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567Y1 - 다단 화분틀 - Google Patents

다단 화분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567Y1
KR200417567Y1 KR2020060005727U KR20060005727U KR200417567Y1 KR 200417567 Y1 KR200417567 Y1 KR 200417567Y1 KR 2020060005727 U KR2020060005727 U KR 2020060005727U KR 20060005727 U KR20060005727 U KR 20060005727U KR 200417567 Y1 KR200417567 Y1 KR 200417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pedestal
pedestals
support r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숙
Original Assignee
하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숙 filed Critical 하태숙
Priority to KR2020060005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5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 화분틀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굴곡을 가진 자연석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받침석과; 상기 복수의 받침석을 각각 소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지지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봉의 외주상에는 화초와 이끼가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화분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다단 화분틀은 다양한 굴곡을 가진 자연석의 형상으로 상기 복수의 받침석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받침석을 소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봉에 고정한 후 상기 지지봉의 외주상에 화초와 이끼를 순차적으로 부착시켜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화분에 필수적으로 존재하던 화분용기체로 인해 파생되는 화초의 성장발달제한과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동시에 자연상태 그대로의 미적 외관을 창출하는 효과는 물론 화초 및 이끼의 성장이 다방향, 즉 360°에 걸쳐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화초를 재배하는데 소요되는 공간을 종래에 비해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아울러 구조적 안정성의 확보 및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미적 외관을 창출하고, 화초 및 이끼에 적당하고 알맞은 수분을 매우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화분틀, 받침석, 지지봉, 화초, 이끼, 급수

Description

다단 화분틀{A MULTISTAGE FLOWERPOT FRAME}
도 1은 본 다단 화분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다른 형상의 받침석으로 구성된 다단 화분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다단 화분틀에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단계별로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단 화분틀에 화초 및 이끼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분받침대,
3; 물호스,
5; 화초,
7; 흙,
9; 이끼,
10; 다단 화분틀,
100; 받침석,
100a; 최대크기의 받침석,
100b; 중간크기의 받침석,
100c; 최소크기의 받침석,
300; 지지봉,
310; 공간부,
330; 유출공.
본 고안은 다단 화분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굴곡을 가진 자연석의 형상으로 상기 복수의 받침석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받침석을 소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봉에 고정한 후 상기 지지봉의 외주상에 화초와 이끼를 순차적으로 부착시켜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화분에 필수적으로 존재하던 화분용기체로 인해 파생되는 화초의 성장발달제한과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동시에 자연상태 그대로의 미적 외관을 창출하는 효과는 물론 화초 및 이끼의 성장이 다방향, 즉 360°에 걸쳐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화초를 재배하는데 소요되는 공간을 종래에 비해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아울러 구조적 안정성의 확보 및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미적 외관을 창출하고, 화초 및 이끼에 적당하고 알맞은 수분을 매우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다단 화분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초를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화분용기체에 화초를 심은 후 이를 실내에 배치하여 재배하고 있다.
또한, 실내의 좁은 공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거치대를 상하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에 화초가 심어진 상기 화분용기체를 올려놓고 재배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화분용기체에 식재되어 재배되는 화초는 상기 화분용기체의 테두리로 인해 성장이 제한되며, 그 성장방향 역시 대체로 상부로 제한되며, 동일한 화분용기체에 2종 이상의 화초를 식재하여 재배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화분용기체는 그 자체가 가지는 크기로 인해 실내에서 배치하여 재배하는데 소요되는 공간이 상당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거치대를 사용하여 상기 화분용기체를 다단으로 올려놓고 재배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분용기체를 단순히 배치하는 것보다는 그 공간활용도가 높아지나, 상기 거치대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화분용기체를 그대로 상하 다단으로 배치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어서 그에 소요되는 공간 역시 상당하다는 문제점을 지 니고 있었다.
