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506B1 - 자동 관수 화분 - Google Patents

자동 관수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506B1
KR102653506B1 KR1020230057654A KR20230057654A KR102653506B1 KR 102653506 B1 KR102653506 B1 KR 102653506B1 KR 1020230057654 A KR1020230057654 A KR 1020230057654A KR 20230057654 A KR20230057654 A KR 20230057654A KR 102653506 B1 KR102653506 B1 KR 10265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wer body
flower pot
water supply
cultur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일
Original Assignee
김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일 filed Critical 김준일
Priority to KR102023005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본체(111)에 배양토가 충진되고, 하단본체(112)에 물을 수용하여 배양토로 제공하는 화분 본체(110), 하단본체(112)의 상부 내주면에 일정높이로 형성된 지지단(121)과, 지지단(121)의 상단에 안착되어 배양토를 지지하는 지지판(122)으로 구성된, 지지부(120), 지지판(122)에 형성된 관통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삼투압효과에 의해 화분 본체(110)의 하단본체(112)에 수용된 물을 배양토로 제공하는 심재(131)와, 심재(131)의 상단에 형성되어 관통홀에 걸리도록 하는 스토퍼(132)로 구성된, 급수부(130), 화분 본체(110)의 테두리 일측에 상단본체(111)로부터 하단본체(112)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급수받는 급수관(141)과, 급수관(141)의 상단입구를 개폐하는 마개(142)로 구성된, 물 투입부(140), 및 화분 본체(110)의 테두리 타측에 상단본체(111)로부터 하단본체(112)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본체(112)의 바닥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관(151)과, 가이드관(151)에 삽입되어 하단본체(112)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찌(152)로 구성된, 수위식별부(150)를 포함하여, 찌(152)의 부유정도를 식별하여 하단본체(112)에 물을 보충하도록 하는, 자동 관수 화분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 관수 화분{AUTOMATIC WATER-FEEDING POT}
본 발명은 물의 수위에 따라 찌가 부유하여, 방수에 취약한 별도의 확인창없이도, 수위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는, 자동 관수 화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화분은 식물의 재배 및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 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을 채워 구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화분들은 식물이 식재된 토양에 주기적으로 물을 직접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화분 관리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때 토양에 물이 과잉 공급되는 경우에는 물과 함께 식물의 뿌리가 썩고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부족한 경우에는 조기에 시들거나 말라 죽게 된다.
또한, 화분에 물을 줄 때, 물이 토양과 바닥면의 구멍을 통해 흘러 나와 주변을 오손시킴으로써 미관이 불량해지고, 청소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의 화분에 공급된 물은 식물 및 토양에 일부 저장되고, 저장되지 못한 물은 화분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토양을 거치면서 토양의 일부가 물에 포함된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화분의 하단에 별도의 받침대를 구비하여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이 바닥에 흐르는 것을 막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배출되는 물의 양이 많은 경우 받침대에서 흘러 넘친 물이 바닥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받침대를 지속적으로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화분에 공급된 물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관리하기가 쉽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급된 물의 양이 너무 많거나 적어서 식물이 죽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77902호 (자동 관수 화분, 2022.03.24)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5928호 (화분의 수위 표시 장치, 2011.10.04)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의 수위에 따라 찌가 부유하여, 방수에 취약한 별도의 확인창없이도, 수위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찌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잔량을 정확하게 식별하여 물 투입부를 통해 해당하는 양만큼 넘치지 않게 채우도록 하는, 자동 관수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단본체에 배양토가 충진되고, 하단본체에 물을 수용하여 상기 배양토로 제공하는 화분 본체; 상기 하단본체의 상부 내주면에 일정높이로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배양토를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삼투압효과에 의해 상기 화분 본체의 하단본체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배양토로 제공하는 심재와, 상기 심재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걸리도록 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급수부; 상기 화분 본체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상단본체로부터 상기 하단본체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급수받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상단입구를 개폐하는 마개로 구성된, 물 투입부; 및 상기 화분 본체의 테두리 타측에 상기 상단본체로부터 상기 하단본체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단본체의 바닥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어 상기 하단본체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찌로 구성된, 수위식별부;를 포함하는, 자동 관수 화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화분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은 동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재는 상기 스토퍼의 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로부터 상기 