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427Y1 -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 Google Patents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427Y1
KR200170427Y1 KR2019990018430U KR19990018430U KR200170427Y1 KR 200170427 Y1 KR200170427 Y1 KR 200170427Y1 KR 2019990018430 U KR2019990018430 U KR 2019990018430U KR 19990018430 U KR19990018430 U KR 19990018430U KR 200170427 Y1 KR200170427 Y1 KR 200170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ame
hanging
horizontal support
potted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복구
Original Assignee
변복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복구 filed Critical 변복구
Priority to KR2019990018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을 다층으로 적층 형성하여, 광고탑이나 전시탑 또는 가로 조경용으로 사용하는 화분 재치틀에 관한 것으로, 장공이 다수 천공된 철재 앵글에 의해 세로지지대 및 가로지지대로 된 골조를 형성하고, 요함체형 몸체의 상부에 관수호스용 삽입홈과, 양측 상부의 장공과, 걸이구가 구성된 화분컵을 별도로 형성하되, 화분컵의 걸이구로 가로지지대의 장공에 괘지시켜 그 화분컵이 배열 적층되게 형성하므로서,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그 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동이 가능하고,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가로지지대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화초를 전시할 수 있는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Sectional frame for hanging flowerpots for exhibition}
본 고안은 화분을 다층으로 적층 형성하여, 광고탑이나 전시탑 또는 가로 조경용으로 사용하는 화분 재치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재 앵글에 의해 골조 및 가로 지지대를 구성하고 별도의 화분컵을 이에 괘지되게 하여 견고하면서도 구성이 용이한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에 관한 것이다.
전시용 화분탑은 특정 광고나 각종 홍보물을 노상에 전시할 때 그 전시효과를 높히기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에게 식별력을 높히면서도 친근한 이미지를 주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들어서는 각종 행사장이나 관공서의 주변에 가로 조경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의 전시용 화분탑은 다양한 형태의 탑 형상을 목조에 의해 형성한 후, 이에 합판을 덮고 다시 계단식의 재치대를 형성하여 각각의 계단에 화분을 재치시켜 1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화분재치대는 목재 골조를 형성한 후 여기에 다시 합판과 계단식의 재치대를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재치대의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설치 및 분해가 용이치 못하여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여 1회 사용후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경제적인 낭비가 심할 뿐 아니라 오히려 그 자체가 폐기물화되므로 이를 처리하는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고 공해문제화 되는 문제점이 있고, 규모가 크고 무거워 운반이 불가능하므로 이동이 불가능하고 취급이 용이치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철재 앵글에 의해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로 되는 골조를 형성하고, 가로 지지대에 별도의 화분컵을 형성하여 재치되게 하므로서,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그 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동이 가능하고,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가로지지대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화초를 전시할 수 있는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설명도
도 2는 본 고안 화분 재치틀의 일부절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화분 재치틀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화분 재치틀 결합상태의 일실시예도
도 5a 및 도 5b는 화분 재치틀 결합상태의 타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장공 2 : 철재 앵글
3 : 세로 지지대 4,4' : 가로 지지대
5 : 화분컵 6 : 삽입홈
7,7' : 장공 8 : 걸이구
9 : 몸체 10 : 클립
11 : 화분 12 : 관수호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화분 재치대의 전체 정면도로서, 일측을 전단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화분컵을 가로 지지대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로서, 화분컵의 일부를 절개도시한 것이며, 도 3은 결합상태의 측단면 설명도이다.
장공(1)(1')이 다수 천공된 철재 앵글(2)에 의해 세로지지대(3) 및 가로지지대(4)(4')로 된 골조를 형성하고,
요함체형 몸체(9)의 상부에 관수호스용 삽입홈(6)과, 양측 상부의 장공(7)(7')과, 걸이구(8)가 구성된 화분컵(5)을 별도로 형성하되,
화분컵(5)의 걸이구(8)로 가로지지대(4)(4')의 장공(1)에 괘지시켜 그 화분컵(5)이 배열 적층되게 형성한 것이다.
또, 화분컵(5)의 장공(7)(7')과 가로 지지대(4)(4')의 장공(1)(1')을 별도의 '' 형 또는 '∽' 클립(10)에 의해 괘지되게 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화분, 12는 관수호스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화분 재치틀을 형성키 위해 다수의 철재 앵글(2)을 절단하여 그 장공(1)과 장공(1')을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하여 세로지지대(3) 및 가로지지대(4)(4')를 결합하므로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사다리꼴의 재치대를 형성하거나, 원추 또는 아치형의 재치틀을 형성하는등 다각형상의 재치틀을 사용자 임의대로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조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화분재치틀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 화분컵을 괘지시킨 상태의 측단면 설명도로서, 가로지지대(4)(4')의 장공(1)에 화분컵(5)의 걸이구(8)가 괘지되어 지지되어 있는 것이며, 화분컵(5)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6)에는 관수호스(12)를 삽입하여 이에 의해 물이 공급되게 하되, 다량의 물이 공급되지 않게 한 통상의 점적관수호스(12)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소량의 물이 공급되게 한 것이다.
