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167B1 -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167B1
KR101271167B1 KR1020120120411A KR20120120411A KR101271167B1 KR 101271167 B1 KR101271167 B1 KR 101271167B1 KR 1020120120411 A KR1020120120411 A KR 1020120120411A KR 20120120411 A KR20120120411 A KR 20120120411A KR 101271167 B1 KR101271167 B1 KR 101271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ole
single pipe
water
po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준
송현숙
Original Assignee
송현숙
송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숙, 송성준 filed Critical 송현숙
Priority to KR102012012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연결된 제1 측면(22)으로 이루어진 외벽(20); 및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제1 측면과 이격되며 상측으로 형성된 제2 측면(32)과, 상기 제2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면을 밀폐하고 화분이 놓일 수 있도록 평탄면(31)이 형성된 거치부(30);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면과 제1 및 제2 측면에 의해 상측면만이 개방된 공간부(4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면 하단부에는 관통된 관통구(25)가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관통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벽 외측에 배치되는 배출 호스(50)를 포함하는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 아래로 배출되는 물을 배출 호스를 통해 하수구 등으로 자연 배출되도록 하여 화분에 의해 바닥 등이 젖거나 지저분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이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따로 제거해야만 하는 불편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WATER CIRCULATION SYSTEM USING THE SUPPORTER OF POT}
본 발명은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 아래로 배출되는 물을 배출 호스를 통해 하수구 등으로 자연 배출되도록 하여 화분에 의해 바닥 등이 젖거나 지저분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이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따로 제거해야만 하는 불편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회사 등 많은 곳에서 상당 수의 화분을 소유하고 있다. 화분에는 각종 고가의 식물들이 심어져 있으며, 가장 내지 회사에서는 사람들이 직접 일정 시간마다 화분에 물을 공급해 주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물을 화분에 포함된 흙에 공급하게 되고, 그 중 상당양의 물은 화분 아래로 그대로 배출되어 하수구 등을 통해 버려지게 되는 실정이다.
기존의 화분 거치대는 화분에 공급되어 그대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구성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즉, 기존의 화분 거치대는 화분에 공급되고 화분 아래로 그대로 배출되는 물이 바닥으로 흘러 버려지는 구성으로서, 화분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 바닥이 젖거나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분 아래로 배출되는 물은 그대로 하수구 등을 통해 버려지게 되어 상당량의 물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762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762호 역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 거치대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에 수용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 호스를 포함함으로써, 화분 아래로 배출되는 물을 배출 호스를 통해 하수구 등으로 자연 배출되도록 하는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연결된 제1 측면(22)으로 이루어진 외벽(20); 및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제1 측면과 이격되며 상측으로 형성된 제2 측면(32)과, 상기 제2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면을 밀폐하고 내부에 흙이 포함된 화분이 놓일 수 있도록 평탄면(31)이 형성된 거치부(30);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면과 제1 및 제2 측면에 의해 상측면만이 개방된 공간부(4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면 하단부에는 관통된 관통구(25)가 형성된 화분 거치대를 포함하고, 일단부는 상기 관통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벽 외측에 배치되는 배출 호스(5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호스(50)는 일단부가 상기 관통구에 연결된 단일관(51)과 상기 단일관으로부터 각각 분기되되, 단부가 상기 화분 거치대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 분기관과 단부가 상기 화분(10)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관(51)의 일단부는 상기 관통구(25)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이 연결 조인트(6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 조인트(60)에는 벨브모터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5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단일관(51)과 연결시키고 다른 하나는 상기 단일관(51)과 격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 모두가 상기 단일관과 격리되도록 하는 밸브(63)가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2 분기관을 통해 상기 화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펌프(90)가 설치되며, 상기 화분에는 상기 화분의 흙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15)가 포함되고, 상기 공간부(40)에는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량측정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수분측정센서와 밸브모터 및 소형펌프(90)와 연결되고, 상기 수분측정센서(15)에서 측정되는 상기 화분의 흙에 포함된 수분양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전송받은 수분양이 기 설정된 수분양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2 분기관과 단일관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밸브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제2 분기관을 통해 상기 화분의 흙에 공급되도록 상기 소형펌프(9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부(16)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부(16)는 상기 수량측정센서와 더 연결되어 수량측정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소형펌프(9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 모두가 상기 단일관과 격리되도록 상기 밸브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바닥면 중 상기 공간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 반대측에서 관통구 측으로 하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제2 측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평탄면이 상기 외벽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과 평탄면은 상기 바닥면이 상측으로 굽어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탄면의 하부면에는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받침돌기(7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측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외측으로 외향되는 방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 아래로 배출되는 물을 배출 호스를 통해 하수구 등으로 자연 배출되도록 하여 화분에 의해 바닥 등이 젖거나 지저분해 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이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따로 제거해야만 하는 불편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분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분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화분 거치대의 바닥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의 A타입에 대한 도 3에 표시된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의 B타입에 대한 도 3에 표시된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표시된 B-B'의 상기 A 타입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표시된 C-C'의 상기 A 타입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에 표시된 B-B'의 상기 B 타입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표시된 C-C'의 상기 B 타입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수도와 물 저장탱크와 연결된 화분 거치대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화분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분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화분 거치대의 바닥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20), 거치부(30) 및 배출 호스(50)를 포함한다.
