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546Y1 -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546Y1 KR200466546Y1 KR2020110002886U KR20110002886U KR200466546Y1 KR 200466546 Y1 KR200466546 Y1 KR 200466546Y1 KR 2020110002886 U KR2020110002886 U KR 2020110002886U KR 20110002886 U KR20110002886 U KR 20110002886U KR 200466546 Y1 KR200466546 Y1 KR 20046654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 main frame
- planter
- drain port
- fixing piec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의 환경 및 사무실 업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소형 식물을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편리한 관리성과 함께 파티션으로도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수직 이동형 조립복합 실내조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동식 바퀴를 갖는 베이스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격자들을 갖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전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놓여되는 물받이부; 물받이부의 상부에 놓여지고 물받이부와 통하는 제1배수포트를 갖는 메인 플랜터; 및 메인 프레임의 격자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플랜터들을 포함하되; 이동 플랜터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격자에 걸쳐지도록 꺾여져 있는 고정편들; 몸체에 형성되고, 식재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배수되는 제2배수포트; 제2배수포트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이동 플랜터 아래에 위치한 다른 이동 플랜터의 식재공간으로 흐르도록 제2배수포트에 연결되는 배수관; 및 몸체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고 이동 플랜터의 전면에 다른 이동 플랜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고정편들이 걸쳐질 수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고정편들은 메인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서로 대립하여 격자에 걸쳐지도록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실내조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정의 환경 및 사무실 업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소형 식물을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편리한 관리성과 함께 파티션으로도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수직 이동형 조립복합 실내조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조경은 유용하고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문학적, 과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토지를 계획설계하는 예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회화, 조각, 산업디자인, 토목, 도시계획 및 건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예술이자 기술이다.
최근에는 실내를 장식하여 실내공간을 사용하는 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을 의하는 개념으로 실내조경이 등장하였다.
실내조경의 범위는 공공기관, 쇼핑몰, 호텔, 공항, 온실 테마가든, 오피스, 병원, 식당 등 인간이 생활하는 거의 모든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광범위한 범위에 적용되는 실내조경은 심미적효과, 공간의 특화효과, 실내환경 조절효과, 심리적효과 및 경제적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유용한 기능들을 기대할 수 있는 실내조경은 통상 식물을 식재한 화분 등을 단순히 배치하거나, 수목을 분재로 제작하여 이를 실내에 배치하는 방식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 조경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보통 실내바닥에 놓이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화분수의 제약이 많다. 또한, 겨울철의 추위나 여름철의 직사광선을 피해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그 이동이 용이하지 못했다. 또한, 조경 장소에 맞게 구조물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또, 급수배관이 복잡하고 배수처리가 곤란하여 물을 주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과 운반 그리고 설치가 용이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장소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겸용 가능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좁은 설치공간에서 풍부한 녹시량 창출이 가능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조경 장치가 배치된 실내공간의 인테리어 변경시 용이하게 위치변경이 가능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는 이동식 바퀴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격자들을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놓여되는 물받이부; 상기 물받이부의 상부에 놓여지고 상기 물받이부와 통하는 제1배수포트를 갖는 메인 플랜터;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격자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플랜터들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플랜터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전면과 후면, 양측면 그리고 바닥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자에 걸쳐지도록 꺾여져 있는 고정편들;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배수되는 제2배수포트; 및 상기 제2배수포트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상기 이동 플랜터 아래에 위치한 다른 이동 플랜터의 식재공간으로 흐르도록 상기 제2배수포트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플랜터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서로 대립하여 상기 격자에 걸쳐지도록 상기 고정편들은 상기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으로 위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플랜터는 상기 몸체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플랜터의 전면에 다른 이동 플랜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고정편들이 걸쳐질 수 있는 장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고정편들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홈을 갖되; 상기 걸이홈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이동 플랜터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격자들을 갖는 서브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받이부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 직사각 박스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위치되고 서랍과 같이 전후로 입출되며 상기 메인 플랜터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는 집수상자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상자는 전면에 집수되는 물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격자들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들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들간의 간격은 상기 이동 플랜터의 높이보다 작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수포트는 상기 메인 플랜터의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고,상기 제2배수포트는 상기 이동 플랜터의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과 플랜터들이 분리가능한 조립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과 운반 그리고 설치가 용이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서브 프레임을 이용하여 높이를 증설할 수 있기에 설치장소에 따라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이동 플랜터들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기에 다채로운 식물 연출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이동 플랜터에 또 다른 이동 플랜터를 장착할 수 있기에 좁은 설치공간에서 풍부한 녹시량 창출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실내 공간을 구획에서 파티션 겸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호에 따라 다양한 채소와 관상용 식물들을 선택하여 손쉽게 재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플랜터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은 메인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서로 대립하여 설치된 이동 플랜터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이동 플랜터의 전방에 다른 이동 플랜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물받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서브 프레임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과 마감 프레임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의 높이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플랜터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은 메인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서로 대립하여 설치된 이동 플랜터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이동 플랜터의 전방에 다른 이동 플랜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물받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서브 프레임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과 마감 프레임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의 높이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내조경 장 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 예 )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를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 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의 정 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10)는 베이스 (102), 메인 프레임(100), 서브 프레임(200), 물받이부(300), 메인 플랜터(400), 이동 플랜터(500)들을 포함한다.
