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520Y1 -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 Google Patents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520Y1
KR200302520Y1 KR20-2002-0032423U KR20020032423U KR200302520Y1 KR 200302520 Y1 KR200302520 Y1 KR 200302520Y1 KR 20020032423 U KR20020032423 U KR 20020032423U KR 200302520 Y1 KR200302520 Y1 KR 200302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reservoir
storage tank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규
Original Assignee
강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판규 filed Critical 강판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수분공급장치 및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이 개시된다. 그러한 화분은 바닥면에 배출홀이 형성된 화분이 얹혀지는 물 저장조와, 상기 물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화분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재와, 상기 심지부재를 화분내의 일정 높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FLOWERPOT HAVING A DEVICE FOR SUPPLING MOISTURE AND A DEVICE FOR MEASURING WATER LEVEL}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저장된 물 저장조에 수분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화분의 상층부에까지 물을 원활하게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수위측정기구를 장착하여 물 저장조의 수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점차로 정보화됨에 따라 삭막해져 가는 실내 분위기를 보다 인간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분위기로 꾸미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실내에서 화초를 기르는 것도 이러한 시도의 하나이며,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관상 혹은 건강의 목적으로 화초를 재배하고 있으며,
또한, 화원에서도 다량의 화초를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화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화초는 일정 주기로 물을 지속하여 공급해 주어야 화초의 성장에도 유리하다. 물론, 화초의 종류에 따라 많은 량의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화초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그러나, 화초에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작업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작업이다. 특히, 휴가철 등에 가족 단위로 놀러 가는 경우, 화초에 수분을 공급하는 일이 어렵게 된다. 물론, 수분을 한 번에 많이 공급하고 휴가를 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많은 량의 수분의 유출/공급으로 인하여 화초가 상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대규모의 화분을 보유한 화원의 경우에는 각 화초에 수분을 주기적으로 공급한다는 것이 더욱 어렵다.
또한, 화분에 공급된 물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음으로 추가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없음으로 화초를 재배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이 저장된 물저장조의 내부에 심지부재를 연결함으로써 화초에 필요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관리자가 없는 경우에도 수분공급이 가능한 수분 공급장치가 구비된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심지부재를 화분내의 임의의 위치에까지 연장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화분내에 상층부에까지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분 공급장치가 구비된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에 수위측정기구를 장착하여 화분에 저장된 물의 량을 인식할 수 있음으로 물 공급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구가 구비된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을 분리형으로 제조함으로써, 이동 혹은 적재가 편리한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공급장치가 구비된 화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2 는 도1 에 도시된 화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 은 도1 에 도시된 물 저장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a 는 도1 에 도시된 물 저장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4 는 도1 에 도시된 화분과 물 저장조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5 는 도1 의 "A-A선"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6 은 도4 에 도시된 물 저장조의 평면도.
도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공급이 용이한 화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8 은 도7 에 도시된 고정부재가 장착된 화분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9 는 도8 에 도시된 고정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측정기구가 구비된화분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11 은 도10 의 "B-B" 선 단면도.
도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측정기구가 구비된 화분을 도시하는 구조도.
도13 은 도12 에 도시된 화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14 는 도13 의 "C-C" 선 단면도.
도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측정기구가 구비된 화분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16 은 도15 의 평단면도.
도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18 은 도17 에 도시된 화분의 조립도.
도1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그 상부에 화분이 얹혀지며,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조와, 상기 화분에서 상기 물 저장조로 연장됨으로서 상기 물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재와, 상기 심지부재를 화분내의 일정 높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바닥면에 배출홀이 형성된 화분이 상부에 얹혀지고, 저면에 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물 저장조와, 상기 물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화분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재와, 상기 물저장조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구를 포함하는 화분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식물이 식재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물이 저장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물을 상기 상부몸체로 이동시키는 심지부재와, 상기 하부몸체에 연결되어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구를 포함하는 화분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식물이 식재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이 저장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물을 상기 상부몸체로 이동시키는 심지부재와, 상기 하부몸체에 연결되어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구를 포함하는 화분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수분공급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 공급이 용이한 화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2 는 도1 에 도시된 화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3 은 도1 에 도 시된 물 저장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화분의 수분공급장치는 화분(1)이 얹혀지는 물 저장조(3)와, 상기 물 저장조(3)의 물을 화분(1)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재(7)와, 화분(1)의 바닥부(8)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심지부재(7)를 화분(1)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에 있어서, 화분(1)의 내부바닥부(8)에는 상기 고정부재, 즉 다수의 돌기(9)가 상향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다수의 돌기(9)는 사방으로 배치된다.
