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058Y1 -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 Google Patents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058Y1
KR200326058Y1 KR20-2003-0012109U KR20030012109U KR200326058Y1 KR 200326058 Y1 KR200326058 Y1 KR 200326058Y1 KR 20030012109 U KR20030012109 U KR 20030012109U KR 200326058 Y1 KR200326058 Y1 KR 200326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ucket
opening
coupled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영
Original Assignee
윤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영 filed Critical 윤진영
Priority to KR20-2003-0012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Abstract

본 고안은 벽에 걸어 환경미화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벽걸이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수개의 화분을 수직으로 배열하면서도 물공급이 용이한 벽걸이용 다단화분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 개방구(11)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수직으로 소통되는 체결공(12)이 형성되며 동일수직선상에 끼움부(13)와 돌기부(14)가 각각 형성되어 상하 반복적층되는 화분(10), 상기 화분(10)의 최하단에 결합되고 체결공(22)과 끼움부(23)가 형성된 물통(20), 상기 물통(20)에 구비되되 상기 개방구(11)를 통해 화분(10)으로 소통되는 심지(30), 및 상기 체결공(12, 22)에 결합되는 지지부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걸이용 다단화분체{A Flowerpot}
본 고안은 벽에 걸어 환경미화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벽걸이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개의 화분을 수직으로 배열하면서도 물공급이 용이한 벽걸이용 다단화분체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의 주거형태가 단독 및 다세대 주택에서 아파트로 전환됨에 따라, 아파트의 베란다를 이용하여 화초와 꽃 등의 식물을 키워 단독주택의 정원과 같은 정취를 느끼려는 사람들이 점차 늘고 있다.
아파트의 베란다는 상수시설과 배수시설이 구비되어 있고 햇빛이 잘 들어오므로 화초와 같은 관상용 식물을 키우는데는 큰 지장이 없었으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일반적 사용되는 도기류 화분 외에 플라스틱 재질의 벽걸이용 화분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벽걸이용 화분은 벽면에 결합된 못에 끈을 매개로 걸쳐져 고정되므로, 화분이 많은 경우에는 화분수 만큼 벽면에 못을 박거나 하나의 못에 여러개의 화분을 걸어야만 했다.
아울러, 하단에 별도의 물받침판이 없어 화초에 흡수되고 남은 물은 그대로 화분밑으로 떨어져 바닥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화분 하나하나에 일일히 물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관리자의 손이 많이 가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좁은 공간의 이용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수개의 화분이 상하적층되고, 관리자의 수고를 덜 수 있도록 하나의 물통으로 적층된 모든 화분에 물이 공급되는 벽걸이용 다단화분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분 11 : 개방구
12 : 체결공 13 : 끼움부
14 : 돌기부 20 : 물통
22 : 체결공 23 : 끼움부
30 : 심지 40 : 지지부재
41 : 걸림부 60 : 마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수직으로 소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동일수직선상에 끼움부와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하 반복적층되는 화분, 상기 화분의 최하단에 결합되고 체결공과 끼움부가 형성된 물통, 상기 물통에 구비되되 상기 개방구를 통해 화분으로 소통되는 심지, 및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화분(10)은 벽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타측은 곡면으로 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반원형태를 이룬다.
곡면으로 된 화분(10)의 전면은 위에서 중간 높이까지는 완경사를 이루다가 중간이후부터는 급경사를 이루면서 좁아지도록 되어 있어, 동일형태의 화분(10)이 적층될 경우 밑에 적층된 화분의 윗면 상당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아울러, 평면을 이루는 후면도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어 적층시 밑에 결합된 화분(10)에 간섭되지 않는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에 다시 설명하겠다.
한편, 화분(10)의 밑면은 배수 및 후술할 심지(30)가 소통될 수 있도록 개방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구(11)를 향해 경사져 있다. 화분(10)의 후면은 양측으로 수직관통된 체결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공(12)의 상부와 하부에 끼움부(13)와 돌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13)는 체결공(12)보다 지름이 넓은 형태의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돌기부(14)는 이 끼움부(13)에 끼워맞추어지는 크기의 원기둥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화분(10)이 상하 적층시 위에 적층된 화분(10)의 돌기부(14)가 아래에 적층된 화분(10)의 끼움부(13)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형태의 화분(10)이 상하 적층결합되며 적층된 화분(10)의 체결공(12)에는 화분(10)의 체결을 보다 확고히 하는 지지부재(40)가 끼워진다.
지지부재(40)는 양끝단이 화분(1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12)에 각각 끼워지도록 'U'자 형태로 휘어져 있으며, 휘어지는 부분에는 못에 걸리되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꺽여진 걸림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지지부재(40)의 양끝단에는 나사부(42)가 형성되어 있어 화분(10)이 이탈되지 않도록 너트(50)가 체결된다.
한편, 적층된 화분(10)의 맨 밑 화분은 물통(20)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밑면의 개방구(21)에는 내부에 담겨지는 물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개방구(21)의 형태와 일치되는 마개(60)가 결합되며, 후면의 양측에는 상기 화분(10)의 돌기부(14)와 지지부재(40)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23)와 체결공(2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개(60)와 개방구(21)의 결합을 단순한 끼워맞춤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각각의 접촉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시킬 수 있음은 당해 업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의 화분과 동일한 화분을 최하단에 사용함에 따라 마개(60)로 개방구(21)를 막아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개방구(12)가 없는 별도의 물통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적층된 화분(10)에는 꽃 또는 화초가 심어져 있으며 이 적층된 화분(10)의 맨 밑에는 적정수준의 물이 담겨진 물통(20)이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화분(10)의 개방구(11)로는 물통(20)에서 최상단의 화분(10)까지 길게 뻗은 섬유질의 심지(30)가 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20)의 담겨진 물은 심지(30)의 하단에서 모세관 작용에 의해 심지(30) 상단까지 이동되면서 각각의 화분(10)으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화초 재배자는 최하단에 결합된 물통(20)에 일정기간마다 물을 공급하기만 하면되고 별도로 화초에 직접 물을 줄 필요가 없으므로 화초에 물을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몰통(20)에 저장된 물이 다 소모될 때까지 별도로 물을 주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화분(10)에 적정수준의 물이 채워지면 심지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공급되던 물이 자연적으로 중지되므로 화초뿌리가 썩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화분(1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밑단이 좁은 반면 위쪽 입구가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단에 적층된 화분의 입구가 외부로 공개되어 화초를 키울 수 있으며, 끼움부(13)와 돌기부(14)가 형성되는 화분의 배면도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어 상부에 적층되는 화분(10)의 하단이 밑에 적층된 화분(10)의 입구내부로 끼워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벽걸이에 여러개의 화분을 장식함과 아울러 번거로운 물주기작업의 시간과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처음 화초를 키우거나 화초를 키우는데 많은 시간을 할여할 수 없는 사람들도 편리하게 화초를 가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바닥면에 개방구(11)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수직으로 소통되는 체결공(12)이 형성되며 동일수직선상에 끼움부(13)와 돌기부(14)가 각각 형성되어 상하 반복적층되는 화분(10), 상기 화분(10)의 최하단에 결합되고 체결공(22)과 끼움부(23)가 형성된 물통(20), 상기 물통(20)에 구비되되 상기 개방구(11)를 통해 화분(10)으로 소통되는 심지(30), 및 상기 체결공(12, 22)에 결합되는 지지부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20)은 개방구(11)에 마개(60)가 결합된 화분(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는 상부에 걸림부(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KR20-2003-0012109U 2003-04-19 2003-04-19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KR200326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109U KR200326058Y1 (ko) 2003-04-19 2003-04-19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109U KR200326058Y1 (ko) 2003-04-19 2003-04-19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058Y1 true KR200326058Y1 (ko) 2003-09-17

