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456A -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456A
KR20040017456A KR1020020049525A KR20020049525A KR20040017456A KR 20040017456 A KR20040017456 A KR 20040017456A KR 1020020049525 A KR1020020049525 A KR 1020020049525A KR 20020049525 A KR20020049525 A KR 20020049525A KR 20040017456 A KR20040017456 A KR 20040017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wall
tower
soil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영
Original Assignee
하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현영 filed Critical 하현영
Priority to KR102002004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456A/ko
Publication of KR2004001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흙벽을 이용하여 급수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 포트묘를 직접 식재할 수 있도록 하고, 조화 꽂이판을 부착할 수 있게 하여 동절기에는 조화를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은 흙벽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초화에 수분을 공급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 골조프레임으로 꽃탑, 꽃벽 시스템의 기본 골격을 이루고, 상기 골조프레임에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을 부착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그 사이 공간에 흙을 다져넣어 흙벽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패널에는 흙벽측으로 요입된 포트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포트홈에는 다수의 소통공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흙벽이 수분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흙벽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장치는 상기 골조프레임의 내부 혹은 외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포트홈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포트묘가 자중에 의하여 고정될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절기에는 조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관과 포트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을 형성하고 있는 조화꽂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홈에는 상기 조화판의 고정단을 삽입위한 고정공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Four seasons flower tower having pot grove for planting flower pot}
본 발명은 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흙벽을 이용하여 급수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 포트묘를 직접 식재할 수 있도록 한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조경과 미화를 위하여, 또는 행사의 기념이나 안내를 위하여 도로의 곳곳에는 꽃탑, 꽃벽 등의 조형물(이하 조경용 꽃탑)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미화를 위한 조경용 꽃탑은 사용되는 꽃의 종류에 따라서 초화에 의한 것과 조화에 의한 것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초화에 의한 꽃탑, 꽃벽 시스템은 꽃탑, 꽃벽을 구성하는 개별 초화에 주기적으로 급수를 해야 싱싱함을 유지할 수가 있는데, 꽃탑, 꽃벽 시스템은 대체로 그 높이가 수미터에 달하므로 살수차를 동원하여 물을 살포하여 급수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급수방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초화들이 성장함에 따라 외부에서 불규칙하게 살포하는 것만으로는 뿌리부분까지 수분이 제대로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화에 의한 꽃탑, 꽃벽 시스템은 동절기에는 초화가 생장할 수 없으므로 오히려 조경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일반적으로는 동절기에는 철거하였다가, 재 설치를 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꽃탑, 꽃벽 시스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흙벽(16)을 형성하기 위하여 골조프레임에 내측판(12)과 외측판(14)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판(12)과 외측판(1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토사를 다져넣어 흙벽(16)을 형성한 후, 식재할 포트묘(50)의 포트집(56)을 분리하고 기단부분(54)의 흙을 털어내어 뿌리(55)만을 남기고, 상기 뿌리(55)를 외측벽(14)에 형성된 십자공(15)을 통해서 흙벽(16)에 심어서 고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꽃탑, 꽃벽 시스템을 제작하면 뿌리(55)를 감싸고 있는 기단부분(54)의 굳게 다져진 흙을 털어내는 과정이나 뿌리(55)를 토사벽(16)에 심는 과정에서 뿌리(55)가 손상되기 쉬우며, 더욱이 뿌리(55)를 뽑아서 이식하는 것이므로 뿌리(55)가 토사벽에 새로이 자리를 잡고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인 7-10일 가량은 꽃이 정상적으로 생장하지 못하여 시들시들 하게 된다.
