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125B1 - 조립식 포트화환 - Google Patents

조립식 포트화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125B1
KR102126125B1 KR1020180111736A KR20180111736A KR102126125B1 KR 102126125 B1 KR102126125 B1 KR 102126125B1 KR 1020180111736 A KR1020180111736 A KR 1020180111736A KR 20180111736 A KR20180111736 A KR 20180111736A KR 102126125 B1 KR102126125 B1 KR 10212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ort
holder
flower
wr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395A (ko
Inventor
신현창
나눔이 신
비야 신
Original Assignee
신현창
나눔이 신
비야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창, 나눔이 신, 비야 신 filed Critical 신현창
Priority to KR1020180111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1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4Christmas trees 
    • A47G33/08Christmas tree decorations
    • A47G33/0881Christmas tree decorations comprising means related to watering of the tree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화환 장식용 잎(110)과 포트화분 꽂이판(101),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 포트화분 꽂이(103), 포트화분(200)을 사용하여 조립식 포트화환을 제작하기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포트화환{prefabricated flowerpot wreath}
본 발명은 운반이 용이하도록 작은 크기와 부피로 분해하여 운반할 수 있고, 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하며 하단부에 바퀴를 달아 필요시 화환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의 조립식 포트화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조화환은 경축용으로 결혼식, 개업식, 발표회 등과 같은 경사 시와 장례식에 근조용으로 전달에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경조화환은; 대나무나 목재로 된 삼각형 다리 모양 지지대 받침 형태와 직립 모양에 플로랄 폼 받침대를 갖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플로랄 폼 받침대 전면부에 직육면체로 된 플로랄 폼을 철사로 묶어 상하 배열시키고, 고정 설치된 플로랄 폼에 여러 송이의 꽃이 꽂아진 화환을 배경으로는 장식된 꽃이 돋보일 수 있도록 초록색 계통의 천연 침엽수 잎사귀들을 배치시켜 구성 장식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화환대는; 너무 오래 사용하여 다리가 부러지거나 곰팡이가 생기고 갈라져 미관상 보기도 좋지 아니하며, 대나무나 목재로 된 조잡한 형태로 되어 있고; 장례식장이나 예식장에서 재생업자들이 화환을 다시 수거하여 재활용으로 또 다시 소비자에 재 공급, 판매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화환은 화환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여러 송이의 꽃 들을 직접 꽂아야하므로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에 따른 인건비등 가중되는 문제점도 수반된다.
또한, 종래의 포트식 화환은 목재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삼각형 다리 모양을 한 형태로 고정되어 설치되어있으며; 지게식 형태에 식물이 재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 지게부에 상부와 중앙 및 하부로 이루어지는 포트 설치대가 각각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포트 설치대에 포트가 수용되는 공간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다수 개 형성되는 포트프레임에 포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지만, 포트프레임에 포트를 꽂아 놓게 되면 경사각도에 의해포트가 너무 심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중에 수용 공간에서 포트가 쉽게 빠져버리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며, 전제면에 균일하게 포트를 꽂을 수 없으므로 전제적으로 화한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삭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36298(2017.05.10 등록)에는,
본 발명은 이용한 포트 꽂이형 화환용 포트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로 이루어진 기준목을"A"형으로 형성하여 기준목의 일정한 간격에 형성한 설치대 고정목의 폭에 따라서 설치한 설치대 고정목의 전방에서 고정된 후 포트 설치공에 식물이나 꽃 등을 식재한 포트를 꽂아 형성하며, 양쪽과 하측에 설치하는 화환 장식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지목의 연결이 용이한 지지목 연결수단을 제공하는 포트 설치대를 이용란 포트 꽂이형 화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게 형성된 기준목에서 접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지지대를 연결하고, 상기 기준목의 전방에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에 설치한 설치대 고정목의 전방에 꽃 또는 식물이 식재된 포트를꽂아 제공하는 포트 설치공의 하측으로 보호대와 받침대를 형성한 포트 설치대와, 상기 기준목의 외측으로 장식부를 갖는 호환장식을 설치하되; 상기 설치대 고정목이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설치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 경사면에 포트 설치대가 정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설치하며, 상기 기준목의 양쪽 전방에 설치한 장식 교정구에 화환장식을 결합하여 부채꼴 형태로 펼쳐 고정하는 화환장식 고정수단과; 상기 기준목의 사이에서 지지목을 연결하는 지지목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포트 꽂이형 화환에 있어서, 상기 화환장식 고정수단은 화환장식의 고정 결합부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화환장식의 양쪽 선단에 형성한 찍찍이를 기준목의 외측에 형성한 찍찍이에 고정하여 화환장식을 부채꼴 형태로 펼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97712(2016.02.19 등록)에는,
설치대는 상측은 크고 하측은 좁은 포트 설치공을 다수 개 형성하는 본체의 후방으로 후방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후방 돌출부는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포트 고정나사로 설치대 고정목에 고정하는 설치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이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돌출되는 포트 꽂이형 화환용 포트 설치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포트 설치공의 전방과 후방 및 포트 설치공의 사이에 보강대를 형성하며, 중앙의 포트 설치공이 중앙에 설치되는 경우 보다 양쪽 측면으로 설치하는 것이 더 후방 돌출부 방향으로 치우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6266(2014.11.21 등록)에는,
피라미드형 꽃탑 화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개의 몸체 기둥을 피라미드형태로 설치하고, 사각형의 포트대에 설치한 포트 설치공으로 이루어진 포트 설치대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결합함으로써 꽃탑의 형태로 이루어져 어느 방향에서나 화환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피라미드형 꽃탑 화환에 관한 것이 등록되어 있다.
