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152B1 - 옥상 녹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옥상 녹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152B1
KR101034152B1 KR1020100105831A KR20100105831A KR101034152B1 KR 101034152 B1 KR101034152 B1 KR 101034152B1 KR 1020100105831 A KR1020100105831 A KR 1020100105831A KR 20100105831 A KR20100105831 A KR 20100105831A KR 101034152 B1 KR101034152 B1 KR 101034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ence
storage chamber
water storage
roof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웅
Original Assignee
장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웅 filed Critical 장기웅
Priority to KR102010010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초를 재배하기 위한 토심이나 시스템 중량물의 무게가 낮아 기존 건물의 옥상에 큰 부담 없이 적용가능하고, 옥상의 구조나 형상에 따라 즉각 대응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시공이나 철거가 용이함과 더불어 유지관리가 편리하며, 화초를 옥상면에서 이격된 공간에서 재배하므로써 옥상면과 화초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옥상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본체에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여 옥상면과 이격된 펜스망 내부에서 성장되도록 유도하므로써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필요시 원상태로 복원하는 철거 또한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화분본체에 충진된 충진재의 토심이나 시스템 자체의 중량감이 낮아 기존 건물에도 큰 부담없이 적용가능하고, 재배되는 식물 뿌리나 줄기는 옥상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옥상면이 식물 뿌리나 줄기로 인해 훼손되거나 구조적으로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옥상 녹화시스템{System of the housetop tree planting}
본 발명은 옥상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초를 재배하기 위한 토심이나 시스템 중량물의 무게가 낮아 기존 건물의 옥상에 큰 부담 없이 적용가능하고, 옥상의 구조나 형상에 따라 즉각 대응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시공이나 철거가 용이함과 더불어 유지관리가 편리하며, 화초를 옥상면에서 이격된 공간에서 재배하므로써 옥상면과 화초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옥상 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 녹화시스템은 단층이나 고층 건물의 옥상에 조경하는 녹화시설을 말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면에서 분리된 인공구조물의 조경시설물을 말한다.
이러한 옥상 녹화시스템은 건물의 옥상에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도심내의 부족한 녹지공간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곤충이나 식물을 위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또한 사람들에게는 휴식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서는 대기오염을 줄이는데 큰 장점이 있어 근래에는 지자체 건물은 물론이고 개인 건물로까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옥상 녹화시스템은 최상층에 대한 차열이나 단열에 있어 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옥상을 녹화시키는 시스템은 대부분 시공이 어렵고, 철거나 유지관리에 있어서도 불편함이 많아 설치에 있어 제한을 받게 된다. 즉, 종래의 옥상 녹화시스템은 대부분 옥상면에 대해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식물이나 화초를 식재하기 위해 토심층을 일정두께로 형성하는 것으로, 일종의 화단을 조성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토심층의 하중으로 인해 구조 자체가 튼튼하지 못한 건물 옥상은 안전을 장담할 수 없어 쉽게 설치에 있어 제한을 받게 되는 것이며, 나아가 토심층의 흙이 우수로 인해 유출되면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므로 유지관리가 어렵고, 한번 시공되면 그 형태 변경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이 또한 경계 대상이였다.
