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024B1 - 식생용 토목블록 - Google Patents

식생용 토목블록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024B1
KR101877024B1 KR1020160029379A KR20160029379A KR101877024B1 KR 101877024 B1 KR101877024 B1 KR 101877024B1 KR 1020160029379 A KR1020160029379 A KR 1020160029379A KR 20160029379 A KR20160029379 A KR 20160029379A KR 101877024 B1 KR101877024 B1 KR 10187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main body
frame
soil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952A (ko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박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공영 filed Critical 박공영
Priority to KR102016002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02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Abstract

식생용 토목블록에 관한 것으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개방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프레임; 식물의 뿌리가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성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부분을 감싸면서 걸쳐지게 설치되는 걸림망;를 마련하여 본체 내부에 채워진 흙(토양)이 유실되더라도 걸림망의 공간부에 채워진 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식물 또는 관목 등이 공간부에 채워진 토양에 의해 생육되며, 토목블록이 파손 또는 손상되더라도 걸림망의 공간부에 채워진 토양에 의해 식물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 또는 관목의 생육에 필요한 토양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식생용 토목블록{Civil Block for Vegetation}
본 발명은 식생용 토목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려한 외관을 갖는 벽면 또는 토목공사 후 암반이나 절개사면 또는 절취사면 등에 식물 또는 관목 등을 식재함과 함께 블록 내부에 채워진 토양 및 식물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식생용 토목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철도의 사면, 공원 지역의 비탈면이나 하천제방, 해안도로 등에는 옹벽을 시공하고 있다.
옹벽은 토양 안정과 경사면 보호라는 측면을 최우선으로 중요시하여 전면 전체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콘크리트 블록 또는 콘크리트 패널로 마감하고 있다.
콘크리트면으로 전면벽 전체를 마감하고 있는 종래의 옹벽은 주변 자연환경과 전혀 조화되지 않는 회색빛 외관을 제공하여 도회경관을 크게 해치고 있으며, 원래의 자연 생태계와는 이질적이어서 식물이나 미생물, 소동물 등의 자연 생태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면으로 된 전면벽 배수를 위해 배수구멍을 뚫어 놓고 자갈 등으로 뒷채움공사를 실시하고는 있으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수압 및 토압에 의해 붕괴될 위험성이 상존하는 등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토목용 블록"이 특허등록 제10-1429481호로 등록 되어 있으며, "조립식 토목 블록"이 특허등록 제10-1569789호로 등록 되어 있다.
상기 "토목용 블록"은 하방향을 향해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되어 상기 식재공을 통해 식물이 식재되는 전면판, 다수의 제1 수분유통공이 형성되어 후면부에 위치되는 토양 중의 수분만 상기 제1 수분유통공을 통해 유통되는 것에 따라 후면부에 위치되는 토양의 수압을 낮추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후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서 지지역할을 하며, 다수의 제2 수분유통공이 형성되어 측면부에 위치되는 토양 중의 수분만 상기 제2 수분유통공을 통해 유통되는 것에 따라 측면부에 위치되는 토양의 수압을 낮추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판 형상의 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식 토목 블록"은 외부면에서 안쪽을 향해 하방향을 향해 경사진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되며, 안쪽 코너부위에는 제1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전면판, 수분이 유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수분유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끼움홈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2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후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사이를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부는 상기 전면판의 제1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후면부는 상기 후면판의 제2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부재를 통해 각각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수분이 유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수분유통공이 형성되면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끼워지는 제3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측면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전면판 및 상기 후면판과 함께 상기 지지대를 통해 같이 고정되는 조립식 토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제1 끼움홈 위치, 상기 후면판의 제2 끼움홈 위치, 상기 측면판의 제3 끼움홈 위치에는 전후가 통하도록 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전면부와 후면부에는 고정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29481호(2014년 8월 6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69789호(2015년 11월 11일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토목블록은 각 면이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식물 또는 관목 등이 자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고, 토목블록 내부에 채워진 토양이 빗물 등에 유실되어 식물 또는 관목 등이 자랄 수 없으며, 블록의 설치 시 블록을 각각 조립해야 되므로 블록의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의 유실 없이 식물 또는 관목 등이 안정되게 생육할 수 있는 식생용 토목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목블록에 다수의 식물 또는 관목 등이 안정되게 성장함은 물론 토양의 유실 및 식물 또는 관목 등의 유실이 발생하지 않는 식생용 토목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개방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프레임; 식물의 뿌리가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성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부분을 감싸면서 걸쳐지게 설치되는 걸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일정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금속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개방면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판; 상기 측면판 사이에 폐쇄면을 형성하는 수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망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여러 겹으로 걸치거나 인접한 걸림망의 일부가 서로 겹치게 설치되는 걸림부;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식물의 뿌리 부분이 성장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망은 부직포, 직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에 의하면, 본체 내부에 채워진 흙(토양)이 유실되더라도 걸림망의 공간부에 채워진 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식물 또는 관목 등이 공간부에 채워진 토양에 의해 생육되며, 토목블록이 파손 또는 