심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 본체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찌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하단본체의 수위에 상응하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 본체의 저면에는 캐스터휠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의 수위에 따라 찌가 부유하여, 방수에 취약한 별도의 확인창없이도, 수위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찌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잔량을 정확하게 식별하여 물 투입부를 통해 해당하는 양만큼 넘치지 않게 채우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자동 관수 화분의 단면구조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자동 관수 화분의 변형예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관수 화분은, 상단본체(111)에 배양토가 충진되고, 하단본체(112)에 물을 수용하여 배양토로 제공하는 화분 본체(110), 하단본체(112)의 상부 내주면에 일정높이로 형성된 지지단(121)과, 지지단(121)의 상단에 안착되어 배양토를 지지하는 지지판(122)으로 구성된, 지지부(120), 지지판(122)에 형성된 관통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삼투압효과에 의해 화분 본체(110)의 하단본체(112)에 수용된 물을 배양토로 제공하는 심재(131)와, 심재(131)의 상단에 형성되어 관통홀에 걸리도록 하는 스토퍼(132)로 구성된, 급수부(130), 화분 본체(110)의 테두리 일측에 상단본체(111)로부터 하단본체(112)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급수받는 급수관(141)과, 급수관(141)의 상단입구를 개폐하는 마개(142)로 구성된, 물 투입부(140), 및 화분 본체(110)의 테두리 타측에 상단본체(111)로부터 하단본체(112)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본체(112)의 바닥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관(151)과, 가이드관(151)에 삽입되어 하단본체(112)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찌(152)로 구성된, 수위식별부(150)를 포함하여, 찌(152)의 부유정도를 식별하여 하단본체(112)에 물을 보충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자동 관수 화분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화분 본체(11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토기, 세라믹 또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서, 상단본체(111)에는 식물생장에 유리한 배양토가 충진되고, 하단본체(112)에는 물을 수용하여 상단본체(111)의 배양토로 제공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분 본체(110)의 저면에는 캐스터휠이 결합되어 이동설치가 자유롭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하단본체(112)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하단본체(112)의 내부청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서, 배양토의 제거없이도, 장기간 사용에 따른 물때, 세균 또는 미생물의 번식으로 인한 오염과 악취발생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하단본체(112)는 상단부(112a)와 하단부(112b)로 분리 구성되고, 상단부(112a)와 하단부(112b)의 각 접촉면에는 2라인의 방수링(113)이 삽입되는 2라인의 가이드홈(114)이 형성되어 하단본체(112)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고, 상단부(112a)와 하단부(112b)의 각 접촉면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후크(115)와 후크홈(미도시)의 체결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어서, 상단본체(111)와 배양토와 식물의 하중 및 후크체결을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방수링(113)을 통해 방수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112a)와 하단부(112b)의 체결부의 외주면에는 밴드장착홈(116)이 만입되어 형성되고, 밴드장착홈(116)의 외주면에 탄성밴드(117)가 삽입되어, 체결결과 방수기능을 보다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단부(112a)의 하단테두리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돌출구가 형성되고, 하단부(112b)의 상단테두리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돌출구가 인입되도록 형성된 링형상의 삽입홀이 형성되어서, 돌출구와 삽입홀이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방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후크(115)와 후크홈을 대체하여, 링형상의 체결링(118)과 체결홈(119)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하여 체결력과 방수기능을 높이도록 할 수도 있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단부(112a)와 하단부(112b)의 체결부에 상응하는 체결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나사체결되어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지지부(120)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본체(112)의 상단 내주면에 일정높이로 형성되고 대칭적으로 배치된 지지단(121)과, 지지단(121)의 상단에 안착되어 배양토를 지지하는 원판 형상의 지지판(122)으로 구성되어서, 상단본체(111)의 배양토와, 데코 자갈과, 식물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다음, 급수부(130)는 하단본체(112)의 물을 상단본체(111)의 배양토로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지지판(122)에 형성된 관통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삼투압효과에 의해 화분 본체(110)의 하단본체(112)에 수용된 물을 상단본체(111)의 배양토로 제공하여 배양토를 젖시는 심재(131)와, 심재(131)의 상단에 형성되어 관통홀에 걸려 지지판(112)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스토퍼(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심재(131)는 스토퍼(132)의 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고, 심재(131)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삼투압효과가 저하되면, 스토퍼(132)로부터 심재(131)를 제거하여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심재(131)는 건조한 상태로부터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전환되면 팽창하여 스토퍼(13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물 투입부(14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화분 본체(110)의 테두리 일측에 상단본체(111)로부터 하단본체(112)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급수받아 하단본체(112)에 채우는 급수관(141)과, 급수관(141)의 상단입구를 개폐하는 마개(142)로 구성된다.
