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667B1 -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 Google Patents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667B1
KR101151667B1 KR1020090102435A KR20090102435A KR101151667B1 KR 101151667 B1 KR101151667 B1 KR 101151667B1 KR 1020090102435 A KR1020090102435 A KR 1020090102435A KR 20090102435 A KR20090102435 A KR 20090102435A KR 101151667 B1 KR101151667 B1 KR 10115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flower bed
side opening
pedestal
rock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740A (ko
Inventor
이정엽
구호본
이종현
김승현
이기하
바우티스타
최지용
김홍균
배상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6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화단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화단걸이에 관한 것으로,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걸쳐지는 복수의 철제 파이프들을 구비한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철제 파이프 사이에서 양측부가 연결되어 횡으로 배치되며, 상부에는 화단이 거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고정대의 철제 파이프 사이에서 받침대의 상부에 나란하게 횡으로 장착되고,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받침대 상에 올려진 화단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고,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설치되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다단으로 화단을 배치하여 조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위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친환경적 및 미관적 효과를 가미시켜 주변 자연 지형과의 조화를 도모하고, 도로 이용자에게 시각적인 안정을 줄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차량이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하는 교통사고의 발생 시, 화단이 차량의 충격을 줄여주는 1차 방어적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대형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유용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L형 측구, 낙석방지옹벽, 친환경, 화단걸이 구조물, 화단

Description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FLOWER BEDS HANGED ON CONCRETE CANTILEVER WALL O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에 설치되는 화단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설치되어 화단을 쉽게 설치함으로써 친환경적 및 미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L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로 건설에 따른 절토사면의 발생은 필연적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로 인해 국가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가 확충되면서 신설도로의 건설과 기존 도로의 확장 및 선형 개선 사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 절토사면의 개소수도 계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전에 개설된 도로의 경우, 경제적 및 기술적인 문제 등으로 사면 내 불안정한 요소를 그대로 방치한 상태로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져 있어서, 집중강우, 해빙기 동결융해 현상, 발파 위주의 시공에 따른 암반의 이완 및 파쇄 등이 원인이 되어 낙석 및 사면 붕괴에 의한 사고가 매년 되풀이되어 왔 다. 이러한 절토사면의 제 붕괴는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유발하는 사회적 문제로 계속 부각되었으며 각 기관 및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그리고 1990년 이후, 국가와 기관, 학자들의 노력으로 절토사면의 안정성 확보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결과로 기존의 많은 위험 절토사면들이 정비되었으며 신설도로의 경우는 암반의 특성과 지형학적, 지질학적, 수문학적인 자료 등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사면 대책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 국가 경쟁력의 선진국화에 발맞추어 절토사면의 대책공법에 대해서 기능적인 면뿐만 아니라, 미적 및 친환경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고, 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사면 보호를 위한 수리제어공법 중 하나인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은 절토사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지하수 및 지표수와 도로상에 흐르는 유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현재 널리 적용되어 있는 공법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L형 측구가 적용되는 절토사면의 붕괴 위험성은 물과의 상관관계가 높으므로 수리제어는 사면 안정화 대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현재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을 비롯한 다양한 수리제어공법은 다수의 절토사면에 널리 적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은 낙석방지울타리와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사면 보호의 효과를 높이기도 하며, 그 자체만으로도 소규모 낙석의 도로유입 방지 및 포획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수리제어 역할 이외의 2차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시공은 도로 근접부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므로 도로 이용자에게 주변환경과의 부조화에 의해 심리적 압박감을 주는 등 불리한 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과 같은 인공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은 주변의 자연 지형과의 부조화를 유발하게 되고, 시각적인 측면에서도 황량하고, 견고한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도로 이용자의 불쾌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현재 국민 소득이 증가하고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려는 현 상황에서 국민의 의식수준은 점차 고급화되고 생활의 질도 