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824B1 - 수목용 물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수목용 물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824B1
KR102342824B1 KR1020210077320A KR20210077320A KR102342824B1 KR 102342824 B1 KR102342824 B1 KR 102342824B1 KR 1020210077320 A KR1020210077320 A KR 1020210077320A KR 20210077320 A KR20210077320 A KR 20210077320A KR 102342824 B1 KR102342824 B1 KR 102342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water
unit
storage unit
plant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균
Original Assignee
윤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균 filed Critical 윤석균
Priority to KR102021007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용 물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무에 설치되어 해당 나무 및 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토양으로 물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도시의 미관을 좋게한 수목용 물공급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나무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분할 형성되는 장치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치본체는; 상부 일측에 형성된 물공급부를 통해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 형성된 급수부를 통해 나무 및 토양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식재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개방형성되어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한 식물식재부와, 상기 식물식재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장치본체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한 결합수단과, 상기 식물식재부의 안쪽에 형성되어 마주보는 나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수단과 고정수단에 의해 물저장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용 물공급 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trees}
본 발명은 수목용 물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무에 설치되어 해당 나무 및 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토양으로 물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도시의 미관을 좋게한 수목용 물공급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건축단지 또는 가로수나 정원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많은 양의 나무가 식재되어 있다. 이렇게 식재된 나무가 잘 자라기 위해서는 나무가 식재된 토양에 정기적으로 적당한 양의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이렇게 식재된 나무는 날씨에 따라 비가 오는 경우, 자연적으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비가 거의 오지 않는 건조기에 해당될 경우 물의 공급이 부족하게 되어 수목이 고사[枯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관리인을 두어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비를 통해 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해당장소로 이동하여 물을 직접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물 공급방법은 상당히 번거로운 관리방식에 해당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해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무에 설치되어 적정량의 물을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159419호(수목용 자동 물공급 장치)에는 일 측이 단절된 튜브 형상으로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 주머니와, 상기 물 주머니 내부로 물을 주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물 주머니의 상부에 형성되는 급수부와, 상기 물 주머니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기 위하여 상기 물 주머니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부 및 상기 물 주머니를 지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홀이 구비되며, 상기 물 주머니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 C " 자 형태의 물이 채워진 튜브 형태의 물 주머니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물 주머니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내부에 채워진 물이 쉽게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고, 나무가 식재된 지면에 올려놓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나무의 뿌리부분이 외부로 보여지지 않아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과, 우천시 빗물이 흘러갈 때 이물질이 끼이게 되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거대한 물주머니에 의해 나무 주변을 통행하는 시민들의 진로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817466호(수목지주대 기능을 겸한 조합식 점적관수 물탱크)에는 부채꼴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수개의 물 저장통을 구비하며, 상기 물 저장통을 결합 시 가운데 부분에 수직 방향의 관통홀을 형성시켜, 상기 관통홀에 수목을 위치시키기 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수목의 뿌리에 공급하기 위한 관수부와, 상기 본체부를 바닥에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지주목을 삽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주목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역시 나무의 하단부 전체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고, 우천시 이물질이 쉽게 끼이고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주변 통행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무의 크기에 따라 본체부의 형상 전체를 바꾸어야 하기 때문에, 나무의 크기에 맞게 별도의 규격으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제10-1159419호 KR 제10-18174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나무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수목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나무가 식재된 토양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도시의 미관을 좋게하고 이물질이 끼이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민들의 통행이 자유롭게 한 수목용 물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나무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분할 형성되는 장치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치본체는; 상부 일측에 형성된 물공급부를 통해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 형성된 급수부를 통해 나무 및 토양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식재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개방형성되어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한 식물식재부와, 상기 식물식재부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장치본체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한 결합수단과, 상기 식물식재부의 안쪽에 형성되어 마주보는 나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수단과 고정수단에 의해 물저장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식물식재부의 양단부에 결합구멍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이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부재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와 식물식재부의 안쪽면은 나무의 크기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안쪽의 고정수단에 의해 나무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나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복수로 구비되며 식물식재부 내부와 관통되게 설치되는 나사조절봉과, 상기 나사조절봉의 일측에 형성되어 식물식재부 내부에서 공구를 통해 나사조절봉의 안쪽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의 반대편에는 복수의 나사조절봉 끝부분과 고정되어 나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무에 설치되어 성장에 필요한 물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수목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고, 