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539U -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539U
KR20090009539U KR2020080003559U KR20080003559U KR20090009539U KR 20090009539 U KR20090009539 U KR 20090009539U KR 2020080003559 U KR2020080003559 U KR 2020080003559U KR 20080003559 U KR20080003559 U KR 20080003559U KR 20090009539 U KR20090009539 U KR 200900095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pport rod
flowerpot
coupling groov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성
Original Assignee
이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성 filed Critical 이병성
Priority to KR2020080003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539U/ko
Publication of KR20090009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5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3Needle cushions or needle plates for supporting flowers in pots or va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외에 화분을 진열함에 있어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원하는 높이와 폭에 맞춰 진열대를 조립할 수 있는 진열대와, 더 나아가 별도의 진열대 없이도 화분이 직접 직렬 내지 병렬로 고정되게 하여 이를 통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장치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봉(10)과, 상기 지지봉(10)이 내삽 고정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는 다수의 진열판(20A) 또는 화분(20B)을 구비하고, 상기 진열판(20A) 또는 화분(20B)의 결합홈(21) 양측에 체결되어 조임되고, 결합홈(21)에 내삽된 지지봉(10)의 외주면을 압착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식, 화분, 화분대, 진열대, 진열장

Description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Assemble flowerpot display stand and assemble flowerpot}
본 고안은 실내외에 화분을 진열함에 있어서, 전후좌우 내지 상하로 적층되어 화분을 진열하는 화분진열대 및 화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실내외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원하는 높이와 폭에 맞춰 진열대를 조립할 수 있는 진열대와, 더 나아가 별도의 진열대 없이도 화분이 직접 직렬 내지 병렬로 고정되게 하여 이를 통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에 관한 것이다.
채소류, 과채류, 화훼류 등의 재배식물을 실내외에 재배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게 되고, 더욱이 도시와 같이 실외에 식물을 재배할 공간이 협소하거나 없는 경우, 실내 공간에만 의존하여 식물을 재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근래에 이르러 실외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것보다 실내공간에서 화분을 이용해 재배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식물을 실내공간에 의존하여 재배할 시, 화분이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 실내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따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화분을 다양한 방법으로 적층 또는 병렬로 나열하여 진열할 수 있는 화분 진열대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선출원 된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31633호(조립식 화분 진열대)가 출원된 바 있다.
선 출원 고안은 도 1a 도시와 도 1b 도시 같이, 수직의 지지바상에 다단의 받침대를 설치하여 화분을 진열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00)는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되고, 하단에 직격이 축소되어 상하로 삽입 연결하기 위한 조립단차부를 갖는 조립관을 상하 조립 설치하여 구비하고, 받침대(200)는 중앙에 화분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공간부 외측으로 지지바의 조립관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홈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되, 상기 조립홈부는 상하부에서 조립관을 삽입하여 조립하기 위한 상,하 조립홈과, 상기 상,하 조립홈을 연통하여 상부 조립관의 조립단차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단차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바의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다단 조립설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입니다.
이러한 선출원 기술은 화분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진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단의 수를 증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화분 진열대를 임의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며, 이러한 화분 진열대는 상하 적층뿐만 아니라 좌우측으로 병렬 연결되는 특징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 기술은 미리 제작되어 판매되는 지지바(100)의 길이가 정해져 있고, 지지바(100)의 결합으로 인해 이와 결합되는 받침대(200)의 높이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즉, 지지바(100)를 1단에 받침대(200)를 연결하거나, 지지바(100) 2개를 직렬 연결 후 받침대(200)를 연결하는 등, 그 받침대(200)의 높이를 지지바(100)의 길이 및 직렬 연결 수에 한정되므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화분의 크기에 맞춰 임의로 높이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폭이 큰 화분을 진열대 중간에 진열하게 되면 상하로 진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지지바(100)를 직렬 연결하게 되고, 이러한 지지바(100)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직렬로 결합 되므로, 상측 화분의 무게로 인해 지지바(100)가 휘거나 뒤틀리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분 진열대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사용자가 임의로 높이조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하 좌우측으로 자유롭게 연동이 가능하고, 지지바의 강도 변화없이 화분 진열이 가능한 개선된 구조의 화분 진열대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인은 별도의 진열판 없이도 지지바에 화분이 진열될 수 있도록 변형 실시된 화분을 고안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정해진 