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505A - 경조사용 화환 - Google Patents

경조사용 화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505A
KR20120054505A KR1020110059766A KR20110059766A KR20120054505A KR 20120054505 A KR20120054505 A KR 20120054505A KR 1020110059766 A KR1020110059766 A KR 1020110059766A KR 20110059766 A KR20110059766 A KR 20110059766A KR 20120054505 A KR20120054505 A KR 20120054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pport
supporter
ornament
wr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김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근 filed Critical 김태근
Publication of KR20120054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2Apparatus for binding bouquets or wre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과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실내 또는 야외에 관계없이 현장에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경조사용 화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 또는 바닥면에 대하여 직각 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기울기로 세워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부착하여 축하 또는 근조를 위한 꽃 장식을 수행하도록 꽃을 실사인쇄한 바탕지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과 상측에 결합하여 바탕지를 보조하여 미적인 감을 고조시키는 장식물과,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결합 되어 베이스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여 농,수,축산물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경조사용 화환{A WREATH}
본 발명은 경조사용 화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조사 현장에서 설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휴대와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한 화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식장이나 기타 개업식장 또는 시설물의 준공식장 등과 같은 축하 행사장 또는 장례식장에는 그 행사에 대한 축하 혹은 근조의 표시로 축하 혹은 근조 화환을 보내 행사를 축하하거나 근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축하 또는 근조화환은 여러 종류의 생화를 받침대에 장식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하 또는 근조의 표시로 설치되는 화환은 관련 행사가 끝나면 다른 용도로 활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지기 때문에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불필요한 비용을 소요하게 되는 것은 물론, 행사자는 물론 화환을 보내는 사람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한 번 사용 후 버려지는 화환 대용으로 쌀이나 기타 농,축,수산물을 행사장에 설치하여 축하 또는 근조함으로써 화환과 함께 비치되는 농,축,수산물을 행사자가 개인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행사자의 의사에 따라 불우이웃돕기와 같은 나눔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화환은 종래에도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가 특허 제 1010327 호이며 이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경조사용 화환은,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며,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지며, 일측면에 평면상 직각으로 지지대(11)가 일측면상 좌우측면에 결합되어 지고, 일측면 상측에 고정부(12)가 형성되어 지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고정부(12)와 지지대(11)에 결합되어지도록 삽입부(21)가 형성된 다수의 측면장식물(20)과;
상기 본체부(10)의 타측면에 접합되어 장식하는 장식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타측면 하측에 결합되어지며, 종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자형태로 형성되며, 상측면에 쌀 포대(50)가 적재되어지는 받침부(40)와;
상기 받침부(40)의 상측면에 적재되어지며, 종이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대체물체로 채워지는 쌀 포대(50)을 포함하며,
상기 쌀 포대(50)의 표면과 받침부(40)의 정면에는 쌀 포대(50)의 정보와 판매자의 정보 및 로고를 기재하여 공급받은 대상자가 경조사가 끝난 뒤 판매자에게 연락하여 실제 내용물이 채워진 쌀 포대(50)를 공급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화환은, 본체부와 받침부가 종이 재질로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본체에는 종이나 프라스틱으로 형성된 장식부와 측면장식물 및 축하용 멘트와 화환을 보낸 사람의 이름이나 사명을 인쇄한 리본으로 장식하고, 받침부에 쌀포대를 안치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화환의 전체 높이가 2미터 전,후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화환을 별도의 공간에서 조립한 상태에서 행사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환을 골판지와 같이 두꺼운 종이 또는 나무 및 플라스틱재질로 2미터 높이로 만들고, 여기에 각종 장식물을 부착하여 완성하기 때문에 화환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일정규모이상의 작업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화환공급자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결국에는 화환의 원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화환을 완성하기 위하여 본체에 각종의 장식물과 리본을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하여 정밀하게 조립 또는 고정을 위한 테이핑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조립한 상태에서 행사장으로 화환을 운반하기 위하여 트럭과 같은 전문적인 운송수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조립된 화환을 행사장으로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과정에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본체에 조립된 장식물 등이 탈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 실제 행사장에 도착해서는 손상된 화환을 설치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화환을 