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651A -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 Google Patents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651A
KR20140081651A KR1020130054141A KR20130054141A KR20140081651A KR 20140081651 A KR20140081651 A KR 20140081651A KR 1020130054141 A KR1020130054141 A KR 1020130054141A KR 20130054141 A KR20130054141 A KR 20130054141A KR 20140081651 A KR20140081651 A KR 20140081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rt
water supply
drai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성
Original Assignee
이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성 filed Critical 이화성
Priority to KR102013010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2554A/ko
Priority to KR1020130149657A priority patent/KR1015675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관수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으로, 모종이 심겨진 연결포트(10)의 각 포트(11) 하단이 안치되는 안치돌기(112)가 바닥면(110)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일측에는 급수호스(20)가 배치되는 급수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110)의 타측에는 배수부(130)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바닥면(110)은 급수부(120)에서 배수부(130)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사방으로는 내부에 물이 채워질 때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벽(140)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130)는 바닥면(110)의 낮은 쪽에 형성되는 저류조(132)와, 상기 저류조(132)에 연통된 배수지연용 미로(134) 및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말단의 배수구(136)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A Pot tray for under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에 관한 것으로, 딸기 등의 각종 농작물이나 원예용 모종 등을 육성할 때 기존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두상관수식이나 점적호스를 이용한 점적관수방식 대신 저면관수방식을 사용하여 물과 양액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모종 육성과정에서 탄저병 등의 각종 전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기존의 저면관수방식에서 대형의 벤치(베드)를 수평상태로 맞추어 설치하여야 했던 기술적인 어려움 및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없이 각각의 포트 받침 위에 모종이 식재된 연결포트를 얹어주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저면관수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 모종을 비롯한 각종 농작물이나 원예용 모종은 시설 하우스 내부에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두상관수법이나 점적호스를 이용한 점적관수법 등을 이용하여 육묘하고 있는데, 이러한 두상관수법이나 점적관수방식에서는 공기 중의 탄저균이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된 물방울 또는 점적호스에서 배출된 물과 양액을 매개로 하여 육묘장 전체로 넓게 확산되는 폐단, 물과 양액의 낭비가 심한 단점 및 스프링클러 설비 및 점적호스의 설치에 상당한 시간과 재료 및 자금과 인력을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두상관수법이나 점적관수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면관수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저면관수법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245336호의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이하, "종래기술 1"이라함), 공개특허 제2012-62464호의 저면관수법을 이용한 딸기 육묘방법(이하, "종래기술 2"라 함), 실용신안등록 제220370호의 원예작물 재배용 저면관수방법 및 그 시스템(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함), 실용신안등록 제254409호의 저면관수용 육묘 트레이(이하, 종래기술 4"라 함)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 1 내지 4에 개시된 저면관수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정한 시간동안 충분한 물과 양액을 공급한 후 완벽한 배수를 시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저면관수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이면서도 건강한 모종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과 양액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모종 육성과정에서 탄저병 등의 각종 전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기존의 저면관수방식에서 대형의 베드를 물매를 맞추어 설치하여야 했던 불편함 및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없이 각각의 포트 받침 위에 모종이 식재된 연결포트를 얹어주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면관수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모종이 심겨진 연결포트의 각 포트 하단이 안치되는 안치돌기가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는 급수호스가 배치되는 급수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의 타측에는 배수부가 형성된 형성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급수부에서 배수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사방으로는 포트 받침 내부에 물이 채워질 때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벽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는 바닥면의 낮은 쪽에 형성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에 연통된 배수지연용 미로 및 상기 미로 말단의 배수구로 이루어지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배수부가 상술한 제1실시 예의 배수지연용 미로가 없이 저류조와 이 저류조에서 외부로 연통된 배수구 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에 배수호스가 연결되고 이 배수호스의 말단에 배수밸브가 설치되어 배수밸브를 닫아주면 포트 받침 내부의 수위가 올라가게 되면서 모종이 식재된 연결포트 내부로 저면관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급수밸브를 차단하고 배수밸브를 개방시키게 되면 포트 받침 내부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모종이 심겨진 연결포트의 각 포트 하단이 안치되는 안치돌기가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좌·우 측에는 급수호스가 배치되는 급수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의 중간부에는 배수부가 형성된 형성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좌·우측의 급수부에서 중간의 배수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사방으로는 포트 받침 내부에 물이 채워질 때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벽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는 바닥면의 낮은 쪽에 형성되는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에 연통된 배수지연용 미로 및 상기 미로 말단의 배수구로 이루어지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의하면 저면관수에 필요한 급수시에는 급수부 측의 급수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양액의 급수량에 비해 배수부에 형성된 