하여 줄 수 있는데, 급수관(130)이 지나는 위치가 식재공간(111)에 담긴 흙의 표면보다 상당히 윗쪽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급수관(130)에서 급수되는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 식재공간(111)의 화초에 물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화분부재(110)의 측면(113, 114) 또는 저면(115)에는 배수관(140)과 연결되는 배수공(118)이 형성되어 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화분부재(110)는 그 저면(115) 및 전면(11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받침(121)이 구비된 거치부재(120)에 안착되어 비치된다. 즉, 화분부재(110)의 저면과 전면의 굴곡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둥근 형태뿐만 아니라 각진 형태나 경사진 형태 등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안착부재의 형태 또한 이에 맞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분부재(110)가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 거치부재(120)는 화분부재(110)의 길이나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양측에 각각 1개의 거치부재(120)가 구비되어 있다. 화분부재의 길이가 매우 길거나 벽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도록 꺽인 형태일 경우 등 필요에 따라서는 이를 중간에 거치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각 거치부재(120)에는 이 거치부재(120)를 벽면에 고정할 때 사용하기 위한 고정공(122)이 상하에 형성되어 있어, 나사못(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벽면에 고정하거나 벽면에 고정된 고리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화분부재(110)의 각 면을 형성하는 판재 및 거치부재(120)는 플라스틱이나 목재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형태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제 1 형태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유니트를 파티션용으로 구현한 실시예이다.
본 실시에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200)도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화분부재(210)와 상기 화분부재(210)가 안착되는 2개의 거치부재(220)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화분부재(210)의 형태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화분부재(1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거치부재(2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3개씩의 안착받침(221)이 형성되어 전후측으로 6개의 화분부재(210)를 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거치부재(220)가 독립적으로 안정하게 설 수 있도록 면적이 넓은 발(2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200)는 공간분할이 필요한 실내공간에 설치하면 양측에 화분이 비치된 인테리어 효과가 뛰어난 자연감각의 파티션으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거치부재(220)의 몸체는 평판이 아니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급수관공(224) 및 배수관공(225)이 형성되어 있어 급수관(230) 및 배수관(240)이 몸체 내부로 삽입되어 통과되기 때문에 이들 급수관(230)과 배수관(240)이 어지럽게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벽면에 고정시키는 형태에도 채용될 수 있으며, 그 경우 단면 모양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형 뿐만 아니라, "┗┛"형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형태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종단면 모양을 모식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300)는 중공의 굵은 막대가 나선형으로 꼬인 나선형 거치부재(320)와 상기 거치부재(320)에 형성된 안치홈(321)에 비치되는 화분부재(31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분부재(310)는 통상의 화분과 큰 차이가 없이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배수공이 뚫린 형태이다.
상기 화분부재(310)가 비치되는 나선형 거치부재(320)에는, 나선형의 몸체의 굴곡이 적은 편평한 부분을 절입하여 형성한 하나 이상의 안치홈(321)이 구비되어, 각 안치홈(321)마다 화분부재(310)를 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화분부재(310)가 비치되는 안치홈(321)의 윗쪽에는 급수공(322)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나선형 몸체의 중공부(323) 내부에 삽입된 급수관(330)이 이 급수공(322)에 연결되어 급수관(330)의 한쪽에 연결된 모터(미도시)의 가동에 의해 각 화분(310)에 급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안치홈(321)이 그냥 천공되어 있어, 여기에 안착된 화분부재(310)에서 나온 물은 거치부재(320)의 내부로 흘러 맨 아래쪽의 물받침(323)으로 모이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화분부재(310)의 배수공에 나선형 몸체 내부에 삽입된 배수관과 연결시켜 배수가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성하거나 안치홈(321)이 완전히 천공되지 않고 아래쪽으로 함몰만 되어 화분부재(310)의 받침과 물받침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거치부재(320)의 하단에는 넓은 면적의 발(324)이 형성되어 있어 거치부재(320)를 독립적이고 안정적으로 세워둘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는 종래의 단독형 화분에서 느낄 수 없는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사무실의 벽면을 따라 설치하거나 공간을 구분할 때 파티션용으로 사용하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도 자연친화적인 인테리어를 달성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5)