상기 외벽(2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의 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바닥면(21)과 제1 측면(22)으로 구분된다.
상기 바닥면(2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를 지지하는 하부면이다.
상기 바닥면(21)은 사각 형태 내지 다각 형태 또는 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각 형태의 바닥면만을 도시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측면(22)은 상기 바닥면(21)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이다.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바닥면(2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2 측면(32)과 상기 제2 측면(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면을 밀폐하고 화분이 놓일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 평탄면(3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측면(32)은 상기 외벽(20)의 바닥면(21)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면(22)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측면(32)과 제1 측면(22) 사이의 이격에 의해 상기 거치부(30)와 제1 측면(22) 사이에는 공간부(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공간부(40)는 상기 바닥면(21)과 제1 측면(22) 및 제2 측면(32)에 의해 각각 하부면과 외측면 및 내측면이 밀폐되고 상측면만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30)의 평탄면(31)에 화분이 안착되고 안착된 화분에 공급된 물이 화분 하측으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배출된 물은 평탄면(31)을 따라 흘러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를 구성하는 외벽(20)의 바닥면(21)은 하부면이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30)가 바닥면(21) 상측으로 별도로 형성(이하, A 타입이라 한다. 도 4, 도 6, 도 8 및 도 9 참조)되거나, 또는 상기 바닥면(21) 자체가 상측으로 굽어져 상기 거치부(30)가 형성(이하, B 타입이라 한다. 도 5, 도 8, 도 11 및 도 12 참조)될 수 있다.
즉, 상기 A 타입은 평평한 형태의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결되는 제1 측면(22)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바닥면(21)으로부터 제2 측면(32)이 상기 제1 측면(2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40)가 구비되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B 타입은 상기 바닥면(21)이 상기 제1 측면(2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측으로 굽어져 절곡된 부분이 상기 제2 측면(32)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간부(40)가 구비되는 형태이다.
상기 B 타입의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비대의 하부면이 상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제1 측면(22)은 상기 제2 측면(3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치부(30)가 상기 외벽(20)의 제1 측면(22) 내부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벽(20)의 제1 측면(22)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외측 ?향으로 외향되는 방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상기 제1 측면(22)을 상기한 바와 같은 방사 형태로 형성함은 상기 공간부(40)의 공간을 최대한 증가시켜, 공간부(40)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양을 최대화 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는, 상기 A 타입의 경우, 상기 바닥면(21)의 하부면에 복수 개의 받침돌기(70)가 결합될 수 있다(도 4 및 도 6 참조).
이 경우, 상기 받침돌기(70)의 하측 단부는 고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외벽의 바닥면(21)과 바닥면(21)이 놓여지는 바닥 사이에 마찰을 증가시켜 화분 거치대가 미끌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바닥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는, 상기 B 타입의 경우, 상기 거치부(30)의 평탄면(31) 하부면, 즉 상기 바닥면 중 상기 평탄면(31)을 형성하는 부분의 하부면에 복수 개의 받침돌기(70)가 결합될 수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이때, 상기 받침돌기(70)는 상기 거치부(30)의 평탄면(31) 하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결되고, 그 길이는 상기 제1 측면(22)의 하단부 보다 소정 간격 아래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돌기(70)의 하단부에는 고무 재질과 같이 바닥과 마찰을 증가시키는 재질의 마찰부(71)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20)의 제1 측면(22)에는 관통구(25)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5)는 상기 제1 측면(2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는, 일단부는 상기 관통구(25)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벽(20) 외측으로 배치되는 배출 호스(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 호스(50)는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을 근처 바닥의 하수구 입구 등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는, 상기 거치부(30)의 평탄면(31)에 안착된 화분에 공급된 물이 화분 아래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배출되는 물을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은 상기 관통구(25)와 배출 호스(50)를 통해 하수구 등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이 상기 관통구(25) 및 배출 호스(50)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21) 중 상기 공간부(40)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은 도 3에 표시된 B-B'의 상기 A 타입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에 표시된 C-C'의 상기 A 타입에 대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3에 표시된 B-B'의 상기 B 타입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3에 표시된 C-C'의 상기 B 타입에 대한 단면도이다.
