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251A -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 Google Patents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251A
KR20130134251A KR1020120057642A KR20120057642A KR20130134251A KR 20130134251 A KR20130134251 A KR 20130134251A KR 1020120057642 A KR1020120057642 A KR 1020120057642A KR 20120057642 A KR20120057642 A KR 20120057642A KR 20130134251 A KR20130134251 A KR 2013013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case
case body
pic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102012005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251A/ko
Publication of KR2013013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3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꽃의 휴대와 보관 및 진열이 용이하고, 케이스의 다양한 디자인과 사진을 통해 꽃과 함께 각종 기념일(생일, 결혼기념일, 어버이날 등)을 더욱 뜻 깊고 오랫동안 기념하고 추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꽃 케이스는, 전면을 향해 개방된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형성되며, 자신의 내부에 꽃이 꽂히어 상기 케이스 본체를 상기 꽃으로 장식하도록 하는 꽃 꽂이관(20)과; 사진이 교체 가능하게 수납되는 판상이며 상기 케이스 본체에 전방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사진이 상기 케이스 전면을 향해 진열되도록 하는 액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FLOWER CASE}
본 발명은 꽃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의 휴대와 보관 및 진열이 용이하고, 케이스의 다양한 디자인과 사진을 통해 꽃과 함께 각종 기념일(생일, 결혼기념일, 어버이날 등)을 더욱 뜻 깊고 오랫동안 기념하고 추억할 수 있는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마움의 표시나 사랑의 표현 및 존경의 마음을 대변하기 위하여 상대방에게 선물을 사주거나 아름다움의 상징인 꽃을 선사하는데, 꽃 자체이 아름다움과 이를 두배 세배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꽃을 포장하는 기술은 나날이 새로워져 받는 사람의 즐거움을 더해주고 있다.
참고로, 꽃은 각종 축하의 자리에 빠짐없이 등장하며, 결식에 꽃을 사용하게된 기원은 기원전 4세기경 신부가 머리에 화관을 사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머리에 쓰는 풀과 꽃의 향기가 신부를 모든 악령으로부터 보호한다는 믿음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부케란 장식용이나 증정용 꽃이나 식물 잎을 한 다발 묶어 놓은 꽃다발을 의미하며, 1500년경 도시 신부들이 실크리본과 마른 벼이삭을 들고 입장했는데 이때 벼이삭은 다산의 의미를 두고 있었다.
20세기 전후에 새로운 시대 개막과 함께 개성을 나타내는 여러 스타일의 부케가 등장하였으며, 현재의 결혼식에는 부케나 화관뿐만 아니라 결혼식에 사용되는 이벤트 차량에 이르기까지 꽃장식을 사용한다.
결국, 꽃장식은 인류가 발전하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결혼식 뿐만 아니라 각종 시상식에도 많이 등장하고, 특히 연인들끼리 사랑의 징표로서 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그리고, 꽃바구니에 꽃을 담아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고, 꽃을 받은 사람도 상기 꽃바구니와 함께 꽃을 보관토록 함으로써보다 장시간동안 꽃을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요즘에는 꽃바구에도 인터리어 기능이 추가되어 꽃바구니를 통째로 사용하더라도 집안 분위기를 돋는데 전혀 어색함이 없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꽃바구니를 통해 꽃다발을 실장하는 것이 많이 등장하여 보다 차별화된 서비스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신선미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보다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 꽃바구니는 한번 보고 단순히 예쁘다는 것으로 지나가게 되어 강렬한 이미지를 선사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꽃 바구니를 이용한 포장은 대개 바구니의 단조로운 형태와 리본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공개특허 제10-2007-69836호 등록특허 제10-0379906호 공개특허 제10-2004-09561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념일을 알 수 있도록 꽃을 포장 및 진열하여 꽃을 오랫동안 보면서 각종 기념일(생일, 결혼기념일 등)을 더욱 뜻 깊게 기념할 수 있고, 꽃뿐만 아니라, 사진, 사탕(초콜렛), 메시지 등도 함께 적용할 수 있는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는, 전면을 향해 개방된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형성되며, 자신의 내부에 꽃이 꽂히어 상기 케이스 본체를 상기 꽃으로 장식하도록 하는 꽃 꽂이관과; 사진이 교체 가능하게 수납되는 판상이며 상기 케이스 본체에 전방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사진이 상기 케이스 전면을 향해 진열되도록 하는 액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자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의 덮개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는 액자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액자부는 상기 덮개의 액자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액자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꽃 꽂이부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내부에 액세서리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덮개로 개폐되거나 