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902B1 - 자동 관수 화분 - Google Patents

자동 관수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902B1
KR102377902B1 KR1020190003093A KR20190003093A KR102377902B1 KR 102377902 B1 KR102377902 B1 KR 102377902B1 KR 1020190003093 A KR1020190003093 A KR 1020190003093A KR 20190003093 A KR20190003093 A KR 20190003093A KR 102377902 B1 KR102377902 B1 KR 10237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pot
water
partition plate
water storage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831A (ko
Inventor
김흥기
Original Assignee
김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기 filed Critical 김흥기
Priority to KR102019000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9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필요없이 한 번의 물 공급만으로도 뿌리가 썩고 식물이 조기에 시들어 말라 죽는 현상없이 식재된 식물을 생기있게 장시간 생육과 발달과정을 지켜볼 수 있고, 화분으로부터 흘러 나온 물에 의해 주변이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 및 크기, 색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관수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방 개구형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화분과; 상기 화분의 내측 중간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화분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식재부 및, 물저장부와; 상기 화분의 물저장부와 연이어 통하게 화분의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식재부 및 물저장부에 위치하는 심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관수 화분{A self watering flowerpot}
본 발명은 자동 관수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필요없이 한 번의 물 공급만으로도 뿌리가 썩고 식물이 조기에 시들어 말라 죽는 현상없이 식재된 식물을 생기있게 장시간 생육과 발달과정을 지켜볼 수 있고, 화분으로부터 흘러 나온 물에 의해 주변이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 및 크기, 색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관수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의 재배 및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 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을 채워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분들은 식물이 식재된 토양에 주기적으로 물을 직접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화분 관리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때 토양에 물이 과잉 공급되는 경우에는 물과 함께 식물의 뿌리가 썩고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부족한 경우에는 조기에 시들거나 말라 죽게 된다.
또한, 화분에 물을 줄 때, 물이 토양과 바닥면의 구멍을 통해 흘러 나와 주변을 오손시킴으로써 미관 불량은 물론 청소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으며, 통상 화분이 무게가 무거운 도자기 형태로 되어 있어 대형 화분인 경우에는 운반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분은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식물의 뿌리가 썩거나 조기에 말라 죽어 폐기해야만 되므로 화분 사용이 낭비를 초래하고, 토양 및 화분을 바닥면 구멍을 통해 흘러 나온 물에 의해 주변이 오손됨으로써 미관 불량에 따른 불쾌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9519호(2018.12.05.공개.)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227호(2015.01.16.공개.)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4369호(2001.11.24.공고.)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2529호(2015.05.14.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분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필요없이 한 번의 물 공급만으로도 뿌리가 썩고 식물이 조기에 시들어 말라 죽는 현상없이 식재된 식물을 생기있게 장시간 생육과 발달과정을 지켜볼 수 있고, 화분으로부터 흘러 나온 물에 의해 주변이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 및 크기, 색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관수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의 한 형태는, 상방 개구형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화분과; 상기 화분의 내측 중간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화분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식재부 및, 물저장부와; 상기 화분의 물저장부와 연이어 통하게 화분의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식재부 및 물저장부에 위치하는 심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은 일측면에 상기 물저장부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은 화분 내측 중간 각각의 면에 형성된 지지턱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평면 상의 수개소에 심재 관통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심재 관통홀에 인접한 상면에 심재를 일정 높이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는 심재 지지기둥이 심재 관통홀의 개수에 맞추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관은 동재질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화분에 형성되는 급수관 삽입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턱이 형성되며, 입구는 마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화분은 바닥판 하부측에 설치되는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방 개구형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화분과; 상기 화분의 내측 중간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화분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식재부 및, 물저장부와; 상기 화분의 물저장부와 연이어 통하게 화분의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식재부 및 물저장부에 위치하는 심재;로 