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625B1 -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 Google Patents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625B1
KR100863625B1 KR1020070037031A KR20070037031A KR100863625B1 KR 100863625 B1 KR100863625 B1 KR 100863625B1 KR 1020070037031 A KR1020070037031 A KR 1020070037031A KR 20070037031 A KR20070037031 A KR 20070037031A KR 100863625 B1 KR100863625 B1 KR 10086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amboo
vegetation space
fence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266A (ko
Inventor
김진완
Original Assignee
김진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완 filed Critical 김진완
Priority to KR102007003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625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과 옹벽 구조물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며,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와 대나무 통체의 내부에 식재되어 성장한 식물을 보여주며, 법면 또는 절개지에 신속하게 식생대를 형성시켜, 법면 또는 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한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옹벽 녹화용 펜스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탄성 클립(111a-111n)이 구비되며,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와; 상기 각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에 구비된 탄성 클립(111a-111n)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결합되는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120a-120n)와; 상기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의 최상단의 내부로 각각의 배수공(131a-131n)을 통하여 균일한 양의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점적 테이프(130)로 구성된다.
옹벽, 법면, 점적관수, 대나무, 식물, 고정 프레임

Description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FENCE OF GREENING BREAST WALL OR SLOPE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이 식재되지 않은 상태의 옹벽 녹화용 펜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 녹화용 펜스에서, 식물이 식재된 상태의 대나무 통체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보인 물공급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다른 형상의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옹벽 녹화용 펜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법면 녹화용 펜스의 정면도.
도 6은 도 6의 A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녹화용 펜스 110,310 : 고정 프레임 세트
110A,110B,310A,310B : 고정 프레임 111a-111n : 탄성 클립
112a,112b : 피스 113a-113n : 대나무 수용부
114 : 고정홀 115 : 고정줄
116 : 고정편 120a-120n, 320a : 대나무 통체
122a-122n : 마디부 123a-123n : 식생 공간부
124a-124n : 식물 125a-125n : 재배토 및 각종 비료
126a-126n : 식물 성장홀 127a-127n : 내부 배수공
128a-128n : 외부 배수공 129a-129n : 통과공
130,330 : 점적 테이프 131a-131n : 배수공
131a-131n : 배수공 140,340 : 물 공급장치
본 발명은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로 축조된 옹벽이나, 산이나 특정 지역에 조성된 법면 또는 절개지를 자연친화적인 방법으로 가릴 수 있는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절개지 또는 성토 사면에서 도로 연변에 설치되어 절개지 또는 사면에서 발생한 빗물이나 지하수의 집수 및 배수와 경사면의 보호를 겸하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옹벽을 시공할때는 도로 연변에 다수의 집수공이 상부표면에 천공된 유공관을 매설하여 도로포장의 내부와 옹벽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하수를 집수하게 된다. 유공관의 상부측에는 상부가 개구부를 갖는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블록을 설치되어, 노면이나 옹벽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하게 되고, 유공관과 배수블록은 도로 연변에 하수관에 연결하여 집수된 지하수나 빗물을 배수하게 된다.
이러한 옹벽에는 별도의 옹벽블록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보호벽을 타설하여 옹벽을 보호하게 되는데,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은 다수의 유공관이 옹벽의 외부로 노출되어 빗물이나 유수가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은 재질이 모래와 시멘트의 배합으로 만들어진 회색의 구조물이므로, 주위의 자연 환경과 부조화를 이루게 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또는 승객들에게 무미건조한 느낌을 주고 있었다.
또한, 산이나 성토지에 깍아낸 법면 또는 절개지에 사면을 안정화하기 위해 다양한 녹화작업을 시공하는데, 이런 녹화작업을 몇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씨앗뿜어붙이기공법으로, 씨앗, 비료, 흙 등의 뿜어붙일 재료에 물을 가한 혼합재료를 뿜어 붙이기 기계를 사용하여 사면에 뿜어붙이는 공법이다. 이와 같은 공법은 토사 절토사면에 적용성이 높고, 시공능률이 좋으며, 도랑 객토공과 병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식생매트공법으로서, 씨앗, 비료 등을 정착한 매트류로 사면을 전면적으로 피복하는 공법으로서, 식생이 왕성할 때까지 매트에 의한 피복효과가 있으므로 동계나 하계에도 시공이 가능하다.
