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871A -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871A
KR20080030871A KR1020060097391A KR20060097391A KR20080030871A KR 20080030871 A KR20080030871 A KR 20080030871A KR 1020060097391 A KR1020060097391 A KR 1020060097391A KR 20060097391 A KR20060097391 A KR 20060097391A KR 20080030871 A KR20080030871 A KR 20080030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ert
mounting surface
vegetation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3728B1 (ko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9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7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3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및 조경시설물의 외벽을 따라 다수의 벽면녹화 조립체가 규격화된 형태로 편리하게 시공되고, 이러한 조립체에 다수의 식생 본체를 끼워 넣어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와 너비로의 녹화 혹은 벽면의 전면 녹화를 가능하게 하며, 파손이나 식생 고사 시 조립체 또는 식생본체의 교체가 가능한 벽면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장치는, 지면에 지지 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위에 조립형 프레임이 조립되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구비된 각 삽입체를 끼워 넣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면녹화, 덩굴식물, 식생매트, 조립형 프레임, 플렌터, 배수

Description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SECTIONAL FACADE GREENERY DEVICE}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에서 조립형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각각 조립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에서 조립체 지지 프레임과 조립형 프레임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에서, 매트형 삽입체와 고정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에서, 덩굴식물 지지형 삽입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에서 플랜터형 삽입체를 도시한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의 벽면 녹화장치 부착방법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벽면녹화 장치의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벽면 녹화장치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조립형 프레임 2 : 결합홈
3 : 결합돌부 4 : 고정용 볼트공
5 : 거치면 6 : 조립체 지지 프레임
10 : 매트형 삽입체 11 : 식생층
12 : 식생 기반층 13 : 고정재
14 : 고정틀 20 : 덩굴식물 지지형 삽입체
21 : 거치부 22 : 유도 프레임
23 : 플랜터형 삽입체 24 : 플랜터
25 : 배수요홈 26 : 배수 유도공
30 : 앵커 31 : 볼트
32 : 건물 외벽 40 : 덩굴식물
본 발명은 벽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및 조경 시설물의 외벽에 전면 녹화가 가능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도심 내에 충분한 녹지 환경의 조성이 가능하게 하며, 건축 및 조경 시설물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며, 도시 경관의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태의 벽면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식생이 아닌 두 개 이상의 식생 도입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 건축 및 조경시설물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심미적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벽면녹화 수단을 제공하며, 벽면 녹화장치 구조를 형성하는 조립형 프레임, 식생 도입을 할 수 있는 식생 매트, 플랜터를 포함하는 식생 본체, 조립형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포함되며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고층건물이 빽빽하게 들어선 도시 중심지는 인접한 교외지역에 비하여 평균기온이 높은 현상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도시열섬(Heat Island)현상이라고 하며, 이러한 현상은 콘크리트 빌딩의 밀집과 아스팔트 도로 포장 등 도시구조에서 비롯된다.
최근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심 내 구조물 시공시 친환경적인 시공이 요구되고 있으며, 도시의 생태적 기능유지와 개선을 목표로 하는 생태면적률을 높이기 위해 구조물의 옥상 녹화, 벽면 녹화가 추진되고 있다.