즉, 상기 바닥면 중 상기 공간부(40)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은 상기 관통구(25)가 형성된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구(25)가 형성된 측으로 하향되는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은 위치 에너지의 차이에 의해 상기 관통구(25)가 형성된 부분으로 이동하여 보다 용이하게 배출 호스(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 호스(50)는 상기 관통구에 연결된 단일관(51)과 상기 단일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제1 및 제2 분기관(5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분기관은 상기 화분 거치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분기관은 상기 화분(10) 상측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화분(10)에는 상기 제2 분기관의 단부가 상기 화분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2 분기관을 고정하는 고정 고리(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일관(51)의 일단부는 상기 관통구(25)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52)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단일관(51)과 제1 및 제2 분기관(52)의 연결은 연결 조인트(60)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조인트(60)에는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5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단일관(51)과 연결, 즉 통공시키고 다른 하나는 상기 단일관(51) 격리되도록 하는 밸브(63)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분기관과 제2 분기관 중 하나는 상기 단일관과의 연결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단일관과 격리되록 하는 상기 밸브(63)의 회전은 상기 밸브(63)를 회전하도록 결합 설치된 밸브모터(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브(6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 모두가 상기 단일관과 격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밸브(63)와 수분측정센서(15)는 기존의 회전밸브와 수분측정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63)에 의해 상기 제2 분기관과 단일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분기관과 단일관이 격리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2 분기관을 통해 상기 화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펌프(9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소형펌프(90)는 상기 연결 조인트(60)에 결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은 상기 수분측정센서(15), 밸브모터 및 소형펌프(90)와 연결되고, 상기 수분측정센서(15)에서 측정되는 상기 화분의 흙에 포함된 수분양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전송받은 수분양이 기 설정된 수분양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2 분기관과 단일관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밸브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제2 분기관을 통해 상기 화분의 흙에 공급되도록 상기 소형펌프(9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부(1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간부(40)에는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량측정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16)는 상기 수량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수량측정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소형펌프(9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 모두가 상기 단일관과 격리되도록 상기 밸브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화분에 공급되어 화분 아래로 배출되는 물은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되고 화분에 대한 관리가 불가능한 시기에는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이 화분으로 재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수도와 연결된 화분 거치대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 시스템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의 평탄면(31)이 복수 개의 화분이 배치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수도(200)와 연결되고 타측은 막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편탄면(31)에 위치한 화분(10)들 위를 지나가도록 배치되고 화분(10)이 배치되는 상측 부분에는 물 공급 틈(110)이 형성되어, 상기 후도(200)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물 공급 틈(110)을 통해 각 화분(10)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물 저장탱크와 연결된 화분 거치대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거치대 시스템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100)의 일측은 물 저장 탱크(400)에 연결시키고 타측은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탱크(400)와 연결된 일측에는 펌프(300)가 설치되고, 상기 편탄면(31)에 위치한 화분(10)들 위를 지나가도록 배치되고 화분(10)이 배치되는 상측 부분에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120)이 각각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펌프(300)에 의해 물 저장탱크(400)의 물을 호스(100)로 펌핑시키고, 펌핑된 물은 상기 각 노즐(120)을 통해 각 화분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화분 11: 흙
20: 외벽 21: 바닥면
22: 제1 측면 25: 관통구
30: 거치부 31: 평탄면
32: 제2 측면 40: 공간부
50: 배출 호스 51: 단일관
52: 제1, 제2 분기관 60: 연결 조인트
70: 받침돌기 80: 물

Claims (6)

  1.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연결된 제1 측면(22)으로 이루어진 외벽(20); 및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제1 측면과 이격되며 상측으로 형성된 제2 측면(32)과, 상기 제2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면을 밀폐하고 내부에 흙이 포함된 화분이 놓일 수 있도록 평탄면(31)이 형성된 거치부(30);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바닥면과 제1 및 제2 측면에 의해 상측면만이 개방된 공간부(4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면 하단부에는 관통된 관통구(25)가 형성된 화분 거치대를 포함하고,