베이스(102)는 이동 편의성을 위해 저면에 4개의 이동식 바퀴(104)를 갖는다. 메인 프레임(100)은 베이스(102)의 수직하게 설치된다. 베이스(102)와 메인 프레 임(100)은 철재 프레임들로써 용접방식 또는 볼트 체결방식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다수의 격자들을 갖는데, 격자들은 3개의 수직 지지대(110) 와 복수의 수평 지지대(120)들을 포함한다. 3개의 수직 지지대(110)들은 베이스 (102)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며, 수평 지지대(120)들은 수직 지지대(110)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하게 고정 설치된다. 수평 지지대(120)들간의 간격은 이동 플 랜터(500)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동 플랜터(500)의 후면 하단을 받쳐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플랜터(500)가 메인 프레임(100)의 수평 지지대 (1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를 보면, 이동 플랜터(500)의 후면 하단이 이동 플랜터(500)의 고정편(520)이 걸쳐진 수평 지지대(120)의 바로 아래 수평 지지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물받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물받이부(300)는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 하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받이부(300)는 케이스(310)와 집수상자(320)들을 포함한다. 케이스(310)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2개의 개구부(312)를 갖는 직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집수상자(320)는 케이스(3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312)를 통해 삽입되어 서랍과 같이 전후로 입출가능한 것으로, 그 내부에는 메인 플랜터(4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는 별도의 집수통(330)이 수납된다. 집수상자(320)는 전면에 집수통(330)에 집수되는 물수위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확인창(322)과, 집수상자(320)를 케이스(310)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324)를 갖는다.
메인 플랜터(400)는 물받이부(300)의 상부에 장착된다. 메인 플랜터(400)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직사각의 용기로 이루어진다. 메인 플랜터(400)는 저면에 물받이부(300)와 통하는 제1배수포트(410)를 갖는다. 제1배수포트(410)는 메인 플랜터(400)의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1배수포트(410)에 의해 메인 플랜터(400)의 바닥에 기본저수 확보가 가능하고 잉여수분 배출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플랜터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a은 메인 프레 임의 전방과 후방에 서로 대립하여 설치된 이동 플랜터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이동 플랜터의 전방에 다른 이동 플랜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 주는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이동 플랜터(500)는 메인 프레임(100)의 수평 지지대(120)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 플랜터는 장착부(530)를 갖는 확장형 이동 플랜터(500)와 비확장형 이동 플랜터(500a)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의 차이점은 전면에 장착부(530)의 형성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아래에서는 확 장형 이동 플랜터(5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동 플랜터(500)는 몸체(510), 2개의 고정편(520), 제2배수포트(540) 그리고 장착부(530)를 포함한다.
몸체(510)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전면과 후면, 양측면 그리고 바닥면을 갖는 직사각의 용기로 이루어진다. 몸체(5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이지만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본원고안의 조경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제2배수포트(540)는 몸체의 식재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배수되도 록 바닥면에 형성된다. 제2배수포트(540)는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 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2배수포트(540)에 의해 이동 플랜터(500)의 바닥에 기본 저수 확보가 가능하고 잉여수분 배출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2배수포트(540)는 바닥 면이 아닌 몸체(510)의 후면측에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배수포트(540)에는 배수관(542)이 연결된다. 제2배수포트(540)를 통해 배수되는 물은 배수관(542)을 통해 이동 플랜터(500) 아래에 위치한 다른 이동 플랜터(500)의 식재공간으로 공급된다(도 4 참조).
