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108B1 -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108B1
KR100844108B1 KR1020070040033A KR20070040033A KR100844108B1 KR 100844108 B1 KR100844108 B1 KR 100844108B1 KR 1020070040033 A KR1020070040033 A KR 1020070040033A KR 20070040033 A KR20070040033 A KR 20070040033A KR 100844108 B1 KR100844108 B1 KR 10084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ending structure
bending
vegetation uni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이건호
문수영
장대희
김철민
정윤섭
정준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4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하여 장방형의 강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 방향의 벽고정부; 상기 벽고정부의 중앙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하여 수평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서, ㄷ자 형태의 양단에 해당하는 양측단부; 상기 양측단부에서 하방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에서 벽고정부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거치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고정부, 양측단부, 정면부 및 거치부에 둘러싸인 공간은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봉 형상의 지지철물; 상기 지지철물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결합되는 벤딩 구조체; 상기 각각의 벤딩 구조체의 벽고정부, 양측단부, 정면부 및 거치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되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파이프걸이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 관수 파이프; 및,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외측에서 리브 아래에 설치되는 상면이 개구된 형태의 배수기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벽면 녹화, 유니트, 벤딩, 지지철물, 관수 파이프, 흡습지

Description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Bending structure for green wall unit and green wall system using the same}
도1은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 구조체의 제작과정을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와 수평 관수 파이프 및 배수기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 110: 리브
120: 통공 130: 입수구
140: 파이프걸이 150: 물넘이부
160: 비산 방지망 걸이
200: 벤딩 구조체 210: 벽고정부
211: 체결구 220: 양측단부
230: 정면부 231: 통기창
240: 거치부
300: 지지철물 310: 수평 관수 파이프
320: 배수기구 330: 수직 관수 파이프
340: 수평 배수 파이프 350: 수직 배수 파이프
360: 보조패널
400: 흡습지 410: 배수자갈
420: 분리막 430: 토양
440: 비산 방지망
본 발명은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하여 장방형의 강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 방향의 벽고정부; 상기 벽고정부의 중앙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하여 수평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서, ㄷ자 형태의 양단에 해당하는 양측단부; 상기 양측단부에서 하방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에서 벽고정부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거치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고정부, 양측단부, 정면부 및 거치부에 둘러싸인 공간은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봉 형상의 지지철물; 상기 지지철물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결합되는 벤딩 구조체; 상기 각각의 벤딩 구조체의 벽고정부, 양측단부, 정면부 및 거치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되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파이프걸이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 관수 파이프; 및,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외측에서 리브 아래에 설치되는 상면이 개구된 형태의 배수기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벽면 녹화란 건축물의 벽면과 담장, 방음벽을 비롯한 구조물의 수직부재에 화초 등을 심어 녹지대를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벽체를 비롯한 구조물의 수직부재는 풍압, 강우 및 일사에 대한 영향력이 강한 편으로, 특히 구조물 자체의 온도는 일사에 의하여 쉽게 상승하여 도시 온난화 현상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구조물의 수직 부재에 담쟁이 덩굴 등의 수종을 직접 식재하거나, 벽면 녹화용 패널을 씌우는 방법 등으로 구조물의 외피를 녹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벽면에 녹화된 식물들에 대한 급수 및 배수와 관련된 기술이 부족하고, 일사에 대한 내통풍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방법들은 고층 구조물에서 벽면에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 한계를 가져오고 안전한 시공이 곤란하여, 고층 구조물이 다수 출현되는 국내 실정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한편, 기존의 벽면 녹화 방법들은 식재 전에 식물체를 성장시키지 않았을 뿐 아니라, 벽체에 작용하는 풍압·강우 등의 스트레스는 식물체의 조기 활착을 어렵게 하였기 때문에, 벽면의 초기 녹피율이 그리 높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벽면 녹화 후 벽면 전체가 피복되기까지 3~5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어 벽면 녹화가 근본적인 구조물의 외피 기능을 하지 못하였다.