즉,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2개의 돌기(9)가 한 쌍을 이룬다. 그리고, 각각의 돌기(9)들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적당한 간격, 바람직하게는 90도 각도를 이루어 배치된다. 따라서, 심지부재(7)의 각 단부들이 한 쌍의 돌기(9)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론, 각각의 돌기(9)들이 이루는 각은 90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1 및 도4 를 참조하면, 상기 심지부재(7)는 사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재(9)에 고정되는 수평부(7a)와, 상기 수평부(7a)에 일체로 연결되어 물 저장조(3)의 내부로 연장되는 수직부(7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심지부재(7)는 직물, 스폰지 등의 섬유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물 저장조(3)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1)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심지부재(7)는 고정부재(9)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부(7b)가 화분(1)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홀(11)을 통과하여 화분(1)의 하부에 위치하는 물저장조(3)의 홀(15)을 통하여 물저장조(3)의 내부로 연장되어 물에 잠기게 된다.
결국, 물 저장조(3)의 물은 심지부재(7)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화분(1)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심지부재(7)는 수평부(7a) 및 수직부(7b)로 이루어지는 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3 및 도6 에는 물 저장조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조(3)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갖음으로써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 상부를 밀폐시키는 캡부(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물 저장조(3)는 그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부(5)는 그 중간부에 홀(15)이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심지부재(7)가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5)는 다단으로 턱이 형성되므로 상기 화분(1)이 얹혀지는 경우 크기에 따라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화분 혹은 외부에서 캡부(5)의 상면에 물이 공급되어 흐르는 경우, 다단의 턱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물을 중심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도3a 에는 이러한 물저장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조(3)의 외벽에 내부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부(4)를 형성한다. 그리고, 눈금부(4) 이외의 부분은 그림 등을 인쇄할 수 있고 이중사출 방법으로 눈금부(4)를 투명한 재질로 성형 사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눈금부(4)를 통하여 물저장조(3)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도4 에는 이러한 화분과 수분 공급장치의 결합관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조(3)의 내부에 물을 일정량 채우고, 물 저장조(3)의 상부에 캡부(5)를 씌운다.
그리고, 심지부재(7)를 화분(1)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심지부재(7)의수평부(7a) 단부를 각각의 돌기(9)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심지부재(7)의 수직부(7b) 단부를 하부로 늘어뜨려 화분(1)의 배출홀(11)과, 캡부(5)의 홀(15)을 각각 통과시킨다. 상기 홀(11,15)들을 통과한 심지부재(7)의 수직부(7b) 하단부는 물 저장조(3)의 물에 잠기게 된다. 이때, 화분(1)의 내부에 흙을 채우고 식물을 심게된다.
따라서, 물 저장조(3)에 저장된 물이 상기 심지부재(7)를 따라 상승하여 화분(1)에 공급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7 에 도시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는 일실시예에 비하여 고정부재(24)의 높이 및 형상이 변경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24)의 높이를 일 실시예의 경우 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이 고정부재(24)에 고정되는 심지부재(26)도 화분(20)내에서 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물 저장조(22)로부터 공급된 물이 화분(20)내에 보다 높은 위치까지 공급되므로 물 공급효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고정부재(24)는 도8 및 도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28)와, 상기 바닥부(28)로부터 사방으로 돌출되는 플렉시블한(Flexible) 재질의 지지대(32)로 이루어 진다.