물저장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도시의 미관을 해지지 않고 설치가능하며, 이물질이 끼이는 문제점 및 시민들의 통행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저장부의 상부에 식물식재부를 자체 형성하여, 나무의 주변으로 식물이 자라나는 형태로 꾸밀 수 있어서 도시의 미관을 좋게하고, 다양한 식물종을 나무와 함께 키울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목용 물공급 장치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목용 물공급 장치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장치본체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의 작동예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본체의 내부 구성 및 식물의 식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식재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물저장부의 하부에 지지대가 더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수목용 물공급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T)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분할 형성되는 장치본체(10);로 이루어진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나무의 크기에 따라 3개 이상으로 장치본체(10)가 분할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본체(1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형성된 물공급부(110)를 통해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하고, 하부에 형성된 급수부(120)를 통해 나무 및 토양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물저장부(100)와, 상기 물저장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식재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개방형성되어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한 식물식재부(200)와, 상기 식물식재부(20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장치본체(10)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한 결합수단(300)과, 상기 식물식재부(200)의 안쪽에 형성되어 마주보는 나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00);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수단(300)과 고정수단(400)에 의해 물저장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저장부(100)는 상부 일측에 물공급부(110)가 형성되어 도 2에서와 같이 물저장부(100)의 측면에서 내부에 물이 채워지도록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하부에 형성된 급수부(120)를 통해 나무 및 토양으로 물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급수부(120)의 형태는 짧게 형성되어 아래로 물을 떨어뜨리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길게 형성되어 토양으로 직접 물이 공급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원리는 관로의 형상을 통해 물저장부(100)의 물이 자동으로 배출되게끔 구성할 수 있고, 별도의 밸브를 통해 물 배출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물저장부(100)의 상부에는 식물식재부(200)가 형성되어 별도의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즉, 저장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저장부(100) 이외에 나무의 주변으로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한 식물식재부(200)를 함께 구성함에 따라, 나무의 주변으로 식물이 자라나는 형태로 꾸밀 수 있어서 도시의 미관을 좋게하고, 다양한 식물종을 나무와 함께 키울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상기 식물식재부(200)는 내부에 식재공간이 마련되어 흙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부는 개방되어 식재된 식물이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빗물에 의해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식물식재부(200)의 아래쪽에는 배수를 위해 내외부를 관통하는 배수구멍(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식재부(200)는 장치본체(10)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한 결합수단(300)과, 장치본체(10)를 나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물식재부(200)의 양단부에 결합구멍(31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310)이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부재(320)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300)이 식물식재부(200)에 형성됨에 따라, 나무에 복수의 장치본체(10)를 연결할 때 식물식재부(200)의 개방된 부분으로 결합수단(300)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결합수단(300)의 결합구멍(310) 및 볼트부재(320)는 식물식재부(200)에 채워지는 흙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적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저장부(100)와 식물식재부(200)의 안쪽면은 나무의 크기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안쪽의 고정수단(400)에 의해 나무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나무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나무의 크기를 고려하여 물저장부(100) 및 식물식재부(200)의 안쪽면 원호크기는 일반적인 나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물저장부(100)와 상기 식물식재부(200)는 나무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나무와 상기 물저장부(100) 및 식물식재부(200) 사이는 상하로 연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나무의 크기에 맞게 고정수단(400)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나무에 적용될 수 있고,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고정수단(400)은 도 4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며 식물식재부(200) 내부와 관통되게 설치되는 나사조절봉(410)과, 상기 나사조절봉(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식물식재부(200) 내부에서 공구를 통해 나사조절봉(410)의 안쪽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볼트머리(420)와, 상기 볼트머리(420)의 반대편에는 복수의 나사조절봉(410) 끝부분과 고정되어 나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판(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조절봉(410)은 식물식재부(200)에 복수 설치되는 것으로서, 식물식재부(200)의 안쪽방향(나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관통설치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있는 볼트머리(420)를 회전시켜 나사조절봉(41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볼트머리(420) 역시 식물식재부(200)의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처음 나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노출된 부분으로 작업자가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이후에는 식물식재부(200)의 내부에 채워지는 흙으로 인해 볼트머리(420)가 노출되지 않는 구조적 이점을 갖는다.
상기 밀착판(430)은 도 3,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내향 오목하게 만곡진 직사각형판 형태로 구비되어, 나사조절봉(410)의 끝부분에 고정되어 있으며 원호 형상의 판으로 되어 있어서 나무에 밀착 지지되는 구성이다. 즉, 하나의 밀착판(430)에 복수의 나사조절봉(4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나무의 형태에 맞게 각각의 나사조절봉(410)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나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판(430)은 약간은 휘어질 수 있도록 한 재질로 적용되어 나사조절봉(410)의 돌출 정도에 따라 약간의 변형은 허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무와 같이 지지능력이 떨어지게 될 경우, 고정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본체(10)가 설치된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장치본체(10)의 하부에는 물저장부(100)가 형성되어 있고, 물저장부(100)의 상부에는 식물식재부(200)가 자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나무와 관계없이 별도의 식물을 심어서 함께 키울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식물식재부(200)의 바닥면에 물저장부(10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한 연결구멍(210)이 더 형성될 경우, 식물식재부(200)로 공급되는 빗물이나 물이 물저장부(100)에 보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운 날씨에는 반대로 물저장부(100)의 물이 일부 증발하면서 식물식재부(200)에 있는 토양으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하여 양쪽의 성장을 모두 돕게 된다.