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36298(2017.05.10 등록) 문헌 2.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1597712(2016.02.19 등록) 문헌 3.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1466266(2014.11.21 등록)
종래의 포트식 화환은 식물이 재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 바닥면에 대해 직각 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기울기로 세워지는 몸체를 포함하는 지게부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포트를 수용하도록 포트 수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포트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기준목 상측 중앙에서 후방으로 중앙에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지지대를 연결하게 되고; 기준목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 방향으로 설치대 고정목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목의 전면으로 다양한 꽃으로 장식하고; 그 배경으로는 장식된 꽃이 돋보일 수 있도록 초록색 계통의 천연 침엽수 잎사귀 들을 배치시켜 구성하게 된다.
식물이 재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 바닥면에 대해 직각 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기울기로 세워지는 몸체를 포함하는 지게부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 상기 포트를 수용하도록 포트 수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포트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게부에 상부와 중앙 및 하부로 이루어지는 포트 설치대가 각각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포트 설치대에 포트가 수용되는 공간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다수 개 형성되는 포트프레임에 포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지만; 포트프레임에 포트를 꽂아 놓게 되면 경사각도에 의해포트가 너무 심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중에 수용 공간에서 포트가 쉽게 빠져버리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며; 전제면에 균일하게 포트를 꽂을 수 없으므로 전제적으로 화한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기준목의 외측으로 설치하는 화환장식을 중앙부분의 고정 결합부를 고정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펼쳐진 화환장식의 양쪽 선단을 고정하기 위해서 스테플러스를 사용하게 되므로 한번 고정한 후에는 펼쳐진 상태로이동하는 과정에서 화환장식이 손상되고 한번 분리된 후에는 다시 고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결점과 “A” 형 지게식이라 설치와 이동시 번거로움이 많으며, 포트 화환의 미려함을 갖추지를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받침수단으로 면적이 넓은 지지판을 이용함에 따라 부피가 커 가조립상태에서의 취급 및 보관 시, 공간활용율이 떨어지게 되고, 또, 상기 평판형 지지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늘고 긴 지지대에는; 복수의 포트화환이 갖는 하중이 가해지거나 또는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지지판으로부터 쉽게 휘어지면서 균형을 잃고 쓰러지거나 부러져 수명을 다하게 되며,
지지판과 지지대의 분해조립 및 지지대와 각걸림구의 분해 조립시에는; 각기 나사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일일이 풀고 죄여주어야 하므로 분해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결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화환 장식용 잎(110)과 포트화분 꽂이판(101),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포트화분 꽂이(103), 포트화분(200)으로 구성되며,
포트화분 꽂이판(101)은 원판형상으로 14개의 육면체를 조합한 형태의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와 2개의 육면체 형태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를 가지며,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돌기(102-3)를 포트화분 꽂이판(101) 후면의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에 고정시키고,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는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돌기(102-2)를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의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102-2)를 꽂아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고정시키고,
포트화분 꽂이(103)는 포트화분 꽂이 탈착돌기(103-1)를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에 삽입 후, 밀어 포트화분 꽂이 고정구(101-2)에 고정시키며,
상기 화환 장식용 잎(110)을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걸쳐 고정시키며,
원형태의 포트화분 꽂이구(103-4)에 해당 수량의 포트 화분(200)을 삽입시켜 원하는 꽃이나 화초를 꽂아 화환을 장식하며, 필요 시 화환을 밀어 바퀴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로 구성된 조립식 포트화환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트화환은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조립식 포트화분 꽂이판(101)과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 포트화분 꽂이(103), 포트화분(200), 화환 장식용 잎(110)을 사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신속한 조립식 포트화환을 공급하고자 함이며, 합성수지 플라스틱재질로 다수개의 지지부재를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수개의 연결대로 이루어져 연결대에 의하여 분해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길이를 가능한 짧게 분해할 수 있어 운반 시 트럭이 아니더라도 소형 자가 용이나 버스, 택시, 지하철 또는 오토바이 등의 교통수단으로도 운반이 가능함으로서 화환의 운반에 소요되는 