셋째, 식생판공법으로, 식생토 또는 이탄을 판으로 성형하고 표면에 씨앗을 심은 것을 사면에 붙이는 공법으로서, 유기질 비료가 많으므로 시비(施肥)효과가 오래간다.
넷째, 식생망태공법으로서, 비옥토에 씨앗을 혼합해서 망태에 넣은 것을 사면에 붙임는 공법으로서, 씨앗, 비옥토의 유실이 적으며 지반에 밀착하게 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부분객토식생공법으로서, 사면에 구멍을 파고 비료와 객토, 씨앗을 넣고 복토, 양생하는 공법으로서, 사면의 굳은 곳에 적합하다.
여섯째, 식생줄떼공법으로서, 씨앗, 비료 등을 정착한 섬유나 종이를 비옥토가 덮인 성토사면에 삽입하는 공법으로서, 줄떼보다 빨리 식생 피복이 완성되기 때문에 성토사면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기존의 녹화공법들은 씨앗을 뿌리거나 식생판을 사면에 붙이는 방식으로서, 법면 또는 절개지에 대한 녹화 작업성이 떨어지고, 비용 또한 상대적으로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식재된 식물씨앗이나, 식생판, 또는 식물 모종에 직접 물을 주어야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였다. 만일, 식재된 장소가 도심에서 많이 떨어진 경우나, 차량의 진입이 곤란한 경우라면 더욱 철절한 관리가 요구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과 옹벽 구조물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 주며,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와 대나무 통체의 내부에 식재되어 성장한 식물을 보여 주는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법면 또는 절개지에 신속하게 식생대를 형성시켜, 법면 또는 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한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옹벽 또는 법면에 시공된 녹화용 펜스에 식재된 식물에게 내부 수조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여 물 공급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키면서 관리할 수 있으며, 필요시 자동으로 내부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녹화용 펜스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탄성 클립(111a-111n)이 구비되며,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와; 상기 각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에 구비된 탄성 클립(111a-111n)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결합되는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120a-120n)와; 상기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의 최상단의 내부로 각각의 배수공(131a-131n)을 통하여 균일한 양의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점적 테이프(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는,
일정 간격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마디부(122a-122n)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식생 공간부(123a-123n)과;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의 내부 저면에 식물(124a-124n)을 재배할 수 있도록 각각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125a-125n)와;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의 상단부에 옹벽의 전면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식물(124a-124n)이 성장하여 외부로 성장해 뻗어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 성장홀(126a-126d)과;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을 구분하는 다수의 마디부(122a-122n)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현재 식생 공간부에 있는 물을 하측 식생 공간부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내부 배수공(127a-127n)과;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에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125a-125n)에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의 하부측에서 각각의 마디부(122a-122n)의 외부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외부 배수공(128a-128n)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은, 상기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를 좌우로 흔들리거나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나무 수용부(113a-113n)와, 상기 각각의 대나무 수용부(113a-113n)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114)과; 상기 고정홀(114)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대나무 수용부(113a-113n)에 위치한 대나무 통체(120a-120n)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줄(115)과; 고정줄(115)이 각각의 고정홀(114)에서 빠지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워 넣기 위한 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고정편(116)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옹벽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회색의 옹벽과 옹벽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줄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와 각각의 대나무 통체의 마디마다 식재된 식물을 보여줌으로써, 주위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게되어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제공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는 법면 또는 절개지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법면 또는 사면을 가려주면서 각각의 대나무 통체의 마디마다 식재된 식물에 의해서 법면 또는 사면을 조속히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이 식재되지 않은 상태의 옹벽 녹화용 펜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 녹화용 펜스에서, 식물이 식재된 상태의 대나무 통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옹벽 녹화용 펜스(100)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탄성 클립(111a-111n)이 구비되며, 옹벽(10)의 전면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고정 프레임(110A,100B)와; 각각의 고정 프레임(110A,100B)에 구비된 탄성 클립(111a-111n)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결합되는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120a-120n)와;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의 최상단의 내부로 각각의 배수공(131a-131n)을 통하여 균일한 양의 물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점적 테이프(130)와; 점적 테이프(130)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140)로 구성된다.
*도 1에서는 단지 두 개의 고정 프레임(110A,110B)만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그 갯수를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의 끝단부에는 옹벽(10)에 볼트를 삽입하거나 앙카 체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홀(1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 프레임을 옹벽(10)에 고정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녹화용 펜스와의 거리 (d)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 프레임을 옹벽(10)에 밀착시킬 수도 있으며, 필요시 약간의 간격을 둘 수도 있다.