건축 및 조경 시설물의 벽면을 녹화하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화분을 이용한 발코니 녹화방법이나 유인장치를 이용하여 덩굴식물의 생장을 유도하는 녹화방법 등이 있으나, 녹화 범위를 정확하게 제한할 수 없으며, 주로 단일 식생이 사용되어 외관이 단순하고, 벽면의 높이가 높을 경우 전면 녹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식생포트를 이용한 플랜트형의 녹화방법도 적용되고 있으나, 벽면의 전면 녹화가 불가능하고, 설치가 번거로우며, 조잡하게 보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매트를 외벽에 부착하는 방법 등도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어느 정도 전면 녹화는 가능하지만 식물의 고사(枯死)나 열사(熱死)의 가능성이 있고, 식물에서 나오는 추출물이 외벽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심 내 녹지공간 확보를 통한 생태적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벽면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끼나 세덤류 등의 저관리형 식생 및 덩굴식물 등을 사용함으로써 저관리 뿐만 아니라 벽면의 다양한 구성에 따른 심미적인 효과를 증대시키는 벽면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면 녹화시 기존 건물은 물론 새로운 건물의 벽면을 녹화하며, 녹화면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한 조립형태의 벽면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로 방향으로 지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위에 세로 방향으로 조립되며, 좌우 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거치면이 구비되는 조립형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끼워져 설치되며 식물 등의 식생이 가능한 삽입체를 포함하여 조립성이 향상된 조립 형태의 벽면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구비되고, 하부면에는 소정 길이 돌출된 형상의 결합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부가 다른 조립형 프레임의 결합홈에 삽입된 뒤, 앵커 볼트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다수개의 상기 조립형 프레임이 서로 세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설치되는 삽입체는, 저관리되는 이끼나 세덤류 등의 식생을 할 수 있는 식생층과, 이끼나 세덤 등의 포자의 접종 및 생장이 가능하도록 수분, 양분 등을 함유할 수 있는 식생 기반층과, 상기 식생층 및 식생 기반층을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는 고정재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매트형 삽입체이고, 상기 매트형 삽입체를 고정할 수 있는 ‘ㄷ’자 형상의 고정틀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설치되는 삽입체는, 덩굴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토양이 존재하는 상부와, 수분이 정체하지 않도록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의 경계면을 관통하는 배수 요홈과, 하부의 하단 끝에는 배수 유도공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과다 수분으로 인한 뿌리 썩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랜터형 삽입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설치되는 삽입체는, 좌우 측면에는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결합되는 거치부가 구비되고,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격자살을 포함하는 덩굴식물 지지형 삽입체이며, 상기 가로 방향의 격자살보다 상기 세로 방향의 격자살이 더 길게 이루어진 유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우선, 도 1a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식생을 위한 각 삽입체들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인 조립체 지지 프레임(6) 및 조립형 프레임(1)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고하면, 가로 방향으로 지면에 맞닿을 수 있게 설치되는 조립체 지지 프레임(6)의 상부면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2)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이 결합홈(2)에 조립형 프레임(1)의 결합돌부(3)를 삽입한 후, 볼트(31)로 서로 고정함으로써 시공하도록 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고하면, 조립형 프레임(1)은 상부면에는 결합홈(2)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결합돌부(3)가 상기 결합홈(2)의 깊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홈(2) 및 결합돌부(3)에는 고정용 볼트공(4)이 가로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조립형 프레임(1)끼리 서로 끼워 넣은 후 서로 볼트(31)로 고정하여 시공하도록 되어 있다.