상기 연결구멍(210)의 윗부분에는 필터부재(500)가 더 구비되어 물저장부(100)에 보충되는 물에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물저장부(100)의 하부에 신축조절이 가능한 지지대(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수단(400)에 의해 물저장부(100)가 이격되게 설치되기는 하지만, 고정수단(400)에 부하를 줄이고 물저장부(100)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신축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대(600)가 더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T : 나무
10 : 장치본체 100 : 물저장부
110 : 물공급부 120 : 급수부
200 : 식물식재부 210 : 연결구멍
300 : 결합수단 310 : 결합구멍
320 : 볼트부재 400 : 고정수단
410 : 나사조절봉 420 : 볼트머리
430 : 밀착판 500 : 필터부재
600 : 지지대

Claims (4)

  1. 나무(T)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분할 형성되는 장치본체(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치본체(10)는;
    상부 일측에 형성된 물공급부(110)와, 하부에 형성된 급수부(120)를 통해 나무 및 토양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물저장부(100)와, 상기 물저장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식물식재부(200)와, 상기 식물식재부(20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장치본체(10)끼리 서로 결합되도록 한 결합수단(300)과, 상기 식물식재부(200)의 안쪽에 형성되어 마주보는 나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저장부(100)와 식물식재부(200)의 안쪽면은 나무의 크기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안쪽의 고정수단(400)에 의해 나무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나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400)은;
    복수로 구비되며 식물식재부(200) 내부와 관통되게 설치되는 나사조절봉(410)과, 상기 나사조절봉(4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식물식재부(200) 내부에서 공구를 통해 나사조절봉(410)의 안쪽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볼트머리(420)와, 상기 볼트머리(420)의 반대편에는 복수의 나사조절봉(410) 끝부분과 고정되어 나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판(4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물공급부(110)는 물저장부(100)의 측면에서 물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물저장부(100)와 상기 식물식재부(200)는 나무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나무와 상기 물저장부(100) 및 식물식재부(200) 사이는 상하로 연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밀착판(430)은 원호형상으로 내향 오목하게 만곡진 직사각형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밀착판(430)에 복수의 나사조절봉(410)이 고정되고,
    상기 물저장부(100)는 상기 결합수단(300)과 고정수단(4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물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00)은;
    식물식재부(200)의 양단부에 결합구멍(31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310)이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부재(320)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물공급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10077320A 2021-06-15 2021-06-15 수목용 물공급 장치 KR102342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20A KR102342824B1 (ko) 2021-06-15 2021-06-15 수목용 물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20A KR102342824B1 (ko) 2021-06-15 2021-06-15 수목용 물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824B1 true KR102342824B1 (ko) 2021-12-22

Family

ID=7916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320A KR102342824B1 (ko) 2021-06-15 2021-06-15 수목용 물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8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77Y1 (ko) * 2009-08-21 2010-04-13 김정엽 수목 지지구
KR101159419B1 (ko) 2009-11-20 2012-06-28 송홍식 수목용 자동 물공급 장치
KR20140106106A (ko) * 2013-02-26 2014-09-03 김창환 가로수 보호장치
KR20160059848A (ko) * 2014-11-19 2016-05-27 이종명 수목의 수분 및 영양제 공급장치
KR101817466B1 (ko) 2017-04-24 2018-01-11 이철수 수목지주대 기능을 겸한 조합식 점적관수 물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77Y1 (ko) * 2009-08-21 2010-04-13 김정엽 수목 지지구
KR101159419B1 (ko) 2009-11-20 2012-06-28 송홍식 수목용 자동 물공급 장치
KR20140106106A (ko) * 2013-02-26 2014-09-03 김창환 가로수 보호장치
KR20160059848A (ko) * 2014-11-19 2016-05-27 이종명 수목의 수분 및 영양제 공급장치
KR101817466B1 (ko) 2017-04-24 2018-01-11 이철수 수목지주대 기능을 겸한 조합식 점적관수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601B1 (ko) 증발작용 또는 빗물을 이용한 지중 관수장치
US20070062114A1 (en) Pot-in-pot growing system for plants
KR20110041451A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및 이의 설치방법
US20060026895A1 (en) Plant Support Fixture
KR102342824B1 (ko) 수목용 물공급 장치
KR200387463Y1 (ko) 가로등 및 전신주의 지주걸이용 화분
KR101344914B1 (ko) 수분 자동 공급장치
CN207201564U (zh) 一种提高种植成活率的假植储苗装置
CN2244294Y (zh) 建筑物内外绿化植物恒湿供水装置
WO2023285746A1 (fr) Mât multifonctionnel végétalisé
JP5187752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二重管ユニット
KR100945414B1 (ko)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JPH0724039Y2 (ja) 着生植物用鉢
KR102072294B1 (ko) 확장형 화분
JP2005110515A (ja) 棚式屋上緑化設備
KR20100032630A (ko) 공중정원 및 고공폭포
KR101034152B1 (ko) 옥상 녹화시스템
KR20080030871A (ko)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102075044B1 (ko) 조경용 화분
CN210202756U (zh) 一种用于移栽苗木的节水养护装置
KR200295104Y1 (ko) 흙벽을 형성하여 화초 또는 조화를 식재하는 사계절용꽃탑, 꽃벽 시스템
JP3048063U (ja) 着生植物着生用鉢
CN220383696U (zh) 一种岩石边坡植绿结构
CN213741132U (zh) 一种直立混凝土支护结构墙面的绿化装置
CN220307897U (zh) 一种植物培养用置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