즉, 화초를 재배하기 위한 종래의 화분(화분용기체)이나 다단 거치대는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화초의 성장발육 및 성장방향에 한계를 지니며, 다양한 미적 외관을 창출할 수 없으며, 아울러 급수 및 배수를 하는데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이 과도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제시된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6064호의 적층식 화분 역시도 화초가 재배되는 용기몸체를 갖는 단위화분체를 단순히 적층용 지주를 이용하여 적층시킨 후, 상기 단위화분체에 화초를 재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화분체로 인해 화초의 성장발육 및 성장방향에 한계를 지니며, 급수 및 배수를 하는데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이 과도하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화분틀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화분에 필수적으로 존재하던 화분용기체로 인해 파생되는 화초의 성장발달제한과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동시에 자연상태 그대로의 미적 외관을 창출함은 물론 화초 및 이끼의 성장이 다방향, 즉 360°에 걸쳐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화초를 재배하는데 소요되는 공간을 종래에 비해 최소화하며, 아울러 구조적 안정성의 확보 및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미적 외관을 창출하고, 화초 및 이끼에 적당하고 알맞은 수분을 매우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는 다단 화분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양한 굴곡을 가진 자연석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받침석과; 상기 복수의 받침석을 각각 소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지지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봉의 외주상에는 화초와 이끼가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화분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받침석은 점차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최대크기의 받침석은 상기 지지봉의 하단 저면에 고정되고, 최소크기의 받침석은 상기 지지봉의 상단 외주에 관통고정되어 전체적으로 피라미드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는 급수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석에 의해 다단 구획된 상기 지지봉의 외주상에는 상기 공간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지지봉의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출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다단 화분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다단 화분틀(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받침석(100)과, 상기 받침석(100)을 고정하여 지지시키는 지지봉(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받침석(100)의 개수를 3개로 한정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석(100)은 다양한 굴곡을 가진 자연석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미적 외관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는 대체로 평평하고, 측부는 다양한 굴곡을 갖도록 구성하여 외부 충격에 잘 넘어지지 않는 동시에 미적 외관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석(100)은 철평석과 같은 변성암이나 산석(山石) 등과 같은 자연석 그 자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구입의 어려움과 단가를 고려하여 인조석 또는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받침석(100)은 개개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받침석(100) 중 최대크기의 받침석(100a)은 하기에서 상술할 지지봉(300)의 하단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받침석(100) 중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은 상기 지지봉(300)의 상단 외주에 관통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받침석(100) 중 중간크기의 받침석(100b)은 상기 지지봉(300)의 중단 외주에 관통고정되어 전체적으로 피라미드형상을 이루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봉(300)은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받침석(100)을 수직으로, 즉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받침석(100)과 결합하여 상기 받침석(100)을 고정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다른 형상의 받침석으로 구성된 다단 화분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지지봉(300)의 상단이 상기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지지봉(30)의 상단이 도 3과 같이 상기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의 상측에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의 상측에 상기 지지봉(300)이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경우 상기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에 시계, 인형, 십자가 등의 장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등 상기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의 상부면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받침석을 판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과 같이 상기 최대크기의 받침석(100a)과 상기 중간크기의 받침석(100b)의 테두리에 각각 일정 높이의 외벽(110a, 110b)이 구비되도록 상기 최대크기의 받침석(100a)과 상기 중간크기의 받침석(100b)을 형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석(110a, 110b)의 테두리에 일정 높이의 외벽(110a, 110b)을 형성하는 경우 받침석(110a, 110b) 상에 쌓인 흙이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크기의 받침석(100b)에는 복수의 관통공(120b)이 도 3과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중간크기의 받침석(100b)과 상기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 사이에 위치하는 흙에 물이 과다하게 존재하는 경우 물이 상기 최대크기의 받침석(100a)과 상기 중간크기의 받침석(100b) 사이에 위치하는 흙으로 물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받침석(10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봉(300)에 고정되는데, 상기 접착제는 돌을 붙일 때 사용하는 돌붙임 접착제나 금속붙임 접착제와 같이 접착력과 방수력이 강한 접착제를 채택하는 것이 좋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300)의 하단 저면은 상기 최대크기의 받침석(100a)의 상부 중앙면에 접착고정되며, 상기 지지봉(300)의 중단 외주는 상기 중간크기의 받침석(100b)의 중앙을 관통하여 접착고정되며, 상기 지지봉(300)의 상단 외주는 상기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의 중앙을 관통하여 접착고정된다. 물론 상기 받침석(100)이 4개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구조로 상기 지지봉(300)에 고정지지됨을 밝힌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복수의 받침석(100)을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봉(300)에 고정지지시킨 후,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에 화초(5) 및 이끼(9)를 부착하여 키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초(5)의 재배 및 성장이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다방향, 즉 상기 지지봉(300)을 기준으로 360°에 걸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화초(5)를 재배할 수 있는 등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다. 즉, 종래의 화초(5)재배를 위한 화분은 필수적으로 뿌리를 보호하고 주위를 차단하는 화분테두리부, 즉 화분용기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화초(5)의 성장이 일방향, 즉 상부에 한정되었으며, 하나의 화분에 여러 종류의 화초(5)를 일시에 재배할 수 없어 다양한 종류의 화초(5)를 관상용으로 기르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석(100)의 크기를 달리하여 피라미드형상으로 상기 지지봉(300)에 고정시킴으로써, 본 다단 화분틀(10)의 무게중심을 아래쪽에 두어 외부충격에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미적 외관을 창출하게 된다.