조립형 프레임의 좌우측면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거치면(5)은 삽입체(10, 20, 23; 도 2 내지 도 4b 참조)의 너비에 맞게 소정 깊이 및 폭으로 형성 되어 있어, 각 삽입체(10, 20 및 23)들은 거치면(5)을 따라 끼워 넣기 형식으로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거치면(5)의 하단에는 단부(5a)가 구비되어, 각 삽입체(10, 20, 23)의 아래쪽 단부가 상기 단부(5a)에 맞닿아 위치하면서, 아래쪽으로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c를 참고하여, 상기 조립형 프레임(1)의 거치면(5)에 설치되는 여러 종류의 삽입체(10, 20, 23)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고하면, 매트형 삽입체(10)에는 저관리되는 이끼나 세덤류 등의 식생층(11)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식생(11) 아래에 식생의 생장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식생기반층(12)이 구비되고, 맨 아래에는 단단한 고정재(13)가 결합되며, 전체 매트형 삽입체(10)의 형태를 잡고 거치면(5)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틀(14)에 끼워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덩굴식물 지지형 삽입체(20)의 좌우 측면에 조립형 프레임(1)의 거치면(5)에 결합될 수 있는 거치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거치부(21)의 사이에는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격자살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격자살은 가로 방향의 격자살보다 세로 방향의 격자살이 더 길게 이루어진 유도 프레임(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덩굴 식물 지지형 삽입체(20)와 플랜터형 삽입체(23; 도 5b 참조)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도 프레임(22)은, 거치면(5)의 깊이 때문에 상하부의 삽입체 사이의 간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식생의 생장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식생이 연속적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로 방향보다 세로 방향이 더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5a 내지 5c를 참고하면, 플랜터형 삽입체(23)의 하단에는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플랜터(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측면에 설치되는 거치부(21)와 상기 거치부(21) 사이에 설치되는 유도프레임(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랜터(24)는 이중으로 구성되어 상부(24a)에는 토양이 존재하며, 하부(24b)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부(24a)와 하부(24b) 사이의 경계면을 관통하는 배수요홈(25)이 형성되며, 플랜터(24) 하부 끝에는 배수 유도공(26)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터형 삽입체(23)의 플랜터(24)는 도 5b와 같이 상부(24a)와 하부(24b)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상부(24a)에는 토양이 존재하여 지면과 떨어진 높이에서 덩굴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생장환경의 조성이 가능하며, 하부(24b)는 빈 공간으로 되어 있어 토양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정체되지 않고 경계면 사이에 존재하는 배수요홈(25)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배수유도공(26)으로 빠져나감으로써 과다 수분으로 인한 뿌리 썩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6a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벽면 녹화장치를 벽면에 설치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결합돌부(3)에 대응하는 크기의 결합홈(2)이 형성된 조립체 지지 프레임(6) 위에, 전면을 관통하는 고정용 볼트공(4)을 가진 결합홈(2)과 결합돌부(3)를 구비하는 조립형 프레임(1)을 볼트(31)로 고정하고, 필요 높이만큼 각 조립형 프레 임(1)은 우선 결합홈(2)에 결합돌부(3)를 끼워 넣어 고정을 시킨다. 그 후, 앵커(30)를 박은 건물 외벽(32)에 맞추어 조립형 프레임에 볼트(31)로 조정하여 건물 외벽(32)과 조립형 프레임(1)이 안정되게 고정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체들(10, 20, 23)은 조립형 프레임(1)의 거치면(5)에 맞는 거치부(21)가 존재하여 단순 끼워넣기 형식으로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삽입체(10, 20, 23)는 전술한 조립형 프레임(1)에 끼워넣기 형식으로 이용하여 교체 가능하므로 삽입체(10, 20, 23) 내 식생의 고사나 훼손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장치에 의하면, 건축 및 조경시설물의 외벽을 따라 다수의 벽면녹화 조립체가 규격화된 형태로 편리하게 시공되고, 이러한 조립체에 다수의 식생 본체를 끼워 넣어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와 너비로의 녹화 혹은 벽면의 전면 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파손이나 식생 고사 시 조립체 또는 식생본체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극한 환경에서도 생장이 용이한 이끼, 세덤류 등의 식생매트와 담쟁이덩굴 등의 덩굴식물을 혼합하여 적용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에 있어 벽면의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가로 방향으로 지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위에 세로 방향으로 조립되며, 좌우 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거치면이 구비되는 조립형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끼워져 설치되며 식물 등의 식생이 가능한 삽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벽면녹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구비되고, 하부면에는 소정 길이 돌출된 형상의 결합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부가 다른 조립형 프레임의 결합홈에 삽입된 뒤, 앵커 볼트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다수개의 상기 조립형 프레임이 서로 세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벽면녹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설치되는 삽입체는, 저관리되는 이끼나 세덤류 등의 식생을 할 수 있는 식생층과, 이끼나 세덤 등의 포자의 접종 및 생장이 가능하도록 수분, 양분 등을 함유할 수 있는 식생 기반층과, 상기 식생층 및 식생 기반층을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는 고정재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매트형 삽입체이고,