게다가 벽면 녹화를 위한 지지철물은 고가이고, 이들 철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 또한 시공상의 제약으로 작용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벽면 녹화용으로 최적화시킨 고기능의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 및, 유지·관리를 최소화하는 고기능의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고층 구조물에도 벽면 녹화가 가능하도록,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할 수 있는 벤딩 구조체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에 미리 식물체를 식재하여 식물체의 활착이 진행된 후에 벽면에 유니트를 설치함으로써, 벽면의 초기 녹피율을 높이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와 벤딩 구조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철물로 강봉을 사용함으로써 지지철물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이러한 강봉의 사용으로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도심 온난화 방지, 도시 경관 개선 및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이 가능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하여 장방형의 강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 방향의 벽고정부; 상기 벽고정부의 중앙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하여 수평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서, ㄷ자 형태의 양단에 해당하는 양측단부; 상기 양측단부에서 하방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에서 벽고정부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거치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고정부, 양측단부, 정면부 및 거치부에 둘러싸인 공간은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구조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봉 형상의 지지철물; 상기 지지철물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결합되는 벤딩 구조체; 상기 각각의 벤딩 구조체의 벽고정부, 양측단부, 정면부 및 거치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되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파이프걸이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 관수 파이프; 및,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외측에서 리브 아래에 설치되는 상면이 개구된 형태의 배수기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110); 및, 상기 리브(110)의 윗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천공된 복수 개의 통공(1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리브(110)는 토양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리브(110)를 제외한 하우징의 저면부는 벽면 녹화의 취약점인 수분 부족을 대비하여 잉여 수분을 저장하는 물저장탱크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통공(120)은 하우징 높이의 1/4~1/3 지점에 위치하여 하우징 내부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통기구 역할뿐 아니라, 일정 높이 이상에 해당하는 수분을 밖으로 배출하는 배수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담수 기능의 극대화에 반하는 식물의 뿌리 썩음을 방지하고, 식물의 원활한 생장을 도모한다.
다음으로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입수구(130); 및, 상기 입수구(130)가 형성된 위치에서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파이프걸이(140); 를 포함하며, 아울러 상기 리브(110) 윗면에서 리브(110)의 너비를 가로질러 형성되되, 리브(110)보다 낮게 형성되는 물넘이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면에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를 복수 개 시공하는 경우, 입수구(130)와 파이프걸이(140)는 물공급 일체형 연결구조가 가능하도록 이웃하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 상호를 일원화시킨다. 즉, 복수 개의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를 길이방향으로 이웃하게 설치한 후에,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걸이(140)를 가로지르는 하나의 관수파이프를 설치한다. 이 경우 하나의 관수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수분은 각각의 하우징에 형성된 입수구(130)를 통하여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 내로 유입되므로 관수의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파이프걸이(140) 및 입수구(130)는 하우징 내부에 수분뿐 아니라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입수구(130)와 파이프걸이(140)로 이루어진 물공급 일체형 연결구조를 하우징의 배면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벽면의 경관을 해치지 않는다. 한편, 파이프걸이(140)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ㄷ자형으로 절개하여 외측으로 절곡연장한 형태로 하우징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고, 입수구(130) 외측에 별도의 파이프걸이(140)를 결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물넘이부(150)는 리브(110)보다 낮게 형성되는데, 이는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입수구(130) 및 파이프걸이(140)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리브(110)에 의하여 구획되는 하우징 저면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한편,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으로,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비산 방지망 걸이(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를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바람에 의하여 유니트 내부의 토양 및 식물체의 훼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물의 식재와 동시에 유니트 상부에 비산 방지망을 설치한다. 이때 비산 방지망은 하우징 윗면에 형성된 비산 방지망 걸이(160)에 고정된다. 또한,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는 구조물의 여건과 선호도를 고려하여 색채를 도입함으로써 구조물의 외관을 특성화시킬 수 있다.
