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294B1 - 확장형 화분 - Google Patents

확장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294B1
KR102072294B1 KR1020180044015A KR20180044015A KR102072294B1 KR 102072294 B1 KR102072294 B1 KR 102072294B1 KR 1020180044015 A KR1020180044015 A KR 1020180044015A KR 20180044015 A KR20180044015 A KR 20180044015A KR 102072294 B1 KR102072294 B1 KR 102072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egetation
water tank
water suppl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615A (ko
Inventor
권태근
최선미
윤철환
정규종
Original Assignee
(주) 상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상림원 filed Critical (주) 상림원
Priority to KR102018004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29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식생공간부를 갖는 식생부, 내부에 저수공간부를 갖는 물탱크부, 상기 물탱크부의 상측으로 상기 식생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물탱크부에 저수된 물을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공급되어 저수된 물을 이용하여 적당량의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형 화분{Extending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하고, 공급되어 저수된 물을 일정기간 일정량으로 공급시켜 식물을 식생시킬 수 있어 편리함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확장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공원이나 길가 및 아파트의 화단이나 정원의 외부공간이나 실내의 사무공간 및 주거공간, 옥상 등의 환경을 꾸미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이러한 화분은 지면에 올려놓고나 화분을 재치할 수 있는 화분 재치대에 재치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저면은 폐쇄되고 상측은 개방되며, 저면은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통체의 내부에 배양토를 충진시킨 다음 꽃이나 나무를 식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화분은 꽃이나 나무를 식재하는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 기능의 단순하였으며 화분의 크기가 커지면 화분을 옮기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화분은 공개특허 제10-2007-0051244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화분은 하측에 받침부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 및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 화분은 물을 상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야됨에 따라,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번거로운 관리를 해소하기 위해 물을 과하게 공급할 경우, 외측으로 넘쳐 식생토 등과 함께 외측으로 넘쳐 주변이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위치에 화분을 편리하게 설치함은 물론, 적당량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편리함과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식생공간부를 갖는 식생부, 내부에 저수공간부를 갖는 물탱크부, 상기 물탱크부의 상측으로 상기 식생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물탱크부에 저수된 물을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포함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공급되어 저수된 물을 이용하여 적당량의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확장형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식생공간부를 갖는 식생부, 내부에 저수공간부를 갖는 물탱크부, 상기 물탱크부의 상측으로 상기 식생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물탱크부에 저수된 물을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부는, 상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식생공간부를 갖는 식생몸체, 상기 식생공간부의 하단부를 폐쇄하되, 식생공간부로 과공급된 물이 상기 물탱크부로 배수되기 위한 물막이판, 및 상기 물막이판을 상기 식생몸체의 하단부에 위치되기 위한 식생걸림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막이판은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막이판은 메시망이다.
그리고 상기 식생걸림턱은, 수평면을 갖고, 상기 식생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수평면, 및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걸림수평면과 연결되는 걸림경사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생부와 물탱크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정육각형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물탱크부의 저수공간부의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식생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단턱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식생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단턱, 및 상기 결합단턱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물탱크부의 저수공간부의 개방된 상단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탱크부의 저수공간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식생부의 식생공간부에 형성되는 물공급관, 상기 물막이판에 형성된 물공급설치공, 및 섬유재질로, 일단부가 상기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에 담겨지고, 타단부가 상기 식생공간부에 충진된 식생토에 위치되도록 상기 물공급설치공에 관통 설치되어 저수공간부의 물을 식생토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관은, 상기 식생공간부와 구획되며, 상기 식생부에 일체로 사출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패드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제작되어 반으로 접히며, 상기 물공급설치공을 기준으로, 타단부는 링형상이고, 일단부는 분기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물막이판은, 상기 물공급관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몸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인접한 두 개의 식생몸체는 식생결합부,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식생결합부는, 하측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식생부의 식생공간부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상측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식생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식생결합단턱이다.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부로 물을 직접 공급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다른 물탱크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다른 물탱크부의 물을 공급받기 위해 해당 물탱크부에 구비되는 제2물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물공급부는, 해당 물탱크부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 물공급공이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공을 개폐하기 위한 물공급마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물공급부는, 해당 물탱크부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 물공급공, 어느 하나의 물탱크부에 형성된 물공급공과 다른 하나의 물탱크부에 형성된 물공급공을 연통시키기 위한 물연결관, 및 상기 물연결관을 해당 단부를 해당 물공급공에 밀페되도록 결합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접한 두 개의 식생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클립,을 더 포함한다.
