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935B1 -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 Google Patents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935B1
KR100375935B1 KR10-2001-0003483A KR20010003483A KR100375935B1 KR 100375935 B1 KR100375935 B1 KR 100375935B1 KR 20010003483 A KR20010003483 A KR 20010003483A KR 100375935 B1 KR100375935 B1 KR 100375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water
reservoir
water supply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722A (ko
Inventor
김명순
Original Assignee
김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순 filed Critical 김명순
Priority to KR10-2001-000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935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을 다층으로 적층 구성한 꽃탑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각 층의 화초에 골고루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꽃탑은, 소정 길이의 하나 이상의 지지기둥과; 그 지지기둥에 횡으로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꽃판과; 꽃판 각각에 대응하여 그 꽃판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저수조와; 저수조중 제일 높이 설치된 최상위 저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급수로와; 저수조 각각에 설치되고, 설치된 저수조의 아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급수로와; 저수조 각각에서부터 대응하는 꽃판 상에 설치되는 화초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3급수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해 조립하기 쉽고 다양한 형태를 구성하기 용이한 구조를 구현하며, 각 층에 배치된 화초로 공급되는 물 또는 물에 용해된 형태의 영양분을 소망하는 양만큼만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동이 용이한 꽃탑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A MULTISTAGE FLOWER TOWER AND A METHOD FOR WATER-SUPPLYING THEREOF}
본 발명은 꽃을 다층으로 적층 구성한 꽃탑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각 층의 화초에 골고루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소형 꽃탑을 구성할 때는 원통형 또는 원추형등을 이루도록 하는 한편,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받침판을 설치하여 꽃이 심어진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 화초가 생기 있게 오랜 시간동안 전시되기 위해서는 수시로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즉, 통상적으로는 꽃탑 자체가 사람의 키를 훨씬 넘기는 크기이고 대형 꽃탑의 경우에는 3, 4 미터에 이르기 때문에, 이런 꽃탑에 대해서는 대형 살수차를 동원하여 물을 공급하여야만 한다. 이렇게 꽃탑에 하루 서너번씩 살수차를 동원하는 것은 매우 성가신 일이고 비용도 크게 드는 일이 된다. 또한, 꽃탑을 한번 설치하면 그 형태가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꽃탑을 다른 장소로 이동하거나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하는 작업이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꽃탑을 개선한 것의 하나로서 제목이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인 실용신안 출원번호 20-1999-0018430 의 공보가 있다. 도 1에 그 재치틀의 대체적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고안은 장공이 다수 천공된 철재 앵글(2)에 의해 세로지지대(3) 및 가로 지지대(4)로 된 골조를 형성하고, 화분이 입설되고 관수호스용 삽입홈이 형성된 화분컵(5)이 가로지지대(4)의 장공에 걸이구(6)를 통해 걸어지게 형성하여 다층으로 적층한 재치틀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철재앵글을 이용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화분컵(5)에 관수호수를 삽입하여 물을 공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 1의 재치틀을 이용한 꽃탑에 있어서는, 관수호스에 의해공급되는 물이 각 화분컵(5)에 소망하는 양만큼만 공급되리라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이동을 하거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철재앵글에 매달려있는 화분을 일일이 분리하고 철재앵글 및 화분컵을 분해해야만 하여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꽃탑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조립과 분해가 쉽고 다양한 형태의 꽃탑을 구성하기 용이하며, 각 층에 배치된 화초로 공급되는 물 또는 물에 용해된 형태의 영양분을 소망하는 양만큼만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꽃탑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꽃탑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꽃판과 지지기둥과의 결합구성을 보여주는 부분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꽃판과 지지기둥과의 결합구성을 보여주는 부분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꽃판과 저수조 및 오버플로 조립체(이하 오버플로라 한다)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플로의 조립결합을 보여주는 부분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 형태의 꽃탑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꽃판과 지지기둥과의 결합구성을 보여주는 부분적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꽃판과 지지기둥과의 결합구성을 보여주는 부분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화초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물 공급장치의 물 분배필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물 공급장치의 물 분배필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꽃탑 120 : 지지기둥