삭제
다음으로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벤딩 구조체의 제작과정 및 벤딩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2에서처럼 본 발명의 벤딩 구조체(200)는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를 적재하기 위하여 장방형의 강판을 절곡하여 (a), (b), 및 (c)의 단계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벤딩 구조체(200)는 도3의 (a)에서처럼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 방향의 벽고정부(210); 상기 벽고정부(210)의 중앙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하여 수평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서, ㄷ자 형태의 양단에 해당하는 양측단부(220); 상기 양측단부(220)에서 하방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정면부(230); 및, 상기 정면부(230)에서 벽고정부(210)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거치부(2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벽고정부(210), 양측단부(220), 정면부(230) 및 거치부(240)에 둘러싸인 내부 공간은 앞서 설명한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를 적재하기 위한 부분에 해당한다. 벤딩 구조체(200)를 형성하는 강판은 적재되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지닌 종류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벤딩 구조체(200)는 하나의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폭우시 벤딩 구조체(200) 내부에 빗물이 고이지 않는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벤딩 구조체(200)는 도3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벤딩 구조체(200)의 거치부(240)에서 하방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벽고정부(210)가 형성되되, 벽고정부(210), 양측단부(220), 정면부(230) 및 거치부(240)가 연속적으로 절곡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나의 철판을 절곡하여 다수의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벤딩 구조체(200)를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벤딩 구조체(200)의 벽고정부(210)에는 상기 벤딩 구조체(200)를 벽체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구(211)가 형성되어 벽체에 볼트 또는 못 등을 이용하여 벽체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벤딩 구조체(200)의 정면부(230)에는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기창(2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벽고정부(210)와 거치부(240)가 만나는 부분을 용접 결합하는 경우에는 벤딩 구조체(200)의 처짐에 대한 추가적인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4의 (a)와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봉 형상의 지지철물(300); 상기 지지철물(30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결합되는 벤딩 구조체(200); 상기 각각의 벤딩 구조체(200)의 벽고정부(210), 양측단부(220), 정면부(230) 및 거치부(240)에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되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의 파이프걸이(140)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 관수 파이프(310); 및,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의 외측에서 리브(110) 아래에 설치되는 상면이 개구된 형태의 배수기구(32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딩 구조체(200)는 벽고정부(210)의 체결구(211)를 통하여 볼트 또는 못 등을 이용하여 봉 형상의 지지철물(3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수평 관수 파이프(310)에서 공급되는 수분은 입수구(130)를 통하여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 내부로 유입되어, 식물체에 직접 수분을 공급·저장한다. 여기에서 남은 잉여 수분은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 개의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배수기구(320)로 배출되므로 유니트의 배수를 일원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은 상기 수평 관수 파이프(310)에 연결되되, 수평 관수 파이프(310)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관수 파이프(330); 상기 배수기구(320)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의 수평 배수 파이프(340); 및, 상기 수평 배수 파이프(340)에 연결되되, 수평 배수 파이프(340)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배수 파이프(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은 외곽에 위치하는 벤딩 구조체(200)의 최외곽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의 좌우 측면을 감싸는 보조패널(36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은 관수 및 배수 파이프를 수직 및 수평으로 상호 연결하여, 관수 및 배수 체계를 일원화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직 관수 파이프(33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각층의 수평 관수 파이프(310)를 통하여 개개의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에 채워지게 되며, 각각의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에서 배출되는 물은 하우징 저면의 통공(120)을 통하여 유니트의 외측에서 리브(110) 아래에 설치되는 배수기구(320)로 이동한 후, 배수기구(320) 단부에 연결된 수평 배수 파이프(340)를 거쳐 수직 배수 파이프(350)로 배출된다. 또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의 양측 단부를 보조패널(360)로 마무리하여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은 각각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내부 구성 및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결합 상세를 도시한다.
도5에서처럼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 내부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의 통공(120)에 끼워지는 흡습지(400); 상기 벽면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저면 및 흡습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자갈(410); 상기 배수자갈(410) 위에 설치되는 분리막(420); 상기 분리막(420) 상부에 설치되는 토양(430); 및, 상기 토양(430) 위에 설치되는 비산 방지망(440); 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습지(400)는 하우징 저면의 수분을 빨아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배수기구(320)까지 연결되어 저면 관수를 통한 벽면 녹화를 가능하게 한다. 흡습지(400) 상부에는 배수자갈(410) 및 분리막(420)이 차례대로 설치되는데, 분리막(420)은 흡습지(400)에서 공급되는 하우징 저면의 수분을 식물체의 뿌리에 공급하고, 뿌리근을 정착시켜 풍압에 의한 식생의 탈착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공 경량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여 급수 및 배수기능이 원활히 유지되도록 한다. 분리막(420) 상부에 형성되는 토양(430)의 실시예로 펄라이트계와 피트머스계를 7:3으로 혼합한 인공토양인 팝소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은 그 내부에 등반형, 하수형 또는 기반형 관목, 지피류 등의 식물체를 적절히 식재하고, 그 상부에 비산 방지망(440)을 설치한 후에 2~3개월 이상 하우징 내에서 활착시킨 다음에 벤딩 구조체(200) 내부에 적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급수 및 배수를 일원화하여 유지·관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라 벤딩 구조체를 이용하여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는 경우, 고층 구조물에서도 높이에 상관없이 벽면 녹화가 가능하고, 적재된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추락 위험이 없어 안전한 시공을 할 수 있다.
