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104Y1 -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104Y1
KR200295104Y1 KR2020020024976U KR20020024976U KR200295104Y1 KR 200295104 Y1 KR200295104 Y1 KR 200295104Y1 KR 2020020024976 U KR2020020024976 U KR 2020020024976U KR 20020024976 U KR20020024976 U KR 20020024976U KR 200295104 Y1 KR200295104 Y1 KR 200295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wall
soil
tower
wal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영
Original Assignee
하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현영 filed Critical 하현영
Priority to KR2020020024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104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흙벽을 형성하여 자동급수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흙벽을 이용한 꽃탑, 꽃벽 시스템은, 골조프레임으로 꽃탑, 꽃벽 시스템의 기본 골격을 이루고, 상기 골조프레임에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을 부착하여 소정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소정공간에 토사를 채워서 흙벽을 형성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으로서, 상기 흙벽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끌어올려 상기 흙벽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저수탱크와 펌프, 그리고 흙벽을 연결해주는 배관으로 구성된 급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패널은 화초의 뿌리를 흙벽에 심을 수 있도록 소정 간격 마다 십자형의 식재공을 형성하고 있는데, 동절기에는 조화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식재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있는 조화 꽂이판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조화 꽂이판의 고정은 상기 외측패널에 고정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에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에 끼워고정되는 걸림턱을 조화 꽂이판에 형성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도 있다.

Description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Four seasons flower tower system which is consists of flower pot or artificial flower}
본 고안은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흙벽을 형성하여 자동급수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조경과 미화를 위하여, 또는 행사의 기념이나 안내를 위하여 도로의 곳곳에는 꽃탑, 꽃벽 등의 조형물(이하 꽃탑, 꽃벽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미화를 위한 꽃탑, 꽃벽 시스템은 조화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화초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조화를 이용한 꽃탑, 꽃벽 시스템의 경우에는 일단 설치후에는 별도의 관리가 필요치 않으나 화초에 의한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는 주기적으로 급수를 해주어야 꽃이 시들지 않고 싱싱함을 유지할 수가 있는데, 꽃탑, 꽃벽 시스템은 대체로 그 높이가 수미터에 달하므로 살수차를 동원하여 물을 살포하여 급수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급수방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화초들이 성장함에 따라 외부에서 불규칙하게 살포하는 것만으로는 뿌리부분까지 수분이 제대로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화를 이용한 꽃탑, 꽃벽 시스템들은 동절기에는 초화가 말라죽게 되어서 미관상 좋지 못하여, 사계절 내내 이용할 수 없어서 초화가 말라죽으면 철거하고, 초화가 생장할 수 있는 시기가 되면 재 설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꽃탑, 꽃벽 시스템에 있어서 급수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꽃탑, 꽃벽 시스템에 흙벽을 형성하고 상기 흙벽에 꽃탑, 꽃벽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화초를 하나 또는 수개의 흙벽에 식재하여서, 상기 흙벽에 급수장치의 배관을 연결함으로써, 꽃탑, 꽃벽 시스템에 간편하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를 식재하는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초화가 생장하지 못하는 시기에는 조화를 꽂아서 활용 할 수 있는 꽃탑, 꽃벽 시스템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급수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화 꽂이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에 따른 조화 꽂이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골조프레임 200 : 흙벽
210 : 내측판 220 : 외측판
222 : 십자형 식재공 300 : 급수장치
310 : 저수탱크 320 : 펌프
330 : 배관 400 : 조화 꽂이판
410 : 고정관 420 : 삽입부
430 : 걸림턱 440 : 고정브래킷
442 : 통공