상기 바닥부(28)는 중간에 홀(30)이 형성되며, 이 홀(30)을 기점으로 하방으로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종형(鐘形)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32)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 적당한 형상으로 굽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24)를 일정 크기의 화분내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대(32)는 적당한 곡률로 휘어짐으로서 화분의 내벽에 밀착된다. 즉, 어떠한 크기의 화분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대(32)는 그 일단부는 상기 바닥부(28)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화분(1)의 내벽에 접촉하여 "U" 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각 지지대(32)의 단부에는 한 쌍의 돌기(34)가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돌기(34)는 서로 일정한 간격 떨어진다. 따라서, 심지부재(26)의 단부가 한 쌍의 돌기(34) 사이에 삽입됨으로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24)에 고정된 심지부재(26)는 그 하단부가 화분(20)의 배출홀(36)을 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물저장조(22)의 내부로 늘어 뜨려진다.
따라서, 물 저장조(22)에 저장된 물이 상기 심지부재(26)을 따라 상승하여 화분(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4)의 높이가 일정 높이에 위치함으로, 심지부재(26)를 따라 공급된 물도 화분(20)의 상층부에까지 공급가능 함으로 물 공급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10 및 도11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물 저장조에 저장된 물의 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이 도시된다.
즉, 물 저장조(40)의 저부에 물 유출구(44)가 형성되며, 이 물 유출구(44)에는 수위측정 기구(42),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튜브(tube;46)가 연결된다. 그리고, 이 튜브(46)의 상부는 물 저장조(40)의 상부 테두리(48)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튜브(46)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가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위측정기구(42)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조(4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은 수압에 의하여 상기 튜브(46)로 공급되고, 튜브(46)로 공급된 물은 튜브(46)의 내부에서 적당한 높이로 상승한다. 이때, 튜브(46)의 내부에서 물이 상승하는 높이는 물 저장조(40)에 저장된 물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수위를 측정함으로서 물 저장조(40)에 저장된 물의 양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46)의 상단부(50)는 물 저장조(40)의 상부 테두리(48)에 형성된 홀(49)에 관통하여 고정된다. 물론, 상기 튜브(46)는 클립, 접착제 등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물 저장조(40)의 캡부(54)에 형성되는 턱부(52)는 일정 길이 이상으로 돌출 된다. 따라서, 상기 캡부(54)를 통하여 물 저장조(40)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물이 캡부(54)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12 내지 도14 에는 이러한 수위 측정기구가 적용된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적용되는 화분(60)은 그 하부에 물 저장조(61)가 일체로 구비되는 타입이다. 이러한 화분(60)은 그 내부 중간부에 걸림턱(62)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걸림턱(62)에 분리판(63)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63)의 하부에 물 저장조(61)가 형성된다.
그리고, 물 저장조(61)의 저부에는 물 유출구(64)가 형성되며, 이 물 유출구(64)에는 수위측정기구(65),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튜브(66)가 연결된다. 이러한 튜브(66)의 하단부(68)는 상기 물 유출구(64)에 연결되며, 상단부(69)는 화분(60)의 테두리부(67)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물 저장조(61)에 저장된 물은 수압에 의하여 튜브(66)로 유출되며, 튜브(66)로 유출된 물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물 저장조(61)에 저장된 물의 양에 비례하여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튜브(66)의 수위를 측정함으로써 물 저장조(61)에 저장된 물의 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화분(60)의 일단부에는 공기 배출관(70)이 장착된다. 이 공기 배출관(70)의 하단부는 물 저장조(61)의 물 속에 잠기며 상부는 화분(60)의 테두리부(67)에 고정된다. 따라서, 물 저장조(61)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15 및 도16 에는 수위측정이 가능한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있어서는 수위측정의 목적 이외에도 물 공급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즉, 화분(71)의 일측에 장착되는 수위 측정기구(72)는 물 저장조(74)에 연결되는 튜브(73)와, 상기 튜브(73)의 상부에 연결되어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 주입부(74a)와, 물 저장조(74)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관(7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73)는 하단부(76)는 물 저장조(74)의 저면에 형성된 물 유출구(77)에 연결되며, 상단부(78)는 물 주입부(74a)의 하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물 저장조(74)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수압에 의하여 상기 튜브(73)로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주입부(74a)는 일정 부피를 갖는 깔때기 형상을 갖으며, 그 하부에는 배출홀(79)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73)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물 주입부(74a)를 통하여 물을 주입함으로서 물 저장조(74)에 물을 공급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주입부(74a)를 통하여 물을 주입하는 경우, 물 저장조(74)의 내부 수압으로 인하여 물이 공급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화분(71)에 공기 배출관(75)을 장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배출관(75)은 하단부는 물 저장조(7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단부는 화분 테두리부(8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화분은 그 크기가 크므로 이동하거나 