상기 액자부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를 기념일에 맞는 디자인으로 하고 개개의 꽃을 꽂아 기념일에 맞는 형태로 선물을 하며 꽃 케이스를 실내 등 원하는 곳에 비치함으로써 받는 사람 입장에서 볼 때 기념일을 더욱 소중하게 간직할 수 있으므로 꽃의 가치를 높일 수 있고 화훼농가의 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사진을 함께 진열하여 연인들의 추억, 고인을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고, 꽃 이외에 사탕(초콜렛), 액세서리 등을 꽂거나 수납하여 기념일에 적합한 선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진을 기념일이나 목적, 장소 등에 맞는 것으로 교체가 용이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인 간에 추억을 되새기기 위한 사진을 넣어 선물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고인의 사진을 담아 납골당 등에 비치할 수 있고, 영정 사진을 담아 장례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에 적용된 액자부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에 적용된 수납부의 다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에 꽃을 꽂아 장식함과 아울러 사진을 진열하는 것으로, 사진은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를 이용하여 진열될 수 있고(실시예 1,2,3,4), 덮개 없이 케이스 본체에 직접 진열될 수도 있다(실시예 5).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는, 크게 케이스 본체(10) 및 꽃(1)을 케이스 본체(10)에 꽂도록 하는 다수의 꽃 꽂이관(20), 사진(2)을 진열하기 위한 덮개(30)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는 정면에서 꽃(1)이 보이도록 하면서 꽃(1)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배면판(11) 및 배면판(11)의 둘레부에 돌출 형성되는 측벽(12)으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는 도면에 도시된 하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기념일의 의미에 맞는 케익(생일 축하용), 신랑과 신부(결혼기념일, 결혼 축하용)의 형태, 네잎 클로버,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3)가 적용될 수 있다.
손잡이(13)는 바람직하게 측벽(12)에 형성되며 측벽(1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측벽(12)에 결합식으로 형성된다. 후자의 경우 꽃 케이스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손잡이(13)를 케이스 본체(10)에 힌지로 연결하여 절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손잡이(13)는 벽걸이용 행거로도 겸용될 수 있으며, 벽에 설치된 행거핀 등에 걸려 거치된다. 따라서, 손잡이(13)에는 상기 행거핀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벽걸이공이 구비되거나 벽걸이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꽃 케이스는 벽이나 천정 등에 매달아 비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외에 비치된 장식장, 테이블 등에 올려져 진열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지지대(14)가 적용된다. 지지대(14)는 케이스 본체(10)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저부가 뾰족하여 자립이 어려운 형태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하트 형태의 케이스 본체(10)에 적용되고, 자립이 가능한 형태(저부가 평면 상태인 것으로, 사각형, 클로버 등)의 케이스 본체(10)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지지대(14)는 케이스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절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절첩형의 경우 지지대는 케이스 본체(10)의 측벽(12)의 둘레부 또는 배면판(11)의 배면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일측이 힌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절첩되고, 케이스 본체(10)의 보관이나 운반시에는 케이스 본체(10)에 접히며 케이스 본체(10)를 세울 때 펼쳐져 사용된다.
지지대(14)는 힌지 반대쪽을 케이스 본체(10)의 둘레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록 잠금장치가 함께 구성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일측은 케이스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의 자유단부가 지지대(14)를 덮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
케이스 본체(10)는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별도의 클립으로 이웃하는 케이스 본체(10)를 결합하거나 조립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케이스 본체(10)는 사탕이나 액세서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5)가 형성된다. 수납부(15)는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예를 들어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의 개방부는 덮개(30)에 의해 폐쇄되어 수납된 액세서리 등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수납부(15)는 케이스 본체(10)의 디자인과 동일한 디자인(하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에서처럼, 수납부(15)는 동심원의 형태로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즉, 수납부(15)의 크기를 달리하며 다양한 크기의 사진도 진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납부(15)는 격벽의 형태이며, 따라서, 덮개(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케이스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수납부(15)의 안쪽과 바깥쪽에 서로 다른 꽃을 꽂도록 할 수도 있다.