틀에 의해 조립되어 임의로 병렬 내지 상하 적층되지 못하는 종래의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문제점을 탈피하여, 사용자가 적용하는 실내외 공간에 맞춰 상하 좌우의 폭을 조절하여 다양하게 변형하려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상하 또는 전후좌우로 다양하게 설치되는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설치 높이 조절과정에서 쉽게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하여 손쉽게 화분 및 화분 진열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화분 진열대 및 화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과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이점과 특징들은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도면과 관련한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의 화분 진열대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봉이 내삽 고정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진열판을 구비하며, 상기 진열판의 결합홈 양측에 체결되어 조임되고 결합홈에 내삽된 지지봉의 외주면을 압착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화분은 상기 지지봉이 내삽 고정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화분과, 상기 화분의 결합홈 양측에 체결되어 조임되고, 결합홈에 내삽된 지지봉의 외주면을 압착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화분 진열대와 화분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을 상기 지지봉의 지름에 해당하는 원형홈부로 형성되거나 사각 강관이 내삽되는 사각홈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원형 홈부 내지 사각홈부에 삽입되는 지지봉이 억지 끼움 된 후 고정부재를 이용해 압착 고정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목적과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해 얻어지는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사용으로, 정해진 틀에 의해 조립되어 임의로 병렬 내지 상하 적층되지 못하는 종래의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문제점을 탈피하여, 사용자가 적용하는 실내외 공간에 맞춰 상하 좌우의 폭을 조절하여 다양하게 변형하려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하 또는 전후좌우로 다양하게 설치되는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설치 높이 조절과정에서 쉽게 미끄러져 내리지 않아 화분 진열대의 설치 후, 화분대의 증설 과정에서 증설하는 화분 진열대 또는 화분이 미끄러져 내려 진열된 화분을 손상시키거나, 진열된 화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화분대 또는 화분의 증설 전 진열된 화분을 미리 옮겨놔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화분 진열대는, 도 2 도시와 같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봉(10)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봉(10)이 내삽 고정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는 다수의 진열판(20A)을 구비하고, 상기 진열판(20A)의 결합홈(21) 양측에 체결되어 조임되고, 결합홈(21)에 내삽된 지지봉(10)의 외주면을 압착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화분은 도 3 도시와 같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봉(10)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봉(10)이 내삽 고정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는 다수의 화분(20B)을 구비하고, 상기 화분(20B)의 결합홈(21) 양측에 체결되어 조임되고, 결합홈(21)에 내삽된 지지봉(10)의 외주면을 압착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고안의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은, 상하로 길이를 갖는 지지봉(10)에 임의의 간격으로 다수의 화분(20B)을 고정하여 상하 적층되는 구조의 화분 진열대와 화분을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지지봉(10)을 좌우 또는 전후 측으로 더 구비하여 상기 진열판(20A)과 화분(20B)이 상하 또는 전후 좌우측으로 직렬 내지 병렬 조립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지지봉(10)은 도 3 도시와 같이 원형 강관으로 구비되 며,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지지봉(10)의 지름에 해당하는 폭(W)을 갖는 원형홈부(21A)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30)를 통해 원형홈부(21A)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지지봉(10)의 외주면을 양측에서 압착고정토록 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10)과 결합홈(21)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 도시와 같이 상기 지지봉(10)은 사각강관으로 구비되는 사각형 지지봉(10A)으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21)은 사각형의 지지봉(10A)이 내삽되는 사각홈부(21B)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30)를 통해 사각홈부(21B)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의 지지봉(10A)의 외주면을 양측에서 압착고정토록 한 것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봉(10)은, 도 5 도시와 같이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표시되는 눈금(11)을 더 구비하여, 상기 지지봉(10) 간에 내삽 고정되는 진열판(20A) 또는 화분(20B)이 평행한 높이로 고정되기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21)은,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고무판(22)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30)는 지지봉(10)의 외주면을 압착고정하는 철편(31)을 더 구비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은, 도 2 도시와 같이 일정 폭을 갖는 진열판(20A)의 결합홈(21)에 내삽되는 지지봉(10)을 고정부재(30)를 이용해 일정 높이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봉(10)을 따라 상기 진열 판(20A)을 다수 적층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진열판(20A)은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봉(10)을 따라 상하로 원하는 높이에 위치 고정되며, 필요한 개수를 장착하여 화분 진열대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결합홈(21)은, 도 4 도시와 같이 지지봉(10)의 지름에 일정 폭(W)을 갖는 원형홈부(21A)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원형홈부(21A)에 내삽되는 지지봉(10)이 외측으로 일정 폭 노출될 수 있도록 측면이 절결 형성된다.