더불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은 절토사면 안정화 정책과 함께 환경 친화적인 조경미를 함께 추구하여 자연과의 조화와 시각적 가치를 높이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쉽게 화단을 설치함으로써 친환경적 및 미적 효과를 증대시켜 인공구조물과 자연과의 괴리를 최소화시키고 도로 주변 경관의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L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 주변의 미적 효과를 증대시킴으로써 도로 이용자로 하여금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을 완화 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자연과의 조화와 시각적 가치를 높여서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L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통사고로 인해 차량이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에 충돌할 경우, 화단 자체가 완충장치 역할을 하여 차량 탑승자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부상을 줄일 수 있어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L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걸쳐지는 복수의 철제 파이프들을 구비한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철제 파이프 사이에서 양측부가 연결되어 횡으로 배치되며, 상부에는 화단이 거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고정대의 철제 파이프 사이에서 받침대의 상부에 나란하게 횡으로 장착되고,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받침대 상에 올려진 화단에 물을 공급하 는 급수관;을 포함하고,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설치되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다단으로 화단을 배치하여 조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위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친환경적 및 미관적 효과를 가미시켜 주변 자연 지형과의 조화를 도모하고, 도로 이용자에게 시각적인 안정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대는 각각의 철제 파이프의 전면이 상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경사 형성된 복수의 고정바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철제 파이프의 상단은 휘어진 걸이대를 형성하여 상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상부 모서리에 걸쳐지도록 한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휘어진 걸이대의 단부는 상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배면 하단까지 하향 연장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뒷면에 토사가 충전되지 않은 곳에서는 앵커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걸이대 자체만으로 쉽게 L형 측구 또 는 낙석방지옹벽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대는 각각의 철제 파이프의 고정바에 받침대의 양측부가 각각 볼트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하 간격을 두고 다단 장착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의 받침대를 통하여 화단을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다단으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그 측방 테두리를 따라서 상부측으로 단턱을 돌출 형성한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통풍 및 배수구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받침대상에 화단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받침대상의 화단에 통풍 및 배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관은 받침대 위의 고정대상에 결속된 PVC 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부측에 다수의 급수공을 형성하며, 상기 급수공은 연직방향에 대하여 5-7°의 각도로 경사형성되어 화단의 식물로 급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다단으로 하단을 형성한 다음, 물 공급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식물을 성장시키고 생육시켜서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을 미려하게 조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관은 절토 사면의 계곡부에 위치되고, 상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보다 높게 위치된 집수정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화단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집수정은 100m 길이의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 옹벽마다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단으로의 물 공급이 집수정으로부터 자연 낙차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 비용이 필요치 않고,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체에 걸쳐서 화단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L형 측구용 화단걸이에 의하면 최근 도심지에서 확대되고 있는 건물 및 옥상의 녹화 공법과 같은 맥락으로 인위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친환경적 및 미관적 효과를 가미시켜 주변 자연 지형과의 조화를 도모하고, 도로 이용자에게 시각적인 안정을 줄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면 안정화를 위하여 L형 측구의 설치는 불가피한 것이나, 미적 요소를 접목시켜 자연과의 일체미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도로 이용자의 정신적 안정성과 친밀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이용자의 부주의로 차량이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하는 교통사고의 발생 시, 화단이 차량의 충격을 줄여주는 1차 방어적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대형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100)는 도 1 및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외형을 따라 만들어 진 지팡이 모양의 원형 철제 파이프(115a)(115b) 2개로 고정대(110)를 구성하고, 받침대(140) 3개를 다단으로 조립하여 이를 하나의 세트(set)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100)는 이와 같은 다수의 세트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체 길이만큼 반복 연장되어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시공된다.