구성됨으로써 화분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필요없이 한 번의 물 공급만으로도 뿌리가 썩고 식물이 조기에 시들어 말라 죽는 현상없이 식재된 식물을 생기 있게 장시간 생육과 발달과정을 지켜볼 수 있어 화분 관리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고, 화분으로부터 흘러 나온 물에 의해 주변이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실내 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 및 크기, 색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 제작의 용이성 및 다양성을 기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급수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관수화분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급수관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측으로 개방된 통체 형태로 화분(1)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화분(1)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화초나 식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 즉 대.중.소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색상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우세하고, 제작도 용이해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화분(1)의 내측 중간에는 구획판(2)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획판(2)은 화분(1)의 내측 공간부를 상.하로 분리하여 상측은 화초나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3)를 형성하고, 하측은 외부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물저장부(4)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분(1)은 물저장부(4)의 수위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수직 형태의 투시창(11)을 가지며, 내측 중간 각각의 면 상에는 상기 구획판(2)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복수개의 지지턱(13)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턱(13)은 "ㄱ" 형강 구조로 형성되고,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화분(1)의 내벽에 고정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획판(2)은 수개소에 심재 관통홀(2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심재 관통홀(21)을 통해 심재(5)가 관통하고, 상기 심재(5)는 식재부(3)와 물저장부(4)에 양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심재(5)와 식물의 뿌리 사이의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으면, 심재(5)를 통해 식재부(3)에 공급된 수분의 흡수가 느려 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식물에 따라 그 높이를 달리하는 심재 지지기둥(22)이 심재 관통홀(21)의 개수 및, 인접한 위치에 일체로 직립 형태로 형성되고, 심재(5)는 심재 지지기둥(22)에 얹혀지는 식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화분(1)은 물저장부(4)와 연이어 통하게 화분(1)의 일측 모서리 내벽을 따라 급수관(6)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급수관(6)은 동재질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화분(1)에 형성되는 급수관 삽입홀(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턱(61)이 형성되며, 입구는 마개(6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동은 살균 능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마개(62)는 외부의 이물질이 급수관(6)을 통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분(1)이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대형인 경우에는 무게가 무거워 운반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발명은 화분(1)의 바닥판(14) 하부측에 바퀴(15)를 달아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함께 화분(1)의 식재부(3)에 공급된 물이 다시 물저장부(4)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획판(2)은 통상의 밀폐 구조를 가지며, 하부측에 바퀴(15)가 달린 화분(1)의 바닥판(14) 역시 통상의 밀폐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급수관(6)을 통해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급수관(6)은 내경이 작아 통상 깔대기를 사용하여 물을 공급하게 되고, 급수관(6)을 통해 공급된 물은 화분(1)의 하부측 물저장부(4)에 저장되며, 수위는 화분(1)의 일측면에 형성된 투시창(11)을 통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화분(1)의 구획판(2) 상부측에 형성된 식재부(3)에 토양을 넣고 화초 및 식물을 식재하게 되는 것이며, 물저장부(4)의 물은 양단부가 식재부(3)와 물저장부(4)에 위치한 심재(5)의 삼투압 작용에 의해 식재부(3)의 토양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식재부(3)의 토양은 항상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식재된 화초 및 식물의 뿌리는 자연적으로 토양의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과 발육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상방 개구형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화분과; 상기 화분의 내측 중간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화분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되는 식재부 및, 물저장부와; 상기 화분의 물저장부와 연이어 통하게 화분의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식재부 및 물저장부에 위치하는 심재;로 구성됨으로써 화분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할 필요없이 한 번의 물 공급만으로도 뿌리가 썩고 식물이 조기에 시들어 말라 죽는 현상없이 식재된 식물을 생기있게 장시간 생육과 발달과정을 지켜볼 수 있어 화분 관리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고, 화분으로부터 흘러 나온 물에 의해 주변이 오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실내 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 및 크기, 색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 제작의 용이성 및 다양성을 기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화분
11: 투시창 12: 급수관 삽입홀
13: 지지턱 14: 바닥판
15: 바퀴
2: 구획판
21: 심재 관통홀 22: 심재 지지기둥
3: 식재부 4: 물저장부
5: 심재
6: 급수관
61: 고정턱 62: 마개

