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008B1 -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 Google Patents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008B1
KR100841008B1 KR1020070082006A KR20070082006A KR100841008B1 KR 100841008 B1 KR100841008 B1 KR 100841008B1 KR 1020070082006 A KR1020070082006 A KR 1020070082006A KR 20070082006 A KR20070082006 A KR 20070082006A KR 100841008 B1 KR100841008 B1 KR 100841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egetation block
box
blocks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안
전충근
장영환
김종
김종백
윤기원
김민호
공유성
김기철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원건축사사무소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원건축사사무소,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8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수직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차단되어 내부에 식재부(11)가 형성되고 하면부(12)의 중앙과 일측면 상부에 각각 관통공(13,21)이 형성되며 공극률 5 내지 20%를 가진 다공성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박스형태의 본체(10)와, 상기 관통공(21)에 대향하는 위치의 타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금속부재의 막대형상 연결대(20)로 이루어진 다수의 식생블럭(100); 및 상기 관통공(13,21)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 다수의 봉형상 지지대(30); 를 포함하므로,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럭인 박스형의 본체와 그 일측면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된 연결대를 구비함으로써 배수홀이 필요없고 상호 연결 및 교차적층이 용이하며 식재된 식물에 적절한 성장공간을 제공하는 환경친화적인 수직재을 형성할 수 있다.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 조경용 수직재

Description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Fence for landscape made into porous planting blocks of box shape}
본 발명은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수직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럭인 박스형의 본체와 그 일측면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된 연결대를 구비함으로써 배수홀이 필요없고 상호 연결 및 교차적층이 용이하며 식재된 식물에 적절한 성장공간을 제공하는 환경친화적인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대형음식점 등의 건축물의 주위에는 내외부의 경계구분을 위하거나 미감을 고려하여 수직재이나 울타리가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재 등은 직육면체 형상의 벽돌을 적층시켜 형성하거나 철골 또는 목재로 제조된 구조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미적인 측면이나 환경친화적인 측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0342647호로서 "녹화식생용 수직재 블록 세트"가 등록된 바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는 다양한 형태로 조립 및 적층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장점은 있으나, 구조가 복잡 하여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블럭 자체에서 배수가 되지 않아 배수공을 별도로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럭인 박스형의 본체와 그 일측면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된 연결대를 구비함으로써 배수홀이 필요없고 상호 연결 및 교차적층이 용이하며 식재된 식물에 적절한 성장공간을 제공하는 환경친화적인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차단되어 내부에 식재부가 형성되고 하면부의 중앙과 일측면 상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며 공극률 5 내지 20%를 가진 다공성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박스형태의 본체와, 상기 관통공에 대향하는 위치의 타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금속부재의 막대형상 연결대로 이루어진 다수의 식생블럭; 및
상기 관통공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 다수의 봉형상 지지대; 를 포함하여,
상기 일측 식생블럭의 연결대를 타측 식생블럭의 관통공에 삽입연결시킴으로써 다수의 식생블럭들을 일렬로 연결시켜 다수 열의 식생블럭층을 형성하고,
상기 한 열의 식생블럭층 위에 다른 열의 식생블럭층을 적층하되, 상부열의 하면부가 하부열의 연결된 식생블럭들 사이에서 양쪽 테두리들 위에 안착시킴으로 써 하부와 상부의 식생블럭층들을 상호 엇갈리게 배치시키며,