셋째,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에 미리 식물체를 식재하고, 식물체의 활착이 진행된 후에 시공하여, 벽면의 초기 녹피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넷째, 봉 형상의 지지철물을 이용하는 경우, 지지철물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벽체, 지지철물 및 벤딩 구조체의 결합에 신뢰성이 있어 내구성·안전성이 향상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을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벽면 녹화를 통하여 도심 온난화 방지, 도시 경관 개선 및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2)

  1.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를 적재하기 위하여 장방형의 강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 방향의 벽고정부(210);
    상기 벽고정부(210)의 중앙부를 ㄷ자 형태로 절개하여 수평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서, ㄷ자 형태의 양단에 해당하는 양측단부(220);
    상기 양측단부(220)에서 하방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정면부(230); 및,
    상기 정면부(230)에서 벽고정부(210) 방향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거치부(240); 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고정부(210), 양측단부(220), 정면부(230) 및 거치부(240)에 둘러싸인 공간은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를 적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구조체(200).
  2. 제1항에서,
    상기 거치부(240)에서 하방으로 90도 절곡 연장되는 벽고정부(210)가 형성되되, 상기 벽고정부(210), 양측단부(220), 정면부(230) 및 거치부(240)가 연속적으로 절곡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구조체(200).
  3. 제1항에서,
    상기 벽고정부(210)에는 상기 벤딩 구조체(200)를 벽체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구(211)가 있으며, 상기 정면부(230)에는 복수 개의 통기창(2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구조체(200).
  4. 제1항에서,
    상기 벽고정부(210)와 거치부(240)가 만나는 부분은 용접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구조체(200).
  5. 수평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봉 형상의 지지철물(300);
    상기 지지철물(30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결합되는 제1항의 벤딩 구조체(200);
    상기 각각의 벤딩 구조체(200)의 벽고정부(210), 양측단부(220), 정면부(230) 및 거치부(240)로 둘러싸인 공간에 설치되는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의 파이프걸이(140)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 관수 파이프(310); 및,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의 외측에서 리브(110) 아래에 설치되는 상면이 개구된 형태의 배수기구(32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수평 관수 파이프(310)에 연결되되, 수평 관수 파이프(310)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관수 파이프(330);
    상기 배수기구(320)의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의 수평 배수 파이프(340); 및,
    상기 수평 배수 파이프(340)에 연결되되, 수평 배수 파이프(340)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배수 파이프(3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의 외곽에 위치하는 벤딩 구조체(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의 최외곽 좌우 측면을 감싸는 보조패널(3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8. 제6항에서,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 내부는
    상기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100)의 통공(120)에 끼워지는 흡습지(400);
    상기 벽면녹화용 식생 유니트의 저면 및 흡습지(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자갈(410);
    상기 배수자갈(410) 위에 설치되는 분리막(420);
    상기 분리막(420) 상부에 설치되는 토양(430); 및,
    상기 토양(430) 위에 설치되는 비산 방지망(44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040033A 2007-04-24 2007-04-24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KR10084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033A KR100844108B1 (ko) 2007-04-24 2007-04-24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033A KR100844108B1 (ko) 2007-04-24 2007-04-24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108B1 true KR100844108B1 (ko) 2008-07-07

Family

ID=3982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033A KR100844108B1 (ko) 2007-04-24 2007-04-24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10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67B1 (ko) 2009-10-27 201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CN103132476A (zh) * 2011-11-27 2013-06-05 成都创新景观工程有限公司 可移动可任意调节重心高度有灌溉系统的绿化隔离栏