또한, 식물이 성장하면서 뿌리 등이 옥상면의 구조적인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등의 단점 때문에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옥상 녹화시스템이 아직까지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초를 재배하기 위한 토심이나 시스템 중량물의 무게가 낮아 기존 건물의 옥상에 큰 부담 없이 적용가능하고, 옥상의 구조나 형상에 따라 즉각 대응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시공이나 철거가 용이함과 더불어 유지관리가 편리하며, 화초를 옥상면에서 이격된 공간에서 재배하므로써 옥상면과 화초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옥상 녹화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내부에는 내향된 환턱이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실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물저장실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환턱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안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화초를 포함한 식물이 식재되는 충진재가 충진되며, 상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외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제1본체의 물저장실로 배수할 수 있는 집수로가 형성된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물저장실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본체의 하면을 통해 충진재 내에 위치하여 충진재가 건조하게 되면 물을 흡수하여 주변을 습하게 하는 흡수체로 이루어져 옥상면에 배치되는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에 일측이 결합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본체 상측에 위치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화분본체에 식재된 식물이 상측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공이 형성된 하부펜스와, 상기 하부펜스 상측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성장되는 식물이 더 이상 상측으로 성장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공간부 내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상부펜스로 이루어지는 펜스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펜스망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옥상면으로 하향 연장되어 펜스망을 지지하는 고정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펜스망의 각 모서리 부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옥상면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1고정체; 및 상기 제1고정체를 연결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제2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본체에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여 옥상면과 이격된 펜스망 내부에서 성장되도록 유도하므로써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필요시 원상태로 복원하는 철거 또한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화분본체에 충진된 충진재의 토심이나 시스템 자체의 중량감이 낮아 기존 건물에도 큰 부담없이 적용가능하고, 재배되는 식물 뿌리나 줄기는 옥상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옥상면이 식물 뿌리나 줄기로 인해 훼손되거나 구조적으로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식물이 성장되는 펜스망과 식물이 식재된 화분본체의 제2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옥상면의 구조나 형상에 즉각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고정수단이 펜스망을 옥상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시스템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본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나"는 화분본체의 분리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본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망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시스템의 전체 결합관계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8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옥상 녹화시스템의 설치과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옥상 녹화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시스템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시스템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옥상 녹화시스템(100)은 화분본체(200), 지지체(300) 및 펜스망(400)을 포함하고, 고정수단(500)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상기 화분본체(200)는 녹화를 시킬 옥상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화초를 포함한 식물이 식재되어 성장될 수 있도록 충진재와 물이 저장된다. 이러한, 화분본체(200)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체(300)는 긴 봉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화분본체(200)에 일측이 볼트(b) 결합되고, 타측은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펜스망(400)을 볼트(b)를 통해 결합하여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펜스망(400)은 상기 지지체(300)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본체(200)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화분본체(200)에 식재되어 성장되는 화초를 포함한 식물이 옥상면에서 일정 높이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횡방향으로 성장될 수 있도록 안내 유도하게 되는데, 이 또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펜스망(400)은 공기가 소통될 수 있는 틈새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그물과 같은 구조로서, 상기 지지체(300)와 결합은 도시된 볼트(b) 및 너트(n)로 이루어질 수 있고, 미도시한 체결끈이나 철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결합수단을 이용해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화분본체(200) 상측에 구비된 펜스망(400)이 바람 등의 영향으로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옥상면에 상기 펜스망(4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펜스망(400) 각 모서리 부분에 체결끈(530) 등으로 연결되어 옥상면에 지지되도록 하향 연장되는 제1고정체(510) 및 상기 제1고정체(510)를 서로 연결하여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제2고정체(5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고정체(520)는 ㄴ자 형상을 가지는 앵글로 구현하여 그 일부가 상기 화분본체(200) 하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화분본체(200)의 중량을 받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고정수단(500)을 설치하게 되면 펜스망(400)의 각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게 되므로 안정감이 향상됨은 당연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화분본체(200) 및 펜스망(400)의 상세한 구성 및 그 작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본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나"는 화분본체의 