적재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도17 내지 도18 에는 분리가 가능한 화분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화분(81)은 식물이 식재되는 상부몸체(82)와, 상부몸체(8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저장되는 하부몸체(8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화분(81)에 있어서, 상부몸체(82)의 하단에는 결합턱(84)이 형성되고, 이 결합턱(84)에 하부몸체(83)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화분(81)은 상기 상부몸체(82)와 하부몸체(83)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턱(84)에 의하여 결합하는 방식 이외에도,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나사 결합하는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화분(81)의 하부 저면에는 물 유출구(85)가 형성되며, 물 유출구(85)에는 수위 측정기구, 즉 튜브(86)가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몸체(83)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튜브(86)로 유출되어 일정 높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화분 (8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화분(81)의 일측에는 공기 배출관(87)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배출관(87)의 하단부는 하부의 물 속에 담겨지며, 상부는 화분(81)의 테두리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물 공급시 하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써 물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화분은 이동시 혹은 적재시에 상부 및 하부를 서로 분리하여 각각 이동/ 적재함으로써 사용히 편리하다.
또한, 도19 에는 이러한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눈금에 의하여 내부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화분이 도시된다.
즉, 화분(81)의 외부 일측면에 눈금(88)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눈금(88)은 인쇄 혹은 이중사출 등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물 저장조에 물을 저장하고, 이를 심지부재를 이용하여 화분에 공급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 없이도 자연적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심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높이를 높게 형성함으로써 화분의 상층부에까지 물을 공급할 수 있음으로 물 공급효율이 향상된다.
셋째, 심지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화분내에 물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넷째, 물 저장조를 투명하게 형성하거나 일부만을 투명하게 성형하여 외부에서도 용이하게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심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화분의 내부에 장착하는 경우 지지대가 적당히 휘어짐으로 화분의 크기에 따른 적응성기 향상된다.
여섯째, 수위 측정기구를 장착함으로써 화분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여 필요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일곱째, 화분을 분리형으로 하여, 이동시 혹은 적재시 분리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2)

  1. 그 상부에 화분이 얹혀지며,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조와; 상기 화분에서 상기 물 저장조로 연장됨으로서 상기 물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재와; 상기 심지부재를 화분내의 일정 높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조는 그 상부에 중간에 홀이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심지부재가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물 저장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재는 사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방으로 늘어뜨려져 물저장조에 잠기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화분의 바닥부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기가 한 쌍씩 일조를 이루어 사방으로 배치되며, 한 쌍의 돌기는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상기 심지부재의 수평부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사방으로 돌출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화분의 내벽에 접촉하여 휘어짐으로써 상향으로 일정 높이로 연장되고, 그 상단부에는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조의 외측면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물 저장조 내부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
  7. 바닥면에 배출홀이 형성된 화분이 상부에 얹혀지고, 저면에 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물 저장조와; 상기 물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화분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재와; 상기 물저장조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구를 포함하는 화분.
  8. 식물이 식재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물이 저장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물을 상기 상부몸체로 이동시키는 심지부재와; 상기 하부몸체에 연결되어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구를 포함하는 화분.
  9. 식물이 식재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이 저장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물을 상기 상부몸체로 이동시키는심지부재와; 상기 하부몸체에 연결되어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기구를 포함하는 화분.
  10. 제7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기구는 하단부는 상기 물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화분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투명재질의 튜브를 포함하는 화분.
  11. 제7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기구는 깔때기 형상을 갖음으로써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 주입부와, 상단부가 상기 물 주입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물 배출구에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는 화분.
