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742B1 - 조경용 화분 - Google Patents

조경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742B1
KR100638742B1 KR1020040055937A KR20040055937A KR100638742B1 KR 100638742 B1 KR100638742 B1 KR 100638742B1 KR 1020040055937 A KR1020040055937 A KR 1020040055937A KR 20040055937 A KR20040055937 A KR 20040055937A KR 100638742 B1 KR100638742 B1 KR 10063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landscaping
pot
upper case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178A (ko
Inventor
이홍택
Original Assignee
이홍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택 filed Critical 이홍택
Priority to KR102004005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7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식물을 육성하는 포트; 상기 포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상단에 형성되고, 외주에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저면에 평면이 결합되고 상부 외주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포트에 식재된 식물에 일정량의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고 육성되는 식물의 미관을 보다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조경, 관상, 화분, 덩굴식물, 포트

Description

조경용 화분{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조경용 화분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화분의 결합상태 및 식물의 육성에 의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조경용 화분의 포트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수분공급을 위한 수분 공급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을 지지체에 연결하여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포트 12: 테두리 14: 통공
20: 상부 케이스 22, 42: 체결공
24: 결합수단 30: 하부 케이스
32: 배수공 34: 연결부재
40: 지지부재 50: 화분
본 발명은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상용이나 조경용 식물에 일정량의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고 육성되는 식물의 미관을 보다 아름답게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꽃이나 잎을 갖는 식물을 관상용이나 조경용으로 화분에 식재(植栽)한다. 식물은 소정 크기 및 재질의 화분에 식재한 후에 식물의 육성정도가 클 경우에는 더 큰 화분이나 화단 등에 옮겨심기 등을 한다.
식물을 육성하는 화분은 토기나 도자기 또는 합성수지나 목질 등의 재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게 되고, 식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화분을 적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은 성장을 위하여 비료 또는 성장촉진제 등을 공급하거나 주기적인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더욱이 화분에 식재된 식물 중에서 줄기 또는 잎의 번식이 강한 식물, 즉 넝쿨식물의 경우에는 화분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높이 성장을 하므로 줄기나 잎의 성장을 위하여 일정 간격마다 줄기나 잎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화분은 정해진 위치, 즉 지면이나 벽에 고정되거나 또는 천장에 매달려 있게 되고, 줄기나 잎은 화분으로부터 점점 성장해 감에 따라 벽 등에 줄기나 잎을 테이프로 붙여 고정시키거나 끈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묶어 고정시켜야 한다.
그러나 벽에 줄기나 잎을 테이프로 붙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줄기나 잎의 성장에 따라 식물의 성장형태 및 모양을 정리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벽에 못과 같은 고정수단을 고정시키면 벽에 손상을 주거나 미관을 해치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화분에 단독으로 식물을 육성하는 경우에는 화분에 나무나 금속 등의 지지대를 고정하여 식물을 묶거나 끈 등으로 엮어 고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러한 형태의 관상용 또는 조경용 식물의 육성은 미관이 아름답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아름답게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도 있었다. 그리고 식물의 성장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야 하는 데, 수분의 공급 후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토양이 메말라 버리므로 식물이 수분 부족에 의하여 고사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 또는 잎이 일정 형태로 유지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에게 공급되는 수분이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식물의 육성이 보다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의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조경용 화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더욱이 화분뿐만 아니라, 가로등이나 조경용 지주대 등에 다양한 형태로 연결할 경우에 보다 미려하고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조경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식물을 육성하는 포트; 상기 포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상단에 형성되고, 외주에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저면에 평면이 결합되고 상부 외주 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경용 화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조경용 화분의 결합상태 및 식물의 육성에 의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은 일정 크기 이상의 화분에 지지부재로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가로등 등과 같은 지주대 등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 바, 특히 식물의 줄기나 잎이 정리된 상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포트(10)는 식물을 육성하는 화분으로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것이다. 포트(10)에는 토양이나 자갈 또는 모래 등을 섞어 넣고 식물을 식재하여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포트(10)는 합성수지나 토기, 도자기, 목질 또는 금속의 재질로 원기둥 형태나 다각기둥 형태로 상단은 개방된 상태이고, 하단에는 공기 및 수분의 유통을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케이스(20)는 포트(10)가 상단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에는 식물의 줄기나 잎 등을 체결하여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체결공(22)이 형성된 것이다. 상부 케이스(20)는 돔 형태로서, 상기 포트(10)의 테두리(12)가 삽입공(21)에 지지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포트(10)의 종류나 직경 또는 테두리(12)의 크기에 따라 삽입공(21)의 형태 및 크기가 정해진다. 더욱이 포트(10)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체결공(22)은 육성되는 줄기나 잎을 고정수단(45)을 이용하여 묶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수단(45)은 다양한 재질로서 끈의 형태인 것이 좋다. 포트(10)의 하단은 관통된 상태이고, 결합수단(24)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30)는 상부 케이스(20)와 결합수단(24)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20)의 저면과 하부 케이스(30)의 평면이 맞닿아 결합되게 되고, 하부 케이스(30) 상부 외주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3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30)의 상단은 상부 케이스(20)의 하단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수단(24), 즉 상부 케이스(20)의 하단에 구성된 결합구(24a)와 하부 케이스(30)에 구성된 결합공(24b)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24)으로 결합된다. 결합수단(24)은 상부 케이스(20) 및 하부 케이스(30)의 형태 및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30)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갖되 하단은 밀폐된 구조이다.