물류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납기에 맞추어 적시에 공급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조립식 포트화환의 상하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포트화환 꽂이판(101)에 작은 크기의 포트화분 꽂이(103)에 포트화분(200)이 거치가 가능하므로 화환을 입체적으로 장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꾸밈새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을 사용하여 낮은 높이로도 화환을 장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와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사용 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포트화분 꽂이구(103-4)에 포트화분(200)을 삽입하여 화환을 장식시키면 되기 때문에 종래의 화환 처럼 생화 또는 조화로 화환을 장식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설치와 이동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분해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른 화환의 제작 단가 및 설치 시간, 배송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수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트화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트화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트화환을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화분 꽂이판을 도시한 부속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를 도시한 부속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화분 꽂이를 도시한 부속 상세도.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는 조립식 포트화환을 제작하기위한 것으로,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화환 장식용 잎(110)과 포트화분 꽂이판(101),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포트화분 꽂이(103), 포트화분(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화분 꽂이판(101)은 원판형상으로 14개의 육면체를 조합한 형태의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와 2개의 육면체 형태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를 가지며,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돌기(102-3)를 포트화분 꽂이판(101) 후면의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에 고정시키고,
상기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는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돌기(102-2)를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의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102-2)를 꽂아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화분 꽂이(103)는 포트화분 꽂이 탈착돌기(103-1)를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에 삽입 후, 밀어 포트화분 꽂이 고정구(101-2)에 고정시키며,
상기 화환 장식용 잎(110)을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걸쳐 고정시키며,
원형태의 포트화분 꽂이구(103-4)에 해당 수량의 포트 화분(200)을 삽입시켜 원하는 꽃이나 화초를 꽂아 장식하여 포트화분 꽂이턱(103-5)에 걸쳐지는 형태의 구성으로 되는 조립식 포트화환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포트화환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볼트, 너트, 바퀴 및 포트화분(200)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트화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트화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트화환을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화분 꽂이판을 도시한 부속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를 도시한 부속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화분 꽂이를 도시한 부속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 화환 장식용 잎(110), 포트화분 꽂이판(101),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 포트화분 꽂이 고정구(101-2),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탈착구(101-3),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홈(101-4),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뭉치(102-1),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102-2),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탈착 돌기(102-3), 포트화분 꽂이(103), 포트화분 꽂이 탈착 돌기(103-1), 포트화분 꽂이 탈착 홈(103-2), 포트화분 꽂이 연결대(103-3), 포트화분 꽂이구(103-4), 포트화분 꽂이턱(103-5), 포트화분(200)으로 구성된 조립식 포트화환에 관한 것이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2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포트화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화환 장식용 잎(110)과 포트화분 꽂이판(101),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 포트화분 꽂이(103), 포트화분(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화분 꽂이판(101)은 원판형상으로 14개의 육면체를 조합한 형태의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와 2개의 육면체 형태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를 가지며,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돌기(102-3)를 포트화분 꽂이판(101) 후면의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에 고정시키고,