    일단부는 상기 관통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외벽 외측에 배치되는 배출 호스(5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호스(50)는 일단부가 상기 관통구에 연결된 단일관(51)과 상기 단일관으로부터 각각 분기되되, 단부가 상기 화분 거치대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 분기관과 단부가 상기 화분(10)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분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관(51)의 일단부는 상기 관통구(25)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이 연결 조인트(6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 조인트(60)에는 벨브모터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5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단일관(51)과 연결시키고 다른 하나는 상기 단일관(51)과 격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 모두가 상기 단일관과 격리되도록 하는 밸브(63)가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2 분기관을 통해 상기 화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펌프(90)가 설치되며,
    상기 화분에는 상기 화분의 흙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15)가 포함되고, 상기 공간부(40)에는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량측정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수분측정센서와 밸브모터 및 소형펌프(90)와 연결되고, 상기 수분측정센서(15)에서 측정되는 상기 화분의 흙에 포함된 수분양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전송받은 수분양이 기 설정된 수분양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2 분기관과 단일관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밸브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공간부(4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제2 분기관을 통해 상기 화분의 흙에 공급되도록 상기 소형펌프(9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부(16)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부(16)는 상기 수량측정센서와 더 연결되어 수량측정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소형펌프(9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 모두가 상기 단일관과 격리되도록 상기 밸브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바닥면 중 상기 공간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관통구가 형성된 반대측에서 관통구 측으로 하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이 상기 제2 측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평탄면이 상기 외벽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과 평탄면은 상기 바닥면이 상측으로 굽어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하부면에는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받침돌기(7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외측으로 외향되는 방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KR1020120120411A 2012-10-29 2012-10-29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KR10127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11A KR101271167B1 (ko) 2012-10-29 2012-10-29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411A KR101271167B1 (ko) 2012-10-29 2012-10-29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167B1 true KR101271167B1 (ko) 2013-06-04

Family

ID=4886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411A KR101271167B1 (ko) 2012-10-29 2012-10-29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1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072A (ja) * 2000-03-24 2001-10-02 Narita Yuichi 低面給水に於けるアンダープールトレーへの給排水
JP3086047U (ja) * 2001-11-14 2002-05-31 進 大串 排水容器付植木鉢台
KR200327225Y1 (ko) * 2003-06-09 2003-09-19 이정호 지지대와 돌기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0375649Y1 (ko) 2004-11-19 2005-03-11 김국현 화분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072A (ja) * 2000-03-24 2001-10-02 Narita Yuichi 低面給水に於けるアンダープールトレーへの給排水
JP3086047U (ja) * 2001-11-14 2002-05-31 進 大串 排水容器付植木鉢台
KR200327225Y1 (ko) * 2003-06-09 2003-09-19 이정호 지지대와 돌기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0375649Y1 (ko) 2004-11-19 2005-03-11 김국현 화분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283B2 (en) Column elements for a device for the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EP2653027A1 (en) Supporting device capable of allowing location of flowerpot to be moved
US20160353674A1 (en)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KR20130009505A (ko) 이중 플레이트 구조의 재배 베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기
KR20140002207U (ko) 다단식 회전 화분걸이장치
KR20140081651A (ko)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JP2016123418A (ja) 植物用の貯水部を有するポット
JP2015522299A (ja) 灌漑システム内蔵の垂直型プランター装置
KR101271167B1 (ko) 화분 거치대를 이용한 화분 배출수 순환 시스템
KR101567546B1 (ko)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KR101643649B1 (ko) 벽면 녹화용 화분
WO2019086242A1 (en)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thereof
EP3221516B1 (en) Drainage system
KR200488835Y1 (ko)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KR102653506B1 (ko) 자동 관수 화분
CN206078262U (zh) 一种植物墙的种植固定盒
JP4645169B2 (ja) 緑化基盤システム、スペーサ部材、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200401655Y1 (ko) 벽걸이 화분세트
KR200484446Y1 (ko) 화분 받침대
KR101255672B1 (ko)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JP3932435B2 (ja) 吊下げかん水プランター
KR102183686B1 (ko) 화분 받침대
CN210277106U (zh) 一种简易铝制杯架
JP5149857B2 (ja) 雨水利用型植物栽培装置
CN209574157U (zh) 一种用于陶瓷花盆的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