상기 지지대를 적층된 각 식생블럭의 관통공을 통하여 수직으로 지반 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식생블럭들을 상호 결속 및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에 의하면,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럭인 박스형의 본체와 그 일측면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된 연결대를 구비함으로써 배수홀이 필요없고 상호 연결 및 교차적층이 용이하며 식재된 식물에 적절한 성장공간을 제공하는 환경친화적인 수직재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의 평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의 저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서 수평외측으로 돌출결합된 연결대(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는 공극률 5 내지 20%의 다공성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박스형태를 이루고 있는 식재부재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부가 하면부(12)로 차단되어 있어서 내부에 화초 등의 식물을 심을 수 있는 식재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면부(12) 중앙에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공(13)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지지대(3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상부에는 관통공(21)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에 대향하는 타측면 상부에는 연결대(2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대(20)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10)의 타측면내에 삽입고정되어 있고 타단부가 테두리(10)의 외측으로 수평돌출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1)과 연결대(20)는 직경이 거의 동일하다. 상기 연결대(20)는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금속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생블럭(100)들을 상호 연결할 경우 일측 식생블럭(100)의 연결대(20)를 타측 식생블럭(100)의 관통공(21)에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상호 연결시킬 수 있으며, 양자의 직경이 거의 같으므로 연결된 식생블럭(100)들 간에는 어느 정도의 결속력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공(21)에는 다른 식생블럭(100)의 연결대(20)가 삽입되어 결속됨으로써 식생블럭(100)과 식생블럭(100)이 일렬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3)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지지대(3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식생블럭(100)은 공극률 5 내지 20% 를 가진 다공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체로 제조되는데,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조하면 공극률만큼 내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기능도 할 수 있어서 식재시 하부면에 별도의 배수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조된 블럭은 5 내지 2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쇄석, 시멘트, 물, 혼화제 등을 혼합하여서 만든 것으로서, 공극률이 5% 내지 20% 범위내이고 압축강도가 150㎏f/㎠ 이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쇄석과 시멘트의 중량비는 4 내지 7:1 정도의 비율로 하고, 시멘트와 물의 부피비는 5:2 정도로 하며, 혼화제로는 분산제, AE제 등을 혼합하여 시멘트량의 1% 정도의 소량을 투입한다.
이는 식생블럭(100)을 제작할 때 5㎜ 미만의 쇄석을 사용하면 강도는 높아지나 공극률이 너무 작아지며, 20㎜를 초과하는 쇄석을 사용하면 강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공극률도 너무 커져서 내부의 흙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공극률 5 내지 20%의 범위 내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쇄석과 시멘트의 비가 4:1을 넘으면 공극률이 작아지고 비경제적이며, 7:1보다 작으면 원하는 강도를 얻기 어려우므로 쇄석과 시멘트의 중량비는 4 내지 7:1 정도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시멘트와 물의 부피비가 5:2를 초과하면 공극이 시멘트로 메워지기 쉬우므로 가능한 비율을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경화(硬化) 전후의 성질을 개량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으로서, 내구성의 개선과 강도의 증진을 위하여 소량 첨가된다. 상기 혼화 제는 개량목적에 따라 다른 여러 가지를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식생블럭(100)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5 내지 20%의 공극률에 의해 본체(10) 내부에 미세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를 통해 배수도 가능하므로, 식재부(11)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하면부(12)에 통상적으로 형성하는 별도의 배수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3)의 직경과 동일하게 금속재질로 형성된 다수의 봉형상 지지대(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대(30)는 적층된 식생블럭(100)의 관통공(13)들을 통하여 지반(1)에 일정깊이까지 삽입되는 부재로서, 다수가 연결되고 적층된 상태의 식생블럭(100)들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의 정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은,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식생블럭(100)이 연결된 식생블럭층(200)을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적층하고, 지지대(30)를 이용하여 지반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일측 식생블럭(100)의 연결대(20)를 타측 식생블럭(100)의 관통공(21)에 삽입결합하여 다수의 식생블럭(100)을 일렬로 연결시킴으로써 식생블럭층(200)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열의 식생블럭층(200) 위에 상부열의 식생블럭층(200)을 적층한다.
