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86Y1 -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 Google Patents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86Y1
KR200448286Y1 KR2020100000629U KR20100000629U KR200448286Y1 KR 200448286 Y1 KR200448286 Y1 KR 200448286Y1 KR 2020100000629 U KR2020100000629 U KR 2020100000629U KR 20100000629 U KR20100000629 U KR 20100000629U KR 200448286 Y1 KR200448286 Y1 KR 200448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culpture
screen
present
wr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미
Original Assignee
이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2020100000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환(花環)을 대신하여 경조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경조사(慶弔事)용 병풍(屛風)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경조사(慶弔事)용 병풍(屛風) 조형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직사각형 프레임(3)으로 형성한 2개의 병풍부재(1,1')를 경첩(2)으로 서로 연결하여 접고 펼 수 있게 하며, 상기 병풍부재(1,1')에는 망(網) 구조의 꽃꽂이대(4)를 형성하고, 상기 병풍부재(1,1')의 꽃꽂이대(4) 후측에는 장식판(5)을 결합하며 상기 병풍부재(1,1')의 프레임(3) 상부에는 리본을 달 수 있는 리본걸이대(6)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병풍부재(1,1)를 입설(立設)할 수 있도록 받침대(7)를 결합하여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을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 단순하고 획일적인 장식의 화환 대신에 병풍 구조의 경조사용 조형물을 제공하여 더욱 기품있는 외관과 장식미를 부여하며 꽃의 낭비를 줄이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경조사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등의 이익이 있다.