여기서,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는 작업자가 탄성 클립에 살짝 밀어 넣으면, 자연스럽게 탄성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녹화용 펜스를 편리하면서도 빠르게 시공할 수 있으며, 이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112a,112b)를 이용하여 각각의 탄성 클립(111a-111n)과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를 완전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0)의 전면부를 완전히 가릴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대나무 통체간의 간격은 소정 간격을 두거나 또는 간격을 두지 않고 밀집하게 설치할 수도 있으며, 대나무 통체(120a-120n)의 내부에 식재할 식물의 종류는 기후와 주변 경관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는 일정 간격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마디부(122a-122n)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식생 공간부(123a-123n)과;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의 내부 저면에 식물(124a-124n)을 재배할 수 있도록 각각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125a-125n)와;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의 상단부에 옹벽(10)의 전면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식물(124a-124n)이 성장하여 외부로 성장해 뻗어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 성장홀(126a-126d)과,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을 구분하는 다수의 마디부(122a-122n)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현재 식생 공간부에 있는 물을 하측 식생 공간부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내부 배수공(127a-127n)과,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에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125a-125n)에 물이 과도하게 고여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의 하부측에서 각각의 마디부(122a-122n)의 바깥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외부 배수공(128a-128n)과;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에서 자라는 식물(124a-124n)에게 공기와 햇빛을 통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에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125a-125n)가 수납되지 않은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에서 바깥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통과공(129a-129n)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에 형성된 다수개의 식생 공간부(123a-123n)중 최상단 식생 공간부의 상부는 마듸가 없도록 잘라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 수조(121)로 사용되며, 최하단 식생 공간부는 상측의 식생 공간부에서 하측의 식생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을 최종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식물을 식재하지 않은채 지면에서 다소 떨어트려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대나무 통체의 최상단부에 형성된 내부 수조(121)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면 그 물이 내부 수조(121)의 하단부에 형성된 내부 배수공(127a)을 따라 바로 하측에 있는 식생 공간부(123a)으로 공급되며, 이와 같은 물 공급 방식은 하측에 있는 식생 공간부을 따라 차례로 공급되어, 결국 최하단 식생 공간부(123n)을 통하여 자연 배수된다.
또한,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의 최상단부에 형성된 내부 수조(121a- 121n)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은 관리자가 직접 물을 공급함으로써, 점적 테이프(130) (또는 점적 파이프)에 형성된 각각의 배수공(131a-131n)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한 물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 공급 장치(140)를 통하여 물을 내부 수조(121a)자동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물 공급장치(140)는 점적관수(Trickle Irrigation) 장치로서, 물 저장탱크(1)로부터 물을 펌핑할 수 있는 펌프(3)와, 펌프(3)에서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4)와, 여과기(4)와 연결되어 대나무 통체(120a-120n)들의 최상단부에 설치된 점적 테이프(130)에 물을 제공하는 물 공급관(5)과, 물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로 구성된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의 배수공(131a-131n)을 가진 점적테이프(130)가 정밀한 관수를 통하여 대나무 통체에 식재된 식물들에게 필요한 물량만을 균일하게 공급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보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 녹화용 펜스에서 사용된 각각의 고정 프레임은 탄성 클립(111a-111n)을 구비한 것이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이 탄성 클립을 구비하지 않고,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를 좌우로 흔들리거나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나무 수용부(113a-113n)와; 각각의 대나무 수용부(113a-113n)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114)과; 고정홀(114)을 통하여 각각의 대나무 수용부(113a-113n)에 위치한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를 차례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줄(115)과; 고정줄(115)이 각 각의 고정홀(114)에서 빠지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워 넣기 위한 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고정편(116)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줄(115)은 와이어, 로프, 새끼줄 등 다양한 소재 중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상부 고정 프레임(110A)에는 (-)자형 고정방식을 보였으며, 하부 고정 프레임(110B)에는 (X)자형 고정방식을 보였으나, 다양한 고정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법면 녹화용 펜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녹화용 펜스는, 둑, 호안(護岸), 절토(切土) 따위의 경사면인 법면 또는 사면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법면 녹화용 펜스는, 법면의 소정부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목(300A,300B)과; 지지목(300A,300B)에 고정되며,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탄성 클립(미도시)을 구비하며, 법면의 전면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고정 프레임(310A,310B)와; 각각의 고정 프레임(310A,310B)에 구비된 탄성 