한편, 도 2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300)의 내부에는 급수를 위한 공간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석(100)에 의해 다단 구획된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에는 상기 공간부(310)로 유입된 물(3a)을 상기 지지봉(300)의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출공(330)을 관통형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310)는 일단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3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은 급수를 위해 개방되고, 하단은 페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출공(330)은 상기 받침석(100)에 의해 다단 구획된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 즉 상기 받침석(100) 상호 간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지지봉 (300)의 외주상에 복수로 관통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유출공(3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 하부 직근에 위치한 상기 지지봉(300) 외주에 4개의 유출공(330)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중간크기의 받침석(100b) 상부 및 하부 직근에 위치한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에 각각 2개의 유출공(330)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 상부 직근에 위치한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에 1개의 유출공(330)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중간크기의 받침석(100b)을 기준으로 상부단과 하부단에 급수되는 급수량과 배수되는 배수량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출공(330)의 위치 및 개수, 그리고 직경은 상기 받침석(100)의 개수에 맞게 변동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상기 도면에 도시한 위치 및 개수, 그리고 직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다단 화분틀(10)에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단계별로 각각 나타낸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4a는 물호스(3)를 이용해 상기 지지봉(300)의 공간부(310)에 물(3a)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물호스(3)의 물(3a)공급을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310)를 통해 물(3a)공급이 이루어지면 자중에 의해서 물(3a)은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봉(300) 의 외주상에 관통형성된 복수의 유출공(330)을 통해 급수된 물(3a)은 외부로 자동으로 유출된다. 유출과 동시에 공급된 물(3a)은 점차 차오르게 되며 모든 유출공(330)을 통해 공급된 물(3a)은 다시 서서히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그리고, 물(3a)공급이 중단되면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올라왔던 물(3a)은 점차 줄어들게 되고, 상기 지지봉(300)의 중단 외주상에 관통형성된 유출공(330)은 배수역할을 수행하여 나머지 물(3a)을 상기 공간부(310)의 하부로 보낸다. 따라서, 과잉공급된 물(3a)은 본 다단 화분틀(10)을 받치고 있는 화분받침대(1)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봉(300)의 내부에 상기 공간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에 상기 복수의 유출공(33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간부(310)에 물호스(3)나 급수용 주사기(미도시) 등을 통해 물(3a)을 간편하게 공급하여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에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자생하는 화초(5) 및 이끼(9)에 적당하고 알맞은 수분을 매우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도 1의 다단 화분틀(10)에 화초(5) 및 이끼(9)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에 화초(5)와 이끼(9)가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화초(5)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흙(7)과 함께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에 부착되는데, 상기 흙(7)은 영양분이 풍부하고 점성이 좋은 부엽 토를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화초(5)는 한두해살이화초, 여러해살이화초, 알뿌리화초, 관엽식물, 선인장이나 난과식물, 꽃나무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미적 외관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최소 2종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끼(9)는 상기 화초(5)가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에 흙(7)과 함께 부착된 후, 상기 화초(5) 사이의 공간 및 흙(7)의 표면을 감싸도록 부착된다. 