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121Y1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7121Y1 KR200407121Y1 KR2020050020361U KR20050020361U KR200407121Y1 KR 200407121 Y1 KR200407121 Y1 KR 200407121Y1 KR 2020050020361 U KR2020050020361 U KR 2020050020361U KR 20050020361 U KR20050020361 U KR 20050020361U KR 200407121 Y1 KR200407121 Y1 KR 2004071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walls
- pillars
- screw portion
- fixing
- plant po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조립식 화분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화분 받침대는 상호 마주보는 1 측벽들, 제 1 측벽들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제 1 고정바들을 포함하는 제 1 측벽 유닛들, 제 1 측벽들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제 2 측벽들, 제 2 측벽들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고정홈이 각각 제 2 고정바들을 포함하는 제 2 측벽 유닛들, 제 1 및 제 2 측벽 유닛들의 단부들과 결합하는 제 1 결합공 및 제 1 결합공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기둥들, 제 1 및 제 2 측벽 유닛들에 걸쳐져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플레이트 및 바닥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분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측벽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측벽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분 받침대의 기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화분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화분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화분 수납면적을 자유롭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조립식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 받침대는 꽃, 분재, 각종 화초 등이 심어진 화분을 진열, 정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화분 받침대는 플라스틱 또는 철재로 제작되며, 다단으로 화분 또는 분재를 진열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 사무소나 아파트 등에서 실내 습기 조절용으로 소규모의 실내 조경이 꾸며지고 있다. 소규모 실내 조경은 실내의 협소한 공간을 활용하여 분재나 화분 등을 조합하여 작은 숲을 형성하고 형성된 작은 숲에 제공되는 수분으로 실내 습도를 조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내 조경에 적절한 화분 받침대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화분 받침대는 진열하고자 하는 화분의 개수가 증가되거나 줄어들 경우, 화분 받침대의 받침 면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화분 받침대는 말 그대로 화분을 받쳐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고정 제작되므로 실내 조경의 전체적인 조화 등을 고려하여 화분 배치조합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었다. 특히, 종래의 화분 받침대는 일정한 화분 크기에 맞추어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화분의 크기가 다양할 경우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 분재를 진열하는데 필요한 면적을 사용자에 의하여 자유롭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조립식 화분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화분들의 공간 배치 조합을 조화롭게 할 수 있는 조립식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조경시 미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립식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화분 받침대 는 상호 마주보는 1 측벽들, 제 1 측벽들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제 1 고정바들을 포함하는 제 1 측벽 유닛들, 제 1 측벽들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제 2 측벽들, 제 2 측벽들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고정홈이 각각 제 2 고정바들을 포함하는 제 2 측벽 유닛들, 제 1 및 제 2 측벽 유닛들의 단부들과 결합하는 제 1 결합공 및 제 1 결합공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기둥들, 제 1 및 제 2 측벽 유닛들에 걸쳐져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플레이트 및 바닥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분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화분 받침대(100)는 한 쌍의 제 1 측벽 유닛(10)들, 한 쌍의 제 2 측벽 유닛(20)들, 기둥(30)들, 바닥 플레이트(40) 및 수납용기(5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측벽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측벽 유닛(10)들은 한 쌍의 제 1 고정바(12)들 및 제 1 고정바(12)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 1 측벽(16)을 포함한다.
제 1 측벽(16)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측벽(16)은 제 1 길이를 갖고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측면(16a, 16b)들 및 제 1 길이보다 짧은 제 2 길이를 갖고 마주보는 나머지 한 쌍의 제 3 및 제 4 측면(16c, 16d)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측벽(16)들은 제 1 높이(H1)를 갖는다.
한 쌍의 제 1 고정바(12)들은 제 1 측면(16a) 및 제 2 측면(16b)과 각각 결합된다. 한 쌍의 제 1 고정바(12)들을 제 1 및 제 2 측면(16a, 16b)들에 각각 고정하기 위해, 한 쌍의 제 1 고정바(12)들에는 각각 제 1 고정홈(16a')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 1 고정바(12)들은 제 1 고정홈(16a')들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측면(16a, 16b)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1 고정바(12)들의 양쪽 단부 중 어느 한쪽에는 나사 체결용 제 1 암나사부(12a)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수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1 고정바(12)들의 양쪽 단부에는 나사 체결용 제 1 암나사부(1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측벽 유닛(10)들은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되며, 제 1 측벽(16)의 길이는 제 1 고정바(12)의 길이보다 다소 짧게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측벽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측벽 유닛(20)은 한 쌍의 제 2 고정바(22)들 및 한 쌍의 제 2 고정바(22)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 2 측벽(26)을 포함한다.