분리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본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망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화분본체(200)는 크게 제1본체(210), 제2본체(220) 및 흡수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본체(210)는 그 내부가 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내벽에는 내향된 환턱(212)이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실(214)이 형성되며, 하면 일측에는 상기 물저장실(214)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외부와 연통된 배출공(2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환턱(212) 상면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볼(218)이 추가로 개재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본체(220)는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충진재가 충진되는 식생공간(222)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지지체(여기서는 미도시됨)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25)이 형성된 외향된 플랜지부(224)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제1본체(210)의 물저장실(214)로 배수할 수 있는 집수로(2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집수로(226)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빗물 등의 집수가 용이하도록 하측에 비해 상측이 넓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로(226)에는 집수된 물이 상기 제1본체(210)의 물저장실(214)로 직접 저장될 수 있도록 물저장실(214)과 연통시키는 배출로(227)를 포함한다. 또한, 하면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분과 마찬가지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공(228)이 다수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삽입공(229)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흡수체(230)는 흡수력이 우수한 스펀지와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분본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사용된다. 즉, 제1본체(210) 내부로 제2본체(220)가 삽입되어 환턱(212) 상면에 안치되어 회전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특히 상기 환턱(212)에는 볼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제2본체(220)의 회전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흡수체(230)는 제2본체(220) 하면에 형성된 삽입공(229)으로 끼움 설치되어 그 일단은 상기 제1본체(210)의 물저장실(214)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2본체(220)의 식생공간(222)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220)의 상면에 형성된 집수로(226)는 배출로(227)를 통해서 제1본체(210)의 물저장실(214)과 연통됨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본체(220)의 집수로(226)를 통해서 물을 공급하게 되면 제1본체(210)의 물저장실(214)에는 물이 저장될 것이며, 그 일측면에 형성된 배출공(216)에 의해 저장되는 물은 일정 수위 이상은 저장되지 않게 되고, 배출공(216)을 통해서 제2본체(220)의 하면에 형성된 통공(228)으로 공기가 소통된다. 물론, 상기 집수로(226)를 통해서 물을 공급하지 않고 제2본체(220)를 결합하기 전 제1본체(210)의 물저장실(214)로 직접 물을 공급하여 채워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2본체(220)의 식생공간(222)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충진재를 충진하게 되는데, 흡수체(230)는 충진재가 건조하게 되면 물저장실(214)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주변을 습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로 하면, 펜스망(4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펜스망(400)은 앞서 간략하게 살펴보았듯이 상기 제1본체(210)에 식재되어 성장되는 식물이 지면과 일정 높이 떨어진 채 횡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제1본체(210)의 플랜지부(224)에 결합되는 지지체(300)에 결합 설치된다. 이러한, 펜스망(400)은 가운데 부분에는 화분본체(200)에 식재된 식물이 상측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제1본체(210)가 가지는 식생공간(22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유도공(412)이 형성된 하부펜스(410) 및 상기 하부펜스(410) 상측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422)를 형성하여 성장되는 식물이 더 이상 상측으로 성장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공간부(422) 내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상부펜스(420)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시스템의 전체 결합관계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화분본체(200) 즉, 화분본체(200)의 제1본체(210)에는 제2본체(220)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결합되어 있고, 제2본체(220)의 플랜지부(224)에는 지지체(300)의 일측이 볼트(b)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300)의 타측에는 펜스망(400) 즉, 하부펜스(410)가 볼트(b) 결합되어 화분본체(200)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본체(220)가 회전 가능하게 제1본체(210)에 결합되므로 지지체(300)를 매개로 제2본체(220)와 연결된 펜스망(400)의 어느 한 부분을 파지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작동될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고, 고정수단(500)의 제1고정체(510)가 펜스망(400)의 모서리 부분에 케이블타이와 같은 체결끈(530)으로 결합되어 지면으로 하향되고, 제2고정체(520)가 이 제1고정체(510)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체(520)의 일부는 화분본체(200) 하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화분본체(200)의 중량에 의해 눌러 지도록 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정수단(500)이 설치되면 펜스망(400)을 지지하게 되므로 바람 등의 영향으로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될 것이고, 펜스망(400) 및 제2본체(220)가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체(300)와 펜스망(400)을 결합하는 수단으로 볼트(b)가 예시되고, 제1고정체(510)와 펜스망(400)을 결합하는 수단으로 체결끈(530)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두 구성요소를 서로 결합하는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예시한 것으로,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공지된 각종 결합수단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명백히 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옥상 녹화시스템(100)의 사용 상태 및 설치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8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옥상 녹화시스템의 설치과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로 하면, 건물(600) 옥상면(610)에는 본 발명의 옥상 녹화시스템(100)이 다수 설치되어 화초 즉 식물을 재배하여 옥상면(610)을 녹화하고 있다. 이는 미려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열섬현상을 최소화시켜 최상층에서는 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옥상면(610)을 녹화시키는 설치 방법이 아주 간편하여 쉽게 설치 및 철거 또한 가능하다.