클립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결합되는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320a)와, 각각의 대나무 통체(320a)의 최상단의 내부로 각각의 배수공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한 물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점적 테이프(330)와; 점적 테이프(330)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 클립은 도 1에 도시된 탄성 클립(111a-111n)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며, 도 5에서는 하나의 대나무 통체(320a)의 측면만을 도시하였기 때문에 도면 번호는 생략되었으며, 대나무 통체(320a)의 개수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각각의 대나무 통체(320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마디부(322a-322n)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내부 식생 공간부(323a-323n)과; 각각의 식생 공간부(323a-323n)의 내부 저면에 식물(324a-324n)을 재배할 수 있도록 각각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325a-325n)와; 각각의 식생 공간부(323a-323n)의 상단부에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식물(324a-324n)이 성장하여 외부로 성장해 뻗어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 성장홀(326a-326d)과; 각각의 식생 공간부(323a-323n)을 구분하는 다수의 마디부(322a-322n)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현재 식생 공간부에 있는 물을 하측 식생 공간부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내부 배수공(327a-327n)과; 각각의 식생 공간부(323a-323n)에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325a-325n)가 지면에 닿는 부분에 각각의 식물의 뿌리가 지면에 용이하게 내리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뿌리 성장홀(328a-328n)로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다른 형상의 고정 프레임을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법면 녹화용 펜스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법면 녹화용 펜스는 법면이나 절개지 등에 씨앗을 뿌리거나 식생판을 사면에 붙이는 기존의 녹화 공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기재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녹화용 펜스에 따르면, 옹벽과 옹벽 구조물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며,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와 대나무 통체의 내부에 식재되어 성장하는 식물을 보여준다. 따라서, 종래보다 친환경적이며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면 녹화용 펜스에 따르면, 법면 또는 절개지에 경사지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식생대를 형성시켜, 법면 또는 사면의 붕괴를 조속히 안정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옹벽 또는 법면에 시공된 녹화용 펜스에 식재된 식물에게 대나무 통체의 맨 상위의 마디 내부에 위치한 내부 수조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며, 필요시 자동으로 내부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옹벽 또는 법면에 시공된 녹화용 펜스에 식재된 식물에게 물을 공급하는 관리 업무의 횟수가 종래보다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고, 식물의 생존률과 성장 속도도 크게 증대될 것이다. 특히, 옹벽이나 법면이 도심에서 많이 떨어진 경우나 물차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또는 법면에 시공된 녹화용 펜스의 효과는 더욱 증대될 것이다.

Claims (5)

  1.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탄성 클립(111a-111n)이 구비되며,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와;
    상기 각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에 구비된 탄성 클립(111a-111n)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결합되는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120a-120n)와;
    상기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의 최상단의 내부로 각각의 배수공(131a-131n)을 통하여 균일한 양의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점적 테이프(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녹화용 펜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는,
    일정 간격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마디부(122a-122n)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식생 공간부(123a-123n)과;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의 내부 저면에 식물(124a-124n)을 재배할 수 있도록 각각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125a-125n)와;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의 상단부에 옹벽의 전면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식물(124a-124n)이 성장하여 외부로 성장해 뻗어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 성장홀(126a-126d)과;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을 구분하는 다수의 마디부(122a-122n) 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현재 식생 공간부에 있는 물을 하측 식생 공간부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내부 배수공(127a-127n)과;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에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125a-125n)에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식생 공간부(123a-123n)의 하부측에서 각각의 마디부(122a-122n)의 외부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외부 배수공(128a-128n)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녹화용 펜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고정 프레임(110A,110B)은,
    상기 각각의 대나무 통체(120a-120n)를 좌우로 흔들리거나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나무 수용부(113a-113n)와;
    상기 각각의 대나무 수용부(113a-113n)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114)과;
    상기 고정홀(114)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대나무 수용부(113a-113n)에 위치한 대나무 통체(120a-120n)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줄(115)과;
    고정줄(115)이 각각의 고정홀(114)에서 빠지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워 넣기 위한 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고정편(11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녹화용 펜스.