또한, 화분은, 이동을 위한 바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퀴부는, 상기 물탱크부의 하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바퀴설치블럭,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상기 각 바퀴설치블럭에 형성되는 바퀴설치공, 상기 각 바퀴설치공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바퀴, 및 상기 각 바퀴를 해당 바퀴설치공에 설치하기 위한 바퀴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퀴설치블럭은, 상기 물탱크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저수공간부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물탱크부는 투명한 재질의 표시창이 더 포함된다.
또한, 물탱크부는 저수공간부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수위조절부는, 저수공간부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물탱크부에 구비되는 수위센서, 상기 물공급부의 물공급관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펌프를 제어하여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화분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공급되어 저수된 물을 이용하여 적당량의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에 제2물공급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제2물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제2물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에 연결클립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에 제2물공급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제2물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제2물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에 연결클립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형 화분(10)은 식생부(100)와 물탱크부(200), 결합부(300) 및 물공급부(400)를 포함한다.
식생부(100)는 내부에 식생공간부(102)가 형성되고, 물탱크부(200)는 내부에 저수공간부(202)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300)는 물탱크부(200)의 상측으로 식생부(1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물공급부(400)는 물탱크부(200)에 저수된 물을 식생부(1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확장형 화분(10)에 의하면, 결합부(300)에 의해 식생부(100)와 물탱크부(200)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물공급부(400)에 의해 공급되어 저수된 물탱크부(200)의 물을 일정기간 일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어 용이하게 식물을 기를 수 있다.
여기서, 식생부(100)와 물탱크부(20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일 실시 예로, 정육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식생부(1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몸체(110)와 물막이판(120) 및 식생걸림턱(130)으로 구성된다.
식생몸체(11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식생공간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물막이판(120)은 식생공간부(102)의 하단부를 폐쇄하되, 식생공간부(102)로 과공급된 물이 물탱크부(200)로 배수되기 위해 구비된다.
식생걸림턱(130)은 물막이판(120)을 식생몸체(110)의 하단부에 위치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물막이판(120)에 의해 하단부가 폐쇄된 식생공간부(102)에 자갈과 식생토 등이 순착적으로 충진되어 식물이 재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물막이판(120)은 복수의 배수공(122)이 형성된다.
이 배수공(122)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로, 물막이판(120)은 메시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생걸림턱(130)은 걸림수평면(132)과 걸림경사면(134)으로 구성된다.
걸림수평면(132)은 수평면으로, 식생공간부(102)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걸림경사면(134)은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걸림수평면(132)과 연결되어 배수되는 물을 물탱크부(200)의 저수공간부(202)로 가이드한다.
그리고 결합부(3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부(200)의 저수공간부(202)의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식생부(1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단턱(310)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결합부(300')는 결합단턱(310')과 결합단부(320')로 구성된다.
결합단턱(310')은 식생부(1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단부(320')는 결합단턱(310')에 대응되는 결합홈(330')이 형성되도록 물탱크부(200)의 저수공간부(202)의 개방된 상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물공급부(400)는 물공급관(410)과 물공급설치공(420) 및 물공급패드(430)로 구성된다.
물공급관(410)은 물탱크부(200)의 저수공간부(202)로 물을 공급하도록 식생부(100)의 식생공간부(102)에 형성된다.
이 물공급관(410)은 식생공간부(102)와 구획되며, 식생부(100)에 일체로 사출된다.
그리고 물공급설치공(420)은 물막이판(120)에 형성된다.