상기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는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돌기(102-2)를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의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102-2)를 꽂아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화분 꽂이(103)는 포트화분 꽂이 탈착돌기(103-1)를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에 삽입 후, 밀어 포트화분 꽂이 고정구(101-2)에 고정시키며,
상기 화환 장식용 잎(110)을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걸쳐 고정시키며,
원형태의 포트화분 꽂이구(103-4)에 해당 수량의 포트 화분(200)을 삽입시켜 원하는 꽃이나 화초를 꽂아 장식하여 포트화분 꽂이턱(103-5)에 걸쳐지는 형태의 구성으로 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조립되는 포트화환 꽂이판 연결대(102)는 포트화환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102-2)를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의 물 보충구에 꽂은 후, 수직형 플로랄폼 고정대의 플로랄 폼 고정구 전면부에 화환 장식용 잎(110)을 끼우며, 포트화환 꽂이판 연결대(102)의 포트화환 꽂이판 연결대 탈착 돌기(102-3)를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2-3)에 삽입하고 옆으로 밀어 포트화분 꽂이판(101)에 결합시키고,
다수 개의 포트화분 꽂이(103)는 포트화분 꽂이 탈착 돌기(103-1)를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에 삽입하고 옆으로 밀어 결합시키며,
포트화분 꽂이판(101)은 원판형상으로 14개의 육면체를 조합한 형태의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와 2개의 육면체 형태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를 가지며,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돌기(102-3)를 포트화분 꽂이판(101) 후면의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에 고정시키고,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는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돌기(102-2)를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의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102-2)를 꽂아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고정시키고,
포트화분 꽂이(103)는 포트화분 꽂이 탈착돌기(103-1)를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에 삽입 후, 밀어 포트화분 꽂이 고정구(101-2)에 고정시키며,
상기 화환 장식용 잎(110)을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걸쳐 고정시키며,
원형태의 포트화분 꽂이구(103-4)에 해당 수량의 포트 화분(200)을 삽입시켜 원하는 꽃이나 화초를 꽂고 화환 장식용 잎(110)으로 화환을 장식하며, 필요 시 화환을 밀어 바퀴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로 구성된 조립식 포트화환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방법인 것이다.
해체는 상기 역순으로 해체하는 방법인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 화환 장식용 잎(110), 포트화분 꽂이판(101),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 포트화분 꽂이 고정구(101-2),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탈착구(101-3),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뭉치(102-1),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102-2),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탈착 돌기(102-3),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탈착 홈(102-4), 포트화분 꽂이(103), 포트화분 꽂이 탈착 돌기(103-1), 포트화분 꽂이 탈착 홈(103-2), 포트화분 꽂이 연결대(103-3), 포트화분 꽂이구(103-4), 포트화분 꽂이턱(103-5), 포트화분(200).
상기 제3 화환지지대(10-2)의 화환지지대 탈착구(11) 상부 테두리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화환지지대 고정 사각돌기(13)에 수직형 플로랄폼 고정대(20) 하단부 화환지지대 고정 사각구(25)와 결합하여 제2 수직형 플로랄폼 고정대(20-2)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제2 화환지지대(10-2)와 제3 화환지지대
(10-3)는 볼트 관통공(14)에 볼트(80)와 너트(90)로 고정시키며,
상기 포트화분 꽂이판(101)은 원판형상으로 14개의 육면체를 조합한 형태의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와 2개의 육면체 형태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를 가지며;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돌기(102-3)를 포트화분 꽂이판(101) 후면의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에 고정시키며,
상기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는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돌기(10
2-2)를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의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20) 상부의 물 보충구
(22)에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를 꽂아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고정시키고,
상기 화환 장식용 잎(80)은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20) 상부의 물 보충구
(22)에 걸쳐 고정시키며,
상기 포포트화분 꽂이(103)는 포트화분 꽂이 탈착돌기(103-1)를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에 삽입 후; 밀어 포트화분 꽂이 고정구(101-2)에 고정시키며; 원형태의 포트화분 꽂이구(103-4)에 해당 수량의 포트 화분(200)을 삽입시켜 원하는 꽃이나 화초를 꽂아 장식하여 조립식 포트화환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방법인 것이다
.
해체는 상기 역순으로 해체하는 방법인 것이다.