130 : 꽃판 140 : 저수조
150 : 급수관 152 : 분배필터
154 : 연결세관 156 : T형 커플링
158 : 환형세관 160 : 오버플로
170 : 최하단꽃판 180 : 바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꽃탑은 화초를 다단으로 적층 구성하는 꽃탑으로서, 소정 길이의 하나 이상의 지지기둥과; 지지기둥에 횡으로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꽃판과; 꽃판 각각에 대응하여 그 꽃판상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저수조와; 저수조중 제일 높이 설치된 최상위 저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급수로와; 저수조 각각에 설치되고, 설치된 저수조의 아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급수로와; 저수조 각각에서부터 대응하는 꽃판 상에 설치되는 화초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3급수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기둥은 상기 꽃판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꽃판은 O-링 너트에 의해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되고, 상기 꽃판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O-링 너트의 고정위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지지기둥은 소정 길이의 단위 지지기둥체가 조립됨으로써 구성되며, 다단으로 적층되는 꽃판 사이의 간격은 단위 지지기둥체의 길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다단으로 적층된 꽃판들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최하단 꽃판은 그 위의 꽃판들 보다 비교적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그 밑으로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는, 대응하여 물을 공급하기 위한 꽃판 바로 위에 적층되는 꽃판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급수로는 대응하는 저수조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오버플로 조립체(이하 오버플로라고 한다)이며, 오버플로의 길이에 의해 저수조내에 저장되는 유량이 결정되며, 또한 오버플로는 저수조와 꽃판을 고정하는 역할도 겸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제3 급수로는, 상기 저수조 바닥 근방에 설치되어 저수조의 물을 하나 이상의 통로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필터와; 상기 분배필터에 다수 연결되고 단면적이 상기 제2 급수로에 비하여 작으며, 물을 해당 꽃판의 화초로 흘러내리게 하기 위한 분배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세관은, 상기 분배필터에 각각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세관과; 상기 연결세관의 다른 각각의 단부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화초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공급구가 형성된 하나의 환형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필터와 분배세관 사이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망상의 필터 및/또는 물이 스며들어 통과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다공성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배필터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떨어져 설치되어 저수조 바닥의 침전물이 분배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꽃탑의 급수방법은, 화초를 다단으로 적층 형성하는 꽃탑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최상위단으로 제1 유속으로 물을 계속 공급하는 제1급수단계와;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까지 저장하고, 초과하여 공급되는 물을 아래로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공급하는 제2급수단계와; 상기 제2급수단계를 소정 횟수만큼 반복하는 반복단계와; 상기 반복단계의 마지막 단계에서 물이 흘러내린 후 상기 제1 유속으로 물을공급하는 것을 중단하는 중단단계와; 상기 저장된 물을 그 수압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유속보다 작은 속도의 제2 유속으로 사방으로 분산 공급하기 위한 제3급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 급수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된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단계 및/또는 상기 저장된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또는 물이 스며들어 통과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하는 다공성물질을 통과하도록 하는 지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2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통형/피라미드형 꽃탑(100, 3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꽃탑(100, 300)은 화초를 다단으로 적층 구성하는 꽃탑으로서, 하나 이상의 지지기둥(120, 320)과 하나 이상의 꽃판(130, 330)과, 하나 이상의 저수조(140, 340)와, 제1 내지 제3 급수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기둥(120)은 소정 길이 즉, 원하는 꽃탑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즉, 지지기둥(120)에 의하여 꽃탑의 높이가 결정된다. 지지기둥(120)은 꽃판(130)을 일정한 또는 다양한 간격으로 고정하며 지지함으로써, 꽃탑(100)을 구조적으로 지탱한다. 원통형 꽃탑(100)의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예컨대 세 개 또는 네 개의 지지기둥(120)을 꽃판(130)의 가장자리부근에 만든 관통홈으로 삽입시키는 구조를 할 수 있으며, 피라미드형 꽃탑(300)의 경우에는 중앙에 하나의 기둥(320)을 설치하는 구조를 할 수 있다.