케이스 본체(10)는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별도의 클립으로 이웃하는 케이스 본체(10)를 결합하거나 조립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꽃 꽂이관(20)은 케이스 본체(10)의 배면판(11)의 전면에 전방을 향하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관형으로 꽃의 가지가 끼워진다. 따라서 꽃 꽂이관(20)은 꽃을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길이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꽃 꽂이관(20)은 후방이 막힌 구조일 수도 있고 후방도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다. 그러나, 꽃의 가지의 길이가 다양한 점을 감안할 때 모든 꽃이 일정한 길이로 꽂힐 수 있도록 꽃 꽂이관(20)은 후방도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꽃의 가지를 꽃 꽂이관(20)의 뒤쪽으로 빼내어 꽃의 위치를 맞춘 후 꽃 꽂이관(20)의 뒤쪽으로 돌출된 가지를 잘라냄으로써 모든 꽃의 위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직접 꽃을 원하는 길이로 연출할 수 있다. 물론, 꽃(1)의 가지(1a)를 꽃 꽂이관(20)의 후방에서 자라는 것은 선택사항일 뿐이며, 가지(1a)를 자르지 않고 가지(1a)를 꽃 꽂이관(20)의 뒤쪽으로 빼내기만 하여도 꽃(1)의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꽃 꽂이관(20)은 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케이스 본체(10)의 두께에 따라 케이스 본체(10)에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포함된다.
꽃 꽂이관(20)은 배면판(1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꽃 꽂이관(20)은 분리식의 경우 꽃의 크기 등에 따라 적합한 길이의 것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파손시 파손된 것만 교체되어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리식의 꽃 꽂이관(20)은 둘레부(후방 단부 또는 후방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전방쪽으로 이격된 곳)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0)의 배면판(11)에는 꽃 꽂이관(20)이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된다. 꽃 꽂이관(20)은 배면판(11)의 후방에서부터 상기 통공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턱에 의해 배면판(11)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턱은 꽃 꽂이관(20)의 위치도 자유롭게 맞출 수 있으며, 배면판(11)의 배면에 지지됨으로써 꽃의 무게로 인한 꽃 꽂이관(20)의 처짐 막고 꽃을 뽑을 때 자신이 케이스 본체(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분리식 꽃 꽂이관(20)에 따르면, 꽃 꽂이관(20)의 삽입 위치에 따라 꽃(1)의 배열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즉, 꽃(1)을 꽂기 전에 꽃 꽂이관(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바꾸어 보면서 꽃(1)의 배열 형태를 예측하여 취향에 맞는 형태로 꽃(1)을 꽂을 수 있다.
꽃 꽂이관(20)의 후방이 개방되면 꽃 케이스의 후방에 다수의 통공이 보이게 되어 미관상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마감판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판은 배면판(11)의 상기 통공의 노출을 막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고, 배면판(11)과 동질감을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므로 배면판(11)과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끼움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30)는 액자부(31)가 구비되어 사진(2)을 진열함과 아울러 케이스 본체(10)의 개방부를 덮는 기능을 겸한다.
덮개(30)는 꽃(1)과 사진(2)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처럼 둘레부에 케이스 본체(10)를 감싸는 턱(32)이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10)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물론, 덮개(30)는 끼움식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다.
액자부(31)는 예를 들어 덮개(30)의 배면에 사진(2)을 담을 수 있도록 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서처럼 사진(2)을 액자부(31)의 뒤에서 넣은 후 지지판(3)으로 사진(2)을 덮고 지지판(3) 뒤에서 고정편(4)을 고정함으로써 사진(2)을 수납하며, 사진(2)의 교체시 고정편(4)과 지지판(3)을 빼낸 후 액자부(131)안에 있는 사진(2)을 꺼내고 새로운 사진을 넣는 방법으로 교체한다. 여기서, 지지판(3)과 고정편(4)은 필수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액자부(31)는 케이스 본체(10)의 수납부(15)에 끼움 결합되어 수납부(15)를 폐쇄하는 기능도 겸할 수 있다. 액자부(31)는 덮개(30)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액자부(31)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액자부(31)는 사진(2)의 테두리(예를 들어 사각형의 사진이 경우 3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부를 통해 사진(2)을 통해 넣고 빼내는 구조도 가능하다.
액자부(31)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덮개(30)에 사진(2)을 적용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포함된다.
액자부(31)는 인화지 형태의 사진(2)을 넣는 것 이외에 프린팅, 접착 등도 가능하다.
액자부(31)는 사진(2)만을 넣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메시지(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등)가 적힌 시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수납부(15)와 액자부(31)가 함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납부(15)와 액자부(31)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만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 본체(10) 내부에 꽂힌 꽃을 조명할 수 있도록 조명등(미도시)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등은 LED 등 다양한 조명등이 사용 가능하며, 상기 조명등의 전선이 꽃 꽂이관(20)을 통해 지지됨으로써 꽃 꽂이관(20)을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선될 수 있다. 조명등이 적용된 경우 플러그는 배면판(11)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꽃 케이스에 따르면, 꽃(1)의 가지(1a)를 꽃 꽂이관(20)에 꽂는다. 이때, 꽃 꽂이관(20)이 분리형인 경우 꽃 꽂이관(20)을 다양한 형태로 결합한다.