Description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A folding screen - sculpture for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본 고안은 경조사(慶弔事)용 병풍(屛風)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풍 구조로 되어 화환(花環)을 대신하여 경조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식, 개업식 또는 장례식 등의 경조사에는 생화 등을 사용한 화환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화환은 그 외관미가 획일적이고 의례후 한번 사용하면 재활용할 수 없어 낭비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고 형식적인 의례 등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기존 화환과 같은 품위를 유지하면서도 화환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의례용 화환대체용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화환대체용품은 리본 외에 장식성을 전혀 부여하지 못함으로써 기존 화환이 갖는 화려함이나 장식미를 제공하지 못하여 경조사에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였고 특히 장식미와 더불어 경조사에 어울리는 기품있는 외관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하에 기존 화환대체용품 등에 대하여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0344호에는 짐받침대를 갖는 지게본체가 별도의 지게 지지봉에 의해 받쳐지는 지게본체 전면에 행사축하내용이 적힌 축하리본을 설치하고 후면의 짐받침대에는 선물이 담겨지는 망태기를 설치하여서 된 장식용 지게가 게재되어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4201호에 쌀의 포장에 사용될 외부 포장지를 화환 형태로 만들고 포장지 안에 쌀을 넣은 후 형태고정용 부목과 진공 공정을 통해 형태를 고정하고, 전시할 때 다리를 꽂아 전시가 용이하도록 하는 다리 삽입구가 포장지 외부에 부착된 쌀 포장지를 겸하도록 한 의례용 모형 화환이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966호에 모형 화환을 연상시키는 외관으로 되고 포장후 형태를 고정하여 유지할 수 있는 테두리 및 용기 내부에 돌출된 접착부위를 만든 용지를 포장재로 사용하여 용기에 쌀을 담은 후 의례내용을 도안한 포장지를 접착하여 모형 화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쌀포장 모형화환이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6850호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전면에 부착된 꽃그림이나 꽃사진과, 본체 측면에 생화를 탈부착가능하도록 하는 생화장착부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3개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는 내용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구가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는 기부용 쌀을 넣고 본체 배면에는 쌀을 기부받는 연락처를 기재하는 화환이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0960호에 전방에 적치프레임과 상측에 장식프레임이 형성된 프레임 본체의 적치프레임 상에 쌀, 보리, 소금 등과 같은 선을 적치할 수 있게 하고 장식프레임에는 장식부재로 장식하는 지게식 화환이 게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4222호에 경조사시에 화환을 대신하며 행사에 맞도록 장식물을 장식할 수 있으며 화환의 주 구성품이던 꽃을 대신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경제적인 물품을 수용할 수 있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경조사용 지지구조물에 대하여 게재되어 있다.
또한, 꽃과 함께 그림부재로서 장식성을 부각시킨 것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3923호에 게재되어 있으나 이는 꽃이 함께 사용됨으로써 기존 화환이 갖는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고 쌀 등의 부조, 기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
본 고안은 기존 화환을 대신할 수 있는 조형물을 제공하되 병풍(屛風) 구조로 조형물을 구성하여 화환 보다 뛰어난 장식미를 부여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병풍 구조로 기품있는 외관미를 제공하며, 사용후에는 재사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경제적 이익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병풍구조의 경조사용 조형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경조사(慶弔事)용 병풍(屛風) 조형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한 2개의 병풍부재를 경첩(2)으로 서로 연결하여 접고 펼 수 있게 하며, 상기 병풍부재에는 꽃꽂이대를 형성하고, 상기 병풍부재의 프레임 상부에는 리본을 달 수 있는 리본걸이대를 구비하며 하부에는 병풍부재를 입설(立設)할 수 있도록 받침대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풍부재의 꽃꽂이대는 망(網)구조로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풍부재의 꽃꽂이대 후측에 장식판을 결합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기존 단순하고 획일적인 장식의 화환 대신에 병풍 구조의 경조사용 조형물을 제공하여 더욱 기품있는 외관과 장식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꽃의 낭비를 줄이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경조사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등의 이익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기존 화환을 대신할 수 있도록 병풍 구조의 경조사용 조형물을 구성한 것이다.
2개의 병풍부재를 양측으로 배치하고 병풍부재는 경첩으로 서로 연결하여 접고 펼 수 있게 한다.
상기 양 병풍부재는 상하 길이방향의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구성하되, 프레임 사이에는 망체로 된 꽃꽂이대를 구비하고, 꽃꽂이대 후방에는 배경그림 등을 된 장식판을 결합한다. 또 상기 병풍부재에는 리본을 달 수 있는 리본걸이대를 구비하여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을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 사시도이다.
2개의 병풍부재(1,1')는 대칭되는 구성으로 양측에 배치하고 경첩(2)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하 길이방향의 직사각형 프레임(3)으로 병풍부재(1,1')를 형성한다, 병풍부재(1,1')의 프레임(3) 상부에는 리본을 달 수있는 리본걸이대(6)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병풍부재(1,1')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7)를 형성한다. 또, 상기 병풍부재(1,1')의 프레임(3) 사이에는 꽃을 달 수 있도록 꽃꽂이대(4)를 형성하고, 꽃꽂이대(4) 후방에는 장식판(5)을 결합한다.
상기 병풍부재(1,1')는 서로 이웃하는 부분의 프레임(3)을 경첩(2)으로 연결하여 양 병풍부재(1,1')를 마주보고 접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여러 각도로 벌려서 전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병풍부재(1,1')는 경첩(2)을 중심으로 완전히 펼치거나 소정 각도로 벌린 상태로 전개시켜 배치, 진열하고,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보관한다.
또, 상기 병풍부재(1,1')의 꽃꽂이대(4)는 강선과 인장력이 우수한 낚시줄과 등 같은 합성사나 철선 등의 재질로서 망(網)구조로 형성하여 꽃을 달아 장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꽃꽂이대(4)에 장식되는 꽃은 도 4와 같이 꽃의 줄기 부분을 가는 철선으로 망체에 감아서 결합하거나 테이프 등으로 부착하여 결합한다. 상기 꽃꽂이대(4)에는 망체로 구성되어 꽃과 함께 다양한 넝쿨식물로 꾸며서 화려하고 우아하게 장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꽃이 장식되는 병풍부재(1,1')의 꽃꽂이대(4) 후방에는 장식판(5)을 전방으로 오목하게 둥글게 부착하여 결합한다. 상기 장식판(5)은 전방 꽃꽂이대(4)의 배경이 되는 각종 그림이나 사진 등으로 실시한다.
한편, 상기 꽂꽂이대(4)가 형성된 병풍부재(1,1') 하부에는 병풍부재(1,1')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7)를 형성하여 병풍부재(1,1')가 안정적으로 입설(立設)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병풍 조형물은 여러 꽃을 병풍부재(1,1')의 꽃꽂이대(4)에 달아서 장식하고, 병풍부재(1,1')의 상부 리본걸이대(6)에 리본을 달아 경첩(2)을 중심으로 양 병풍부재(1,1')를 전개시켜 배치, 진열함으로써 기품있는 외관의 장식미를 제공하게 된다.
또, 리본은 통상과 같이 보내는 이와 받는 이의 명칭이나 성명, 경조사 내용을 인쇄하여 양 병풍부재(1,1')의 각 리본걸이대(6)에 걸어서 장식하게 된다. 그리고 전시 및 사용이 완료된 조형물은 리본과 꽃꽂이대(4)의 꽃을 교체함으로써 간편히 재사용하는 것으로, 인조꽃을 꽃꽂이대에 장식한 경우에는 훼손된 부분의 꽃을 제거, 교체하여 재사용하고 생화의 경우에는 전부 또는 일부를 교체함으로써 조형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하여 각 부호별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1':병풍부재
2:경첩
3:프레임
4:꽃꽂이대
5:장식판
6:리본걸이대
7:받침대