이때, 상기 이끼(9)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이끼(9)의 테두리를 투명의 실로 2~4차례 감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이끼(9)는 천연이끼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인조이끼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봉(300)의 최상단 외주상에 관통고정되는 상기 받침석(100), 즉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의 상부에는 불상이나 십자가 등과 같은 형상을 지닌 구조물을 부착시켜 미관을 더욱 이채롭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다단 화분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다양한 굴곡을 가진 자연석의 형상으로 상기 복수의 받침석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받침석을 소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지지봉에 고정한 후 상 기 지지봉의 외주상에 화초와 이끼를 순차적으로 부착시켜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화분에 필수적으로 존재하던 화분용기체로 인해 파생되는 화초의 성장발달제한과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동시에 자연상태 그대로의 미적 외관을 창출하는 효과는 물론 화초 및 이끼의 성장이 다방향, 즉 360°에 걸쳐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화초를 재배하는데 소요되는 공간을 종래에 비해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상기 복수의 받침석은 점차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최대크기의 받침석은 상기 지지봉의 하단 저면에 고정되고, 최소크기의 받침석은 상기 지지봉의 상단 외주에 관통고정되어 전체적으로 피라미드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본 다단 화분틀의 무게중심을 아래쪽에 두어 외부충격에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전체적으로 균형잡힌 미적 외관을 창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상기 지지봉의 내부에 급수를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석에 의해 다단 구획된 상기 지지봉의 외주상에 상기 공간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지지봉의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출공을 관통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간부에 물호스나 급수용 주사기 등을 통해 물을 간편하게 공급하여 상기 지지봉의 외주상에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자생하는 화초 및 이끼에 적당하고 알맞은 수분을 매우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다양한 굴곡을 가진 자연석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받침석(100)과; 상기 복수의 받침석(100)을 각각 소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지지하는 지지봉(3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에는 화초(5)와 이끼(9)가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화분틀(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받침석(100)은 점차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최대크기의 받침석(100a)은 상기 지지봉(300)의 하단 저면에 고정되고, 최소크기의 받침석(100c)은 상기 지지봉(300)의 상단 외주에 관통고정되어 전체적으로 피라미드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봉(3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화분틀(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300)의 내부에는 급수를 위한 공간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석(100)에 의해 다단 구획된 상기 지지봉(300)의 외주상에는 상기 공간부(310)로 유입된 물(3a)을 상기 지지봉(300)의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출공(330) 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화분틀(10).
KR2020060005727U 2006-03-03 2006-03-03 다단 화분틀 KR200417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27U KR200417567Y1 (ko) 2006-03-03 2006-03-03 다단 화분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727U KR200417567Y1 (ko) 2006-03-03 2006-03-03 다단 화분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567Y1 true KR200417567Y1 (ko) 2006-06-01

Family

ID=4176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727U KR200417567Y1 (ko) 2006-03-03 2006-03-03 다단 화분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84Y1 (ko) * 2016-11-30 2017-01-31 고유석 화분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84Y1 (ko) * 2016-11-30 2017-01-31 고유석 화분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22238U (zh) 一种外径可调节的定植器
US6442895B1 (en) Plant container assembly
KR20130028211A (ko) 다단조립식 화분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CN102884971B (zh) 一种鹿角蕨的倒垂栽培方法
US2900759A (en) Simulated trunk planters
KR200417567Y1 (ko) 다단 화분틀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CN206808319U (zh) 一种便于采摘的农艺用无土种植箱
KR100909821B1 (ko) 연꽃재배장치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CN204742116U (zh) 基质培、气雾培、水培三培结合的攀延植物栽培盆
CN203633282U (zh) 水培植物定植篮
KR20130000897U (ko) 이중 화분
CN207589588U (zh) 一种新型石头盆栽
CN2913051Y (zh) 动物造型空心骨架
CN201700193U (zh) 绿化植物挂架
CN200980271Y (zh) 活体植物装饰面砖
CN212573658U (zh) 一种方便植物移植的塑料花盆
CN220326325U (zh) 一种新型种植盆
JP2004267182A (ja) 自水養液滴下着生支柱
KR870000179Y1 (ko) 조립식 화분
CN210900511U (zh) 厚土栽培花盆
CN215454186U (zh) 一种便于使用的园林用花卉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