즉, 본 고안에서의 물 급수 방법은 사용자가 최상단에 위치한 이동 플랜터에 물을 공급하면,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제2배수포트와 배수관을 통해 아래에 위치한 이동 플랜터로 공급되고, 물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는 메인 플랜터로 공급된 후 물받이부의 집수통에 집수된다. 즉, 본 고안은 급수 펌프를 사 용하지 않아도 물이 순차적으로 각각의 이동 플랜터들을 거쳐 집수통에 집수된다.
고정편(520)은 몸체(510)의 후면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수평 지지대 (120)에 걸쳐지도록 절곡된 걸쇠형태로 이루어진다. 2개의 고정편(520)은 몸체 (5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으로 위치된다. 이렇게, 2개의 고정편(520)이 서로 비대칭으로 위치됨으로써, 2개의 이동 플랜터(500)가 메인 프레임의 전방과 후 방에서 하나의 수평 지지대(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 플랜터(500)는 전면에 다른 이동 플랜터(500a)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 도록 고정편(520)들이 걸쳐질 수 있는 장착부(530)를 갖는다. 장착부(530)는 몸체 (510)의 전면 하단에 형성된다. 장착부(530)는 고정편(520)들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홈으로 이루어진다. 걸이홈은 장착부(530)에 장착되는 이동 플랜터(500a)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3 및 도 6b 에서와 같이, 확장형 이동 플랜터(500)에 장착되는 이동 플랜터(500a)는 메인 프 레임에 장착된 이동 플랜터(500)에서 우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플랜터의 전면에 장착되는 이동 플랜터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일륜단편적인 배 치가 아니라 지그재그 및 불규칙적인 배치 등의 연출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은 이동 플랜터(500)들을 메인 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의 소 망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2중 걸이 방식 구조를 가지며, 특히 확장형 이동 플랜터(500)의 경우 전면에 이동 플랜터(500a)를 또 다시 추가 확장(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면적에서도 보다 많은 이동 플랜터(500)의 장착이 가능하다. 특히, 이 동플랜터(500)들의 장착 위치(슬라이드 및 확장)에 따라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되는 꽃이나 작물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입체적인 식물 배치가 가능하다. .
한편,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과 거의 동일한 수직 지지대(110)들과 수평 지지대(120)들을 포함한다. 다만, 서브 프레임(200)은 수직 지지대(220)들의 하단에 메인 프레임(100)의 수직 지지대(110)들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구(112)에 삽입되는 고정핀(230)들을 갖는다. 서브 프레임(200)의 고정핀(230)들은 메인 프레 임(100)의 수직 지지대(110)들의 장착구(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2개의 볼트 (240;도2,3에 표시됨)에 의해 체결된다.
도 8은 서브 프레임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과 마감 프레임이 장착된 메인 프레임의 높이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좌측의 메인 프레임(100)은 상단에 서브 프레임(200)이 장착되어 있고, 우측의 메인 프레임(100)은 상단에 마감 프레임(600)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메인 프레임(100)의 높낮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환경) 및 사용자의 요구 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마감 프레임(600)의 장착 방식은 서브 프레임(200)과 동 일한 방식으로 메인 프레임(10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 베이스
100 : 메인 프레임
200 : 서브 프레임
300 : 물받이부
400 : 메인 플랜터
500 : 이동 플랜터
102 : 베이스
100 : 메인 프레임
200 : 서브 프레임
300 : 물받이부
400 : 메인 플랜터
500 : 이동 플랜터
Claims (11)
- 삭제
-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에 있어서:
이동식 바퀴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격자들을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놓여되는 물받이부;
상기 물받이부의 상부에 놓여지고 상기 물받이부와 통하는 제1배수포트를 갖는 메인 플랜터;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격자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플랜터들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플랜터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전면과 후면, 양측면 그리고 바닥면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자에 걸쳐지도록 꺾여져 있는 고정편들;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배수되는 제2배수포트;
상기 제2배수포트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상기 이동 플랜터 아래에 위치한 다른 이동 플랜터의 식재공간으로 흐르도록 상기 제2배수포트에 연결되는 배수관; 및
상기 몸체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플랜터의 전면에 다른 이동 플랜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고정편들이 걸쳐질 수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랜터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서로 대립하여 상기 격자에 걸쳐지도록 상기 고정편들은 상기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고정편들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홈을 갖되;
상기 걸이홈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이동 플랜터의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격자들을 갖는 서브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는 직사각 박스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위치되고 서랍과 같이 전후로 입출되며 상기 메인 플랜터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는 집수상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상자는