여기서, 급수관(141)의 내부에는 필터망(143)이 개재되어 물의 보충시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하단본체(112)의 오염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수관(141)은 동재질로 이루어져서 녹발생을 방지하고, 급수되는 물에 대한 소독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 투입부(140)는 급수관(141)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와 연결파이프를 통해 물을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하단본체(112)의 수위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계측값에 따라, 펌프를 구동하여서, 급수관(141)을 통해 수위에 따라 물을 보충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 수위식별부(15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화분 본체(110)의 테두리 타측에 상단본체(111)로부터 하단본체(112)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본체(112)의 바닥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관(151)과, 가이드관(151)에 삽입되어 하단본체(112)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찌(152)로 구성되어서, 하단본체(112)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따라 찌(152)가 부유하여, 방수에 취약한 별도의 확인창없이도, 수위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찌(152)의 상단 외주면에는 하단본체(112)의 수위에 상응하는 눈금이 표시되어 하단본체(112)의 잔존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물 투입부(140)를 통해 해당하는 양만큼 넘치지 않게 채우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하단본체(112)에는 수위센서가 내장되고, 수위센서에 따른 계측값에 따라 찌(152)에 직립 배치된 LED 라인(미도시)을 통해 수위변화에 상응하는 휘도 또는 색상변화를 제공하여 수위를 식별하도록 하면서 무드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찌(152)는 삼투압효과에 의해 물을 흡수하여 배양토로 제공할 수도 있고, 외부공기를 하단본체(112)의 내부로 제공하여 공기가 통하도록 다공성 재질 또는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 관수 화분의 구성에 의해서, 물의 수위에 따라 찌가 부유하여, 방수에 취약한 별도의 확인창없이도, 수위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찌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잔량을 정확하게 식별하여 물 투입부를 통해 해당하는 양만큼 넘치지 않게 채우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화분 본체 111 : 상단본체
112 : 하단본체 113 : 방수링
114 : 가이드홈 115 : 후크
116 : 밴드장착홈 117 : 탄성밴드
118 : 체결링 119 : 체결홈
120 : 지지부 121 : 지지단
122 : 지지판 130 : 급수부
131 : 심재 132 : 스토퍼
140 : 물 투입부 141 : 급수관
142 : 마개 150 : 수위식별부
151 : 가이드관 152 : 찌

Claims (7)

  1. 상단본체에 배양토가 충진되고, 하단본체에 물을 수용하여 상기 배양토로 제공하는 화분 본체;
    상기 하단본체의 상부 내주면에 일정높이로 형성된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배양토를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삼투압효과에 의해 상기 화분 본체의 하단본체에 수용된 물을 상기 배양토로 제공하는 심재와, 상기 심재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걸리도록 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급수부;
    상기 화분 본체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상단본체로부터 상기 하단본체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급수받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상단입구를 개폐하는 마개로 구성된, 물 투입부; 및
    상기 화분 본체의 테두리 타측에 상기 상단본체로부터 상기 하단본체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단본체의 바닥면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에 삽입되어 상기 하단본체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찌로 구성된, 수위식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본체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각 접촉면에는 2라인의 방수링이 삽입되는 2라인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각 접촉면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후크와 후크홈의 체결을 통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체결부의 외주면에는 밴드장착홈이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밴드장착홈의 외주면에 탄성밴드가 삽입되고,
    상기 상단부의 하단테두리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돌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의 상단테두리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구가 인입되도록 형성된 링형상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의 내부에는 필터망이 개재되고,
    상기 물 투입부는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를 통해 물을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본체의 수위를 계측하는 센서로부터의 계측값에 따라, 상기 펌프를 구동하도록 하는,
    자동 관수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관수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동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관수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상기 스토퍼의 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로부터 상기 심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관수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관수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찌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하단본체의 수위에 상응하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관수 화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의 저면에는 캐스터휠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관수 화분.