하부 케이스(30)의 상부에 형성된 배수공(32)은 포트(10)로부터 제공된 수분이 포트(10)를 통과하여 포트(10)의 하단에 형성된 통공(14)을 통하여 배수된 수분의 일정량만 하부 케이스(30)에 저수되게 하고, 일정량 이상이 되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부 케이스(20)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된 포트(10)의 하단의 일부가 하부 케이스(30)에 저수된 수분에 잠기도록 하여 포트(10)에 식재된 식물이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나친 수분을 저수할 경우에 포트(10)가 수분에 잠겨 식물의 뿌리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부 케이스(20) 및 하부 케이스(30)의 형상은 반구형이거나 반다각구형으로 상부 케이스(20)와 하부 케이스(30)를 결합하였을 때에 구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물이 성장해 감에 따라 하부 케이스(30)에 저수된 수분은 감소할 것이고, 이에 따라 포트(10)의 하단이 수분에 잠긴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면 식물이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없게 되므로, 포트(10)의 하단에 형성된 통공(14)과 하부 케이스(30)의 저면까지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수분 공급부재(6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수분 공급부재(60)는 스펀지나 솜 등과 같이 일정량의 수분을 항상 함유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좋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포트(10)의 하단이 하부 케이스(30)의 저면에 맞닿아 있어도 좋다.
연결부재(34)는 하부 케이스(30)의 하단에 결합된 것으로, 연결부재(34)에 다양한 형태 및 길이의 지지부재(4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지부재(40)는 연결부재(34)에 일단이 볼트나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35)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별도의 화분(50)이나 화단 등의 지면 또는 가로등이나 별도의 지지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지지부재(40)는 외주에 식물의 줄기(3)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공(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화분(50)이나 화단 등의 지면으로부터 성장하는 식물의 줄기나 잎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포트(10)에서 육성되는 식물의 줄기나 잎이 아래로 쳐져 있을 경우에도 지지부재(40)에 형성된 체결공(42)에 줄기나 잎을 체결함으로서 줄기나 잎의 성장을 미려하게 정리 및 정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부재(40)는 직선 형태이거나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형태를 갖고, 합성수지나 목질 또는 금속 등의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을 지지부재(4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경용 화분의 연출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의 조립 및 설치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20) 및 하부 케이스(30)는 토기나 도자기 또는 목질이나 금속 등의 재질을 이용하되, 주물로 제작할 수 있는 합성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포트(10)의 경우에도 상부 케이스(20)와 하부 케이스(30)와 동일한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하부 케이스(30)와 연결부재(34)는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지만, 별도로 구성하여 결합하여도 좋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30)와 상부 케이스(20)를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수단(24)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3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공(24b)에 상부 케이스(2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구(24a)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서 하부 케이스(30)에 상부 케이스(20)를 결합한다. 그리고 연결부재(34)에는 지지부재(40)를 결합하는 데, 지지부재(40)는 합성수지나 목질의 봉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도 3과 같이 식물(2)이 식재된 화분(50)의 중앙에 연결부재(34)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타단은 하부 케이스(30)의 연결부재(34)에 결합함으로서, 포트(10)로부터 육성되는 식물(1)과 화분(50)으로부터 육성되는 식물(2)의 줄기(3)나 잎을 연결부재(34)와 상부 케이스(20)의 체결공(22)에 고정수단(45)으로 각각 체결하여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식물의 줄기(3)나 잎을 연결부재(34) 및 상부 케이스(20)에 각각 디자인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포트(10)의 상단에 또 다른 형태의 조경용 화분을 연결부재(34)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되면 더욱 미려한 형태로 연출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포트(10)에 연결되는 조경용 화분의 크기는 다소 작은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와 같이 연결부재(34)가 결합된 조경용 화분을 가로등이나 가로수 등과 같은 지지체(7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더욱 다양한 형태로 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의 상부 케이스(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포트(10)에 우수 등의 수분이 자연적으로 공급되거나 인위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경우에 포트(10) 내의 토양을 거쳐 포트(10)의 통공(14)을 통하여 배수된 수분은 하부 케이스(30)에 저수되고, 하부 케이스(30)는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저수되지 않도록 배수구(32)를 통하여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배수구(32)는 하부 케이스(30)에 일정량의 수분만이 저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포트(10)에는 지속적인 수분이 공급되 도록 하여 식물의 육성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경용 화분이 별도의 고정용 화분에 지지 및 고정된 경우에는 배수구(32)를 통하여 흘러 넘친 수분이 고정용 화분으로 공급되므로, 조경용 화분 및 고정용 화분에 적절한 수분 공급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은 식물이 식재된 포트를 지지하고, 포트의 식물로부터 줄기나 잎을 지지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일정량의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하부 케이스, 그리고 하부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것으로, 지속적인 수분의 공급으로 식물의 육성을 촉진시킬 수 있고, 식물의 줄기나 잎의 성장에 따라 줄기나 잎의 배치 및 고정으로 미려하고 다양한 형태로의 화분을 연출할 수 있으며, 화분의 배치 및 육성이 자유롭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경용 화분을 가로등이나 가로수 등에 지지부재를 통하여 연결 및 고정시켜 식물을 육성시킬 경우에는 관람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조경용 화분을 제공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식물을 육성하는 포트;
    상기 포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상단에 형성되고, 외주에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저면에 평면이 결합되고 상부 외주에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일단이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별도의 화분이나 지면 또는 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외주에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또는 별도의 화분 또는 지면으로부터 육성되는 식물은 덩굴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각각 반구형 또는 반다각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토기, 도자기, 금속, 목질, 합성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
KR1020040055937A 2004-07-19 2004-07-19 조경용 화분 KR10063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37A KR100638742B1 (ko) 2004-07-19 2004-07-19 조경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37A KR100638742B1 (ko) 2004-07-19 2004-07-19 조경용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178A KR20060007178A (ko) 2006-01-24
KR100638742B1 true KR100638742B1 (ko) 2006-10-30

