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514B1 -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 - Google Patents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514B1
KR101019514B1 KR1020090012879A KR20090012879A KR101019514B1 KR 101019514 B1 KR101019514 B1 KR 101019514B1 KR 1020090012879 A KR1020090012879 A KR 1020090012879A KR 20090012879 A KR20090012879 A KR 20090012879A KR 101019514 B1 KR101019514 B1 KR 10101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porous
square
ho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789A (ko
Inventor
신동안
전충근
장영환
김종
김종백
윤기원
공유성
김기철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아주산업 주식회사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아주산업 주식회사,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9001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5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0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building blocks, e.g. from concrete or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면 일측에 상부관통홀(211a)이 구비된 사각돌출부(211)가 형성되고, 하부면 일측에는 사각요홈부(212)가 형성되되, 사각요홈부(212)에는 내,외부를 통과하는 하부관통홀(212a)이 형성되며, 상부면 타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식재부(213)가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식재부(213)에 삽입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며, 상면(221)에는 다수의 볼트홈(221a)이 구비되고 바닥(222)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돌기부(223)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돌기부(223) 사이에는 가이드홈(224)이 형성된 황토재질의 식재박스(22)와, 상기 식재박스(22)의 내부 바닥(222)에 안착되며, 스틸판(231)의 상부에 다수의 스프링(232)이 용접되어 있는 탄성대(23)와,탄성대(23)의 상부에 설치되며, 저면이 스프링(232)의 상부에 접촉하여 탄발력을 받게 되는 상면(241)이 형성되고, 바닥(242)에는 끼움홈(243a)이 형성되어 초탄블럭(25)이 끼워지는 고정부(243)가 다수 형성되는 한편, 상면(241)과 바닥(242)을 연결하며 상기 식재박스(22)의 가이드홈(224)의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244)가 형성되는 이동대(24)와, 이동대(24)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식재박스(22)의 볼트홈(221a)에 볼트(a)로 고정되도록 다수의 볼트홀(261a)이 형성된 상면(261)이 형성되며, 상면과 수직절곡 되는 내벽(262)이 형성되는 한편, 내벽(262)에는 상기 식재박스(22)의 가이드홈(224)의 따라 상하로 이동 하는 다수의 가이드(263)가 형성되는 상부커버(26)를 포함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다공성, 식생블럭, 식재박스, 초탄블럭

Description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Fence for landscape made into porous blocks with protruded planting space}
본 발명은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재부를 본체에 형성시키되 상기 식재부에는 유기물이 풍부하고 보수력이 높은 초탄블럭을 본 발명의 이동대에 설치하여 식재된 식물의 성장을 돕게되며, 또한 상층에 적층되는 본체와 하층에 적층되는 본체가 서로 결합되어 철근으로 체결력을 높여주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대형음식점 등의 건축물의 주위에는 내외부의 경계구분을 위하거나 미감을 고려하여 수직재이나 울타리가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재 등은 직육면체 형상의 벽돌을 적층시켜 형성하거나 철골 또는 목재로 제조된 구조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미적인 측면이나 환경친화적인 측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0342647호로서 "녹화식생용 수직재 블록 세트"가 등록된 바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는 다양한 형태로 조립 및 적층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장점은 있으나, 구조가 복잡 하여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블럭 자체에서 배수가 되지 않아 배수공을 별도로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식재된 식물의 원활한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아 식물의 식재후 식물이 말라죽거나 블럭에서 이탈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재부를 본체에 형성시키되 상기 식재부에는 유기물이 풍부하고 보수력이 높은 초탄블럭을 본 발명의 이동대에 설치하여 식재된 식물의 성장을 돕게되며, 또한 상층에 적층되는 본체와 하층에 적층되는 본체가 서로 결합되어 철근으로 체결력을 높여주는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면 일측에 상부관통홀이 구비된 사각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면 일측에는 사각요홈부가 형성되되, 사각요홈부에는 내,외부를 통과하는 하부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부면 타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식재부가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식재부에 삽입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볼트홈이 구비되고 바닥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돌기부 사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황토재질의 식재박스와;
상기 식재박스의 내부 바닥에 안착되며, 스틸판의 상부에 다수의 스프링이 용접되어 있는 탄성대와;
탄성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저면이 스프링의 상부에 접촉하여 탄발력을 받게 되는 상면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초탄블럭이 끼워지는 고정부가 다수 형성되는 한편, 상면과 바닥을 연결하며 상기 식재박스의 가이드홈의 따라 상 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가 형성되는 이동대와;
