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127B1 - 꽃 케이스 - Google Patents

꽃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127B1
KR101164127B1 KR1020120026799A KR20120026799A KR101164127B1 KR 101164127 B1 KR101164127 B1 KR 101164127B1 KR 1020120026799 A KR1020120026799 A KR 1020120026799A KR 20120026799 A KR20120026799 A KR 20120026799A KR 101164127 B1 KR101164127 B1 KR 101164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case
case body
back plat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102012002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2007/048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plant p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기념일을 알 수 있도록 꽃을 포장 및 진열하여 꽃을 오랫동안 보면서 각종 기념일(생일, 결혼기념일 등)을 더욱 뜻깊게 기념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는, 배면판(11), 상기 배면판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12), 상기 측벽에 구비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판에 형성되며 내부에 꽃이 꽂히는 꽃 꽂이관(20)을 포함하며, 상기 꽃 꽂이관은 상기 배면판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상기 배면판에 형성된 통공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Description

꽃 케이스{FLOWER CASE}
본 발명은 꽃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념일을 알 수 있도록 꽃을 포장 및 진열하여 꽃을 오랫동안 보면서 각종 기념일(생일, 결혼기념일 등)을 더욱 뜻깊게 기념할 수 있는 꽃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마움의 표시나 사랑의 표현 및 존경의 마음을 대변하기 위하여 상대방에게 선물을 사주거나 아름다움의 상징인 꽃을 선사하는데, 꽃 자체이 아름다움과 이를 두배 세배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꽃을 포장하는 기술은 나날이 새로워져 받는 사람의 즐거움을 더해주고 있다.
참고로, 꽃은 각종 축하의 자리에 빠짐없이 등장하며, 결식에 꽃을 사용하게된 기원은 기원전 4세기경 신부가 머리에 화관을 사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머리에 쓰는 풀과 꽃의 향기가 신부를 모든 악령으로부터 보호한다는 믿음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부케란 장식용이나 증정용 꽃이나 식물 잎을 한 다발 묶어 놓은 꽃다발을 의미하며, 1500년경 도시 신부들이 실크리본과 마른 벼이삭을 들고 입장했는데 이때 벼이삭은 다산의 의미를 두고 있었다.
20세기 전후에 새로운 시대 개막과 함께 개성을 나타내는 여러 스타일의 부케가 등장하였으며, 현재의 결혼식에는 부케나 화관뿐만 아니라 결혼식에 사용되는 이벤트 차량에 이르기까지 꽃장식을 사용한다.
결국, 꽃장식은 인류가 발전하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결혼식 뿐만 아니라 각종 시상식에도 많이 등장하고, 특히 연인들끼리 사랑의 징표로서 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그리고, 꽃바구니에 꽃을 담아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고, 꽃을 받은 사람도 상기 꽃바구니와 함께 꽃을 보관토록 함으로써보다 장시간동안 꽃을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요즘에는 꽃바구에도 인터리어 기능이 추가되어 꽃바구니를 통째로 사용하더라도 집안 분위기를 돋는데 전혀 어색함이 없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꽃바구니를 통해 꽃다발을 실장하는 것이 많이 등장하여 보다 차별화된 서비스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신선미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보다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 꽃바구니는 한번 보고 단순히 예쁘다는 것으로 지나가게 되어 강렬한 이미지를 선사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꽃 바구니를 이용한 포장은 대개 바구니의 단조로운 형태와 리본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공개특허 제10-2007-69836호 등록특허 제10-0379906호 공개특허 제10-2004-09561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념일을 알 수 있도록 꽃을 포장 및 진열하여 꽃을 오랫동안 보면서 각종 기념일(생일, 결혼기념일 등)을 더욱 뜻깊게 기념할 수 있는 꽃 케이스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는, 배면판, 상기 배면판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 상기 측벽에 구비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판에 형성되며 내부에 꽃이 꽂히는 꽃 꽂이관을 포함하며, 상기 꽃 꽂이관은 상기 배면판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상기 배면판에 형성된 통공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를 기념일에 맞는 디자인으로 하고 개개의 꽃을 꽃꽂이관에 꽂아 기념일에 맞는 형태로 선물을 하고 꽃 케이스를 실내 등 원하는 곳에 비치함으로써 받는 사람 입장에서 볼 때 기념일을 더욱 소중하게 간직할 수 있으므로 꽃의 가치를 높일 수 있고 화훼농가의 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에 적용된 꽃 꽂이관이 분리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에 적용된 지지대와 조명등이 적용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에 적용된 지지대의 다른 예시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는, 크게 케이스 본체(10) 및 꽃(1)을 케이스 본체(1)에 꽂도록 하는 다수의 꽃 꽂이관(2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는 정면에서 꽃(1)이 보이도록 하면서 꽃(1)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배면판(11) 및 배면판(11)의 둘레부에 돌출 형성되는 측벽(12)으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는 도면에 도시된 하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기념일의 의미에 맞는 케익(생일 축하용), 신랑과 신부(결혼기념일, 결혼 축하용)의 형태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10)는 전방의 개방부를 막는 커버(13)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커버(13)는 내부에 수납된 꽃이 보이도록 투명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기념일을 보다 뜻깊고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도록 이벤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창(14)이 형성된다. 메시지 창(14)은 예를 들어, 평평한 판상으로 측벽(12)의 둘레부에 전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형태 또는 힌지에 의한 절첩식이 가능하고, 메시지가 적힌 카드가 끼워지거나 부착되는 방식, 메시지를 적을 수 있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