Claims (5)

  1. 상방 개구형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화분(1)과;
    상기 화분(1)의 내측 중간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구획판(2)과;
    상기 구획판(2)에 의해 화분(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토양을 넣고 화초나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3)와;
    상기 구획판(2)에 의해 화분(1)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물저장부(4)와;
    상기 물저장부(4)와 연이어 통하게 화분(1)의 일측 모서리 내벽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급수관(6)과;
    상기 구획판(2)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식재부(3) 및 물저장부(4)에 위치되어 물저장부(4)의 물을 삼투압 작용에 의해 식재부(3)에 공급하는 심재(5)와;
    상기 화분(1)의 일측면에 물저장부(4)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11)을 포함하되,
    상기 급수관(6)은
    동재질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화분(1)에 형성되는 급수관 삽입홀(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턱(61)과;
    외부의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62)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2)은 화분(1) 내측 중간 각각의 면에 ㄱ형강 구조로 형성된 지지턱(13)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평면 상의 수개소에 심재 관통홀(2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심재 관통홀(21)에 인접한 상면에 심재(5)를 일정 높이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는 심재 지지기둥(22)이 심재 관통홀(21)의 개수에 맞추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관수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1)은 바닥판(14) 하부측에 설치되는 바퀴(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 관수 화분.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3093A 2019-01-10 2019-01-10 자동 관수 화분 KR10237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093A KR102377902B1 (ko) 2019-01-10 2019-01-10 자동 관수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093A KR102377902B1 (ko) 2019-01-10 2019-01-10 자동 관수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831A KR20200086831A (ko) 2020-07-20
KR102377902B1 true KR102377902B1 (ko) 2022-03-24

Family

ID=7183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093A KR102377902B1 (ko) 2019-01-10 2019-01-10 자동 관수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506B1 (ko) 2023-05-03 2024-03-29 김준일 자동 관수 화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652B2 (ja) * 1992-10-22 2000-04-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KR200432390Y1 (ko) * 2006-08-31 2006-12-05 조석율 물받이 트레이와 구리편을 갖는 화분
KR100874651B1 (ko) * 2007-06-08 2008-12-17 이정문 이동식 실내화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652U (ja) * 1996-06-20 1996-12-24 山三工業株式会社 かん水栽培容器
KR200254369Y1 (ko) 2001-08-23 2001-11-24 진방호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KR100499203B1 (ko) * 2002-10-14 2005-07-05 주식회사 셀그린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KR200477376Y1 (ko)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KR20150052529A (ko) 2013-11-06 2015-05-14 이기영 자동 관수 화분
KR20180129519A (ko) 2017-05-27 2018-12-05 김민경 이동식 자동관수 화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652B2 (ja) * 1992-10-22 2000-04-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KR200432390Y1 (ko) * 2006-08-31 2006-12-05 조석율 물받이 트레이와 구리편을 갖는 화분
KR100874651B1 (ko) * 2007-06-08 2008-12-17 이정문 이동식 실내화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506B1 (ko) 2023-05-03 2024-03-29 김준일 자동 관수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831A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6793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101548154B1 (ko) 모듈형 식물재배기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0214155Y1 (ko) 화분
KR101031234B1 (ko) 화분장치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20100000769A (ko) 투명 화분
JP3755138B2 (ja) 花卉植栽構造
KR102142449B1 (ko) 조경용 꽃볼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US20090173003A1 (en) Plant care device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102652312B1 (ko) 수직 정원장치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KR20220002080U (ko) 수직형 화분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JPH0965766A (ja) W 鉢
KR20170032668A (ko) 화분
CN2466889Y (zh) 植物吸水容器
KR200275726Y1 (ko)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7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26

Effective date: 202111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