제 2 측벽(26)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측벽(26)은 제 2 길이를 갖고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측면(26a, 26b)들 및 제 1 길이보다 짧은 제 2 길이를 갖고 마주보는 나머지 한 쌍의 제 3 및 제 4 측면(26c, 26d)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측벽(26)들은 제 1 측벽(16)의 제 1 높이(H1) 보다 낮은 제 2 높이(H2)를 갖는다. 이와 다르게, 제 2 높이(H2)는 제 1 높이(H1)와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한 쌍의 제 2 고정바(22)들은 제 2 측벽(26)의 제 1 측면(26a) 및 제 2 측면(26b)과 각각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측면(26a, 26b)들에 한 쌍의 제 2 고정바(22)들을 고정하기 위해, 제 2 고정바(22)들에는 각각 제 2 고정홈(26a')이 형성된다. 제 2 고정홈(26a')들은 제 1 및 제 2 측면(26a, 26b)과 각각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제 2 고정바(22)의 양쪽 단부 중 한쪽에는 나사 체결용 제 2 암나사부(22a)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수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2 고정바(22)의 양쪽 단부에는 나사 체결용 제 2 암나사부(2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측벽 유닛(20)은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이 이격 되며, 한 쌍의 제 2 측벽 유닛(20)들은 한 쌍의 제 1 측벽 유닛(10)들에 대하여 각각 수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 2 측벽(26)의 길이는 제 2 고정바(22)의 길이보다 다소 짧게 형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분 받침대의 기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둥(30)은 앞서 설명한 제 1 측벽 유닛(10)들 및 제 2 측벽 유닛(20)을 상호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기둥(30)은 제 1 측벽 유닛(10)들의 양쪽 단부, 제 2 측벽 유닛(20)의 양쪽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 1 측벽 유닛(10)들, 한 쌍의 제 2 측벽 유닛(20)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 화분 받침대(100)는 4 개의 기둥(30)을 필요로 한다.
각 기둥(30)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기둥(30)은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측면(32)들, 제 1 측면(32)들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 2 측면(33)들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기둥(30)의 제 1 측면(32)들에는 제 1 측벽 유닛(10)들에 결합되는 제 1 고정바(12) 및 제 1 측벽(16)이 관통하여 제 1 측벽 유닛(10)들을 고정하는 제 1 결합공(32a)이 형성된다.
또한, 기둥(30)의 제 2 측면(33)들에는 제 2 측벽 유닛(20)의 제 2 고정바(22) 및 제 2 측벽(26)이 관통하여 제 2 측벽 유닛(20)을 고정하는 제 2 결합공(33a)이 형성된다.
4 개의 기둥(30)들의 제 1 결합공(32a)들에는 한 쌍의 제 1 측벽 유닛(10)들의 양쪽 단부들이 각각 결합되고, 4 개의 기둥(30)들의 제 2 결합공(33a)들에는 한 쌍의 제 2 측벽 유닛(20)들의 양쪽 단부들이 각각 결합된다.
2개의 기둥(30)들에 결합된 제 1 고정바(12)의 양쪽 단부들에는 너트(12b)들이 각각 결합되어, 제 1 고정바(12)는 기둥(30)들에 고정된다.
또한, 2개의 기둥(30)들에 결합된 제 2 고정바(22)의 양쪽 단부들에도 너트(22b)들이 각각 결합되어, 제 2 고정바(22)는 기둥(30)들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둥(30)에는 제 1 측벽 유닛(10)들 및 제 2 측벽 유닛(20)들이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고정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 1 측벽 유닛(10)들에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제 1 고정바(12)들 중 바닥면에 가까운 제 1 고정바 및 제 2 측벽 유닛(20)에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제 2 고정바(22)들 중 바닥면에 가까운 제 2 고정바 상에는 바닥 플레이트(40)가 배치된다. 바닥 플레이트(40)는 후술될 수납용기(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용기(50)는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 1 측벽 유닛(10)들,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 2 측벽 유닛(20)들 및 바닥 플레이트(4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수납용기(50)는, 예를 들어,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갖는다. 수납용기(50)의 내부에는 화분 또는 분재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납용기(50)의 내부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포트(pot;60)들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납용기(50)의 내부에 배치된 포트(60)들의 상면에는 화분 또는 분재들이 수납되고, 수납용기(50)에 다단으로 보조 화단 받침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화분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화분 받침대(70)는 적어도 3 개의 포트 기둥(72)들, 연결바(74) 및 지지 플레이트(76)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기둥(72)들은 직육면체 기둥 형상을 갖고, 포트(60)의 평면적과 동일한 평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포트 기둥(72)들은 포트(60)들의 일부를 수납용기(50)로 부터 빼낸 후, 포트(60)가 빠진 자리에 꼭 맞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포트 기둥(72)들은 넘어지지 않도록 적어도 3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다르게, 포트 기둥(72)을 2 개 이하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포트 기둥(72)들은 복수개의 연결바(74)들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연결바(74)들은 포트 기둥(72)들을 상호 연결함은 물론 포트 기둥(72) 상에 지지 플레이트(76)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플레이트(76)상에는 