또한, 꽃탑, 꽃벽 시스템의 제작 측면에서 보면 뿌리에서 흙을 제거하는 과정이나 뿌리를 토사벽(16)에 심는 과정은 손이 많이가는 대단히 번거로운 작업이므로 작업의 효율면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 특히 흙벽을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흙벽의 외측을 구성하는 외측 패널에 포트묘를 직접 식재할 수 있는 포트홈을 형성하고, 상기 포트홈에 포트묘와 흙벽 간에 수분이 소통할 수 있도록 소통공을 형성한 것으로,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이러한 설치작업에서 초화의 뿌리가 상하지 않고 처음부터 싱싱함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화를 이용한 꽃탑, 꽃벽 시스템에 조화를 고정하기 위한 조화판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동절기에는 조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하여 철거를 하지 않고 사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는 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 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블럭도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꽃탑, 꽃벽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꽃탑, 꽃벽 시스템의 외측 패널의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화 꽂이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화 꽂이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50 : 포트묘52 : 초화부분
54 : 기단부분56 : 포트집
100 : 골조프레임110 : 내측패널
120, 140 : 외측패널125, 145 : 포트홈
127, 147 : 소통공128, 148 : 고정공
130 : 흙벽
200 : 자동급수장치210 : 저수탱크
220 : 펌프230 : 배관
240 : 제어기300 : 조화 꽂이판
310 : 고정관312 : 삽입공
350 : 조화352 : 철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꽃탑, 꽃벽 시스템은 흙벽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초화에 수분을 공급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 골조프레임으로 꽃탑, 꽃벽 시스템의 기본 골격을 이루고, 상기 골조프레임에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을 부착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그 사이 공간에 흙을 다져넣어 흙벽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패널에는 흙벽측으로 요입된 포트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포트홈에는 다수의 소통공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흙벽이 수분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흙벽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장치는 상기 골조프레임의 내부 혹은 외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포트홈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포트묘가 자중에 의하여 고정될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절기에는 조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관과 포트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을 형성하고 있는 조화꽂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홈에는 상기 조화판의 고정단을 삽입위한 고정공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꽃탑, 꽃벽 시스템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꽃탑, 꽃벽 시스템은 골조프레임(100)으로 대략의 형태를 형성하고 그 내측과 외측에 각각 내측패널(110)과 외측패널(120)을 부착하여 흙벽(130)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간에 상토, 스폰지, 흙, 인공용토등을 채워 넣어서 흙벽(130)을 형성하며, 외측패널(120)에는 포트묘(50)를 식재하기 위한 포트홈(125)을 흙벽(13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골조프레임(100)은 철골, FRP, 플라스틱, PVC, 목재 등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제작하거나, 용접 또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 혹은 리베팅등의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사출, 주조, 혹은 판금등을 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포트홈(125)은 상기 포트홈(125)에 식재되는 포트묘(50)와 흙벽(130)간에 수분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소통공(127)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꽃탑, 꽃벽 시스템의 외관의 형태는 단순히 골조프레임(100)의 형상과 부착되는 패널들(110, 120)의 형상에 따른 것이므로, 도시된 원통형상의 꽃탑 이외에 사각형, 각종 캐릭터의 형상 또는 입체가 아닌 단순한 평면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골조프레임(100)이 골격을 형성하여 전체 꽃탑, 꽃벽 시스템을 지탱하는 기초가 되며, 그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내측패널(110)과 외측패널(120)이 부착되고, 내측패널(110)과 외측패널(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스폰지, 상토 혹은 인공용토등의 함수성 재질을 채워넣어 흙벽(130)을 형성한다. 이러한 흙벽(130) 내부로 수분이 공급되면 입자사이의 공극을 통하여 수분이 침투함으로써 전체 흙벽(130)이 대체로 균일한 함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본 발명의 흙벽(130)을 이용하여 급수하는 급수시스템은, 종래의 기술에서 꽃벽 외부에서 간간이 물을 분사하였던 수동분사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트묘의 기단부분(54)을 통채로 흙벽(130)에 식재할수 있도록 외측패널(120)에 포트홈(125)을 형성하고, 상기 포트홈(125)에 수분 소통을 위한 소통공(127)을 복수개 천공하고 있다. 이러한 수분 소통공(127)을 통하여 흙벽(130)에 흡수 저장되어 있는 수분이 포트묘(50)에 전달되므로 초화의 뿌리(55)까지 수분이 균일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자동급수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급수장치(200)는 다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탱크(210), 상기 저수탱크(200)의 물을 흙벽(130)의 상부로 끌어올리기 위한펌프(220), 및 이들을 연결하는 파이프, 엑셀파이프, 노즐등으로 이루어진 배관(2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220)의 작동 시간 및 작동 횟수는 제어기(240)를 통하여 조절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240)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어서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급수차를 이용하여 1일 1-2회 정도 상기 저수탱크(210)에 물을 공급하거나, 직접 저수탱크(210)에 수도관을 연결하고 볼탑을 설치하여 저수탱크의 저수량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꽃탑 상부의 높이가 5m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꽃탑의 하단부까지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흙벽(130)의 중간에도 수분이 침투할 수 있도록 배관(230)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동급수장치(200)는 꽃탑의 내부공간에 설치하여 상기 자동급수장치(200)로 인하여 꽃탑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불가피한 경우에는 꽃탑의 외부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꽃탑, 꽃벽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포트묘가 식재되는 포트홈(125, 145)은 도 4a에서와 같이 포트묘가 각각 1개씩 식재되도록 포트묘의 기단부의 형상과 꼭 맞도록 형성하거나, 도 4b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러한 포트홈(125, 145)에는 수분 소통을 위한 소통공(127, 147)과 함께, 후술하는 조화 꽂이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28, 148)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초화를 담고 있는 포트묘(50)가 단순히 포트홈(125, 145)에 놓여지는것으로 고정이 되어야 하므로 상기 포트홈(125, 145)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포트묘(50)의 기단부분(54)이 포트홈(125, 145)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포트홈(125, 145)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꽃탑, 꽃벽 시스템의 형태상 불가능할 경우에는 포트묘(50)를 포트홈(125, 145)에 삽입한 후 포트묘(50) 기단부분(54)의 흙을 다지거나 추가적으로 다짐 흙을 이용하여 포트묘의 기단부분(54)을 포트홈(125, 145)에 고정할 수도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외측패널의 후면 사시도이다.