화환지지대(10),제1 화환지지대(10-1), 제2 화환지지대(10-2), 제3 화환지
지대(10-3), 화환지지대 탈착구(11), 볼트 고정공(12), 화환지지대 고정 사각돌기
(13), 볼트 관통공(14), 수직형 플로랄폼 고정대(20), 제1 수직형 플로랄폼 고정대
(20-1), 제2 수직형 플로랄폼 고정대(20-2), 화환지지대 관통공(21), 물 보충구
(22), 물 공급구(23), 플로랄폼 받침대 탈착공(24), 화환지지대 고정 사각구(25)
, 플로랄폼 고정구(26), 화환지지대 고정뭉치(30), 화환지지대 탈착 돌기(31), 바퀴연결대 탈착구(32), 바퀴연결대 탈착공(33), 볼트 고정공(34), 볼트 관통공(35), 바퀴지지용 연결대(40), 제1 바퀴지지용 연결대(40-1), 제2 바퀴지지용 연결대(4
0-2), 제3 바퀴지지용 연결대(40-3), 제4 바퀴지지용 연결대(40-4), 바퀴 고정구
(41), 볼트 관통공(42), 바퀴(50), 바퀴 고정용 볼트(51), 볼트(60), 너트(70), 화환 장식용 잎(80),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포트화분 꽂이판(101),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 포트화분 꽂이 고정구(101-2),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탈착구(10
1-3),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뭉치(102-1),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102-2),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탈착 돌기(102-3),포
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탈착 홈(102-4), 포트화분 꽂이(103), 포트화분 꽂이 탈착 돌기(103-1), 포트화분 꽂이 탈착 홈(103-2), 포트화분 꽂이 연결대(103-3), 포트화분 꽂이구(103-4), 포트화분 꽂이턱(103-5), 포트화분(200),

Claims (3)

  1. 조립식 포트화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화환 장식용 잎(110)과 포트화분 꽂이판(101),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 포트화분 꽂이(103), 포트화분(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화분 꽂이판(101)은 원판형상으로 14개의 육면체를 조합한 형태의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와 2개의 육면체 형태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를 가지며,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돌기(102-3)를 포트화분 꽂이판(101) 후면의 포트화분 연결대 탈착구(101-3)에 고정시키고,
    상기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102)는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돌기(102-2)를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의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포트화분 꽂이판 연결대 고정 돌기(102-2)를 꽂아 조립식 화환 지지대(1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화분 꽂이(103)는 포트화분 꽂이 탈착돌기(103-1)를 포트화분 꽂이 탈착구(101-1)에 삽입 후, 밀어 포트화분 꽂이 고정구(101-2)에 고정시키며,
    상기 화환 장식용 잎(110)을 수직형 플로랄 폼 고정대 상부의 물 보충구에 걸쳐 고정시키며,
    원형태의 포트화분 꽂이구(103-4)에 해당 수량의 포트 화분(200)을 삽입시켜 원하는 꽃이나 화초를 꽂아 장식하여 조립식 포트화환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트화환.
  2. 삭제
  3. 삭제
KR1020180111736A 2018-09-18 2018-09-18 조립식 포트화환 KR10212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736A KR102126125B1 (ko) 2018-09-18 2018-09-18 조립식 포트화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736A KR102126125B1 (ko) 2018-09-18 2018-09-18 조립식 포트화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395A KR20200069395A (ko) 2020-06-17
KR102126125B1 true KR102126125B1 (ko) 2020-06-23

Family

ID=7113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736A KR102126125B1 (ko) 2018-09-18 2018-09-18 조립식 포트화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1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98B1 (ko) * 2015-07-17 2017-05-16 김영락 포트 설치대를 이용한 포트 꽂이형 화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266B1 (ko) 2013-07-25 2014-11-28 김영락 피라미드형 꽃탑 화환
KR101597712B1 (ko) 2015-07-17 2016-03-07 김영락 포트 꽂이형 화환용 포트 설치대
KR20170081825A (ko) * 2016-01-05 2017-07-13 신현창 조립식 화환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98B1 (ko) * 2015-07-17 2017-05-16 김영락 포트 설치대를 이용한 포트 꽂이형 화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395A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7344A (en) Party riser
US7770323B2 (en) Prefabrication type flowerpot block
US20050166449A1 (en) Vertical plant stand
KR101603205B1 (ko) 오아시스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화환받침대
KR101280475B1 (ko) 포트를 이용한 화환
KR102126125B1 (ko) 조립식 포트화환
KR200459808Y1 (ko) 화환 받침대
KR20170081825A (ko) 조립식 화환 지지대
US4171790A (en) Floral support
KR102195624B1 (ko) 조립식 바구니 화환
KR101251919B1 (ko) 포트식 축하 화환
KR20170081829A (ko) 조립식 화환 지지대
US7036954B1 (en) Modular candleholder assembly
KR101466266B1 (ko) 피라미드형 꽃탑 화환
KR102082574B1 (ko) 조립식 화환지지대
KR101597712B1 (ko) 포트 꽂이형 화환용 포트 설치대
CN207820637U (zh) 一种拼装式花盆
KR102143695B1 (ko) 조립식 a형 원형화환
KR20200054828A (ko) 원형화환
JP2001292642A (ja) システム植木鉢スタンド
KR102173893B1 (ko) 원형화환 장식용 잎
CN217547687U (zh) 一种长尾猫花架
KR200453336Y1 (ko) 경조용 쌀 화환대
CA3123431A1 (en) Bracket for securing vertically extending elements
CN210900659U (zh) 一种林业用树木栽培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