즉, 도 8의 "가"를 참조로 하면, 옥상면(610)에 화분본체(200)인 제1본체(210)를 먼저 설치한 뒤 그 내부에 형성된 물저장실(214)에 물을 저장한다. 그리고, 제2본체(220)를 상기 제1본체(210) 내부로 삽입시켜 환턱(212)에 지지되도록 한 다음, 제2본체(220)의 식생공간(222) 하면에 형성된 삽입공(229)으로 흡수체(230)를 하향 삽입시켜 그 하단부가 제1본체(210)의 물저장실(214) 바닥면에 닿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제2본체(220)의 식생공간(222)에 충진재를 충진하면서 식물 특히, 번식력이 우수한 덩굴식물을 식재한 다음 플랜지부(224)에 지지체(300)를 각각 결합 설치한다. 이때, 식생공간(222)에 충진된 충진재가 건조하게 되면 흡수체(230)는 물저장실(214)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주변을 습하게 하므로써 식물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비가 내리게 되면 빗물은 제2본체(220)의 집수로(226)로 수집되고 곧 배출로(227)를 따라 하향 배출되어 제1본체(210)의 물저장실(214)에 저장되므로 별도의 물공급장치 없이도 빗물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집수로(226)로 물 공급 호스나 관로를 설치하여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도 할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고, 물저장실(214) 일측에는 배출공(216)이 형성되어 있어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제어할 수 있고, 배출공(216)과 제2본체(220) 하면에 형성된 통공(228)으로 공기가 상시 소통되므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본체(220)의 플랜지부(224)에 결합된 지지체(300)에 펜스망(400) 즉, 하부펜스(410)를 결합하되 하부펜스(410)에 형성된 유도공(412)으로 제2본체(220)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면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옥상면(610)이 가지는 구조나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 화분본체(200) 전체를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필요 없이 펜스망(400)을 파지하고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지지체(300)를 통해 연결된 제2본체(220)가 제1본체(21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큰 노력 없이도 쉽게 옥상면(610)의 구조나 형상에 대응하면서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렇게 펜스망(400)이 설치되면 식물은 하부펜스(410)의 상면을 발판삼아 공간부(422) 내에서 횡방향으로 점차 성장하면서 펜스망(400)의 크기만큼 옥상면(610)을 녹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식물과 옥상면(610)에는 이격된 공간 즉,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열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식물의 줄기나 뿌리가 옥상면(610)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옥상면에 대한 구조적인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망(400)이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바람 등의 영향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수단(500)을 설치하여 녹화시스템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즉, 펜스망(4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제1고정체(510)를 설치한 뒤 제2고정체(520)를 매개로 제1고정체(510)를 서로 연결하여 펜스망(400)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상 녹화시스템(100)은 옥상면(610) 전체를 화단으로 조성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화분본체(200)에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하고, 옥상면(610)과 이격된 펜스망(400) 내부에서 성장되도록 유도하므로써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필요시 원상태로 복원하는 철거 또한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화분본체(200)에 충진된 충진재의 토심이나 시스템 자체의 중량감이 낮아 기존 건물에도 큰 부담없이 적용가능하고, 재배되는 식물 뿌리나 줄기는 옥상면(610)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옥상면이 식물 뿌리나 줄기로 인해 훼손되거나 구조적으로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식물이 성장되는 펜스망(400)과 식물이 식재된 화분본체(200)의 제2본체(2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옥상면의 구조나 형상에 즉각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고정수단(500)이 펜스망(400)을 옥상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옥상 녹화시스템 200 : 화분본체
210 : 제1본체 212 : 환턱
214 : 물저장실 216 : 배출공
218 : 볼 220 : 제2본체
222 : 식생공간 224 : 플랜지부
225 : 결합공 226 : 집수로
227 : 배출로 228 : 통공
229 : 삽입공 230 : 흡수체
300 : 지지체 400 : 펜스망
410 : 하부펜스 412 : 유도공
420 : 상부펜스 500 : 고정수단
510 : 제1고정체 520 : 제2고정체
530 : 체결끈 600 : 건물
610 : 옥상면

Claims (4)

  1. 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되 내부에는 내향된 환턱이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실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물저장실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환턱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안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화초를 포함한 식물이 식재되는 충진재가 충진되며, 상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외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제1본체의 물저장실로 배수할 수 있는 집수로가 형성된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물저장실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본체의 하면을 통해 충진재 내에 위치하여 충진재가 건조하게 되면 물을 흡수하여 주변을 습하게 하는 흡수체로 이루어져 옥상면에 배치되는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에 일측이 결합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본체 상측에 위치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화분본체에 식재된 식물이 상측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공이 형성된 하부펜스와, 상기 하부펜스 상측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성장되는 식물이 더 이상 상측으로 성장되지 못하도록 하면서 공간부 내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상부펜스로 이루어지는 펜스망;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망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옥상면으로 하향 연장되어 펜스망을 지지하는 고정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펜스망의 각 모서리 부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옥상면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1고정체; 및
    상기 제1고정체를 연결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제2고정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시스템.