상기 고정대(110)의 각각의 철제 파이프(115a)(115b)는 그 전면이 상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경사 형성된 복수의 고정바(117a)(117b)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 뒷면, 즉 절토사면쪽으로 걸 수 있도록 걸이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걸이대(122)에는 그 단부에 앵커 볼트(126)가 장착되는데, 이는 현지 절토사면의 상황을 고려해서 지지력이 약하다고 판단될 경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뒷면에 앵커 볼트(126)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는 다르게는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뒷면에 토사로 뒷채움 되어 있지 않을 시, 상기 걸이대(122)의 단부(122a)는 상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배면 하단(Wa)까지 하향 연장되어 별도의 앵커 볼트(126) 없이 걸이대(122) 자체의 지지력으로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40)는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 전면, 즉 도로부쪽에 노출된 철제 파이프(115a)(115b)의 고정바(117a)(117b)에 각각 횡으로 연결하는데, 철제 파이프(115a)(115b)의 하단부, 중간부 및 상단부에 볼트(145)로 결합시켜 그 상부에 화단(F)을 다수 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방 테두리를 따라서 상부측으로 단턱(143)을 돌출 형성한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통풍 및 배수구(148)가, 예를 들면 5개 형성되어 통풍 및 배수가 원활히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받침대(140)는 그 측방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된 단턱(143)으로 인하여 그 상부면에 화단(F)이 설치되는 경우, 측방 모서리측으로 밀려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통풍 및 배수구(148)를 통하여 화단(F)에 통풍 및 배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100)는 상기 고정대(110)의 철제 파이프(115a)(115b) 사이에서 받침대(140)의 상부에 나란하게 횡으로 장착되고,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받침대(140) 상에 올려진 화단(F)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단(F)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발명하였는데, 이는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 전면에 노출된 고정대(110)의 철제 파이프(115a)(115b)와 PVC 관으로 이루어진 급수관(160)을 결속방식으로 결합하며, 이때 급수관(160)의 개수는 화단(F)의 개수와 동일하게 필요하다.
즉 3단의 받침대(140)가 고정대(110)에 설치되면 각각의 상부에 급수관(160)이 설치되어 3개의 급수관(160)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중간부 받침대(140) 하부와 상단부 받침대(140) 하부에 각각 1개씩의 급수관(160)을 고정대(110)에 접합하고, L형 측구 전면에 노출된 철제 파이 프(115a)(115b) 최상단부에 나머지 1개의 급수관(160)을 접합한다.
이와 같이 3개의 급수관(160)을 접합하면 각각의 화단(F) 위에 급수관(160)이 위치하며, 이때 각각의 급수관(160)에는 약 10 cm 간격으로 급수공(164)을 뚫는데, 이 급수공(164)은 화단(F)을 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급수공(164)은 물이 수직으로 떨어지게 뚫는 것 보다는 꽃을 향할 수 있도록 연직방향(P)에 대해서 5?7°정도의 각도(θ)로 경사지게 떨어질 수 있도록 뚫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급수관(160)들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길이에 따라 연장되어 시공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급수관(160)으로의 물의 공급은 절토사면 시점부 쪽에서 집수정(180), 즉 물탱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사면(170)의 시점부쪽에 계곡부(172)가 존재할 경우, 계곡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도수로와 집수정(180) 등의 설치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10)의 철제 파이프(115a)(115b)에 장착된 3개의 급수관(160)은 각각 집수정(18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또한 집수정(180)에서의 물은 수두차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 급수관(160)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집수정(180)의 위치는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높이보다 반드시 높은 곳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밸브(182) 개폐를 통하여 각각의 급수관(160)에 수두차를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화단(F)이 끝나는 지점에서는 급수관(160)을 막아줌으로써 물의 손 실 없이 화단(F)으로의 물 공급이 원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단(F)으로의 물 급수에 관련하여 별도의 관리비용이 필요치 않으며, 유지 관리가 쉽다.