외측패널(120)은 골조프레임에 부착되어 외주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표면에 포트묘의 기단부분이 삽입, 식재되기 위한 포트홈(12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포트홈(125)은 흙벽의 내부로 요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흙벽의 수분이 포트묘에 전달될수 있도록 다수의 소통공(127)을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외측패널(120)은, 골조프레임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내측패널이 파이텍스, 카펫트, 플라스틱, PVC, FRP, 철판, 합판등의 재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포트묘가 식재되는 포트홈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플라스틱, PVC, FRP, 철판등포트홈 성형이 용이한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꽃탑, 꽃벽 시스템의 조화꽂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조화 꽂이판(300)은 동절기에 꽃탑, 꽃벽 시스템의 외부에 부착하여 초화를 대신하여 조화로 조경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등으로 사출제작되는데, 소정간격마다 조화(350)의 철심(352)이 삽입될수 있도록 하는 고정관(310)과, 포트묘의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단(도 8의 320)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관(310)은 그 중심에 삽입공(312)을 형성하고 있어서, 조화(350)의 철심(352)을 상기 삽입공(312)에 끼움으로써 조화(350)를 고정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꽃탑, 꽃벽 시스템의 조화 꽂이판과 외측패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 꽂이판(300)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단(320)을 포트홈(125)의 고정공(128)에 삽입 결합하도록 하여, 전체의 꽃탑, 꽃벽 시스템의 외주면을 모두 감싸고, 상기 조화 꽂이판(300)에 조화(350)를 꽂음으로써 동절기에도 꽃탑, 꽃벽 시스템을 철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은 도 5a와 같은 형태의 포트홈을 도시하고 있으나, 포트홈이 도 5b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더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조화 꽂이판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은 골조프레임에 패널을 부착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흙을 채워넣어 흙벽을 형성하는 조경용 꽃탑에 있어서, 초화를 조경용 꽃탑에 식재가 용이토록 외부패널에 포트홈을 구비토록 하며, 또한 상기 포트홈에 수분이 소통할 수 있도록 소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흙벽으로 물을 공급하면 개별 초화에 모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여 경시적으로 성장하는 꽃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고, 조형물 꽃탑의 제작이 간편하여 노동력과 시간을 절감시켜 주며, 그 관리에 있어서도 종전과는 달리 자동급수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잇점을 발휘한다. 더욱, 종래기술과 달리 꽃의 뿌리부분을 식재하는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여 꽃의 싱싱함을 보존한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포트묘를 식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화가 생장하지 동절기에는 조화를 꽂을수 있는 조화 꽂이판을 제공하여, 사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는 꽃탑, 꽃벽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흙벽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초화에 수분을 공급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
    골조프레임으로 꽃탑, 꽃벽 시스템의 기본 골격을 이루고, 상기 골조프레임에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을 부착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그 사이 공간에 흙을 다져넣어 흙벽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패널에는 흙벽측으로 요입된 포트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포트홈에는 다수의 소통공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흙벽이 수분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흙벽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장치는 상기 골조프레임의 내부 혹은 외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홈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포트묘가 자중에 의하여 고정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다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의 물을 상기 흙벽으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 및 펌프를 제어하여 급수간격과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로 구성되어, 상기 저수탱크와 펌프 그리고 펌프와 흙벽을 연결하는 배관들을 통하여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흙벽에 급수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
  4. 제 1 항의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