꽃판(130, 330)은 상기 지지기둥(120, 320)에 횡으로 고정된다. 이는 넓은 접시형상으로서 꽃판 하나 하나는 꽃탑(100)의 하나의 층을 이룬다. 꽃판(130)의 형상에 따라 꽃탑(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결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각 층을 이루는 꽃판(130)이 도 2에서처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원통형의 꽃탑(100)이 형성되고, 다른 식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꽃판을 불규칙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크기를 가지는 꽃판(330)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피라미드형 또는 원추형의 꽃탑(30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는 원통형태의 탑 또는 피라미드형/원추형태의 탑이 하나만 있는 꽃탑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높이로 또는 서로 상이한 높이로 둘 이상의 원통형/원추형 또는 피라미드형태의 탑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꽃판(130, 330)은 화분을 재치하는 화분받침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다른 식으로는 거름을 포함한 흙 또는 포함하지 않는 흙으로 이루어진 상토를 충적시켜 화초를 식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꽃판(130, 330)에 배수구로서 관통구를 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꽃판(130)과 지지기둥(120)과의 결합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의 지지기둥(120)에 일정간격으로 꽃판(130)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지지기둥(1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사홈(122)을 형성하고, 꽃판(130)에는 대응하는 관통홈을 형성하여, 지지기둥(120)을 꽃판(130)에 형성된 관통홈에 삽입시켜 O-링 너트(124, 126)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나사홈(120)의 위치에 따라서 꽃판(130)들 사이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는, 고정시키는 O-링 너트(124, 126)의 위치 또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고정되는 꽃판(130) 사이의 간격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판(130)에 형성된 관통홈에 삽입되는 지지기둥(220)은 단위체로서 각 꽃판(130) 사이의 간격이 단위체인 지지기둥(220)의 길이에 의해 정해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단위 지지기둥체(220)가 하나 하나 조립되어 연장됨으로써, 꽃판(130)이 조립 고정되어 한층 한층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지지기둥(320)이 꽃판(330)과 저수조(340)를 모두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유사하며 다만 패킹(328, 428)을 더 추가한 것만 다르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하위층을 이루는 꽃판(170)에 바퀴(180)와 같은 이동수단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꽃탑(100)이 놓여지는 장소를 쉽게 이동, 변경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전시효과를 위한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2 및 도 7에 명백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된 꽃판들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최하단 꽃판(170, 370)은 그 위의 꽃판들 보다 비교적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장 아래부분에 꽃이 넓게 식재되거나 재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꽃탑의 균형감,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 꽃탑(100, 300)의 최상단에는 장식적인 목적을 위해 또는 균형있는 형태를 위해 지붕(190, 390)이나 또는 다른 형태의 장식물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저수조(140)가 각 층을 이루는 꽃판(130) 각각에 대응하여 그 꽃판상에 설치된다. 이 저수조(140)는 꽃판(130)상에 재치되거나 심재될 화초로 공급될 물을 일시적으로 일정량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이다. 저수조(140)의 크기는 공급된 화초들에 필요한 물의 양에 따라 정해진다. 그러므로 피라미드형의 꽃탑(300)의 경우와 같이 아래층으로 내려올수록 꽃판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라 배치되는 화초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저수조(140)의 크기도 아래층으로 내려올수록 커져야 한다.
도 5에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꽃판(130)과 저수조(140)는 오버플로(160)에 의해 고정된다. 오버플로(160)는 자신이 장착되는 저수조(140)내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동시에 그 일정량을 초과하는 물은 그 아래로 예컨대 아래층에 있는 저수조(140)로 흘러내리게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다수의 관통홈이 꽃판(130) 상에 표시되어 있다. 지지기둥(120)이 삽입되는 지지기둥 삽입구(131, 132, 133)과, 나중에 설명될 연결세관이 통과할 통과구(135, 136, 137), 그리고 제1 급수로가 통과할 급수구(139) 등이 그것이다. 이밖에도, 저수조(140)에 형성된 관통홈인 오버플로 장착구(142)에 대응하여 오버플로(160)가 장착될 오버플로 장착구(134a, 134b)가 더 형성된다. 두 개 형성되는 것은 서로 인접한 두 층의 오버플로(160)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40)의 측면에도 바닥에 가깝게 연결세관이 통과하는 통과구(144, 145, 146)가 더 형성된다.