그리고, 꽃 꽂이관(20)의 후방이 개방된 경우, 꽃(1)의 가지(1a)를 꽃 꽂이관(20)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삽입하고, 꽃(1)의 위치를 맞춘 후 꽃 꽂이관(20)의 밖으로 돌출된 부분의 가지를 잘라냄으로써 꽃(1)을 꽂는다. 물론, 꽃(1)의 가지(1a)를 자르지 않아도 꽃(1)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덮개(30)의 액자부(31)에 사진(2)을 넣고, 수납부(15)에 사탕이나 액세서리를 담아 선물할 수 있다.
손잡이(13)를 잡고 본 실시예의 꽃 케이스를 편하게 휴대하며, 꽃 케이스를 선물받은 사람은 자신의 집에 테이블 위에 올려놓거나 손잡이(13)의 벽걸이공 또는 벽걸이홈을 이용하여 벽에 걸어 보관한다.
또한, 조명등이 적용된 경우 조명등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고 스위치가 적용된 경우 스위치를 조작하여 조명등을 점등하면, 상기 조명등에 의해 꽃이 조명되어 야간에 실내등을 소등하여도 실내 분위기를 자연적이고 이색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덮개(30)를 케이스 본체(10)에 덮어 꽃 케이스를 완성하며, 정면에서 볼 때 꽃 케이스의 중앙에 사진(2)이 보이고 사진(2)의 둘레에 꽃(1)이 보이게 되며, 케이스 본체(10)의 디자인도 심미감을 주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진(2)에 담긴 추억과 함께 자연감을 느낄 수 있다.
<실시예 2>
도 4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는,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덮개(30)가 구성되지 않고 액자부(31)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자부(31)는 사진(2)을 넣고 수납부(15)를 덮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꽃 꽂이부[꽃 꽂이관(20), 구멍 등] 등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꽃(1)이 꽂히는 부분은 개방되어 꽃(1)을 케이스 본체(10)보다 튀어나오도록 꽂을 수 있고, 덮개를 열고 닫는 작업없이 꽃(1)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으며, 한편, 사진(2)을 교체하는 경우 액자부(31)만을 분리하여 사진(2)을 교체하고 수납부(15)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는, 꽃(1)이 꽂히는 부분을 덮는 덮개(33)와 액자부(31)가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33)와 액자부(31)는 각각 단품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덮개(33)는 중앙에 액자부(31)가 수용되는 액자수용부(33a)가 구비되면서 케이스 본체(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액자부(31)는 덮개(33)의 액자수용부(33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덮개(33)와 액자부(31)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덮개(33)와 액자부(31)가 각각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조합, 덮개(33)에 액자부(31)가 결합되어 액자부(31)만 분리 결합하면서 덮개(33)를 통해 덮개(33)와 액자부(31)를 함께 분리 결합도 가능한 조합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꽃(1)을 바꿀 때 덮개(33)를 분리하여 꽃(1)이 꽂힌 부분만 개방한 후 꽃(1)을 교체할 수 있고, 액자부(31)의 사진(2)을 교체하거나 수납부(15)에 수납된 액세서리를 넣거나 뺄 경우 액자부(31)만을 분리한다.
<실시예 4>
도 8과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는, 액자부(40)는 사진(2)(또는 메시지 시트)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판재이며, 케이스 본체(10)에 형성된다.
즉, 실시예 1 내지 3은 사진을 덮개에 넣는 것으로 구성되는데 반해, 본 실시예는 덮개를 사용하지 않고 사진(2)을 케이스 본체(10)에 넣는 것이고, 따라서, 덮개는 필수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액자부(40)는 사진(2)을 교체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케이스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사진(2)의 교체나 위치 변경을 감안할 때 케이스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액자부(40)의 적용을 위하여 별도의 구성을 형성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 적용되어 있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꽃 꽂이관(2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자부(40)의 배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41)를 형성하여, 고정돌기(41)를 꽃 꽂이관(20)에 끼움으로써 액자부(40)를 적용한다.