    상기 매트형 삽입체를 고정할 수 있는 ‘ㄷ’자 형상의 고정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설치되는 삽입체는,
    덩굴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토양이 존재하는 상부와, 수분이 정체하지 않도록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의 경계면을 관통하는 배수 요홈과, 하부의 하단 끝에는 배수 유도공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과다 수분으로 인한 뿌리 썩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랜터형 삽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설치되는 삽입체는,
    좌우 측면에는 상기 조립형 프레임의 거치면에 결합되는 거치부가 구비되고,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격자살을 포함하는 덩굴식물 지지형 삽입체이며,
    상기 가로 방향의 격자살보다 상기 세로 방향의 격자살이 더 길게 이루어진 유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1020060097391A 2006-10-02 2006-10-02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100853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391A KR100853728B1 (ko) 2006-10-02 2006-10-02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391A KR100853728B1 (ko) 2006-10-02 2006-10-02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871A true KR20080030871A (ko) 2008-04-07
KR100853728B1 KR100853728B1 (ko) 2008-08-22

Family

ID=3953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391A KR100853728B1 (ko) 2006-10-02 2006-10-02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20Y1 (ko) 2009-07-20 2010-04-21 에코이앤씨(주) 옥상 및 벽면녹화용 덩굴식물 화분 어셈블리
KR200466546Y1 (ko) 2011-04-06 2013-04-23 유한회사 더존테크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KR102045006B1 (ko) 2019-06-24 2019-11-14 씨엠아이 주식회사 실내외 겸용 모듈형 벽면 녹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645A (ja) * 1993-02-03 1994-08-16 Kajima Corp カセット式壁面緑化兼熱負荷低減施設
KR20020084795A (ko) * 2001-05-04 2002-11-11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자생식물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1528B1 (ko) * 2001-06-01 2004-05-2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식생 방음벽 구조물
KR100467234B1 (ko) * 2001-12-21 2005-01-24 주식회사 포스코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KR20040016003A (ko) * 2002-08-14 2004-02-21 (주)대우건설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벽면녹화방법
KR20040077409A (ko) * 2003-05-16 2004-09-04 소득영 차음벽
KR100580925B1 (ko) 2004-01-19 2006-05-17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조립식 식생 방음벽
KR100652252B1 (ko) * 2005-04-19 2006-12-01 서광석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KR200402153Y1 (ko) 2005-08-25 2005-11-28 배연운 넝쿨식물 재배용 화분
KR200432345Y1 (ko) 2006-07-12 2006-12-04 김흥섭 식생블럭 프레임 및 식생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728B1 (ko) 200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RU2576058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стенного цвет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164891B1 (ko) 조립식 화단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KR200448520Y1 (ko) 옥상 및 벽면녹화용 덩굴식물 화분 어셈블리
US20100043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CN211580824U (zh) 一种建筑墙面的垂直绿化系统
KR100906623B1 (ko) 벽면 녹화용 녹화블록을 이용한 벽면 녹화 구조 및 그 벽면녹화 공법
KR100844108B1 (ko)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KR100853728B1 (ko)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101471062B1 (ko) 벽면 녹화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구조물
KR100876938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KR100479212B1 (ko)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101179544B1 (ko) 인공 조경 시스템
KR101116242B1 (ko) 벽면 속성 녹화 공법
KR100924218B1 (ko) 계단식 논의 논두렁 덮개
KR100791064B1 (ko) 벽면녹화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면녹화구조
KR200248394Y1 (ko) 화분 겸용 방음벽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200448578Y1 (ko) 잔디 파종 겸용 잔디보호블럭
JP3609816B2 (ja) 屋上集合ガーデンプランター
JPH11220954A (ja) ポール緑化システム
KR100777386B1 (ko)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KR102198477B1 (ko) 석탄회 기반 경량인공토 및 식생용 함체를 이용한 식생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