배수지연용 미로 또는 배수밸브의 조작에 의해 포트 받침 내부의 수위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게 되므로 각각의 포트로 충분한 양의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급수호스를 통한 물과 양액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면 자연적인 배수작용에 의해 포트 받침의 바닥면 위를 채우던 물이 완전히 배수되게 되면서 모종의 생육조건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 등에 의하면 일정 시간 동안 급수가 이루어진 후, 전부 배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모종의 뿌리와 줄기의 생장 촉진이 가능하고, 저면관수로 인해 탄저병 등의 각종 전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급수가 가능하여 모종의 균일한 생장이 가능하고, 최소한의 물과 양액 만으로 효과적인 모종 재배가 가능한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 - C선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의 급,배수부 배관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의 저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D - D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E - E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1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모종이 심겨진 연결포트(10)의 각 포트(11) 하단이 안치되는 안치돌기(112)가 바닥면(110)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일측에는 급수호스(20)가 배치되는 급수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110)의 타측에는 배수부(130)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바닥면(110)은 급수부(120)에서 배수부(130)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사방으로는 내부에 물이 채워질 때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벽(140)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130)는 바닥면(110)의 낮은 쪽에 형성되는 저류조(132)와, 상기 저류조(132)에 연통된 배수지연용 미로(134) 및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말단의 배수구(136)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포트 받침(100)은 기울기를 갖는 바닥면(110)의 상부에 연결포트(10)의 각 포트(11) 하단을 받쳐주기 위한 안치돌기(112)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안치돌기(112)는 연결포트(10)가 기울어진 바닥면(110) 위에 수평상태로 안치될 수 있도록 급수부(120) 측에 가까운 것은 굽이 낮고 배수부(130) 측으로 갈수록 굽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안치돌기(112)는 대체로 원기둥 형태로 가로 4줄×세로 6줄(도 5의 평면도 참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안치돌기(112)의 갯수 및 형태는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육묘 포트의 여러 규격에 각기 맞도록 제작하거나 여러 육묘 포트에 호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안치돌기의 크기(직경)를 작게 하고 그 형성 간격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다만, 바닥면(110)을 통한 물과 양액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성형하면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면(110) 일측의 급수부(120)는 급수호스(2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측벽(140)에 요홈을 형성하여 급수호스(20)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호스(20)에는 일정 간격으로 급수공(도시 안 됨)이 형성되어 포트 받침(100) 내부로 물과 양액의 급수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호스(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포트 받침(100)을 좌우로 나란하게 연속으로 배치하여 일직선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일괄적인 급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그 위에 모종이 식재된 연결포트(10)를 각각 안치하여 저면관수를 시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본 실시 예에서는 기존의 저면관수 시스템에서 대형의 벤치(베드)를 전체적으로 수평상태가 되도록 설치하여 물매를 맞추어 주던 것과 비교할 때, 벤치 시설의 설치가 필요 없어 자재비의 절감은 물론 벤치시설의 생략에 의해 시공시간의 단축과 인건비의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면(110) 타측의 배수부(130)는 바닥면(110)의 낮은 쪽에 형성되는 저류조(132)와, 상기 저류조(132)에 연통된 배수지연용 미로(134) 및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말단의 배수구(1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류조(132)는 바닥면(110)의 낮은 쪽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110)을 따라 흘러내린 물과 양액을 1차로 수거함으로써 급수 종료 후 배수시 바닥면 위에는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는 도 5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격판(134a)이 서로 평행하면서도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어 지그재그 상태의 미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미로(134)는 도 2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류조(132)에서 배수구(136) 측으로 갈수록 단차가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위에는 덮개(138)가 씌워져 있어 미로(134)의 경로가 최대한 길어짐과 동시에 배수구(136) 쪽으로 갈수록 수위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급수와 동시에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포트 받침(100) 내부가 소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지게 되면 이윽고 배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물과 양액의 사용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급수가 차단되게 되면 포트 받침 내부의 수위가 하강하면서 배수구(136)를 통해 서서히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배수구(136)의 높이는 바닥면(110)의 최하부 높이보다는 낮고 저수조(132)의 바닥보다는 높은 위치에 형성하여야 하며, 저수조(132)와 미로(134)의 연통부 높이보다 배수구(136)의 높이가 약 6mm정도 높은 위치에 오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138)의 둘레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시일(139)이 끼워짐으로써 미로(134) 위에 씌워질 때 저수조(132)와 미로(134)의 연통부 만이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시 물과 양액이 저수조(132)에 1차로 저류되고 미로(134)를 경유하여 배수구(136)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덮개(138)는 투명소재로 형성하여, 미로(134)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덮개(138)의 상면에는 덮개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고리부나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 받침(100)의 저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횡으로 보강리브(114,116)가 종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종방향의 보강리브(116)는 포트 받침(1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급수부(120) 측은 굽이 높고 배수부(130) 측은 굽이 낮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포트 받침(100)의 