상기에서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길이가 100m 이상일 경우에는 100m 지점마다 집수정(180)을 설치하여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60)의 길이가 지나치게 연장 시공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면에 장착되어 다수의 화단(F)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대(110)의 복수의 철제 파이프(115a)(115b)를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에 고정하게 되는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뒷면에 토사가 채워진 곳에는 고정대(110)의 철제 파이프(115a)(115b) 상단에 마련된 걸이대(122)를 이용하여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상단 모서리에 걸은 다음, 앵커 볼트(126)를 이용하여 각각 견고히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대(110)의 철제 파이프(115a)(115b)에 마련된 고정바(117a)(117b)에는 각각 상하 일정 간격으로 받침대(140)를 설치하는데, 이때에는 받침대(140)의 양측부를 고정바(117a)(117b)에 볼트(145)로 고정하여 다단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급수관(160)을 고정대(110)에 밴드 또는 클램프(미 도시)를 이용하여 결속시켜 고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급수관(160)은 집수정(180)에 연결하여 물을 받도록 연결하고, 급수관(160)에 형성된 다수의 급수공(164)들은 받 침대(140) 상의 화단(F)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100)는 이와 같은 설치 과정을 거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다수의 세트를 나란하게 설치하고,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이 100m 이상일 경우에는 100m 지점마다 집수정(180)을 설치하여 물이 급수관(160)으로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대(110) 상에 횡으로 설치된 다단의 받침대(140)에는 각각 다수의 화단(F)을 설치하고, 꽃 또는 나무 등의 식물을 식재하여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을 조경하게 된다.
한편,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뒷면에 토사가 채워지지 않은 곳에는 고정대(110)의 철제 파이프(115a)(115b) 상단에 마련된 걸이대(122)를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상단 모서리에 걸은 다음, 상기 걸이대(122)의 단부(122a)를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배면 하단(Wa)까지 하향 연장시킴으로써 별도의 앵커 볼트(126)없이 자체적으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받침대(140)와 급수관(160)을 장착하고,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면에 화단(F)을 다단으로 조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면에 화단(F)이 조성된 다음에는, 급수관(160)을 통해서 물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집수정(180)으로부터 자연 수두압에 의해서 물이 공급되는데, 급수관(160)에 마련된 밸브(182)를 열어두게 되면 자연적으로 물 이 급수관(160)을 통해서 급수공(164)으로 공급되고, 그 하부측에 위치된 받침대(140)의 화단(F)에 물이 공급되어 꽃 또는 나무 등의 식물성장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100)는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면에 쉽게 화단(F)을 설치함으로써 친환경적 및 미적 효과를 증대시켜 인공구조물과 자연과의 괴리를 최소화시키고 도로 주변 경관의 시각적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어서 유익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면이 화단(F)으로 조성됨으로써 도로 주변의 미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도로 이용자로 하여금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을 완화 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자연과의 조화와 시각적 가치를 높여서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사고로 인해 차량이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에 충돌할 경우, 화단(F) 자체가 완충장치 역할을 하여 차량 탑승자의 충격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부상을 줄일 수 있어서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잇점도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형 측구용 화단걸이가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형 측구용 화단걸이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형 측구용 화단걸이에 구비된 받침대의 상부에 화단이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형 측구용 화단걸이에 구비된 급수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형 측구용 화단걸이의 고정대가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형 측구용 화단걸이의 고정대가 앵커 볼트없이 걸이대 자체적으로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의 전면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110..... 고정대
115a,115b.... 철제 파이프 117a,117b.... 고정바
122..... 걸이대 122a.... 걸이대 단부
126..... 앵커 볼트 140..... 받침대
143..... 단턱 145..... 볼트
148..... 통풍 및 배수구 160..... 급수관
164..... 급수공 170..... 절토사면
172..... 계곡부 180..... 집수정
182..... 밸브
P..... 연직방향 θ..... 급수공 각도
W......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 Wa..... 배면 하단

Claims (7)

  1.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면에 걸쳐지는 복수의 철제 파이프(115a)(115b)들을 구비한 고정대(110);
    상기 고정대(110)의 철제 파이프(115a)(115b) 사이에서 양측부가 연결되어 횡으로 배치되며, 상부에는 화단(F)이 거치되는 받침대(140); 및