화분, 분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1단으로 형성된 보조 화분 받침대(70)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보조 화단 받침대(70)는 복수단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 화분 받침대(70)는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측벽 유닛(10, 20)들을 상호 연결하는 기둥(30) 상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화분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 1 측벽 유닛(10)들을 병렬 방식으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화분 받침대의 설치 면적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 1 측벽 유닛(10)들의 제 1 고정바(12)들은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에 배치된 제 1 고정바(12)들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제 1 측벽 유닛(10)들의 제 1 측벽(16)의 제 1 높이 및 제 2 측벽 유닛(20)의 제 2 측벽(26)의 제 2 높이가 서로 다르지만, 이와 다르게, 제 1 및 제 2 측벽(16,26) 사이의 높이를 상호 동일하게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고정바(12,22)들을 상호 엇갈리게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화분 또는 분재가 배치되는 화분 받침대의 수납 면적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대로 복수개의 화분 받침대를 상호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조 받침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자유롭게 배치가 가능하므로 조경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 상호 마주보는 1 측벽들, 상기 제 1 측벽들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제 1 고정바들을 포함하는 제 1 측벽 유닛들;상기 제 1 측벽들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제 2 측벽들, 상기 제 2 측벽들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고정홈이 형성된 제 2 고정바들을 포함하는 제 2 측벽 유닛들;상기 제 1 및 제 2 측벽 유닛들의 단부들과 결합하는 제 1 결합공 및 상기 제 1 결합공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기둥들;상기 제 1 및 제 2 측벽 유닛들에 걸쳐져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플레이트; 및상기 바닥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들의 높이는 상기 제 2 측벽들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측벽들의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바들의 제 1 단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2 단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암나사부에는 수나사부에 형성된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복수개의 포트(pot)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포트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포트 기둥들 및 상기 포트 기둥들을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 상에 배치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 화분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들에는 상기 기둥에 각각 끼워지는 포트 기둥들, 상기 포트 기둥들을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 상에 배치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 화분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마주보는 곳에는 물 받침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0361U KR200407121Y1 (ko) | 2005-07-13 | 2005-07-13 | 화분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0361U KR200407121Y1 (ko) | 2005-07-13 | 2005-07-13 | 화분 받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7121Y1 true KR200407121Y1 (ko) | 2006-01-25 |
Family
ID=4175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0361U KR200407121Y1 (ko) | 2005-07-13 | 2005-07-13 | 화분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7121Y1 (ko) |
-
2005
- 2005-07-13 KR KR2020050020361U patent/KR20040712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39466U (ja) | 組合せ式園芸用装置 | |
US6681522B2 (en) | Flower box | |
KR101317939B1 (ko) | 다단조립식 화분 | |
KR101169351B1 (ko) | 가드닝 플랜터 | |
KR20160022968A (ko) | 가변형 모듈러 텃밭 | |
CN203575200U (zh) | 一种多功能垂直绿化架 | |
CN201213588Y (zh) | 可随意拼装变换内隔板的箱盒 | |
CN207820637U (zh) | 一种拼装式花盆 | |
JP3165246U (ja) | 草花等の飾り棚 | |
KR200407121Y1 (ko) | 화분 받침대 | |
KR20090009539U (ko) |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 |
KR20130102449A (ko) | 벽걸이 화분프레임 | |
KR101510956B1 (ko) | 벽걸이 화분프레임 | |
KR200367986Y1 (ko) | 인테리어 화분 조립체 | |
KR102157856B1 (ko) | 조립식 포트 | |
KR200451957Y1 (ko) | 조립식 선반 | |
JP3491020B2 (ja) | 植栽用容器 | |
KR200294933Y1 (ko) | 화분 받침대 | |
KR200479187Y1 (ko) | 조경용 조립식 화분 | |
KR20130094551A (ko) | 조립식 화분 진열대 | |
JP3231503U (ja) | 花飾り部用の台座 | |
KR200271768Y1 (ko) | 조경용 화분 걸이대 | |
JP3232590U (ja) | 多段積層植木鉢の吊下げ用装飾器材 | |
CN206261315U (zh) | 一种花架 | |
JP3805284B2 (ja) | 容器支持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2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