케이스 본체(10)의 측벽(12) 바람직하게 상부에는 손잡이(15)가 형성된다. 손잡이(15)는 꽃 케이스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힌지를 매개로 하는 절첩식으로 구성 가능하다.
손잡이(15)는 벽걸이용 행거로도 겸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벽에 설치된 행거핀 등에 걸려 거치된다. 따라서, 손잡이(15)에는 상기 행거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벽걸이공(15a)이 구비될 수 있다.
꽃 꽂이관(20)은 케이스 본체(10)의 배면판(11)의 전면에 전방을 향하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관형으로 꽃의 가지가 끼워진다. 따라서 꽃 꽂이관(20)은 꽃을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길이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꽃 꽂이관(20)은 후방이 막힌 구조일 수도 있고 후방도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다. 그러나, 꽃의 가지의 길이가 다양한 점을 감안할 때 모든 꽃이 일정한 길이로 꽂힐 수 있도록 꽃 꽂이관(20)은 후방도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꽃의 가지를 꽃 꽂이관(20)의 뒤쪽으로 빼내어 꽃의 위치를 맞춘 후 꽃 꽂이관(20)의 뒤쪽으로 돌출된 가지를 잘라냄으로써 모든 꽃의 위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직접 꽃을 원하는 길이로 연출할 수 있다.
꽃 꽂이관(20)은 배면판(1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꽃 꽂이관(20)은 분리식의 경우 꽃의 크기 등에 따라 적합한 길이의 것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파손시 파손된 것만 교체되어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분리식의 꽃 꽂이관(20)을 도시한 것으로, 꽃 꽂이관(20)의 둘레부(후방 단부 또는 후방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전방쪽으로 이격된 곳)에 지지턱(21)이 형성되고, 배면판(11)에는 꽃 꽂이관(20)이 끼워지는 통공(11a)이 형성된다. 꽃 꽂이관(20)은 배면판(11)의 후방에서부터 통공(11a)에 끼워지고 지지턱(21)에 의해 배면판(11)에 지지된다.
지지턱(21)은 꽃 꽂이관(20)의 위치도 맞출 수 있으며, 배면판(11)의 배면에 지지됨으로써 꽃의 무게로 인한 꽃 꽂이관(20)의 처짐 막고 꽃을 뽑을 때 자신이 케이스 본체(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케이스 본체(10)의 둘레부에는 지지대(30)가 형성된다. 지지대(30)는 케이스 본체(10)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케이스 본체(10)의 저부가 평면인 사각형 등이면 지지대(30)없이 케이스 본체(10)의 자립이 가능하므로 지지대(30)는 적용되지 않으며, 케이스 본체(10)의 저부가 좁은 디자인 예를 들어 하트 형태이면 지지대(30)가 적용된다.
지지대(30)는 케이스 본체(10)에 일체형(도 5)이거나 고정되거나 절첩형 등이 가능하고, 케이스 본체(10)를 지지하는 기능과 함께 꽃이나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첩형의 경우 지지대(30)는 케이스 본체(10)의 측벽(12)의 둘레부 또는 배면판(11)의 배면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일측이 힌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절첩되고, 케이스 본체(10)의 보관이나 운반시에는 케이스 본체(10)에 접히며 케이스 본체(10)를 세울 때 펼쳐져 사용된다.
지지대(30)는 힌지 반대쪽을 케이스 본체(10)의 둘레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록 잠금장치가 함께 구성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일측은 케이스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의 자유단부가 상기 지지대(30)를 덮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꽂힌 꽃을 조명할 수 있도록 조명등(40)이 적용된다. 조명등(40)은 LED 등 다양한 조명등이 사용 가능하며, 조명등(40)의 전선(41)은 꽃 꽂이관(20)을 통해 지지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배선되고, 플러그는 배면판(11)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등(40)은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조명등(40)에 의한 빛이 꽃을 향하도록 케이스 본체(10)의 내부면은 반사 코팅 등을 통해 빛의 반사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에 따르면, 꽃의 가지를 꽃 꽂이관(20)에 꽂는다. 이때, 꽃 꽂이관(20)이 분리형인 경우 꽃 꽂이관(20)을 다양한 형태로 결합한다.
그리고, 꽃을 꽂을 때 꽃의 가지의 길이가 서로 다를 것이므로 꽃의 가지를 꽃 꽂이관(20)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삽입한 후 꽃의 위치를 맞춘 후 꽃 꽂이관(20)의 밖으로 돌출된 부분의 가지를 잘라냄으로써 꽃을 꽂는다.
이와 같이 꽃을 꽂은 상태로 꽃 케이스를 판매 내지 자신이 직접 꽃을 꽂을 수 있다.
꽃이 꽂힌 꽃 케이스를 상대방에 선물하기 위하여 손잡이(15)를 잡고 휴대하며, 꽃 케이스를 선물받은 사람은 자신의 집에 책상 위에 올려놓거나 손잡이(15)의 벽걸이공(15a)을 이용하여 벽에 걸어 보관한다.
또한, 조명등(40)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고 스위치가 적용된 경우 스위치를 조작하여 조명등(40)을 점등하면, 조명등(40)에 의해 꽃이 조명되어 야간에 실내등을 소등하여도 실내 분위기를 자연적이고 이색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10 : 케이스 본체, 11 : 배면판
12 : 측벽, 13 : 커버
14 : 메시지 창, 15 : 손잡이
20 : 꽃 꽂이관, 21 : 지지턱
30 : 지지대, 40 : 조명등