  1. 내부에 다수의 화초가 식재될 수 있는 가로로 긴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을 구성하는 배면부는 전면부보다 높게 형성된 평판형으로 상단은 전면쪽으로 굴곡되어 외주면에 급수공이 천공된 급수관이 지나갈 수 있는 급수관 통로가 형성되며, 식재부의 측면 또는 저면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화분부재와;
    상기 화분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받침을 1개 이상 구비하며, 벽면에 고정하거나 바닥에 세우기 위한 고정공 또는 발이 형성된 세로로 긴 형태의 거치부재 2개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거치부재에 세로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안착받침이 형성되어 2개 이상의 화분부재가 안착 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거치부재의 전후면에 각각 1개 이상의 안착받침이 형성되어 전후면으로 2개 이상의 화분부재가 안착 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의 횡단면 형상이 "┗┛"형 또는 ""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급수관 또는 배수관이 내부로 삽입되는 급수관공 또는 배수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5. 중공의 봉이 굴곡되어 전체적으로 나선형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굴곡이 적은 편평한 부분을 절입하여 형성한 하나 이상의 안치홈과, 상기 나선형 몸체에서 안치홈의 윗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천공 형성되며 몸체 내부의 중공에 삽입된 급수관과 연결된 급수공, 및 상기 나선형 몸체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우기 위한 발이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의 안치홈에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화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KR20-2004-0015469U 2004-06-03 2004-06-03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KR200367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69U KR200367986Y1 (ko) 2004-06-03 2004-06-03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69U KR200367986Y1 (ko) 2004-06-03 2004-06-03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986Y1 true KR200367986Y1 (ko) 2004-11-17

Family

ID=4944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469U KR200367986Y1 (ko) 2004-06-03 2004-06-03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98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26B1 (ko) 2005-06-15 2007-03-08 김 천 식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KR100860638B1 (ko) 2007-05-22 2008-09-26 송웅호 조경장치
KR101053521B1 (ko) 2010-07-15 2011-08-11 (주)도시와숲 식물식재용 식생보드구조체
KR20190020606A (ko) * 2017-08-21 2019-03-04 서영철 창틀설치식 선반겸용화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626B1 (ko) 2005-06-15 2007-03-08 김 천 식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KR100860638B1 (ko) 2007-05-22 2008-09-26 송웅호 조경장치
KR101053521B1 (ko) 2010-07-15 2011-08-11 (주)도시와숲 식물식재용 식생보드구조체
KR20190020606A (ko) * 2017-08-21 2019-03-04 서영철 창틀설치식 선반겸용화분
KR101979234B1 (ko) * 2017-08-21 2019-05-16 서영철 창틀설치식 선반겸용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575200U (zh) 一种多功能垂直绿化架
KR200475823Y1 (ko) 실내 조경용 화분
KR200367986Y1 (ko)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KR200320265Y1 (ko) 다단화분구조체
KR101070331B1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
KR20130102449A (ko) 벽걸이 화분프레임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102157856B1 (ko) 조립식 포트
KR102083841B1 (ko) 실내 장식용 화분
KR200230286Y1 (ko) 화분구조체
KR200186537Y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벽용 화분대
KR100851822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건물 외벽용 화분
KR101502840B1 (ko) 벽면 장식용 화분걸이
KR101340041B1 (ko) 화단 프레임
KR101158252B1 (ko) 식생 공간이 구비된 적층형 파티션
KR200326058Y1 (ko)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JP2001078578A (ja) 組立式植木鉢
KR100818172B1 (ko) 이동이 용이한 다중 화분 받침대
GB2561803A (en) Vertical grow systems
KR200183627Y1 (ko) 도로 장식용 화분
KR200339654Y1 (ko) 화분 거치대
KR200407121Y1 (ko) 화분 받침대
KR100638742B1 (ko) 조경용 화분
KR200234688Y1 (ko) 착탈식 입체화분
KR200248479Y1 (ko) 기와를 이용한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