따라서, 고정돌기(41)가 꽂히는 꽃 꽂이관(20)을 선택함으로써 액자부(40)의 위치를 바꿀 수 있고, 2개 이상의 액자부(40)도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꽃 꽂이관(20)은 배면판(11)과 함께 케이스 본체(10)의 측벽(12)에도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꽃 꽂이관(20)은 배면판(11)에 형성되지 않고 측벽(12)에만도 형성 가능하고, 이 경우 측벽(12) 안쪽을 다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탕(초코렛), 인형 등의 액세서리 용품, 선물의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측벽(12)에 형성되는 꽃 꽂이관(20)은 배면판(11)에 형성되는 꽃 꽂이관(20)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단 측벽(12)에 꽂힌 꽃이 떨어지지 않도록 외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꽃 꽂이관(20)은 측벽(12)의 안쪽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측벽(1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꽃(1)과 사진(2)이 케이스 본체(10)의 일측을 향하는 것으로만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케이스 본체(10)의 구조 변경을 통해 꽃과 사진을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즉 2개소에 꽃과 사진을 적용할 수도 있다.
1 : 꽃, 2 : 사진
10 : 케이스 본체, 11 : 배면판
12 : 측벽, 13 : 손잡이
14 : 지지대, 15 : 수납부
20 : 꽃 꽂이관,
30,33 : 덮개, 31,40 : 액자부
32 : 턱,

Claims (8)

  1. 전면을 향해 개방된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멍 또는 관의 형태로 형성되며, 자신의 내부에 꽃이 꽂히어 상기 케이스 본체를 상기 꽃으로 장식하도록 하는 꽃 꽂이부과;
    사진이 교체 가능하게 수납되는 판상이며 상기 케이스 본체에 전방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사진이 상기 케이스 전면을 향해 진열되도록 하는 액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자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투명의 덮개(3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구멍 형태의 액자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액자부는 상기 덮개의 액자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는 내부에 액세서리를 수납하는 수납부(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액자부는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자부는 배면에 고정돌기(4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통해 상기 꽃 꽂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꽃 꽂이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꽃 꽂이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저부에 형성되며 바닥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를 세워 지지하는 지지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 케이스.
KR1020120057642A 2012-05-30 2012-05-30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KR20130134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42A KR20130134251A (ko) 2012-05-30 2012-05-30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42A KR20130134251A (ko) 2012-05-30 2012-05-30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51A true KR20130134251A (ko) 2013-12-10

Family

ID=4998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642A KR20130134251A (ko) 2012-05-30 2012-05-30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2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703B1 (ko) * 2015-10-15 2016-01-28 (주)서전기전 비상 발전기를 이용한 전기료 절감형 배전반 시스템
KR101638399B1 (ko) * 2016-01-29 2016-07-11 이희우 영정 사진틀
KR20200110063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지엘플래닛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생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703B1 (ko) * 2015-10-15 2016-01-28 (주)서전기전 비상 발전기를 이용한 전기료 절감형 배전반 시스템
KR101638399B1 (ko) * 2016-01-29 2016-07-11 이희우 영정 사진틀
KR20200110063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지엘플래닛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생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734464A1 (fr) Dispositif permettant de realiser des bouquets de fleurs sans avoir recours a des vases classiques et de les conserver
KR20130134251A (ko)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KR101164127B1 (ko) 꽃 케이스
US20080072486A1 (en) Versatile 2-piece floral bouquet holder
KR20130119678A (ko) 수분을 공급하는 꽃 케이스
KR20130134252A (ko) 양방향 이상에서 꽃을 볼 수 있는 꽃 케이스
GB2478038A (en) Ring bearing cane
US11338610B2 (en) Ribbon decoration device
Greenleigh et al. The days of the dead: Mexico's festival of communion with the departed
JP5788633B2 (ja) 折りたたみ式生花飾り箱
US9791144B2 (en) Indoor holiday lights
KR200493564Y1 (ko) 장식용 풍선손잡이 기구
JP7373141B2 (ja) 被飾体保持具
JP3193511U (ja) 記念品収納箱
KR200448286Y1 (ko)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JP3224182U (ja)
JP3037461U (ja) ブーケを立体的に収納した装飾用額
JP6167137B2 (ja) 花スタンド
JP3121142U (ja) 飾り台
KR20210001083U (ko) 꽃 풍선 장식 캐리어
JP3114408U (ja) ブーケ支持具及びその収納容器
JP3060629U (ja) 花卉容器
KR100741487B1 (ko) 수용함이 구비된 화환
Rose Time to get festive
US8505725B1 (en) Sand ceremon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