이동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식재박스의 볼트홈에 볼트로 고정되도록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된 상면이 형성되며, 상면과 수직절곡 되는 내벽이 형성되는 한편, 내벽에는 상기 식재박스의 가이드홈의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가 형성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구조로, 상층에 적층되는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사각요홈부의 하부관통홀과 하층에 적층되는 본체의 사각돌출부의 상부관통홀에 철근을 삽입시켜 적층된 본체들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은 식재부를 본체에 형성시키되 상기 식재부에는 유기물이 풍부하고 보수력이 높은 초탄블럭을 본 발명의 이동대에 설치하여 식재된 식물의 성장을 돕게되며, 또한 상층에 적층되는 본체와 하층에 적층되는 본체가 서로 결합되어 철근으로 체결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공성 식생블럭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공성 식생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공성 식생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분 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식재부에 삽입되는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공성 식생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공성 식생블럭의 설치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공성 식생블럭에 식생이 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공성 식생블럭의 부분 절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커버의 탈거시 이동대가 상부로 이동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공성 식생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공성 식생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21)와, 황토재질의 식재박스(22)와, 스프링(232)이 용접되어 있는 탄성대(23)와, 다수의 가이드(244)가 형성되는 이동대(24) 및 마찬가지로 다수의 가이드(263)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커버(26)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본체(21)는 상부면 일측에 상부관통홀(211a)이 구비된 사각돌출부(211)가 형성되고, 하부면 일측에는 사각요홈부(212)가 형성되되, 사각요홈부(212)에는 내,외부를 통과하는 하부관통홀(212a)이 형성되며, 상부면 타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식재부(213)가 형성되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되어 있다.
상기의 본체에 형성된 사각돌출부(211)와 사각요홈부(212)는 상호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요홈부(212)가 사각돌출부(211)보다 가로 및 세로의 폭을 좀 더 크게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공성 식생블럭(20)은 공극률 5 내지 20%를 가진 다공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체로 제조되는데, 상기와 같이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조하면 공극률만큼 내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므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기능도 할 수 있어서 식재시 하부면에 별도의 배수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조된 블럭은 5 내지 2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쇄석, 시멘트, 물, 혼화제 등을 혼합하여서 만든 것으로서, 공극률이 5% 내지 20% 범위내이고 압축강도가 150㎏f/㎠ 이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쇄석과 시멘트의 중량비는 4 내지 7:1 정도의 비율로 하고, 시멘트와 물의 부피비는 5:2 정도로 하며, 혼화제로는 분산제, AE제 등을 혼합하여 시멘트량의 1% 정도의 소량을 투입한다.
이는 다공성 식생블럭(20)을 제작할 때 5㎜ 미만의 쇄석을 사용하면 강도는 높아지나 공극률이 너무 작아지며, 20㎜를 초과하는 쇄석을 사용하면 강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공극률도 너무 커져서 내부의 흙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공극률 5 내지 20%의 범위 내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쇄석과 시멘트의 비가 4:1을 넘으면 공극률이 작아지고 비경제적이며, 7:1보다 작으면 원하는 강도를 얻기 어려우므로 쇄석과 시멘트의 중량비는 4 내지 7:1 정도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시멘트와 물의 부피비가 5:2를 초과하면 공극이 시멘트로 메워지기 쉬우므로 가능한 비율을 낮게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그리고,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경화(硬化) 전후의 성질을 개량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으로서, 내구성의 개선과 강도의 증진을 위하여 소량 첨가된다. 상기 혼화제는 개량목적에 따라 다른 여러 가지를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다공성 식생블럭(20)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5 내지 20%의 공극률에 의해 본체(21) 내부에 미세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를 통해 배수도 가능하므로, 식재부(213)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하부면에 형성해야 하는 별도의 배수구멍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식재박스(22)는 상기 본체(21)의 식재부(213)에 삽입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며, 상면(221)에는 다수의 볼트홈(221a)이 구비되고 바닥(222)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돌기부(223)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돌기부(223) 사이에는 가이드홈(224)이 형성되며 황토를 구워서 제작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대(23)는 상기 식재박스(22)의 내부 바닥(222)에 안착되며, 스틸판(231)의 상부에 다수의 스프링(232)이 용접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대(24)는 탄성대(23)의 상부에 설치되며, 저면이 스프링(232)의 상부에 접촉하여 탄발력을 받게 되는 상면(241)이 형성되고, 바닥(242)에는 끼움홈(243a)이 형성되어 초탄블럭(25)이 끼워지는 고정부(243)가 다수 형성되는 한편, 상면(241)과 바닥(242)을 연결하며 상기 식재박스(22)의 가이드홈(224)의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244)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술한 초탄블럭은 피트 또는 이탄이라고도 칭하는 초탄을 블럭화하여 제작 한 것으로서, 수천~수만년 전 소택지(늪지대)에서 생성된 유기 광물로 화본과 식물 (주로 이끼, 수초 및 갈대류)또는 소나무와 자작나무 등 수목질의 유체가 분지에 퇴적되어 생화학 적으로 분해, 변질된 천연 유기질이다.