오버플로(160)는 예컨대, 오버플로의 높이를 결정하는 닛플파이프(162)와, 그 닛플파이프(162)와 연통하면서 저수조(140) 바닥의 장착구(142)와 꽃판의 장착구(134a)를 통과하여 장착되는 소켓조인트(164)와, 저수조(140)내의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저수조(140)쪽에 접하는 패킹(166), 및 꽃판(130)을 관통하여 내려온 닛플조인트(164)를 아래로부터 꽃판(130) 쪽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너트(168)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오버플로가 이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오버플로(160)의 구성에 의하면, 소켓조인트(164)와 패킹(166) 및 고정너트(168)에 의해 저수조(140)와 꽃판(130)을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한편, 그 통로에 연통하여 장착되는 닛플파이프(162)의 길이에 의해 해당 저수조(140)에 저장되는 물의 양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의 수직통로(162)를 교환함으로써 저수조(140)에 저장될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꽃탑은 제1 내지 제3 급수로를 포함하는데, 제1 급수로는 급수원(일반적인 상수도 또는 물탱크 등)으로부터 꽃판(100, 300)의 가장 윗층에 있는 최상위 저수조(1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판(130)에 형성된 통과구(139)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2 급수로는 바로 위에서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 오버플로(160)이다. 즉, 제1 급수로에 의해 공급된 물은 최상위 저수조(140)를 채우고 오버플로(160)를 통하여 그 아래 저수조(140)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또 저수조(140)를 채우고 남은 물은 그 저수조(140)에 장착된 오버플로(160)를 통과하여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관리자는 가장 아래층의 오버플로(160)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인지한 후 제1 급수로에의 물의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이렇게 저수조(140)에 각각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후, 그 물은 분배장치를 통하여 꽃판(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치되거나 식재되어 있는 화초로 분배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분배세관은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저수조(140)로부터 물을 받아 그 아래층에 있는 꽃판상의 화초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저수조(140)는 대응하여 물을 공급하기 위한 꽃판 바로 위에 적층되는 꽃판 상에 설치된다.
이상적으로는 꼭대기부터 바닥까지의 저수조(140)에 일정량의 물이 찬 후에제3 급수로(152, 154, 156, 158)로 물이 통과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꼭대기부터 최하층까지의 꽃판에 대략적으로 동일한 양의 물이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저수조(140)와 제3 급수로 사이를 소정의 타이머 등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른 식으로는 모든 저수조(140)에 물이 차고 있는 동안에 제3 급수로로 이동되는 물의 속력과 유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최상층 꽃판(130)의 화초에 공급되는 물의 양과 최하층 꽃판(17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의 차이가 크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최상층 저수조(140)의 저장량을 아래층 저수조(140)보다 단계적으로 적게 하는 방식도 있는데 이것은 예컨대 오버플로(160)의 길이를 조절한다든가 또는 저수조(140)의 크기를 달리한다든가 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3 급수로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보여준다. 도 10은 제3 급수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분배필터(152)부분을 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급수로 및 제2 급수로에 비하여 더 작은 유속 및 유량으로 공급하기 위해 대체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통로를 가지는 제3 급수로는 저수조(140, 340)로부터 화초까지 물을 분배하는 장치로서, 분배필터(152)와 분배세관(154, 156, 158) 즉 연결세관(154) 및 T형 커플링(156)을 개재하여 연결된 환형세관(15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저수조(140)로부터 저수조(140)가 설치되어 있는 꽃판(130)의 아랫층에 있는 꽃판상의 화초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분배필터(152)는 저수조(140) 바닥 근방에 설치되어 저수조(140)의 물이 수압 및 중력에 의해 그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하는 구조 즉, 하나의 유입구와 다수의 예컨대 3개의 배출구를 가지는 구조를 할 수 있다. 분배세관은 상기 분배필터(152)에 다수 연결되고 단면적이 상기 제2 급수로에 비하여 작은 관이다. 이 분배세관을 통하여, 물이 화초로 흘러가게 된다. 분배세관은 분배필터(152)에 그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세관(154)을 포함하는데, 이 연결세관(154)과 분배필터(152)는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리해서 청소할 때 용이하다는 점 때문이다.