이용하여 활용성을 높이면서 나눔을 위한 목적은 일부 달성할 수 있으나, 행사가 끝난 후 화환을 구성하는 본체와 장식물은 재사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져 쓰레기로 처리되고 있는 문제는 완전하게 해결하기 못 하는 등 여러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지면 또는 바닥면에 대하여 직각 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기울기로 세워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부착하여 축하 또는 근조를 위한 꽃 장식을 수행하도록 꽃을 실사인쇄한 바탕지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과 상측에 결합하여 바탕지를 보조하여 미적인 감을 고조시키는 장식물과,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결합 되어 베이스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여 농,수,축산물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로 경조사용 화환을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과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실내 또는 야외에 관계없이 현장에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별한 공간에서 미리 조립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여 행사장 현장에서 누구나가 간단하게 조립하여 화환을 설치하고 신속하게 해체하여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화환을 조립형태로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과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설치상태에서는 화환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면서 수려한 외관을 가지면서 화환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을 도시한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베이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도시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을 도시한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베이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도시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경조사용 화환(100)은, 지면 또는 바닥면에 대하여 직각 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기울기로 세워지는 베이스(101)와, 상기 베이스(101)의 전면에 부착하여 축하 또는 근조를 위한 꽃 장식을 수행하도록 꽃을 실사인쇄한 바탕지(102)와, 상기 베이스(101)의 양측과 상측에 결합하여 바탕지(102)를 보조하여 미적인 감을 고조시킬 수 있도록 종려나뭇잎이나 기타 관엽과 같은 장식물(103)과, 상기 베이스(101)의 배면에 결합 되어 베이스(101)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대(104)와, 상기 베이스(101)의 하측에 위치하여 쌀과 같이 농,수,축산물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105)로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101)는, 지지대(104)와 결합할 수 있도록 사방 가장자리에 결합공(110)을 형성하여 접거나 또는 말아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직물지나 합성수지(플라스틱)시트와 같은 재질로 구성하고, 행사장에 세워지므로 폭에 비하여 높이가 큰 직사각형태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101)의 배면에는 장식물(103)을 결합 또는 고정할 수 있도록 장식물결합수단(111)를 더 구비하는 데, 상기 장식물결합수단(111)은 베이스(101)의 배면에 장식물(103)을 슬라이딩 결합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결합포켓(112)를 다수개 형성하거나, 다른 예로서는 집게 또는 로프(113)를 구비하여 장식물(103)를 베이스(10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베이스(101)가 직물지일 경우에는 결합포켓(112)은 재봉으로 형성하고 합성수지재질일 경우에는 결합포켓(112)을 열접착 등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바탕지(102)는, 행사의 축하 또는 근조를 표시하기 위한 꽃을 실사인쇄하여 구성하고, 베이스(101)에 행사에 맞는 꽃을 실사인쇄할 수 있으나 접거나 말아서 보관하고 펼치는 과정에서 쉽게 손상되고 특히 직물지의 경에는 실사 느낌이 그대로 재현되지 않아 별도의 바탕지(102)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탕지(102)는 축하용 행사에 맞는 것과 근조에 맞는 것으로 각각 분리하여 구비하여도 될 것이나, 하나의 바탕지(102) 표면에는 축하용 행사에 맞는 것을 실사인쇄하고, 이면에는 근조에 맞는 것을 실사인쇄하여 구비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장식물(103)은, 베이스(101)의 가장자리를 돋보이게 할 수 있도록 종려나뭇잎이나 기타 관엽과 같은 관엽체(113)를 베이스(101)의 배면에 구비되는 장식물결합수단(111)의 결합포켓(112)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101)의 상단 양측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 행사축하 또는 근조 멘트를 문자로 표현하고 보낸사람의 이름 또는 상호를 표시하기 위한 축하멘트리본(114)과, 베이스(101)의 상단 중앙에 바탕지(102)와 함께 화환의 외관을 고조시킬 수 있도록 장식리본(115)으로 구성하고, 축하멘트리본(114)과 장식리본(115)은 장식물결합수단(111)을 구성하는 집게(113)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104)는, 개략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대바디(120)에 베이스(101)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4개)의 베이스암(121)과, 상기 베이스암(121)과 함께 베이스(101)를 직립 또는 후향경사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서포터(122)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바디(120)에는 베이스암(121)과 서포터(122)가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도록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접철슬로트(123)를 형성하고, 상기 접철슬로트(123)에는 펼쳐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암(121)과 서포터(122)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철슬로트(123)의 내벽에 통상적인 접힘방지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104)의 다른 예로서는, 행사가 외부에서 치루어질 경우 바람과 같은 외압에 의하여 베이스(101)가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모래 또는 물을 채워 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량체(125)를 구비한다.