여기서, 가로지지대(4)의 철재 앵글(2)은 그 절곡 형성에 의해 일측은 세로지지대(3)와 나사결합된 상태이고, 타측은 화분컵(5)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그 절곡방향이 화분 재치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로지지대(4)(4')에 괘지된 화분컵(5)의 함체부에 화분(11)을 안치시키면 관수호스(12)에 의해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관리자가 일일이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 화분컵(5)을 가로지지대(4)(4')에 결합함에 있어서, 걸이구(8)의 괘지로써 한정할 것이 아니라 도 4a의 도시와 같이 '' 형 클립(10)에 의해 화분컵(5)의 장공(7)(7')과 가로지지대(4)(4')의 장공(1)(1')을 괘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4b의 도시와 같이 관수호스 삽입홈(6)과 양측의 장공(7)(7')이 형성되지 않은 화분컵(5)을 고정함에 있어서도, '' 형 클립(10)의 일측은 가로지지대(4)(4')의 장공(1)(1')에 괘지시키고 그 타측은 화분컵(5) 몸체(9)에 지지되어 가로지지대(4)(4')의 절곡부에 의해 재치되게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의 도시와 같이 '∽ '형의 클립(10)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일정기간 전시된 화분 재치틀은 더이상 필요없을 경우에는 가로지지대(4)(4')로부터 클립(10) 및 화분컵(5)을 분리시키고, 다시 가로지지대(4)(4') 및 세로지지대(3)를 분리하면 그 해체가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해체 작업이 매우 간소하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노견에 놓여져 있을 경우에는 그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교통소통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인도 및 관공서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보행자 및 민원인에게 그 불편이 최소화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되는 본 고안 전시용 화분 재치틀은 철재 앵글(2)의 조립과 화분컵(5)의 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설치작업이 단순하고 신속하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특수한 모양의 형성이 자유로운 것이다.
특히, 해체된 철재 앵글(2)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재사용으로 인해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가로지지대(4)(4')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그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화초의 크기에 따라 가로지지대(4)(4')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하나의 화분 재치틀 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의 화초를 전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은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그 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동이 가능하고,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가로지지대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화초를 전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장공(1)(1')이 다수 천공된 철재 앵글(2)에 의해 세로지지대(3) 및 가로지지대(4)(4')로 된 골조를 형성하고,
    요함체형 몸체(9)의 상부에 관수호스용 삽입홈(6)과, 양측 상부의 장공(7)(7')과, 걸이구(8)가 구성된 화분컵(5)을 별도로 형성하되,
    화분컵(5)의 걸이구(8)로 가로지지대(4)(4')의 장공(1)에 괘지시켜 배열 적층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2. 제 1항에 있어서, 화분컵(5)의 장공(7)(7')과 가로 지지대(4)(4')의 장공(1)(1')을 별도의 클립(10)에 의해 괘지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9)를, 관수호스용 삽입홈(6)과, 장공(7)(7') 및 걸이구(8)가 없는 함체상으로 형성하여, 이를 별도의 클립(10)에 의해 가로지지대(4)(4')와 괘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KR2019990018430U 1999-09-01 1999-09-01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KR200170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30U KR200170427Y1 (ko) 1999-09-01 1999-09-01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30U KR200170427Y1 (ko) 1999-09-01 1999-09-01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427Y1 true KR200170427Y1 (ko) 2000-02-15

Family

ID=1958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430U KR200170427Y1 (ko) 1999-09-01 1999-09-01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4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935B1 (ko) * 2001-01-20 2003-03-15 김명순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KR100837799B1 (ko)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적층식 꽃탑 및 그 시공방법
US20220104638A1 (en) * 2020-10-07 2022-04-07 Christopher B. Peng Modular flower bed system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935B1 (ko) * 2001-01-20 2003-03-15 김명순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KR100837799B1 (ko)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적층식 꽃탑 및 그 시공방법
US20220104638A1 (en) * 2020-10-07 2022-04-07 Christopher B. Peng Modular flower bed systems
US11751703B2 (en) * 2020-10-07 2023-09-12 Christopher B. Peng Modular flower bed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66449A1 (en) Vertical plant stand
CA2771217C (en) Free-standing vertical structures for displaying botanic media
EP2348811A2 (en) Botanical arrangement and display apparatus
WO2009122210A1 (en) A planting tray
KR200170427Y1 (ko)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US20130025196A1 (en) System for displaying plants
KR200475823Y1 (ko) 실내 조경용 화분
KR100653790B1 (ko)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컬러블록화분세트
KR200220769Y1 (ko) 점적식 가로등 부착형 거리미화용 화분
KR20100006292A (ko) 화분 거치용 휀스
KR200338832Y1 (ko) 화분용 넝쿨식물 지지대
KR200209655Y1 (ko) 조경용 꽃 설치대
KR200294933Y1 (ko) 화분 받침대
KR200174316Y1 (ko) 광고판이 형성된 가로등용 화분
JP3027998U (ja) 表示用フラワースタンド
KR200238565Y1 (ko) 철구조물로 조합 설치되는 입체화단 프레임의 구조
KR101460412B1 (ko) 물이 자연 순환되는 벽천분수용 식물포트
JP3805284B2 (ja) 容器支持構造
KR200483414Y1 (ko) 광고 기능을 갖는 화단
KR200339654Y1 (ko) 화분 거치대
AU753920B2 (en) An ornamental display
KR200295096Y1 (ko) 꽃벽 패널
KR200234688Y1 (ko) 착탈식 입체화분
KR200271768Y1 (ko) 조경용 화분 걸이대
KR100734392B1 (ko) 조경용 경계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