CN106171620A (zh) * 2016-09-04 2016-12-07 苏州家宜居家日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植物种植模块及其组合结构
KR101733235B1 (ko) * 2016-08-03 2017-05-08 김수영 띠녹지 수벽
JP2019024439A (ja) * 2017-08-01 2019-02-21 中国電力株式会社 壁面緑化装置
CN111101627A (zh) * 2020-01-03 2020-05-05 无锡北大建筑工程有限公司 保温型节能建筑幕墙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2141U (ko) * 1989-04-28 1990-11-30
JPH06253684A (ja) * 1993-03-01 1994-09-13 Dokoo:Kk 建物壁面植栽方法及び植栽具
KR200253459Y1 (ko) 2001-07-27 2001-12-01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난간 및 벽면 걸이 부착 겸용 화분대
KR200304006Y1 (ko) 2002-11-26 2003-02-11 하현영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KR200386097Y1 (ko) * 2005-03-07 2005-06-07 백영수 급수장치가 설치된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200398771Y1 (ko) 2005-07-13 2005-10-18 강태호 식생매트를 이용한 수직 인공구조물 전면 녹화장치
JP2006129845A (ja) 2004-11-09 2006-05-25 Okumura Corp 壁面緑化設備
JP2007097556A (ja) 2005-10-03 2007-04-19 Arisu:Kk 植物栽培用培地並びに植物栽培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2141U (ko) * 1989-04-28 1990-11-30
JPH06253684A (ja) * 1993-03-01 1994-09-13 Dokoo:Kk 建物壁面植栽方法及び植栽具
KR200253459Y1 (ko) 2001-07-27 2001-12-01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난간 및 벽면 걸이 부착 겸용 화분대
KR200304006Y1 (ko) 2002-11-26 2003-02-11 하현영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JP2006129845A (ja) 2004-11-09 2006-05-25 Okumura Corp 壁面緑化設備
KR200386097Y1 (ko) * 2005-03-07 2005-06-07 백영수 급수장치가 설치된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200398771Y1 (ko) 2005-07-13 2005-10-18 강태호 식생매트를 이용한 수직 인공구조물 전면 녹화장치
JP2007097556A (ja) 2005-10-03 2007-04-19 Arisu:Kk 植物栽培用培地並びに植物栽培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67B1 (ko) 2009-10-27 201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CN103132476A (zh) * 2011-11-27 2013-06-05 成都创新景观工程有限公司 可移动可任意调节重心高度有灌溉系统的绿化隔离栏
CN103132476B (zh) * 2011-11-27 2016-09-28 成都创新景观工程有限公司 可移动可任意调节重心高度有灌溉系统的绿化隔离栏
KR101733235B1 (ko) * 2016-08-03 2017-05-08 김수영 띠녹지 수벽
CN106171620A (zh) * 2016-09-04 2016-12-07 苏州家宜居家日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植物种植模块及其组合结构
JP2019024439A (ja) * 2017-08-01 2019-02-21 中国電力株式会社 壁面緑化装置
JP6998696B2 (ja) 2017-08-01 2022-01-18 中国電力株式会社 壁面緑化装置
CN111101627A (zh) * 2020-01-03 2020-05-05 无锡北大建筑工程有限公司 保温型节能建筑幕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02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озеленяемой стены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KR100844108B1 (ko)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US9374947B2 (en) Wall planting module
JP2006262712A (ja)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KR101803092B1 (ko) 벽면 녹화 시스템
CN109811776B (zh) 一种装配式格构框架梁
KR101033876B1 (ko) 벽체 전면 녹화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10730B1 (ko) 녹화용 식생패널
EP3945778A1 (en) Panel-modular layered wall system for shaping spatial structures
KR101030731B1 (ko) 건축 구조물의 벽면 녹화 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76938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DE102017114887B4 (de) Gebäudeflächen-Pflanzsystem und Kulturtopf für Pflanzen
JP2011097883A (ja) 立面緑化パネルユニット
KR200402616Y1 (ko) 벽면녹화 시공구조
JP2637055B2 (ja) 樹木等の植栽構造及びその植栽方法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KR100853728B1 (ko)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JP4301447B2 (ja) 壁面緑化プランター並びにこの壁面緑化プランターの取付方法及び灌水方法
KR100880016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이용한 지붕 녹화 시스템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KR100953277B1 (ko) 벽걸이 조경장치
JP2006246830A (ja) 緑化エリアの仕切材及び仕切構造、緑化設備
CN215454175U (zh) 用于建筑外墙的绿化系统
KR20200144922A (ko) 등반매트와 격자가 조합된 덩굴식물류를 이용한 벽면 녹화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