  4. 법면의 소정부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목(300A,300B)과;
    상기 지지목(300A,300B)에 고정되며,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탄성 클립을 구비하며, 상기 법면의 전면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고정 프레임(310A,310B)와;
    상기 각각의 고정 프레임(310A,310B)에 구비된 탄성 클립에 수직방향으로 탄성 결합되는 다수개의 대나무 통체(320a)와;
    상기 각각의 대나무 통체(320a)의 최상단의 내부로 각각의 배수공을 통하여 균일한 양의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점적 테이프(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 녹화용 펜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대나무 통체(320a)는,
    일정 간격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마디부(322a-322n)로 구분되는 다수개의 내부 식생 공간부(323a-323n)과;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323a-323n)의 내부 저면에 식물(324a-324n)을 재배할 수 있도록 각각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325a-325n)와;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323a-323n)의 상단부에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식물(324a-324n)이 성장하여 외부로 성장해 뻗어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 성장홀(326a-326d)과;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323a-323n)을 구분하는 다수의 마디부(322a-322n)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현재 식생 공간부에 있는 물을 하측 식생 공간부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된 내부 배수공(327a-327n)과;
    상기 각각의 식생 공간부(323a-323n)에 수납된 재배토 및 각종 비료(325a-325n)가 지면에 닿는 부분에 각각의 식물의 뿌리가 지면에 용이하게 내리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뿌리 성장홀(328a-328n)로 구성되는 것을 법면 녹화용 펜스.
KR1020070037031A 2007-04-16 2007-04-16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KR10086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31A KR100863625B1 (ko) 2007-04-16 2007-04-16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31A KR100863625B1 (ko) 2007-04-16 2007-04-16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266A KR20070047266A (ko) 2007-05-04
KR100863625B1 true KR100863625B1 (ko) 2008-10-15

Family

ID=3827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031A KR100863625B1 (ko) 2007-04-16 2007-04-16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67B1 (ko) * 2009-10-27 201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KR101316660B1 (ko) * 2011-03-28 2013-10-10 이재석 녹화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375B1 (ko) * 2007-05-21 2007-09-10 와생녹화산업 (주) 와이어네트를 이용한 사면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0919099B1 (ko) * 2007-10-09 2009-09-28 박헌광 대나무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조경휀스
KR100832403B1 (ko) 2008-01-19 2008-05-26 최광복 대나무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19653B1 (ko) * 2009-07-09 2011-03-07 씨스켐건설(주) 대나무 구조물
KR102711401B1 (ko) * 2024-01-31 2024-09-27 한경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수 기능을 활용한 화재방지 옹벽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973A (ja) * 2001-08-09 2003-02-26 Fuji Green Kensetsu Kk 法面の緑化工法
JP2004068389A (ja) * 2002-08-06 2004-03-04 Yoshiro Tsujimoto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植生環境に関する構成材及び施工方法
KR200403541Y1 (ko) 2005-09-26 2005-12-09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도로의 녹화용 옹벽구조물
KR20060018754A (ko) * 2004-08-25 2006-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호안 녹화용 식생포트 및 이를 이용한 호안 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973A (ja) * 2001-08-09 2003-02-26 Fuji Green Kensetsu Kk 法面の緑化工法
JP2004068389A (ja) * 2002-08-06 2004-03-04 Yoshiro Tsujimoto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植生環境に関する構成材及び施工方法
KR20060018754A (ko) * 2004-08-25 2006-03-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공호안 녹화용 식생포트 및 이를 이용한 호안 녹화공법
KR200403541Y1 (ko) 2005-09-26 2005-12-09 주식회사 장원기술단 도로의 녹화용 옹벽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667B1 (ko) * 2009-10-27 201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엘형 측구 또는 옹벽용 화단걸이
KR101316660B1 (ko) * 2011-03-28 2013-10-10 이재석 녹화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266A (ko)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625B1 (ko)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US6845587B2 (en) Tree root invigoration process
US20110225883A1 (en) Vegetation wall
JP2009528827A (ja) 縦型植栽システム
KR20170088782A (ko)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188652B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유닛 및 그 장치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JP2002335765A (ja) 壁面緑化ユニット及び壁面緑化工法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KR100876938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KR101230730B1 (ko)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JP3121174B2 (ja) 雨水貯留型植栽地盤
KR100841978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1437840B1 (ko) 사면 녹화의 시공 방법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KR200320196Y1 (ko) 도로미화용 이중화분
CN113039970B (zh) 一种屋面景观养护系统
CN212561559U (zh) 一种基于生物桩和藤蔓植物的急陡土坡绿色防护结构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3506371B2 (ja)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JP3464620B2 (ja) 植生用ブロック及び同ブロックの段積み工法
KR20090079778A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JPH07227146A (ja) 壁面用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