계속해서 연결세관(154)의 다른 단부는 예컨대 T형 커플링(156)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하여 환형세관(158)에 연결된다. 이 환형세관(158)은 꽃판(130)의 아래면에 밀착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세관(154)은 분배필터(152)로부터 뻗어나와 저수조(140)의 측면에 형성된 통과구(144, 145, 146)을 각각 통과한 후, 꽃판(130)의 통과구(135, 136, 137)를 지나 아래로 내려간 후 T형 커플링(156)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세관(154)은 환형세관(158) 및 T형 커플링(156)을 적절한 힘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환형세관(158)이 꽃판(130)의 아래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T형 커플링(156)은 잡아당기는 힘에 저항하여 관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환형세관(158)에 형성된 다수의 공급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물이 화초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필터(500)와 분배세관 즉 연결세관(154) 사이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망상의 필터(5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연결세관(154)의 직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조그만 이물질에 의해 통로가 막힐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필요하다. 이 망상의 필터(530)는 연결세관(154)의 입구에 고정밴드(532)와 같은 고정구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하우징(510)의 다수의 통공(512) 또는 하부하우징(590)의 통공(592) 등을 통해 유입된 물은 연결세관(154)의 입구에 있는 망상의 필터(530)를 지나 연결세관(154) 내로 들어간다. 따라서, 이물질은 필터(530)에 의해 걸러진 후 화초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저수조(140)의 바닥에 그대로 침전됨으로써 연결세관(154)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분배필터(500)는 다수의 통공(512)을 가지는 상부하우징(510)과 저수조(140)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떨어지게 설치된 하부하우징(5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510) 및 하부하우징(590)은 받침구(522)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나사(520)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구조를 할 수 있다. 이 받침구(522)에 의해 하부하우징(590)은 저수조(140)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떨어져 장착될 수 있으므로, 그 바닥에 침전되는 이물질이 분배필터(50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하우징(590)에는 다수의 통공(594)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분배필터(500) 내로 유입된 물 속에 있는 이물질이 침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망상필터(530)에 의해 걸러지고 저수조(140) 바닥 및 하부하우징(590)에 침전된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분해 청소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필터(500)내에는 물이 스며들어 통과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다공성물질로 된 다공필터(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공필터(540)로서는 섬유질물질을 적층한 것이거나, 또는 합성수지로 된 스폰지와 같은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다공필터(540)를 물이 통과하는 시간은 이상적으로는 최상층 저수조(140)에서부터 최하층 저수조(140)까지 물이 다 찰때까지 걸리는 시간과 동일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공필터(540)를 물이 통과하는 시간과 저수조(140)에 물이 다 찰때까지의 시간의 차이에 의해 각 층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달라지므로, 그 공급량의 차이가 실제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만큼의 시간 차이가 나는 것도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꽃탑에 화초를 다단으로 적층 형성하는 꽃탑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은 수원으로부터 최상위단으로 물을 끌어올리는 제1급수단계, 최상위단으로부터 최하위단까지 단계별로 저장 및 전달하는 제2급수단계, 그리고 제2 급수단계로부터 저장된 물을 화초에까지 공급하는 제3급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는 모두 n개의 저수조 및 그에 대응하는 꽃판상의 화초를 가지는 꽃탑에 급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급수단계에서는 꽃탑의 최상위단에 있는 제1 저수조(140)로 물탱크(수원)와 연결된 펌프(10)나 상수도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파이프나 호스인 급수관(150)을 이용하여 제1 유속으로 물을 계속 공급한다. 제2 급수단계에서는 제1저수조(140)에 공급된 물은 일정량이 저장되며, 계속해서 공급됨으로써 초과되는 물은 오버플로를 통하여 아래의 제2 저수조(140)로 넘쳐 흘러내린다. 이 제2 공급단계는 아래로 최하층의 제n 저수조(140)가 오버플로로 넘치게 될 때까지 계속 반복된다. 이러한 제2 급수단계를 반복한 후 마지막 단계에서 오버플로를 통해 물이 흘러내리면 감지부(20)에 의하거나 관리자가 직접 확인한 후 상기 제1 유속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중단한다. 한편으로, 제1 저수조에서 제n 저수조까지 저장된 물은 상기 반복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상기 중단단계 후에 이어지는, 제3 급수단계에서 각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물분배장치를 이용하여 그 수압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유속보다 작은 속도의 제2 유속으로 사방으로 분산 공급하게 된다. 