이와 같이 측면이 절결된 원형홈부(21A)에 지지봉(10)이 내삽되면 지지봉(10)의 측면이 노출되고, 상기 결합홈(21)의 양측에 고정부재(30)가 나사체결되어 조임되면 머리부가 상기 지지봉(10)의 노출부를 원형홈부(21A)측으로 압착되어 지지봉(10)이 결합홈(21)에 밀착 고정된다.
이를 통해 진열판(20A)은 지지봉(10)을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승강되어 위치된 후, 고정부재(30)의 조임을 통해 손쉽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10)의 외주면에 눈금(11)을 더 구비함으로써, 지지봉(10)을 따라 승강되는 진열판(20A)의 전후좌후측 높이를 수평으로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화분이 안착되는 진열판(20A)이 아닌, 도 3 도시와 같이 화분(20B)이 직접 지지봉(10) 간에 내삽 고정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통해 별도의 진열판 없이도 화분을 안착할 수 있어 적층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 로 활용하며, 화분과 진열판을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된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은 도 7 도시의 사용 예와 같이, 진열판(20A)과 화분(20B)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혼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지지봉(10)을 따라 전후방 내지 좌우측방으로 병렬연결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폭의 높이를 갖는 화분대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진열판(20A)과 화분(20B)을 다수 장착하여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진열된 화분대의 진열판(20A) 또는 화분(20B)을 추가로 장착하거나 장착된 진열판(20A) 또는 화분(20B)을 탈거 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분을 옮길 필요 없이 진열된 상태에서 화분대를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진열판(20A) 내지 화분(20B)이 자체 무게로 인해 고정력이 약화되어 지지봉(10)을 따라 하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홈(21) 내주면에 고무판(22)를 더 구비하여 내삽되는 지지봉(10)이 고무판(22)을 통해 마찰력이 높아져 쉽게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지지봉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 도시와 같이 사각강관으로 이루어진 지지봉(10A)을 구비하고, 상기 사각의 지지봉(10A)이 내삽되는 사각홈부(21B)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원형강관 보다 사각강관의 강도가 우수한 점에 착안하여, 화분의 무게로 인해 지지봉(10)이 휘거나 모양이 변형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봉을 변형 실시한 예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10)의 또 다른 예로서 다수의 요홈과 요철부가 반복형성되는 주름관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는, 결합홈(2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지지봉(10)의 외주면을 압착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고정부재(30)의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속한 다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9 도시와 같이 양측 고정부재(30)에 관통 삽입되어 지지봉(10)의 외측면을 압착 고정하는 철편(31)을 더 구비하여 이를 통해 돌출되는 지지봉(10)의 외주면을 보다 용이하게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철편(31)은 평판으로 실시되거나, 지지봉(10)의 외경에 맞춰 중간부에 일정 폭 라운드가 형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착안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의 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결합홀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지지봉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결합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의 결합홀과 지지봉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중 철편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지지봉 11: 눈금
20A: 진열판 20B: 화분
21: 결합홈 21A: 원형홈부
21B: 사각홈부 22: 고무판
30: 고정부재 31: 철편
W: 폭

Claims (5)

  1. 화분을 상하 적층 내지 좌우 병렬로 진열할 수 있도록 한 화분 진열대에 있어서,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봉(10)과;
    상기 지지봉(10)이 내삽 고정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는 다수의 진열판(20A)과;
    상기 진열판(20A)의 결합홈(21) 양측에 체결되어 조임 되고, 결합홈(21)에 내삽된 지지봉(10)의 외주면을 압착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 것으로,
    상하로 길이를 갖는 지지봉(10)에 임의의 간격으로 다수의 진열판(20A)을 고정하여 상하 적층되는 구조의 진열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봉(10)을 좌우 또는 전후 측으로 더 구비하여 상기 진열판(20A)이 병렬 조립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진열대.