Claims (8)

  1. 배면판(11), 상기 배면판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12), 상기 측벽에 구비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판에 형성되며 내부에 꽃이 꽂히는 꽃 꽂이관(20)을 포함하며,
    상기 꽃 꽂이관은 상기 배면판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상기 배면판에 형성된 통공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면서 꽃의 가지를 상기 배면판의 후방에서 자를 수 있도록 전후 양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꽃 꽂이관은 둘레부에 지지턱이 구비되며, 상기 배면판의 후방에서부터 상기 배면판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턱을 통해 상기 배면판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선이 상기 꽃 꽂이관을 따라 배선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꽃 꽂이관에 꽂힌 꽃을 조명하는 조명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벽에 형성되며 메시지를 쓰거나 카드를 부착할 수 있는 메시지 창(1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둘레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를 세워 지지하는 지지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벽에 설치된 못에 걸리는 하나 이상의 벽걸이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KR1020120026799A 2012-03-15 2012-03-15 꽃 케이스 KR10116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99A KR101164127B1 (ko) 2012-03-15 2012-03-15 꽃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99A KR101164127B1 (ko) 2012-03-15 2012-03-15 꽃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127B1 true KR101164127B1 (ko) 2012-07-11

Family

ID=4671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799A KR101164127B1 (ko) 2012-03-15 2012-03-15 꽃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85B1 (ko) * 2015-04-29 2016-10-28 석경용 입체형 제단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894Y1 (ko) * 2000-12-30 2001-07-03 김영철 장식용 조화 받침구
KR200295104Y1 (ko) 2002-08-22 2002-11-25 하현영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KR100751078B1 (ko) * 2006-12-09 2007-08-27 홍우진 조명용 조화
KR101114882B1 (ko) 2009-09-03 2012-02-22 민창빈 조립식 화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894Y1 (ko) * 2000-12-30 2001-07-03 김영철 장식용 조화 받침구
KR200295104Y1 (ko) 2002-08-22 2002-11-25 하현영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KR100751078B1 (ko) * 2006-12-09 2007-08-27 홍우진 조명용 조화
KR101114882B1 (ko) 2009-09-03 2012-02-22 민창빈 조립식 화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85B1 (ko) * 2015-04-29 2016-10-28 석경용 입체형 제단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3900B2 (ja) 花束展示装置
US20080038490A1 (en) Artificial Tree
US20030136277A1 (en) Germ protective cake cover
US20180279774A1 (en) Storage organizer
KR101164127B1 (ko) 꽃 케이스
KR20130134251A (ko)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KR20130119678A (ko) 수분을 공급하는 꽃 케이스
KR20130134252A (ko) 양방향 이상에서 꽃을 볼 수 있는 꽃 케이스
US6561464B2 (en) Stand for supporting bouquet holder
US20080072486A1 (en) Versatile 2-piece floral bouquet holder
US5878982A (en) Stand for supporting floral device
US20050045514A1 (en) Holiday ornament for displaying gifts and jewelry and holiday ornament assembly
US9791144B2 (en) Indoor holiday lights
US20110197485A1 (en) Denise's candle photo frames
KR101114882B1 (ko) 조립식 화환
US20130033200A1 (en) Sport christmas kit
KR200474763Y1 (ko) 높이 가변형 화환 받침대
JP5788633B2 (ja) 折りたたみ式生花飾り箱
KR200233509Y1 (ko) 이미지가 인쇄된 꽃
US11338610B2 (en) Ribbon decoration device
US20210161323A1 (en) Tree sash
JP3055165U (ja) ハンギングバスケットフラワーの携行用ケース
KR200285376Y1 (ko) 선물용 꽃바구니
JP3078182U (ja) 墓前用ローソクの風避け覆い
JP6167137B2 (ja) 花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