KR1020230057654A 2023-05-03 2023-05-03 자동 관수 화분 KR10265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654A KR102653506B1 (ko) 2023-05-03 2023-05-03 자동 관수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654A KR102653506B1 (ko) 2023-05-03 2023-05-03 자동 관수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506B1 true KR102653506B1 (ko) 2024-03-29

Family

ID=9048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654A KR102653506B1 (ko) 2023-05-03 2023-05-03 자동 관수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5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865U (ja) * 1996-06-26 1997-01-17 フルタ電機株式会社 植木鉢用水位計
KR20110036491A (ko) * 2009-10-01 2011-04-07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화분용 수위감지기 및 화분
KR200455928Y1 (ko) 2008-11-25 2011-10-04 이경숙 화분의 수위 표시 장치
KR20200086831A (ko) * 2019-01-10 2020-07-20 김흥기 자동 관수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865U (ja) * 1996-06-26 1997-01-17 フルタ電機株式会社 植木鉢用水位計
KR200455928Y1 (ko) 2008-11-25 2011-10-04 이경숙 화분의 수위 표시 장치
KR20110036491A (ko) * 2009-10-01 2011-04-07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화분용 수위감지기 및 화분
KR20200086831A (ko) * 2019-01-10 2020-07-20 김흥기 자동 관수 화분
KR102377902B1 (ko) 2019-01-10 2022-03-24 김흥기 자동 관수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859B2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US8381441B2 (en) Insertable plant watering device and reservoir with inlet pipe
US20090056219A1 (en) Self-watering plant container
KR100750905B1 (ko) 자체 급수가 가능한 조립식 화단
KR20130009505A (ko) 이중 플레이트 구조의 재배 베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기
KR101126188B1 (ko) 물받침이 없는 화분
GB2507348A (en) A buoyancy operated self-watering planter
WO2001000009A1 (fr) Semoir avec systeme d'alimentation en eau de fond automatique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102653506B1 (ko) 자동 관수 화분
KR200302520Y1 (ko)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KR20140043921A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SE541315C2 (en)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of such system for plant growing
JPH05137471A (ja) 吊下げ植木鉢用給水システム
JP6338058B2 (ja) 土保水量表示付きの遠隔自然給水の鉢
KR101583126B1 (ko)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KR200303931Y1 (ko) 건축물 실내 기둥 장식용 화분
WO2020025842A1 (es) Dispositivo de autorriego por capilaridad, para macetas con drenaje, que suministra el agua desde la superficie de la maceta al fondo
KR101920412B1 (ko) 자동배수 및 수위감지 기능을 갖는 화분
KR200364349Y1 (ko) 분수형 급수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KR200375956Y1 (ko) 화분의 급수장치
KR101271167B1 (ko)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