물공급패드(430)는 섬유재질로, 일단부가 저수공간부(202)에 저수된 물에 담겨지고, 타단부가 식생공간부(102)에 충진된 식생토에 위치되도록 물공급설치공(420)에 관통 설치되어 저수공간부(202)의 물을 식생토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물공급패드(43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제작되어 반으로 접히며, 물공급설치공(420)을 기준으로, 타단부는 링형상이고, 일단부는 분기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물탱크부(200)의 저수공간부(202)에 저수된 물은 물공급패드(430)의 분기된 일단부를 통해 흡수되어 링형상의 타단부로 공급됨에 따라 식생토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이 물막이판(120)은 물공급관(410)에 대응되는 안착홈(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몸체(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인접한 두 개의 식생몸체는 식생결합부(140)에 의해 결합된다.
이 식생결합부(140)는 하측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식생부(100)의 식생공간부(102)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상측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식생부(1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식생결합단턱(142)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식생결합부(140')는 식생결합단턱(142')과 식생결합단부(144')로 구성된다.
식생결합단턱(142')은 상측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식생부(1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식생결합단부(144')는 식생결합단턱(142')에 대응되는 식생결합홈(146')이 형성되도록 하측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식생부(100)의 식생공간부(102)의 개방된 상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공간부(202)로 물을 직접 공급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다른 물탱크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다른 물탱크부의 물을 공급받기 위해 해당 물탱크부에 구비되는 제2물공급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물공급부(600)는 해당 물탱크부(200)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 물공급공(610)이다.
그리고 물공급공(610)을 개폐하기 위한 물공급마개(620)를 더 포함한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제2물공급부(600')는 물공급공(610')과 물연결관(620') 및 밀폐부(630')로 구성된다.
물공급공(610')은 해당 물탱크부(200, 200-1)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물연결관(620')은 어느 하나의 물탱크부(200)에 형성된 물공급공(610')과 다른 하나의 물탱크부(200-1)에 형성된 물공급공(610-1')을 연통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밀폐부(630')는 물연결관(620')을 해당 단부를 해당 물공급공(610', 610-1')에 밀폐되도록 결합시킨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제2물공급부(600")는 물공급공(610") 및 제2물공급패드(620")로 구성된다.
물공급공(610")은 해당 물탱크부(200, 200-1)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2물공급패드(620")는 섬유재질로, 인접한 두 개의 물공급공(610", 610-1")에 관통 설치되어 물을 흡수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물공급패드(620")는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물탱크부(200)의 저수공간부(202)에 저수된 물에 담겨지고, 타단부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물탱크부(200-1)의 저수공간부(202-1)에 저수된 물에 담김에 따라, 수위가 높은 저수공간부(202)의 물을 상대적으로 낮은 저수공간부(202-1)로 물을 공급시킨다.
이에, 어느 하나의 물공급부(400)로만 물을 공급하면 인접한 다른 화분으로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식생부(100, 100-1)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클립(150)을 더 포함한다.
이 연결클립(150)의 양단부는 상호 방향으로 가압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식생몸체(110, 110-1)를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식생부를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배열시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확장형 화분(10)은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바퀴부(500)를 포함한다.
이 각 바퀴부(500)는 바퀴설치블럭(510)과 바퀴설치공(520), 바퀴(530) 및 바퀴고정볼트(540)로 구성된다.
바퀴설치블럭(510)은 물탱크부(200)의 하단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또한 바퀴설치공(520)은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각 바퀴설치블럭(510)에 형성된다.
바퀴(530)는 각 바퀴설치공(520)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바퀴고정볼트(540)는 각 바퀴(530)를 해당 바퀴설치공(520)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바퀴설치블럭(510)은 물탱크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되, 저수공간부(202)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물탱크부(200)는 투명한 재질의 표시창(210)이 더 포함된다.
이 표시창(210)은 저수공간부(202)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물 공급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창(210)에는 눈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시창(210)을 통해 저수된 물의 탁도를 확인할 수 있어 물 교체시키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부(200)는 저수공간부(202)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220)를 더 포함한다.
이 수위조절부(220)는 수위센서(222)와 펌프(224) 및 수위조절제어부(226)를 포함한다.
수위센서(222)는 저수공간부(202)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물탱크부(200)에 구비된다.