본 고안의 흙벽을 이용한 꽃탑, 꽃벽 시스템은, 골조프레임으로 꽃탑, 꽃벽 시스템의 기본 골격을 이루고, 상기 골조프레임에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을 부착하여 소정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소정공간에 토사를 채워서 흙벽을 형성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으로서, 상기 흙벽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끌어올려 상기 흙벽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저수탱크와 펌프, 그리고 흙벽을 연결해주는 배관으로 구성된 급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패널은 화초의 뿌리를 흙벽에 심을 수 있도록 소정 간격 마다 십자형의 식재공을 형성하고 있는데, 동절기에는 조화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식재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있는 조화 꽂이판을 더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조화 꽂이판의 고정은 상기 외측패널에 고정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에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에 끼워고정되는 걸림턱을 조화 꽂이판에 형성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흙벽을 이용한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은 제작하고자하는 형태의 골격을 골조프레임(100)으로 형성한 후, 상기 골조프레임(100)에 내측판(210)과 외측판(220)을 부착하여 기본적인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골조프레임(100)은 철골, FRP, 플라스틱, PVC, 목재 등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제작하거나, 용접 또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 혹은 리베팅 등의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사출, 주조, 혹은 판금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외측판(220)은 파이텍스, 카펫트, 비닐, 비닐장판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소정간격마다 화초를 식재할 수 있도록 십자형의 식재공(222, 도 2참조)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내측판(210)은 식재공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상기 재질이외에 PVC, FRP, 철판, 합판등의 재질로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내측판(210)과 외측판(2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토, 흙, 인공용토, 스폰지 등을 채워넣어 흙벽(200)을 형성한다. 이렇게 흙벽(200)이 형성되면 외측판에 형성되어 있는 식재공(222)을 통하여 상기 흙벽에 화초의 뿌리를 심는다.
상기 흙벽(200)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장치(300)는 배관(330)이 흙벽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어서, 소정시간 마다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게 되는데, 흙벽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330)을 흙벽의 상단에만 연결하더라도 전체 흙벽에 수분이 고르게 공급되나, 그 크기가 커지면 도 3과 같이 소정 높이마다 배관(330)을 흙벽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급수장치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흙벽을 이용한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부분은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흙벽(200)에 화초가 식재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흙벽(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골조프레임에 부착되는 내측판(210)과 외측판(220) 사이 공간에 상토등의 흙을 채워서 형성되는 것이고, 외측판(220)에는 미리 십자형 식재공(222)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십자형 식재공(222)을 벌린후, 여기에 뿌리를 심어서 뿌리를 흙벽에 식재하게 된다. 이렇게 뿌리가 흙벽에 식재되면 도 1과 같은 원통형의 경우에는 단일 흙벽에 모든 화초의 뿌리가 식재되고, 따라서 흙벽에 수분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흙벽의 공극으로 수분이 전체 흙벽에 고르게 퍼지게 되고 상기 흙벽에 식재되어 있는 모든 화초의 뿌리에 수분이 공급된다. 꽃탑의 형상에 따라서는 단일 흙벽이 아닌 복수개의 흙벽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그 원리는 동일하다 하겠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의 급수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장치(300)는 다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탱크(310), 상기 저수탱크(310)의 물을 흙벽(200)의 상부로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320), 및 이들을 연결하는 파이프, 엑셀파이프, 노즐등으로 이루어진 배관(3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320)의 작동시간 및 작동회수는 제어기(240)를 통하여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240)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어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급수차를 이용하여 1일 1-2회 정도 상기 저수탱크(210)에 물을 공급하거나, 직접 저수탱크(210)에 수도관을 연결하고 볼탑을 설치하여 저수탱크의 저수량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꽃탑 상부의 높이가 5m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꽃탑의 흙벽에 단시간에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흙벽의 소정높이마다 수분이 침투할 수 있도록 배관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급수장치는 꽃탑의 내부공간에 설치하여 상기 급수장치로 인하여 꽃탑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불가피한 경우에는 꽃탑의 외부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화 꽂이판의 일시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 꽂이판(400)은 조화의 철심(45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관(410)과 조화 꽂이판(400) 전체를 지탱 고정하기 위한 삽입부(420)로 이루어 지는데, 상기 삽입부(420)는 조화가 꽂히는 반대방향에서 인출되어 형성되며,그 끝단은 쐐기형태를 지니고 있어서 흙벽(200)의 십자공에 삽입함으로써 고정되도록 한다.