    조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관과 포트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을 형성하고 있는 조화꽂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홈에는 상기 조화판의 고정단을 삽입하기 위한 고정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KR1020020049525A 2002-08-21 2002-08-21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KR20040017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525A KR20040017456A (ko) 2002-08-21 2002-08-21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525A KR20040017456A (ko) 2002-08-21 2002-08-21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974U Division KR200297331Y1 (ko) 2002-08-22 2002-08-22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456A true KR20040017456A (ko) 2004-02-27

Family

ID=3732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525A KR20040017456A (ko) 2002-08-21 2002-08-21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4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27B1 (ko) * 2008-06-06 2010-07-20 요시자카호소 가부시키가이샤 입체화단 장치 및 입체화단의 형성방법
KR101105543B1 (ko) * 2010-12-16 2012-01-17 배문옥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101414933B1 (ko) * 2012-03-06 2014-07-04 김정권 실내외 조경용 장식물
CN110154623A (zh) * 2019-05-22 2019-08-23 深圳市方森园林花卉有限公司 一种绿雕骨架及其绿雕制作工艺
WO2021025427A1 (ko) * 2019-08-05 2021-02-11 주식회사 흙지움 벽면녹화 식재용 흙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452A (ja) * 1997-07-25 1998-03-10 Yutaka Fukuzumi 壁面緑化方法
KR200241121Y1 (ko) * 2001-04-24 2001-10-12 황금택 자동적 급·배수식생 꽃 조형물
KR200257447Y1 (ko) * 2001-09-13 2001-12-24 김용백 자동급수 및 회전이 가능한 광고 겸용 꽃탑
KR100375935B1 (ko) * 2001-01-20 2003-03-15 김명순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452A (ja) * 1997-07-25 1998-03-10 Yutaka Fukuzumi 壁面緑化方法
KR100375935B1 (ko) * 2001-01-20 2003-03-15 김명순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KR200241121Y1 (ko) * 2001-04-24 2001-10-12 황금택 자동적 급·배수식생 꽃 조형물
KR200257447Y1 (ko) * 2001-09-13 2001-12-24 김용백 자동급수 및 회전이 가능한 광고 겸용 꽃탑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27B1 (ko) * 2008-06-06 2010-07-20 요시자카호소 가부시키가이샤 입체화단 장치 및 입체화단의 형성방법
KR101105543B1 (ko) * 2010-12-16 2012-01-17 배문옥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101414933B1 (ko) * 2012-03-06 2014-07-04 김정권 실내외 조경용 장식물
CN110154623A (zh) * 2019-05-22 2019-08-23 深圳市方森园林花卉有限公司 一种绿雕骨架及其绿雕制作工艺
CN110154623B (zh) * 2019-05-22 2021-02-19 深圳市方森园林花卉有限公司 一种绿雕骨架及其绿雕制作工艺
WO2021025427A1 (ko) * 2019-08-05 2021-02-11 주식회사 흙지움 벽면녹화 식재용 흙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0735B1 (en) Vertical hydroponic tower array fixture system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US20080000153A1 (en) Temporary Structural Body for Seeding and Planting
KR20110136304A (ko) 수경화분 및 수경재배장치
KR101275618B1 (ko) 자연을 도입한 열주형 조형석산 및 이의 조성방법
JPH06253684A (ja) 建物壁面植栽方法及び植栽具
KR20040017456A (ko)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0297331Y1 (ko)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KR200295104Y1 (ko)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KR101057573B1 (ko) 공중정원 및 고공폭포
CN210671434U (zh) 一种紧密型室内植物景墙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JPH0112592Y2 (ko)
CN200952194Y (zh) 立体绿化环保型墙体
KR100540532B1 (ko)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KR200295103Y1 (ko) 포토받이를 이용하여 초화나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RU76774U1 (ru)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KR20040017458A (ko)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CN218831411U (zh) 一种可自动施肥阶梯式种植架
CN213881045U (zh) 直栽式带活动污水箱花架
KR20040017457A (ko) 포토받이를 이용하여 초화나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CN214482188U (zh) 一种园林生态花境栽植装置
CN217407165U (zh) 一种园林生态绿化墙
CN211323186U (zh) 智能化景观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