또한 펌프(224)는 물공급부(400)의 물공급관(410)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수위조절제어부(226)는 수위센서(222)의 신호를 수신하여 펌프(224)를 제어하여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저수공간부(202)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10 : 확장형 화분 100 : 식생부
200 : 물탱크부 300 : 결합부
400 : 물공급부 500 : 바퀴부
600 : 제2물공급부

Claims (10)

  1. 내부에 식생공간부를 갖는 식생부;
    내부에 저수공간부를 갖는 물탱크부;
    상기 물탱크부의 상측으로 상기 식생부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물탱크부에 저수된 물을 상기 식생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는,
    상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식생공간부를 갖는 식생몸체;
    상기 식생공간부의 하단부를 폐쇄하되, 식생공간부로 과공급된 물이 상기 물탱크부로 배수되기 위한 물막이판; 및
    상기 물막이판을 상기 식생몸체의 하단부에 위치되기 위한 식생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부와 물탱크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정육각형이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탱크부의 저수공간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식생부의 식생공간부에 형성되는 물공급관;
    상기 물막이판에 형성된 물공급설치공; 및
    섬유재질로, 일단부가 상기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에 담겨지고, 타단부가 상기 식생공간부에 충진된 식생토에 위치되도록 상기 물공급설치공에 관통 설치되어 저수공간부의 물을 식생토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식생몸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되, 인접한 두 개의 식생몸체는 식생결합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저수공간부로 물을 직접 공급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다른 물탱크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다른 물탱크부의 물을 공급받기 위해 해당 물탱크부에 구비되는 제2물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물공급부는,
    해당 물탱크부의 상단부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물공급공; 및
    섬유재질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물탱크부의 대응되는 두 개의 물공급공에 관통 설치되어 물을 흡수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제2물공급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물공급패드는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물탱크부의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에 담겨지고, 타단부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물탱크부의 저수공간부에 저수된 물에 담김에 따라, 수위가 높은 저수공간부의 물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수공간부로 공급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물공급부로만 물을 공급하면 인접한 다른 화분으로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화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걸림턱은,
    수평면으로, 상기 식생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수평면; 및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상기 걸림수평면과 연결되는 걸림경사면;을 포함하는 확장형 화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물탱크부의 저수공간부의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식생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단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식생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단턱; 및
    상기 결합단턱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물탱크부의 저수공간부의 개방된 상단부를 따라 형성된 결합단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화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화분은,
    이동을 위한 바퀴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화분.
KR1020180044015A 2018-04-16 2018-04-16 확장형 화분 KR102072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15A KR102072294B1 (ko) 2018-04-16 2018-04-16 확장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15A KR102072294B1 (ko) 2018-04-16 2018-04-16 확장형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15A KR20190120615A (ko) 2019-10-24
KR102072294B1 true KR102072294B1 (ko) 2020-01-31

Family

ID=6842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15A KR102072294B1 (ko) 2018-04-16 2018-04-16 확장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2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10Y1 (ko) * 2019-12-12 2020-06-08 현승민 곤충 사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150A (ko) * 2014-12-18 2016-06-28 조영운 다용도 화분받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15A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44860U (zh) 壁式花盆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US20070266630A1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00162624A1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KR20080083280A (ko)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JP2017515505A (ja) 雨水自動供給栽培装置
US9974248B2 (en) Planter box, multipurpose diacolation pipe and method for soil drainage and irrigation
KR101963626B1 (ko) 수목 보호 장치
KR102072294B1 (ko) 확장형 화분
KR20200011805A (ko)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200479346Y1 (ko) 조립식 실내 녹화용 화분구조체
KR100479212B1 (ko)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101378283B1 (ko) 벽면장착형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시스템
KR200387463Y1 (ko) 가로등 및 전신주의 지주걸이용 화분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KR200402616Y1 (ko) 벽면녹화 시공구조
KR101460852B1 (ko) 사계절용 식물재배 용기
JPH04135426A (ja)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KR200411876Y1 (ko) 급수 기능이 구비되는 화분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WO2011062394A2 (ko) 화분용 수조
KR101231973B1 (ko) 실내 재배기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CN201207838Y (zh) 蓄水式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