전면에 집수되는 물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격자들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들 포함하며,
상기 수평지지대들간의 간격은 상기 이동 플랜터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포트는 상기 메인 플랜터의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포트는 상기 이동 플랜터의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에 있어서:
이동식 바퀴를 갖는 베이스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격자들을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놓여되는 물받이부;
상기 물받이부의 상부에 놓여지고 상기 물받이부와 통하는 제1배수포트를 갖는 메인 플랜터;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격자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플랜터들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플랜터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자에 걸쳐지도록 꺾여져 있는 고정편들;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배수되는 제2배수포트; 상기 제2배수포트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상기 이동 플랜터 아래에 위치한 다른 이동 플랜터의 식재공간으로 흐르도록 상기 제2배수포트에 연결되는 배수관; 및 상기 몸체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플랜터의 전면에 다른 이동 플랜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고정편들이 걸쳐질 수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들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서로 대립하여 상기 격자에 걸쳐지도록 상기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886U KR200466546Y1 (ko) | 2011-04-06 | 2011-04-06 |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886U KR200466546Y1 (ko) | 2011-04-06 | 2011-04-06 |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098U KR20120007098U (ko) | 2012-10-16 |
KR200466546Y1 true KR200466546Y1 (ko) | 2013-04-23 |
Family
ID=4750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2886U KR200466546Y1 (ko) | 2011-04-06 | 2011-04-06 |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54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4314A (ko) * | 2018-03-29 | 2019-10-10 | 김현석 |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 |
KR20210061794A (ko) * | 2019-11-20 | 2021-05-2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9234B1 (ko) * | 2017-08-21 | 2019-05-16 | 서영철 | 창틀설치식 선반겸용화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008B1 (ko) * | 2007-08-14 | 2008-06-24 |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
KR100853728B1 (ko) | 2006-10-02 | 2008-08-22 |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
KR20100005146U (ko) * | 2008-11-10 | 2010-05-19 | 김진광 | 다단식 식물재배대 |
-
2011
- 2011-04-06 KR KR2020110002886U patent/KR20046654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3728B1 (ko) | 2006-10-02 | 2008-08-22 |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
KR100841008B1 (ko) * | 2007-08-14 | 2008-06-24 |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
KR20100005146U (ko) * | 2008-11-10 | 2010-05-19 | 김진광 | 다단식 식물재배대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4314A (ko) * | 2018-03-29 | 2019-10-10 | 김현석 |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 |
KR102059916B1 (ko) * | 2018-03-29 | 2019-12-27 | 김현석 |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 |
KR20210061794A (ko) * | 2019-11-20 | 2021-05-2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장치 |
KR102384078B1 (ko) * | 2019-11-20 | 2022-04-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098U (ko) | 2012-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669642A (zh) | 墙上种植系统 | |
KR100888515B1 (ko) | 녹화장치 | |
CA2733629C (en) | Flower holder structure | |
KR200476518Y1 (ko)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
CN203575200U (zh) | 一种多功能垂直绿化架 | |
KR101169351B1 (ko) | 가드닝 플랜터 | |
KR200466546Y1 (ko) |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 |
CN205567241U (zh) | 一种可移动育苗床 | |
KR101419119B1 (ko) | 수직형 녹화구조물 | |
KR20130028211A (ko) | 다단조립식 화분 | |
TW201714521A (zh) |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 |
WO2014000062A1 (en) | Flower box | |
CN208300592U (zh) | 一种恒温立体种植工厂 | |
JP2021023244A (ja) | パーテーション | |
CN206559865U (zh) | 一种壁挂组合花盆 | |
KR20140040946A (ko) |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 |
NL2010815C2 (en) | Modular system for arranging plant compositions. | |
CN203646153U (zh) | 一种移动植物墙 | |
KR101491565B1 (ko) | 다용도 화분 조립체 | |
CN202095327U (zh) | 栽培箱及使用该栽培箱的组合架 | |
CN207653072U (zh) | 移动式快速装饰的垂直景观绿化装置 | |
JP6601754B2 (ja) | 緑化ベンチ | |
CN103603592A (zh) | 门式花架 | |
JP6816425B2 (ja) | 緑化装置 | |
RU2819068C1 (ru) | Вертикальное са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