    상기 고정대(110)의 철제 파이프(115a)(115b) 사이에서 받침대(140)의 상부에 나란하게 횡으로 장착되고,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받침대(140) 상에 올려진 화단(F)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60);을 포함하고,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설치되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면에 다단으로 화단(F)을 배치하여 조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철제 파이프(115a)(115b)의 전면은 상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전면에 나란하도록 경사 형성된 복수의 고정바(117a)(117b)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철제 파이프(115a)(115b)의 상단은 휘어진 걸이대(122)로 형성하되, 상기 휘어진 걸이대(122)는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상부 모서리에 걸쳐지고, 상기 걸이대(122)의 단부(122a)는 상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의 배면 하단(Wa)까지 하향 연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17a)(117b)에 받침대(140)의 양측부가 각각 볼트(145)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140)는 상하 간격을 두고 다단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40)는 그 측방 테두리를 따라서 상부측으로 단턱(143)을 돌출 형성한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통풍 및 배수구(148)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60)은 받침대(140) 위의 고정대(110)상에 결속된 PVC 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부측에 다수의 급수공(164)을 형성하며, 상기 급수공(164)은 연직방향(P)에 대하여 5-7°의 각도(θ)로 경사형성되어 화단(F)의 식물로 급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60)은 절토 사면의 계곡부에 위치되고, 상기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 보다 높게 위치된 집수정(18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화단(F)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집수정(180)은 100m 길이의 L형 측구 또는 낙석방지옹벽(W) 마다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KR1020090102435A 2009-10-27 2009-10-27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KR10115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35A KR101151667B1 (ko) 2009-10-27 2009-10-27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35A KR101151667B1 (ko) 2009-10-27 2009-10-27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740A KR20110045740A (ko) 2011-05-04
KR101151667B1 true KR101151667B1 (ko) 2012-06-08

Family

ID=4424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435A KR101151667B1 (ko) 2009-10-27 2009-10-27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89B1 (ko) 2020-10-30 2021-04-05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옹벽에 설치를 이룰 수 있는 가변식 조립식 화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9474B2 (en) * 2018-02-20 2022-08-02 John Anthony WOERNER Integrated fence irrigation and grow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537Y1 (ko) * 2000-01-31 2000-06-15 주식회사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벽용 화분대
KR100844108B1 (ko) 2007-04-24 2008-07-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KR100863625B1 (ko) * 2007-04-16 2008-10-15 김진완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537Y1 (ko) * 2000-01-31 2000-06-15 주식회사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벽용 화분대
KR100863625B1 (ko) * 2007-04-16 2008-10-15 김진완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KR100844108B1 (ko) 2007-04-24 2008-07-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89B1 (ko) 2020-10-30 2021-04-05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옹벽에 설치를 이룰 수 있는 가변식 조립식 화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740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667B1 (ko)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CN201581411U (zh) 斜插式桩板墙
KR20170112842A (ko) 수목뿌리 성장 제어 유도기에 의한 수목식재 방법
CN112900361B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护坡结构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KR20130048670A (ko) 경량 식재 모듈 구성으로 식물의 생육, 빗물 여과, 홍수조절 시스템
CN211703057U (zh) 一种适用于矿山高陡岩面的生态绿化装置
KR20080099937A (ko) 계단식 화단 옹벽용 배수구조 및 계단식 화단 옹벽시공방법
CN110158539A (zh) 一种悬挂式种植板和砂土边坡生态护坡系统
CN206302826U (zh) 垂直绿化装置
CN214657144U (zh) 一种适用于西北黄土高原地区的新型生态护坡
CN212001166U (zh) 一种公路边坡防护装置
CN213741133U (zh) 一种岩质边坡的绿化种植装置
CN212865983U (zh) 一种防水土流失的结构
CN210562280U (zh) 一种钢塑复合型植生挡土墙
CN211646425U (zh) 一种适用于岩质边坡的拼装式生态防护装置
CN210439227U (zh) 一种悬挂式种植板和砂土边坡生态护坡系统
KR102015296B1 (ko)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CN212001192U (zh) 一种公路工程施工用边坡防护装置
KR101877024B1 (ko) 식생용 토목블록
CN216339286U (zh) 一种河岸植被生态恢复用防水土流失装置
KR100577846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구조
KR100384351B1 (ko) 식물식재가 가능한 방음벽의 설치공법
CN218880906U (zh) 一种高边坡支护加固结构
CN209799547U (zh) 一种园林绿化用防护隔离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