Family

ID=4933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109U KR200326058Y1 (ko) 2003-04-19 2003-04-19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0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51B1 (ko) * 2012-09-18 2014-03-04 주식회사 해피콜 냄비 뚜껑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냄비 뚜껑 거치용 걸이구
WO2015137538A1 (ko) * 2014-03-13 2015-09-17 주식회사 세파란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851B1 (ko) * 2012-09-18 2014-03-04 주식회사 해피콜 냄비 뚜껑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냄비 뚜껑 거치용 걸이구
WO2015137538A1 (ko) * 2014-03-13 2015-09-17 주식회사 세파란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6469A1 (en) Stackable plant pot
KR100722371B1 (ko) 화분의 물공급장치
KR200475823Y1 (ko) 실내 조경용 화분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US20130291436A1 (en) Stackable plant pot assembly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KR20130052118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200326058Y1 (ko) 벽걸이용 다단화분체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101256044B1 (ko)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0186537Y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벽용 화분대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200465458Y1 (ko)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액자용 화분
KR20180056074A (ko) 화분
CN201585307U (zh) 自动给水花盘
KR200303931Y1 (ko) 건축물 실내 기둥 장식용 화분
KR200192032Y1 (ko) 횡·종방향 확장성을 갖는 화분
KR100676469B1 (ko) 공동 주택단지 내에 설치되는 계단식 화단
KR200288854Y1 (ko) 조명장치가 설치된 실내용 자동급수화분
KR200367986Y1 (ko)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KR200309852Y1 (ko) 자동급수식 화분 및 그 화분으로 조립되는 꽃탑
JPH0719252Y2 (ja) 室内用の多目的水耕栽培プランター
KR200401655Y1 (ko) 벽걸이 화분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