손상되더라도 걸림망의 공간부에 채워진 토양에 의해 식물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 또는 관목의 생육에 필요한 토양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에 부직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식생용 토목블록의 일부를 확대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식생용 토목블록의 일부를 확대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에 부직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은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면(11)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개방면(11)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프레임(20), 식물 또는 관목 등의 뿌리가 상기 본체(10) 내부를 향해 성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일부분을 감싸면서 걸쳐지게 설치되는 걸림망(3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용 토목블록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본체(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금속 등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적정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11)이 형성되고, 개방면(11)의 양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측면판(12)이 형성되며, 측면판(12) 사이에는 개방면(11)과 대향되는 면에 수직판(13)이 형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방면(11)에는 고정프레임(2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0)은 개방면(11)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일정 강성을 갖는 금속, 합성수지,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0)와 고정프레임(20)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10)와 고정프레임(20)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은 개방면(11)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고정프레임(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프레임(21)과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들 수평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은 개방면(11)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에는 걸림망(30)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망(30)은 직물 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프레임(20)의 수평프레임(21)에 걸린 상태로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망(30)은 수평프레임(21)의 걸리는 걸림부(31)와 수평프레임(21)으로부터 본체(10)의 내측을 향해 늘어뜨린 상태로 투입되는 공간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31)는 수평프레임(21)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걸리게 되고, 공간부(32)는 본체(10)의 내측을 향해 길게 늘어뜨리게 된다. 이에 공간부(32)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평프레임(21)과 수평프레임(21) 사이에 위치하여 식물 또는 관목의 뿌리 부분이 성장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갖게 된다.
아울러 공간부(32)에는 식물 또는 관목 등의 성장에 필요한 흙이 채워지며, 본체(10)의 내부에도 흙이 채워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10)는 양측의 측면판(12)과 수직판(13)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개방면(11)이 형성되고, 개방면(11)에는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된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 실시 예는 걸림망(30)이 본체(10)의 설치되는 것이고, 제2 실시 예는 걸림망(30)이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0)는 양 측면에 각각 개방면(11)이 형성되고, 개방면(11)에는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1)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개방면(11)과 직각인 면은 개방되게 형성한다. 또한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식생용 토목블록의 일부를 확대한 입체도이고,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식생용 토목블록의 일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프레임(20)에 걸림망(30)이 걸쳐진 상태를 일부 확대한 도면으로, 걸림망(30)은 수직프레임(22)의 간격보다 큰 길이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수평프레임(21)에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게 걸쳐지게 된다.
이에 걸림망(30)의 걸림부(31)는 수평프레임(21)에 걸쳐지면서 수직프레임(22)의 상측과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벌어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걸림망(30)의 공간부(32)는 인접한 다른 걸림망(30)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게 된다.
이렇게 걸림망(30)의 공간부(32)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됨에 따라 식물, 관목 등의 하중과 함께 토양에 의한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게 되며, 걸림망(30)의 걸림부(31)의 일부는 수평프레임(21)에 겹쳐져 설치되어 걸림망(30)에 가해지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게 된다.
또한 걸림망(30)의 최하단은 본체(10)에 고정된 수평프레임(21)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는 본체(1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걸림망(30)에 채워진 토양이 본체(10)의 외측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생용 토목블록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용 토목블록은 고정프레임(20)에 걸림망(30)을 설치한다. 상기 걸림망(30)은 고정프레임(20)의 수평프레임(21)에 설치되며, 걸림망(30)은 부직포, 직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망(30)은 수평프레임(21)에 걸리는 걸림부(31)와 본체(1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공간부(32)로 이루어진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망(30)의 일부는 수평프레임(21)에 걸리게 되고, 본체(10)의 내부로 연장된 공간부(32)에는 식물 또는 관목 등의 뿌리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에는 걸림망(30)을 여러 겹으로 걸쳐지게 설치되며, 걸림망(30)의 일부를 서로 겹치게 설치한다. 상기 걸림망(30)의 공간부(32)에는 식물 또는 관목 등의 뿌리 부분이 위치하게 되고, 본체(10)의 외측에는 식물 또는 관목 등의 가지 등이 위치하게 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 또는 관목 등은 본체(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식물 또는 관목 등의 뿌리 부분은 걸림망(30)의 공간부(32)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식물 또는 관목의 뿌리 부분이 본체(10)의 내부를 향해 생육되므로, 본체(10) 내부에 있는 흙이 빗물 등에 유실되더라도 공간부(32)에 채워진 흙은 걸림망(30)에 의해 유실되지 않게 된다.
즉, 본체(10) 내부에 채워진 흙은 강한 폭우 등에 의해 유실이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걸림망(30)의 공간부(32)에 있는 식물 또는 관목 등의 뿌리 부분은 공간부(32) 내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32)에 채워진 뿌리 부분은 걸림망(30)의 공간부(32)를 관통하여 본체(10) 내부를 향해 성장하게 되고, 공간부(32)에 채워진 흙은 걸림망(30)에 의해 유실되지 않고 공간부(32)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개방면
12: 측면판 13: 수직판
20: 고정프레임 21: 수평프레임
22: 수직프레임 30: 걸림망
31: 걸림부 32: 공간부