도 5a 와 5b는 본 고안에 따른 조화 꽂이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조화 꽂이판(400)의 다른 형태의 고정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 꽂이판(400)의 일측에 걸림턱(430)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30)이 걸려서 고정될수 있는 고정브래킷(440)을 흙벽의 외부를 이루는 외측판(22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부착하여 상기 고정브래킷(440)의 통공(442)에 상기 걸림턱(430)을 삽입하고 걸어서 지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철판, PVC, 스테인레스 스틸, FRP, 플라스틱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를 식재하는 자동급수 꽃탑, 꽃벽 시스템은 모든 화초가 1개 혹은 수개의 흙벽에 식재되어 있어, 상기 흙벽에 급수를 함으로써 전체 화초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급수장치의 배관을 소정높이마다 상기 흙벽과 연결하도록하여 전체 흙벽에 수분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은, 조화 꽂이판의 저면에 삽입부를 형성하여 흙벽의 십자공에 삽입고정하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흙벽의 외주면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초화가 생장하지 못하는 동절기에는 조화를 이용하여 꽃탑, 꽃벽을 형성하여 사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는 꽃탑, 꽃벽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골조프레임으로 꽃탑, 꽃벽 시스템의 기본 골격을 이루고, 상기 골조프레임에 내측패널 및 외측패널을 부착하여 소정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소정공간에 토사를 채워서 흙벽을 형성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으로서,
    상기 흙벽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끌어올려 상기 흙벽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저수탱크와 펌프, 그리고 흙벽을 연결해주는 배관으로 구성된 급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패널은 화초의 뿌리를 흙벽에 심을 수 있도록 소정 간격 마다 십자형의 식재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있는 조화 꽂이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패널에 통공을 형성한 고정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있는 조화 꽂이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탑, 꽃벽 시스템.
KR2020020024976U 2002-08-22 2002-08-22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KR200295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976U KR200295104Y1 (ko) 2002-08-22 2002-08-22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976U KR200295104Y1 (ko) 2002-08-22 2002-08-22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527A Division KR20040017458A (ko) 2002-08-21 2002-08-21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104Y1 true KR200295104Y1 (ko) 2002-11-25

Family

ID=7312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976U KR200295104Y1 (ko) 2002-08-22 2002-08-22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1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53B1 (ko) 2007-04-12 2008-06-13 (유)꽃탑월드 꽃 조형물
KR101164127B1 (ko) 2012-03-15 2012-07-11 김찬수 꽃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53B1 (ko) 2007-04-12 2008-06-13 (유)꽃탑월드 꽃 조형물
KR101164127B1 (ko) 2012-03-15 2012-07-11 김찬수 꽃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0153A1 (en) Temporary Structural Body for Seeding and Planting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KR101803092B1 (ko) 벽면 녹화 시스템
KR100721809B1 (ko) 벽면형 조경 장치 및 제조방법
WO2004075629A1 (ja) 緑化体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200295104Y1 (ko)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JP2003023868A (ja) 屋上およびビル周囲の緑化のための植物栽培装置
JP2583819B2 (ja) 壁面緑化兼熱負荷低減設備
KR20040017456A (ko)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US20110232185A1 (en) Collapsible rack and row planters
KR20040017458A (ko)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KR200297331Y1 (ko) 흙벽에 포트홈을 형성하여 포트묘와 조화를 식재하는사계절용 꽃탑, 꽃벽 시스템
KR101057573B1 (ko) 공중정원 및 고공폭포
KR100540532B1 (ko)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KR20150002601U (ko) 수직형 실내 조경장치
JP2830991B2 (ja) ポール用プランター
CN213881045U (zh) 直栽式带活动污水箱花架
JP2008142044A (ja) 緑化パネル
CN211323186U (zh) 智能化景观树
KR200295103Y1 (ko) 포토받이를 이용하여 초화나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KR102342824B1 (ko) 수목용 물공급 장치
JP2001245541A (ja) 自動潅水装置を備えた立体花壇及びその花壇で用いる自動潅水装置及びコンテナー
KR200377755Y1 (ko) 조경용 꽃 설치탑
JP3279492B2 (ja) 高設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