Family

ID=3711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937A KR100638742B1 (ko) 2004-07-19 2004-07-19 조경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580B1 (ko) * 2019-07-05 2022-01-17 허보석 실내 환경 개선용 식물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178A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5198B1 (ja) 筒状緑化ユニット
US20060026895A1 (en) Plant Support Fixture
US20170273254A1 (en) A multi-stacking decorative flowerpot unit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KR100638742B1 (ko) 조경용 화분
KR102421213B1 (ko) 물보관형 석분재
WO2018186908A2 (en) Tie-down planter systems and method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JPH1075664A (ja) 擬態段積用植木鉢
KR200412712Y1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JP2557844Y2 (ja) 水耕栽培プランター
KR102471354B1 (ko) 화분용 넝쿨식물 지지대 또는 넝쿨식물 지지용 화분
KR200350600Y1 (ko) 화분
KR101011378B1 (ko) 관상식물용 수직형 지지체
KR200417567Y1 (ko) 다단 화분틀
WO2007026417A1 (ja) 花卉植栽構造
KR100383214B1 (ko) 다단 화분구조체
KR200238741Y1 (ko) 화분 급수장치
JP3012673U (ja) 植物鉢受け皿
KR200247908Y1 (ko) 조립식 화분
KR200351929Y1 (ko) 다기능 자동급수 화분
KR200187755Y1 (ko) 개폐식 화분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