  12. 제7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일단부에는 공기 배출관이 더 포함되며, 상기 공기 배출관의 하단부는 상기 물 저장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부는 화분의 테두리에 고정됨으로써 물 저장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화분.
KR20-2002-0032423U 2002-09-26 2002-10-30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KR20030252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813 2002-09-26
KR20020028813 2002-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520Y1 true KR200302520Y1 (ko) 2003-02-05

Family

ID=4939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423U KR200302520Y1 (ko) 2002-09-26 2002-10-30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520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831A (ko) * 2002-11-28 2004-06-05 강판규 화분 및 화분 물저장조의 블로어 성형방법
KR100741288B1 (ko) 2006-01-20 2007-07-23 서숙하 화단조성용 받침대
KR100792582B1 (ko) 2006-08-01 2008-01-09 이규상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100830330B1 (ko) 2006-10-21 2008-05-19 송웅호 식생상자 조립체
KR100978242B1 (ko) 2008-02-25 2010-08-31 이규주 오폐수 배출구가 구성된 급수통을 설치시킨 실외삼투기능화분
WO2012138106A2 (ko) * 2011-04-06 2012-10-11 Gug Byeung Hwan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KR101195578B1 (ko) * 2012-04-02 2012-10-29 국병환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KR101218385B1 (ko) * 2012-02-29 2013-01-03 한유미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화단
WO2016190474A1 (ko) * 2015-05-22 2016-12-01 김용석 파티션 및 테이블겸용 다용도 화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831A (ko) * 2002-11-28 2004-06-05 강판규 화분 및 화분 물저장조의 블로어 성형방법
KR100741288B1 (ko) 2006-01-20 2007-07-23 서숙하 화단조성용 받침대
KR100792582B1 (ko) 2006-08-01 2008-01-09 이규상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100830330B1 (ko) 2006-10-21 2008-05-19 송웅호 식생상자 조립체
KR100978242B1 (ko) 2008-02-25 2010-08-31 이규주 오폐수 배출구가 구성된 급수통을 설치시킨 실외삼투기능화분
WO2012138106A2 (ko) * 2011-04-06 2012-10-11 Gug Byeung Hwan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WO2012138106A3 (ko) * 2011-04-06 2012-12-20 Gug Byeung Hwan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KR101218385B1 (ko) * 2012-02-29 2013-01-03 한유미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화단
WO2013129734A1 (ko) * 2012-02-29 2013-09-06 Huh Man-Chul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화단
KR101195578B1 (ko) * 2012-04-02 2012-10-29 국병환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WO2016190474A1 (ko) * 2015-05-22 2016-12-01 김용석 파티션 및 테이블겸용 다용도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859B2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US4527354A (en) Implantable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of plants
US6918207B2 (en) Moisturized, soilless, root-culture planter
KR900006270B1 (ko) 자동급수 화분의 급수량 조절방법
KR200302520Y1 (ko)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KR20110006150A (ko) 난초용 화분
CN112352581A (zh) 一种实现无残余底部浇水的花盆结构及具有该结构的花盆
JP4898161B2 (ja) 植木鉢
CN210537636U (zh) 桌面型双层植物生境的玻璃花盆
KR102479711B1 (ko) 자연 관수식 화분 받침대 구조체
KR200278171Y1 (ko) 이중화분
GB2281182A (en) Semi-automatic watering system for domestic pot plants
CN207869976U (zh) 一种无土栽培箱
CN201138958Y (zh) 节水免浇花盆
KR200388481Y1 (ko)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WO1998053668A1 (en) Fluid store and dispenser
CN212393352U (zh) 一种实现无残余底部浇水的花盆结构及具有该结构的花盆
CN219373219U (zh) 一种温室防烂根的兰花栽植盆
KR900008347Y1 (ko) 화분 받침대
KR20150084077A (ko) 화분용 수분관리 장치
KR200364349Y1 (ko) 분수형 급수화분
CN215223370U (zh) 一种耐水植物栽培研究用的花盆
CN217771080U (zh) 一种透气性好的新型免浇水花盆
WO2001087051A1 (fr) Dispositif de culture de plante et procede assoc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