즉, 화초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급수단계 이전에, 각 저수조(140)에 저장된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침전시키거나, 및/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걸러내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는 화초로 공급되는 물에 혼합되어있는 이물질에 의해서 제3 급수단계의 급수 통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속 및 유량이 작아지는 제3 급수단계에서는 급수 통로의 직경이 작은 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관이 막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물질에 의해 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을 미리 침전시키거나 걸러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제3 급수단계 이전에 제2 급수단계를 반복하는 동안 물의 진행을 지연시키면서 상기 제1유속으로부터 제2유속으로 유속을 저감시키기 위해 물이 스며들어 통과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하는 다공성물질을 통과하도록 하는 지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지연단계에 의해 꽃탑의 각 층에 동일한 양의 물이 공급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이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고 청구범위에 기재되지만, 본원 발명의 기술범위내에서 상기 실시예 및 청구항에 대한 변형 또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므로 그 변형 및 변경은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과 분해가 쉽고 다양한 형태의 꽃탑을 구성하기 용이하며 각 층에 배치된 화초로 공급되는 물 또는 물에 용해된 형태의 영양분을 소망하는 양만큼만 적기에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항상 싱그러운 화초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화초를 다단으로 적층 형성하는 꽃탑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하나 이상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에 횡으로 고정되고 화초가 적재되는 하나 이상의 꽃판과;
    상기 꽃판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중 제일 높이 설치된 최상위 저수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급수로와;
    상기 저수조에 설치되고, 설치된 저수조의 아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급수로와;
    상기 저수조에서부터 대응하는 꽃판 상의 화초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3급수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판은 동일한 크기의 원형 형상으로 하여, 상기 꽃탑은 전체적으로 원통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판들은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크기로 형성하여, 상기 꽃탑은 전체적으로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내지 피라미드 형태의 꽃탑이 동일한 높이 또는 서로 상이한 높이로 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꽃판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꽃판은 O-링 너트에 의해 상기 지지기둥에 고정되고, 상기 꽃판사이의 간격은 상기 O-링 너트의 고정 위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소정 길이의 단위 지지기둥체의 조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꽃판 사이의 간격은 상기 단위 지지기둥체의 길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판은 상토등 토양을 충적시켜 화초를 식재하거나 화분을 재치하는 화분받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으로 적층된 꽃판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최하위 꽃판은 그 위의 꽃판들 보다 비교적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위단 꽃판에 이동수단을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대응하여 물을 공급하기 위한 꽃판 바로 위에 적층되는 꽃판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수로는 대응하는 저수조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오버플로이며, 그 오버플로의 길이에 의해 저수조내에 저장되는 유량이 결정되며, 그 오버플로는 저수조와 꽃판을 고정하는 구성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급수로는,
    상기 저수조 바닥 근방에 설치되어 저수조의 물을 하나 이상의 통로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필터와,
    상기 분배필터에 다수 연결되고 단면적이 상기 제2 급수로에 비하여 작으며, 물을 해당 꽃판의 화초로 흘러내리게 하기 위한 분배세관과,
    상기 분배세관은 그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세관과,
    상기 연결세관의 다른 단부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화초에 물을 공급하기위한 다수의 공급구멍이 형성된 환형세관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필터와 분배세관 사이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망상의 필터를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필터는 물이 스며들어 통과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다공성물질을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필터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떨어지게 설치되어 저수조 바닥의 침전물이 분배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꽃탑.
  17. 화초를 다단으로 적층 형성하는 꽃탑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최상위단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단계와,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까지 저장하고, 초과하여 공급되는 물을 아래로 흘러내리게 공급하는 제2급수단계와,
    상기 제2급수단계를 소정 횟수만큼 반복하는 반복단계와,
    상기 반복단계의 마지막 단계에서 물이 흘러내려 일정량까지 저장된 다음 물의 공급을 중단하는 중단단계와,
    상기 저장된 물을 그 수압에 의해 화초에 분산 공급하기 위한 제3급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의 급수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급수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된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의 급수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급수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된 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의 급수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급수단계 이전에, 물이 스며들어 통과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하는 다공성물질을 통과하도록 하는 지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의 급수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계는, 매단계마다 제2 급수단계의 위치를 수직방향에서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의 급수방법.