상부열의 각 하면부(12)가 하부열의 식생블럭(100)들 사이의 양쪽 테두리(14)들 위에 안착됨으로써 하부와 상부의 식생블럭층(200)들의 식생블럭(100)들이 교대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여기서, 동일한 수직위치로 적층된 식생블럭(100)들의 관통공(13)들도 수직선상의 일치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30)를 이용하여 수직선상으로 일치하는 상기 관통공(13)들을 관통시켜 지반(1)내의 일정깊이까지 삽입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다수의 식생블럭(100)들을 더욱 견고하게 상호 결속 및 지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경용 수직재은 하부 식생블럭층(200)의 식재부(11)와 상부 식생블럭층(200)의 식재부(11)가 각각의 상부면이 개방되도록 상호 교차되어 배치되므로, 식물을 식재할 때 상부가 차단되지 않아서 식재된 식물에 햇빛이 공급될 수 있으며, 또한 식재식물의 상부에 성장을 위한 일정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식생블럭층(200)들을 일면으로만 적층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전후 양면 또는 여러 면으로 하여 적층할 수도 있다. 다수면으로 적층하면 수직재 내부쪽이 보이지 않는 더욱 풍성한 식생수직재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반 10:본체
11:식재부 12:하면부
13,21:관통공 20:연결대
50:지지대 100:식생블럭
200:식생블럭층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차단되어 내부에 식재부(11)가 형성되고 하면부(12) 중앙과 일측면 상부에 각각 관통공(13)과 관통공(21)이 형성되며 공극률 5 내지 20%를 가진 다공성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박스형태의 본체(10)와, 상기 관통공(21)에 대향하는 위치의 타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금속부재의 막대형상 연결대(20)로 이루어진 다수의 식생블럭(100); 및
    상기 관통공(13,21)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 다수의 봉형상 지지대(30); 를 포함하여,
    상기 일측 식생블럭(100)의 연결대(20)를 타측 식생블럭(100)의 관통공(21)에 삽입연결시킴으로써 다수의 식생블럭(100)들을 일렬로 연결시켜 다수 열의 식생블럭층(200)을 형성하고,
    상기 한 열의 식생블럭층(200) 위에 다른 열의 식생블럭층(200)을 적층하되, 상부열의 각 하면부(12)가 하부열의 식생블럭(100)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쪽 테두리(14)들 위에 안착시킴으로써 하부와 상부의 식생블럭층(200)들을 상호 엇갈리게 배치시키며,
    상기 지지대(30)를 적층된 각 식생블럭(100)의 관통공(13)을 통하여 수직으로 지반(1) 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식생블럭(100)들을 상호 결속 및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KR1020070082006A 2007-08-14 2007-08-14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KR100841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006A KR100841008B1 (ko) 2007-08-14 2007-08-14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006A KR100841008B1 (ko) 2007-08-14 2007-08-14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008B1 true KR100841008B1 (ko) 2008-06-24

Family

ID=3977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006A KR100841008B1 (ko) 2007-08-14 2007-08-14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252B1 (ko) 2009-11-24 2012-07-03 최진식 식생 공간이 구비된 적층형 파티션
KR200466546Y1 (ko) * 2011-04-06 2013-04-23 유한회사 더존테크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203U (ko) 1975-01-29 1976-07-30
KR100342647B1 (ko) 1999-11-04 2002-07-04 한승호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KR100460284B1 (ko) 2003-12-17 2004-12-04 김갑중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203U (ko) 1975-01-29 1976-07-30
KR100342647B1 (ko) 1999-11-04 2002-07-04 한승호 녹화식생용 담장 블록 세트
KR100460284B1 (ko) 2003-12-17 2004-12-04 김갑중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252B1 (ko) 2009-11-24 2012-07-03 최진식 식생 공간이 구비된 적층형 파티션
KR200466546Y1 (ko) * 2011-04-06 2013-04-23 유한회사 더존테크 수직 이동형 조립 복합 실내조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7478C (en) Structure for creating housings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and method for setting trees into the ground
WO2014194661A1 (zh) 错位叠加式花盆及其叠加组合形成的立体绿化墙面和屏风
KR100841008B1 (ko)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US10202732B2 (en) Erosion prevention plank with interior lattice
KR100922466B1 (ko) 식생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JP5513067B2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KR100871722B1 (ko) 역원추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KR200306388Y1 (ko) 첨단 블럭
CN210459132U (zh) 一种新型生态聚氨酯碎石空心块体
KR200424400Y1 (ko) 경사지 보호용 블록
CN104005597B (zh) 一种绿化围护结构
KR100927957B1 (ko) 조립식 화단
KR101254715B1 (ko) 호안블럭 및 빗물저류조블럭으로 이용되는 다목적블럭
CN205742075U (zh) 一种边坡生态挡土墙的砌块
KR20110017614A (ko) 식물 식생이 가능한 자연석 첩석 쌓기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048499B1 (ko) 사계절 녹화 황토 방음벽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공법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942250B1 (ko) 조립식 목재블럭을 이용한 목재옹벽
KR200236283Y1 (ko) 말뚝지주형 식생대
CN205205854U (zh) 一种装配式生态挡土墙砌块
KR101019514B1 (ko)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
JP3841123B2 (ja) ガーデン造成方法
KR200306389Y1 (ko) 홈 블럭
KR100322869B1 (ko) 식생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다공질 콘크리트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