  2. 화분을 상하 적층 내지 좌우로 병렬로 진열할 수 있도록 한 화분에 있어서,
    상하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봉(10)과;
    상기 지지봉(10)이 내삽 고정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는 다수의 화분(20B)과;
    상기 화분(20B)의 결합홈(21) 양측에 체결되어 조임 되고, 결합홈(21)에 내삽된 지지봉(10)의 외주면을 압착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 것으로,
    상하로 길이를 갖는 지지봉(10)에 임의의 간격으로 다수의 화분(20B)을 고정하여 상하 적층되는 구조의 화분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봉(10)을 좌우 또는 전후 측으로 더 구비하여 상기 화분(20B)이 병렬 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0)은 원형 강관으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지지봉(10)의 지름에 해당하는 원형홈부(21A)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30)를 통해 원형홈부(21A)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지지봉(10)의 외주면을 양측에서 압착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0)은 사각강관으로 형성되는 사각형의 지지봉(10A)으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21)은 사각형의 지지봉(10A)이 내삽되는 사각홈부(21B)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30)를 통해 사각홈부(21B) 외측으로 돌출되는 사각형의 지지봉(10A)의 외주면을 양측에서 압착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0)은,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표시되는 눈금(11)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30)는 양측으로 길이를 가지며 지지봉(110)을 압착 고정하는 철편(31)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KR2020080003559U 2008-03-19 2008-03-19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KR200900095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559U KR20090009539U (ko) 2008-03-19 2008-03-19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559U KR20090009539U (ko) 2008-03-19 2008-03-19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39U true KR20090009539U (ko) 2009-09-23

Family

ID=4153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559U KR20090009539U (ko) 2008-03-19 2008-03-19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539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8436A (zh) * 2014-09-15 2014-12-10 苏州市海神达机械科技有限公司 多功能金属花架
CN105832209A (zh) * 2016-05-24 2016-08-10 付福妹 厨房蔬菜放置架
CN105832208A (zh) * 2016-05-24 2016-08-10 付福妹 一种可适应不同容量要求的厨房蔬菜放置架
CN107432635A (zh) * 2016-12-31 2017-12-05 广州品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观察的植物架装置
CN107432633A (zh) * 2016-12-31 2017-12-05 广州品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精细化管理的植物架装置
CN107432634A (zh) * 2016-12-31 2017-12-05 广州品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供氧充足的植物架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8436A (zh) * 2014-09-15 2014-12-10 苏州市海神达机械科技有限公司 多功能金属花架
CN105832209A (zh) * 2016-05-24 2016-08-10 付福妹 厨房蔬菜放置架
CN105832208A (zh) * 2016-05-24 2016-08-10 付福妹 一种可适应不同容量要求的厨房蔬菜放置架
CN107432635A (zh) * 2016-12-31 2017-12-05 广州品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观察的植物架装置
CN107432633A (zh) * 2016-12-31 2017-12-05 广州品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精细化管理的植物架装置
CN107432634A (zh) * 2016-12-31 2017-12-05 广州品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供氧充足的植物架装置
CN107432634B (zh) * 2016-12-31 2018-09-28 泰州携创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供氧充足的植物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9539U (ko) 조립식 화분 진열대 및 화분
US6681522B2 (en) Flower box
KR101317939B1 (ko) 다단조립식 화분
CN103826505B (zh) 盘子堆叠装置
CN214593086U (zh) 一种三角梅立体培育垂直美化花架
KR20190131153A (ko) 식물재배관리기를 설치하여 다중연출가능한 조립식 다중기둥 구조물
KR101463937B1 (ko) 화분 받침대
CN110612861A (zh) 一种食用菌种植用组合架以及组装方法
CN208509711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多层植物育苗架
CN2308249Y (zh) 组装式温室
KR200209655Y1 (ko) 조경용 꽃 설치대
CN216932602U (zh) 便于沥水和拆装的创意花架
JP3053690U (ja) 植木鉢載置用棚板の取付構造
KR20130094551A (ko) 조립식 화분 진열대
CN212261018U (zh) 一种可拆装花台
KR200294933Y1 (ko) 화분 받침대
KR200170427Y1 (ko)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KR200480429Y1 (ko) 수경재배시설용 베드 지주구조물
JP2013183727A (ja) 展示スタンド
KR200242065Y1 (ko) 화분 진열대
CN215602105U (zh) 斜面支架以及应用该斜面支架的支架组件和种植箱
CN215836157U (zh) 伸缩式果树种植大棚
CN211322253U (zh) 一种林业育苗防护大棚
CN216452078U (zh) 一种具有快装结构的花柜
CN218007284U (zh) 一种南瓜种植栽培用便于安装的棚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