초탄은 조경, 원예 및 농업 분야의 보수 및 보비력을 강화시켜 주고 토양을 개량하는데 큰 효과가 있으며, 또한 동.식물의 영양제, 환경오염 방지제등의 원료로도 사용되며 최근에는 도시의 녹화사업이나 골프장 및 운동장에 폭넓게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원예용 배합제로 보편화 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육묘용 상토나 분화용 배지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분화 용토, 육묘 상토의 경우 보통 용적비로 20 ~ 30%를 소량의 석회와 함께 황토나 충적토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건조되기 쉬운 식물인 경우 묘가 어릴적에는 그 차이를 잘 모르나 식물이 점차 성장함에 따라 분토 내에 뿌리가 꽉 차게 되면 흙만으로는 건조가 잘 되기 때문에 성장에 막대한 지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초탄을 사용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같이 압축된 초탄블럭(25)은 이동대(24)의 끼움홈(243a)에 고정하고 흙과 종자를 식재부(213)에 포설한 후 물을 공급하여 초탄블럭(25)을 잘게 부순 후 흙과 잘 섞이도록 한다. 이때 석회를 이용하여 산성중화 작업도 함께하는 것이 좋으며, 산성토라면 대개 10ℓ에 10 ~ 20g 의 소석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부커버(26)는 이동대(24)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식재박스(22)의 볼트홈(221a)에 볼트(a)로 고정되도록 다수의 볼 트홀(261a)이 형성된 상면(261)이 형성되며, 상면과 수직절곡 되는 내벽(262)이 형성되는 한편, 내벽(262)에는 상기 식재박스(22)의 가이드홈(224)의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263)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층에 적층되는 본체(21)의 하부에 형성된 사각요홈부(212)의 하부관통홀(212a)과 하층에 적층되는 본체(21)의 사각돌출부(211)의 상부관통홀(211a)에 철근(100)을 삽입시켜 적층된 본체(21)들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10a와 도10b 및 도11과 같이, 다공성 식생블럭(10)의 식재부(13)에 별도의 장치들을 구비하지 않고, 상측에 적층되는 다공성 식생블럭(10)의 사각요홈부(12)와 하층에 적층되는 다공성 식생블럭(10)의 사각돌출부(11)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 도 있다.
도11과 같이 적층된 다수의 다공성 식생블럭(10)들은, 각각의 식재부(13)가 전면과 배면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각 식재부(13)에 식물을 심으면 상호 간섭되지 않으므로 식재된 식물들은 햇빛을 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 적정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공성 식생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공성 식생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재부에 삽입되는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공성 식생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공성 식생블럭의 설치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공성 식생블럭에 식생이 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공성 식생블럭의 부분 절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커버의 탈거시 이동대가 상부로 이동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공성 식생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공성 식생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다공성 식생블럭 11, 211 : 사각돌출부
12,212 : 사각요홈부 13, 213 : 식재부
21 : 본체 22 : 식재박스
23 : 탄성대 24 : 이동대
25 : 초탄블럭 26 : 상부커버
100 : 철근 211a : 상부관통홀
212a : 하부관통홀 221, 241, 261 : 상면
221a : 볼트홈 222, 242 : 바닥
223 : 돌기부 224 : 가이드홈
231 : 스틸판 232 : 스프링
243 : 고정부 243a : 끼움홈
244, 263 : 가이드 261a : 볼트홀
262 : 내벽

Claims (1)

  1. 상부면 일측에 상부관통홀(211a)이 구비된 사각돌출부(211)가 형성되고, 하부면 일측에는 사각요홈부(212)가 형성되되, 사각요홈부(212)에는 내,외부를 통과하는 하부관통홀(212a)이 형성되며, 상부면 타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식재부(213)가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식재부(213)에 삽입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며, 상면(221)에는 다수의 볼트홈(221a)이 구비되고 바닥(222)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돌기부(223)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돌기부(223) 사이에는 가이드홈(224)이 형성된 황토재질의 식재박스(22)와;