상기 중량체(125)의 상부 중앙에는 수납인출 또는 다단으로 분리결합되는 구성의 서포터(126)를 결합할 수 있는 서포터홈(127)을 형성하고, 상기 서포터(126)의 중간위치와 상단에는 베이스(101)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베이스암(128)을 착탈할 수 있도록 착탈홈(129)을 형성한 베이스블록(130)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받침대(105)는, 베이스(101)의 하측에 전방에 위치하여 쌀과 같이 농,수,축산물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철로 부피가 축소될 수 있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박스 또는 베이스(101)와 바탕지(102), 장식물(103) 및 지지대(104)를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가지는 박스형태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할 것이다.
물론, 상기 지지대(104)를 구성하는 베이스암(121,128)의 끝단에는 베이스(101)에 형성되는 결합공(110)과 걸림 되어 베이스(101)를 긴장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걸림돌기(131)를 가지도록 하고, 베이스암(121,128)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경조사용 화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경조사용 화환(1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베이스(101)와 바탕지(102), 장식물(103), 지지대(104) 및 받침대(105)를 분리하여 말거나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트럭과 같은 전용의 운송수단이 필요 없고 일반적인 승용차의 트렁크 공간을 이용해서도 충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며, 사무실 등에서 보관하기 위한 많은 공간을 필요하지 않게 된다.
특히, 베이스(105)에 베이스(101)와 바탕지(102), 장식물(103), 지지대(104)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형태로 구성할 경우에는 더욱 이동과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보관을 위한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행사현장에 화환(100)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분리되어 있는 경조사용 화환(100) 구성품인 베이스(101)와 바탕지(102), 장식물(103), 지지대(104) 및 받침대(105)를 조립하여 화환(100)으로 완성하면 된다.
즉, 지지대(104)를 구성하는 지지대바디(120)에 형성되는 접철슬로트(123)에 힌지 결합 된 베이스암(121)과 서포터(122)를 펼쳐서 접철슬로트(123)에 수납되도록 하는 데, 그러면 접철슬로트(123)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힘방지돌기에 의하여 접철슬로트(123)에 펼쳐진 베이스암(121)과 서포터(122)가 쉽게 원래의 상태(접혀진)로 복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이스암(121)의 끝단에 구비되는 걸림돌기(131)를 베이스(101)의 사방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공(110)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베이스암(121)에 의하여 베이스(101)는 팽팽한 상태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지지대(104)의 다른 예의 경우에는, 중량체(125)에 형성되는 서포터홈(127)에 서포터(126)를 결합하고, 서포터(126)의 중간위치와 상단에 구비되는 베이스블록(130)에 형성되는 착탈홈(129)에 베이스암(128)을 결합한 후, 베이스암(128)의 끝단에 구비되는 걸림돌기(131)와 베이스(101)의 결합공(110)과 결합함으로서 베이스(101)와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베이스(101)가 펼쳐지면, 베이스(101)의 전면에 행사에 맞게 실제 꽃을 실사인쇄한 바탕지(102)를 밀착시킨 후 집게(113)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베이스(101)의 양측에는 축하멘트리본(114)을 집게(113)로 고정하여 베이스(101)의 아래로 내리고, 베이스(101)의 상단 중앙에는 장식리본(115)를 집게(113)로 고정한다.
동시에 베이스(101)의 상단과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포켓(112)에는 관엽체(113)를 수납하여 장식물(103)의 장식을 완료하게 된다.
장식물(103)의 장식이 완료되면 베이스(101)의 하측 전방에 받침대(105)를 위치시킨 후, 받침대(105)의 상면에 쌀과 같이 농,수,축산물을 안치하여 전시하거나, 실제 농,수,축산물은 행사자 또는 행사자가 지정하는 단체 또는 개인에게 바로 배송하고 받침대(105)에는 모형을 비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경조사용 화환(100)은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과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실내 또는 야외에 관계없이 현장에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등의 장점이 많은 발명이다.