KR1020100105831A 2010-10-28 2010-10-28 옥상 녹화시스템 KR101034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831A KR101034152B1 (ko) 2010-10-28 2010-10-28 옥상 녹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831A KR101034152B1 (ko) 2010-10-28 2010-10-28 옥상 녹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152B1 true KR101034152B1 (ko) 2011-05-13

Family

ID=4436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831A KR101034152B1 (ko) 2010-10-28 2010-10-28 옥상 녹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394B1 (ko) * 2013-03-26 2014-03-10 이문기 빗물저류수단을 갖는 녹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7177A (ja) 2007-03-28 2008-10-09 Shikoku Chem Corp 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2008245570A (ja) * 2007-03-30 2008-10-16 Shikoku Chem Corp 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2008307033A (ja) 2007-06-18 2008-12-25 Shikoku Chem Corp 屋上緑化プランター
KR20100055039A (ko) * 2008-11-17 2010-05-26 이태헌 녹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7177A (ja) 2007-03-28 2008-10-09 Shikoku Chem Corp 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2008245570A (ja) * 2007-03-30 2008-10-16 Shikoku Chem Corp 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2008307033A (ja) 2007-06-18 2008-12-25 Shikoku Chem Corp 屋上緑化プランター
KR20100055039A (ko) * 2008-11-17 2010-05-26 이태헌 녹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394B1 (ko) * 2013-03-26 2014-03-10 이문기 빗물저류수단을 갖는 녹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0761B (zh) 一种雨水利用和减载节水控根的屋顶种植方法
CN201957502U (zh) 屋顶种植箱
US20100043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JP4976785B2 (ja) 屋根の緑化システム
KR20190037756A (ko) 친환경 파고라
JP2006304760A (ja) 雨水貯溜層の貯溜水を毛管現象で基盤層が吸水し緑化基盤、放熱基盤とす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主要基盤材に使用した建築物屋上,壁面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軽減工法
CN205357219U (zh) 一种带储水功能的免维护建筑生态草皮
KR20110004305U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JP4256354B2 (ja) みどりのユニット装置及び緑化工法
JP2006055119A (ja) 屋上緑化装置
CN205284348U (zh) 墙体绿化系统
KR20130036462A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101034152B1 (ko) 옥상 녹화시스템
JP5058214B2 (ja) 屋上緑化装置
JP4927038B2 (ja) 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植え込み構造、並びに緑化工法
JP4376109B2 (ja) プランター
JP3109861U (ja) 支柱網付植生植栽装置
JP4343048B2 (ja) 屋上の緑化方法および装置
KR100993448B1 (ko) 계단식 옹벽 녹지화용 친환경 화단
CN207252303U (zh) 一种可折叠蓄水花槽
KR20210093208A (ko) 등반매트와 격자가 조합된 덩굴식물류를 이용한 벽면 녹화 프레임
JP2005295876A (ja) 植栽用コンテナー
KR102017685B1 (ko) 도시 농업형 입체식 텃밭
CN208768553U (zh) 一种供蔬菜栽培的社区道路棚架系统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