    상기 식재박스(22)의 내부 바닥(222)에 안착되며, 스틸판(231)의 상부에 다수의 스프링(232)이 용접되어 있는 탄성대(23)와;
    탄성대(23)의 상부에 설치되며, 저면이 스프링(232)의 상부에 접촉하여 탄발력을 받게 되는 상면(241)이 형성되고, 바닥(242)에는 끼움홈(243a)이 형성되어 초탄블럭(25)이 끼워지는 고정부(243)가 다수 형성되는 한편, 상면(241)과 바닥(242)을 연결하며 상기 식재박스(22)의 가이드홈(224)의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244)가 형성되는 이동대(24)와;
    이동대(24)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식재박스(22)의 볼트홈(221a)에 볼트(a)로 고정되도록 다수의 볼트홀(261a)이 형성된 상면(261)이 형성되며, 상면과 수직절곡 되는 내벽(262)이 형성되는 한편, 내벽(262)에는 상기 식재박스(22)의 가이드홈(224)의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263)가 형성되는 상부커버(26)를 포함하는 구조로, 상층에 적층되는 본체(21)의 하부에 형성된 사각요홈부(212)의 하부관통홀(212a)과 하층에 적층되는 본체(21)의 사각돌출부(211)의 상부관통홀(211a)에 철근(100)을 삽입시켜 적층된 본체(21)들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
KR1020090012879A 2009-02-17 2009-02-17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 KR101019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79A KR101019514B1 (ko) 2009-02-17 2009-02-17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79A KR101019514B1 (ko) 2009-02-17 2009-02-17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789A KR20100093789A (ko) 2010-08-26
KR101019514B1 true KR101019514B1 (ko) 2011-03-07

Family

ID=4275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879A KR101019514B1 (ko) 2009-02-17 2009-02-17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694B1 (ko) * 2017-11-08 2020-08-27 (주)마이즈텍 경량 보온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6909A (ja) * 1993-05-07 1994-11-15 Harada Kk ブロック壁に於ける支柱構造
JP2001348890A (ja) 2000-06-07 2001-12-21 Too Giken Kk 擁壁ブロック
JP2003161055A (ja) 2001-11-26 2003-06-06 Ichiro Asada 多機能な複体付ブロック
KR200386423Y1 (ko) 2005-03-08 2005-06-13 한숙희 자연형 식생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6909A (ja) * 1993-05-07 1994-11-15 Harada Kk ブロック壁に於ける支柱構造
JP2001348890A (ja) 2000-06-07 2001-12-21 Too Giken Kk 擁壁ブロック
JP2003161055A (ja) 2001-11-26 2003-06-06 Ichiro Asada 多機能な複体付ブロック
KR200386423Y1 (ko) 2005-03-08 2005-06-13 한숙희 자연형 식생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789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284B1 (ko)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KR101019514B1 (ko) 경계의 구분과 조경을 위하여 설치되는 다공성 식생블럭
CN101349062A (zh) 一种生态砌块的制作方法
KR200353491Y1 (ko) 조립식 화단
CN111087080B (zh) 一种针对农田面源污染的高效除磷生态沟渠及其铺装方法
CN202500271U (zh) 带有泄水板的屋顶绿化层
KR20100086150A (ko) 파일 결속형 식생대
CN202280212U (zh) 泄水板及屋顶绿化层结构
CN201467742U (zh) 绿化组合砌块及其由绿化组合砌块构成的绿化体
KR100841008B1 (ko) 박스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CN201437594U (zh) 一种挡墙砌块及挡墙
CN208604610U (zh) 联锁护坡板
KR200392141Y1 (ko) 호안블록
KR200306388Y1 (ko) 첨단 블럭
KR20110017614A (ko) 식물 식생이 가능한 자연석 첩석 쌓기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N219240461U (zh) 一种装配式生态渠道
CN205205854U (zh) 一种装配式生态挡土墙砌块
KR100893789B1 (ko) 식생옹벽
KR101915431B1 (ko) 녹화 보강 옹벽
KR101165393B1 (ko) 축조블록
CN216087847U (zh) 一种园林绿化用植物幼苗养护装置
CN211113735U (zh) 一种新型景观挡墙结构
KR100430246B1 (ko)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CN214832405U (zh) 一种用于水利生态墙的地砖
KR102660558B1 (ko) 저영향개발 세그먼트 구조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