Claims (3)

  1. 경조사(慶弔事)용 병풍(屛風) 조형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직사각형 프레임(3)으로 형성한 2개의 병풍부재(1,1')를 경첩(2)으로 서로 연결하여 접고 펼 수 있게 하며,
    상기 병풍부재(1,1')에는 꽃꽂이대(4)를 형성하고,
    상기 병풍부재(1,1')의 프레임(3) 상부에는 리본을 달 수 있는 리본걸이대(6)를 구비하며 하부에는 병풍부재(1,1)를 입설(立設)할 수 있도록 받침대(7)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풍부재(1,1')의 꽃꽂이대(4)는 망(網)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풍부재(1,1')의 꽃꽂이대(4) 후측에 장식판(5)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KR2020100000629U 2010-01-20 2010-01-20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KR200448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629U KR200448286Y1 (ko) 2010-01-20 2010-01-20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629U KR200448286Y1 (ko) 2010-01-20 2010-01-20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286Y1 true KR200448286Y1 (ko) 2010-03-29

Family

ID=4421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629U KR200448286Y1 (ko) 2010-01-20 2010-01-20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2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0984A2 (en) 2005-03-21 2011-11-30 Hanrim Postech Co., Ltd. Non-contact charg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579A (ja) * 2001-03-16 2002-09-24 Hamani Kasei Kk 屏風及び蝶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579A (ja) * 2001-03-16 2002-09-24 Hamani Kasei Kk 屏風及び蝶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0984A2 (en) 2005-03-21 2011-11-30 Hanrim Postech Co., Ltd. Non-contact charg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04385A (ja) 植物パッケージ輸送方法
US5085002A (en) Portable art object wall decoration
KR200448286Y1 (ko)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MX2008003866A (es) Contenedor para utilizarse con productos alimenticios y metodo de decoracion.
KR200448721Y1 (ko) 경조사용 조형물
KR20130134251A (ko) 사진의 진열이 가능한 꽃 케이스
JP3542466B2 (ja) 供物スタンド
KR20120120566A (ko) 접철식 경조사용 화환대
CN218738210U (zh) 一种花卉展示装置
CN113119644A (zh) 系列花篮
JP4022669B2 (ja) フルーツ用装飾器具
KR20120054505A (ko) 경조사용 화환
KR200474763Y1 (ko) 높이 가변형 화환 받침대
JP3123843U (ja) インテリア用品
CN210611704U (zh) 一种用纸浆做的花艺架构
KR20120102885A (ko) 3단 접이식 경조사용 화환 지게
JP3241373U (ja) 花束装飾付き瓶容器飲料ギフト
JP3060629U (ja) 花卉容器
KR101239001B1 (ko) 포장 상품을 이용한 화환 장식 구조물
KR20130010610A (ko) 쌀화환 받침대
JP5788633B2 (ja) 折りたたみ式生花飾り箱
JP3121142U (ja) 飾り台
CN208510472U (zh) 一种果园情景造型的食品柜
KR20130134252A (ko) 양방향 이상에서 꽃을 볼 수 있는 꽃 케이스
CN201227934Y (zh) 一种壁挂式装饰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