Claims (6)

  1.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개방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프레임;
    식물의 뿌리가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성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부분을 감싸면서 걸쳐지게 설치되는 걸림망;
    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일정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금속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형성되는 개방면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판; 및 상기 측면판 사이에 폐쇄면을 형성하는 수직판;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이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본체에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망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여러 겹으로 걸치거나 인접한 걸림망의 일부가 서로 겹치게 설치되는 걸림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식물의 뿌리 부분이 성장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 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프레임의 간격보다 큰 길이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수평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게 걸쳐지도록 마련되어, 걸림부가 수평프레임에 걸쳐지면서 수직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벌어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공간부는 인접한 다른 걸림망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걸림망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최하단이 본체에 고정된 수평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본체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걸림망에 채워진 토양이 본체의 외측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걸림망은 부직포, 직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토목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29379A 2016-03-11 2016-03-11 식생용 토목블록 KR10187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379A KR101877024B1 (ko) 2016-03-11 2016-03-11 식생용 토목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379A KR101877024B1 (ko) 2016-03-11 2016-03-11 식생용 토목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952A KR20170105952A (ko) 2017-09-20
KR101877024B1 true KR101877024B1 (ko) 2018-08-09

Family

ID=6003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379A KR101877024B1 (ko) 2016-03-11 2016-03-11 식생용 토목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4616B1 (en) 2019-12-19 2022-09-06 Robert Anderson Erosion blo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46Y1 (ko) * 2011-01-31 2013-10-28 대승씨엔에스 주식회사 식생용 옹벽블록
KR101429481B1 (ko) 2013-12-18 2014-08-18 벽화수주식회사 토목용 블록
KR101569789B1 (ko) 2014-01-09 2015-11-19 벽화수주식회사 조립식 토목 블록
KR101697818B1 (ko) * 2014-08-19 2017-01-19 손창락 식물화분 식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952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KR200484086Y1 (ko) 친환경적인 식생수로 구조물
KR101429481B1 (ko) 토목용 블록
KR101877024B1 (ko) 식생용 토목블록
KR101231123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생태블록 시공방법 및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CN212612526U (zh) 一种用于陡边坡网格梁内植草支护结构
KR20100098492A (ko)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200463754Y1 (ko) 동식물 및 조류서식용 보강블록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KR101704458B1 (ko) 복합형 식생개비온
KR100927819B1 (ko) 토낭 축조식 옹벽 구축용 연결 패널
KR20150019110A (ko) 경사면용 계단식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802911B1 (ko) 화분형 식생 블럭
KR200486017Y1 (ko) 에코 식생블록
KR102015296B1 (ko)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101012655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0594399B1 (ko) 건축물 비탈면 보호 구조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TWM461652U (zh) 水土保持植栽磚
JP4886822B2 (ja) 組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連鎖状構造物
KR102537825B1 (ko) 흙과 재이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식생 및 인조잔디 개비온 옹벽구조물 및 이를 위한 드레인보드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0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04

Effective date: 2018061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