100; 경조사용 화환 101; 베이스
102; 바탕지 103; 장식물
104; 지지대 105; 받침대
110; 결합공 111; 장식물결합수단
120; 지지대바디 121; 베이스암
122; 서포터 125; 중량체
130; 베이스블록

Claims (3)

  1. 지면 또는 바닥면에 대하여 직각 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기울기로 세워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부착하여 축하 또는 근조를 위한 꽃 장식을 수행하도록 꽃을 실사인쇄한 바탕지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과 상측에 결합하여 바탕지를 보조하여 미적인 감을 고조시키는 장식물과;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결합 되어 베이스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여 농,수,축산물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로 경조사용 화환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는, 지지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사방 가장자리에 결합공을 형성하여 접거나 또는 말아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장식물을 결합 또는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포켓 또는 집게 또는 로프로 구성하여 구비하는 장식물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물은,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돋보이게 할 수 있도록 결합포켓에 결합되는 관엽체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 양측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 행사축하 또는 근조 멘트를 문자로 표현하고 보낸 사람의 이름 또는 상호를 표시하는 축하멘트리본과, 상기 베이스의 상단 중앙에 외관을 고조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는 장식리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화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지지대바디에 베이스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끝단에 걸림돌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베이스암과, 상기 베이스암과 함께 베이스를 직립 또는 후향경사진 상태로 유지하는 서포터와;
    상기 지지대바디에 형성하여 베이스암과 서포터가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도록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접철슬로트와;
    상기 접철슬로트에 형성하여 베이스암과 서포터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접힘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화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외압에 의하여 베이스가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 수납인출 또는 다단으로 분리결합되는 서포터를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하는 서포터홈과;
    상기 서포터의 중간위치와 상단에는 베이스를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하도록 끝단에 걸림돌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베이스암을 착탈할 수 있게 착탈홈을 형성하여 구비하는 베이스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조사용 화환.
KR1020110059766A 2010-11-19 2011-06-20 경조사용 화환 KR20120054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1932 2010-11-19
KR2020100011932 2010-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505A true KR20120054505A (ko) 2012-05-30

Family

ID=4627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766A KR20120054505A (ko) 2010-11-19 2011-06-20 경조사용 화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45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69B1 (ko) * 2013-07-18 2015-06-25 김영락 화환용 인조 장식
KR20240000007U (ko) 2022-06-23 2024-01-02 김민석 교체 가능한 근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69B1 (ko) * 2013-07-18 2015-06-25 김영락 화환용 인조 장식
KR20240000007U (ko) 2022-06-23 2024-01-02 김민석 교체 가능한 근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3701C (en) Floral easel
KR20120054505A (ko) 경조사용 화환
US6546654B1 (en) Display stand
KR100894222B1 (ko) 경조사용 지지구조물
KR101403740B1 (ko) 벽걸이 화분프레임을 이용한 재활용이 가능한 화환
US20120227298A1 (en) Sign Exhibiting Kit
CN105644255B (zh) 一种组合式多功能婚庆拱门
KR200453264Y1 (ko) 조립식 경조사용 화환
US20010013188A1 (en) Collapsible decorative figures
KR20120120566A (ko) 접철식 경조사용 화환대
KR200453336Y1 (ko) 경조용 쌀 화환대
KR102653186B1 (ko) 크리스마스 트리
KR200397460Y1 (ko) 조립식 꽃상여
KR101150921B1 (ko) 조립식 쌀 화환
US20050255785A1 (en) Multipurpose souvenir kit
CN104718084B (zh) 卡片
KR200474763Y1 (ko) 높이 가변형 화환 받침대
KR200448286Y1 (ko) 경조사용 병풍 조형물
KR102126125B1 (ko) 조립식 포트화환
KR102143695B1 (ko) 조립식 a형 원형화환
JP3042836U (ja) 物品支持台
KR200173664Y1 (ko) 전시·광고물 부착용 프레임
KR20120102885A (ko) 3단 접이식 경조사용 화환 지게
KR200258673Y1 (ko) 영정 사진틀
JP3000239U (ja) 置 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