KR10-2001-0003483A 2001-01-20 2001-01-20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KR100375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483A KR100375935B1 (ko) 2001-01-20 2001-01-20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483A KR100375935B1 (ko) 2001-01-20 2001-01-20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722A KR20010025722A (ko) 2001-04-06
KR100375935B1 true KR100375935B1 (ko) 2003-03-15

Family

ID=1970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483A KR100375935B1 (ko) 2001-01-20 2001-01-20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9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456A (ko) * 2002-08-21 2004-02-27 하현영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KR20040017458A (ko) * 2002-08-21 2004-02-27 하현영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KR20040018566A (ko) * 2002-08-21 2004-03-04 남정석 퍼즐 포토집에 초화를 식재하는 자동 급수 꽃탑, 꽃벽시스템
KR100837799B1 (ko)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적층식 꽃탑 및 그 시공방법
KR100912228B1 (ko) * 2009-02-20 2009-08-14 (유)꽃탑월드 다단으로 구성된 꽃탑의 급수시스템
CN104351017A (zh) * 2014-10-31 2015-02-18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一种给高处花盆浇水的节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467B1 (ko) * 2001-03-22 2003-06-1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점적식 조경용 꽃탑
KR100771486B1 (ko) * 2006-05-09 2007-10-3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KR100989705B1 (ko) * 2008-02-12 2010-10-26 송웅호 벽걸이형 화분장치
CN108401864A (zh) * 2018-05-10 2018-08-17 沈阳维客科技发展有限公司 智能超声雾化微灌溉系统及灌溉方法
KR102073242B1 (ko) * 2018-10-05 2020-03-02 설오열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9950A (ja) * 1987-10-23 1989-04-26 Tamura Electric Works Ltd 特殊オートダイヤル機能付電話機
JPH0293949U (ko) * 1989-01-12 1990-07-26
JPH02105332U (ko) * 1989-02-07 1990-08-22
JPH0423926A (ja) * 1990-05-19 1992-01-28 Kaneko Agricult Mach Co Ltd 多段式底面灌水装置
KR200170427Y1 (ko) * 1999-09-01 2000-02-15 변복구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9950A (ja) * 1987-10-23 1989-04-26 Tamura Electric Works Ltd 特殊オートダイヤル機能付電話機
JPH0293949U (ko) * 1989-01-12 1990-07-26
JPH02105332U (ko) * 1989-02-07 1990-08-22
JPH0423926A (ja) * 1990-05-19 1992-01-28 Kaneko Agricult Mach Co Ltd 多段式底面灌水装置
KR200170427Y1 (ko) * 1999-09-01 2000-02-15 변복구 전시용 화분의 조립식 재치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456A (ko) * 2002-08-21 2004-02-27 하현영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KR20040017458A (ko) * 2002-08-21 2004-02-27 하현영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KR20040018566A (ko) * 2002-08-21 2004-03-04 남정석 퍼즐 포토집에 초화를 식재하는 자동 급수 꽃탑, 꽃벽시스템
KR100837799B1 (ko) 2007-12-21 2008-06-13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적층식 꽃탑 및 그 시공방법
KR100912228B1 (ko) * 2009-02-20 2009-08-14 (유)꽃탑월드 다단으로 구성된 꽃탑의 급수시스템
CN104351017A (zh) * 2014-10-31 2015-02-18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一种给高处花盆浇水的节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722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5897B (zh) 水培單元及系統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US8919040B2 (en) Spiral garden
CA2890953C (en) Growth device for crop, use of such a device, and a series of growth devices
US20180092314A1 (en) Vertical hydroponics systems
US20140075841A1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CA3050403C (en) Hydroponic growth system
KR100375935B1 (ko)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EP3219198A1 (en) Hydroponic device
KR20150087510A (ko)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HUE030442T2 (en) Wall Module System, Plant Cultivation Process, and Wall Module System for Plant Growing
JP2006129846A (ja) 壁面緑化設備の植栽ブロック受け皿
WO2019086242A1 (en)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thereof
KR102073242B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KR200367528Y1 (ko) 급수식 다용도 화분
KR100540532B1 (ko)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JP4604148B2 (ja) 壁面緑化設備の灌水装置
JP2010029096A (ja) 多段容器式栽培装置
CA2608655C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KR100912228B1 (ko) 다단으로 구성된 꽃탑의 급수시스템
TWM586521U (zh) 組合立地式花盆
JP3932435B2 (ja) 吊下げかん水プランター
JP3646187B2 (ja) 吊下げかん水プランター
KR20240074082A (ko) IoT를 활용한 실내형 수직정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