저면에는 포트 받침(100)을 바닥에 두지 않고 소정 높이의 베드 시설물 위에 올려놓을 때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정렬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횡방향으로 파이프 안치홈 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및 이의 사용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는 포트 받침의 기본적인 형태는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하나 배수부(130)의 형태가 좀 더 단순화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의 배수부(130)는 제1실시 예의 배수지연용 미로가 없이 저류조(132)와 이 저류조(132)에서 외부로 연통된 배수구(136) 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구(136)에 배수호스(30)가 연결되고 이 배수호스(30)의 말단에 배수밸브(V2)가 설치되어 배수밸브(V2)를 닫아주면 포트 받침(100) 내부의 수위가 올라가게 되면서 모종이 식재된 연결포트 내부로 저면관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즉, 물과 양액이 저장된 저장탱크(T)에 연결된 급수부(120)측의 급수호스(20)에 설치된 급수밸브(V1)를 개방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급수밸브(V1)는 차단하고 배수밸브(V2)를 개방시키게 되면 포트 받침(100) 내부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모종의 생육조건에 적합한 상태로 급수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밸브(V1)와 배수밸브(V2)는 타이머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면관수에 일일이 인력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제1실시 예에서도 급수부 측의 급수호스에 설치된 급수밸브를 타이머로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이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100)은 모종이 심겨진 연결포트(10)의 각 개별 포트(11) 하단이 안치되는 안치돌기(112)가 바닥면(110)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좌·우 측에는 급수호스가 배치되는 급수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110)의 중간부에는 배수부(130)가 형성된 형성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으로, 상기 바닥면(110)은 좌·우측의 급수부(120)에서 중간의 배수부(130)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사방으로는 포트 받침(100) 내부에 물이 채워질 때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벽(140)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130)는 바닥면(110)의 낮은 쪽에 형성되는 저류조(132)와, 상기 저류조(132)에 연통된 배수지연용 미로(134) 및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말단의 배수구(136)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포트 받침(100)도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기울기를 갖는 바닥면(110)의 상부에 연결포트(10)의 각 포트(11) 하단을 받쳐주기 위한 안치돌기(112)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안치돌기(112)는 연결포트(10)가 기울어진 바닥면(110) 위에 수평상태로 안치될 수 있도록 좌·우의 급수부(120) 측에 가까운 것은 굽이 낮고 중간의 배수부(130) 측으로 갈수록 굽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안치돌기(112)는 대체로 원기둥 형태로 가로 4줄×세로 6줄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안치돌기(112)의 갯수 및 형태는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육묘 포트의 여러 규격에 각기 맞도록 제작하거나 여러 육묘 포트에 호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안치돌기의 크기(직경)를 작게 하고 그 형성 간격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다만, 바닥면(110)을 통한 물과 양액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성형하면 된다.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바닥면(110) 좌·우 측의 급수부(120)는 급수호스(20; 도 1 및 도 2 참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측벽(140)에 요홈을 형성하여 급수호스(20)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호스(20)에는 일정 간격으로 급수공(도시 안 됨)이 형성되어 포트 받침(100) 내부로 물과 양액의 급수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실시 예의 도면 중 부호 150은 파이프 안치홈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면(110) 중간의 배수부(130)도 상수한 제1실시 예에와 마찬가지로 저류조(132)와, 상기 저류조(132)에 연통된 배수지연용 미로(134) 및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말단의 배수구(1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류조(132)는 바닥면(110)의 낮은 쪽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110)을 따라 흘러내린 물과 양액을 1차로 수거함으로써 급수 종료 후 배수시 바닥면 위에는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는 복수의 격판(134a)이 서로 평행하면서도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격판(134a)에는 미로(134)의 바닥보다 상대적으로 단차가 높은 연통부(134b)가 형성되어 지그재그 상태의 미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미로(134)는 저류조(132)에서 배수구(136) 측으로 갈수록 바닥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위에는 덮개(138)가 씌워져 있어 미로(134)의 경로가 최대한 길어짐과 동시에 배수구(136) 쪽으로 갈수록 수위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급수와 동시에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포트 받침(100) 내부가 소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지게 되면 이윽고 배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물과 양액의 사용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급수가 차단되게 되면 포트 받침 내부의 수위가 하강하면서 배수구(136)를 통해 서서히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덮개(138)의 둘레에 수밀유지를 위한 시일이 끼워짐으로써 미로(134) 위에 씌워질 때 저수조(132)와 미로(134)의 연통부(134b) 만이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시 물과 양액이 저수조(132)에 1차로 저류되고 미로(134)를 경유하여 배수구(136)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덮개(138)는 덮개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하거나 단면 형태를 끼움결합방식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하여 배수지연용 미로(134) 및 저류조(132) 위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138)는 배수지연용 미로(134)와 함께 저수조(132) 위도 함께 덮을 수 있도록 하되 저수조(132) 위에 해당하는 부위는 이물질이 저수조(13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비교적 조밀한 그물망형으로 거름망(138a)을 형성함으로써 배수청소작업의 용이 및 배수지연용 미로(134)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 배수작용에 지장을 초래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포트 받침 또한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하여 사용되는바,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0 : 연결포트 11 : 개별 포트
20 : 급수호스 22 : 급수공
30 : 배수호스 100 : 포트받침
110 : 바닥면 112 : 안치돌기
120 : 급수부 130 : 배수부
132 : 저류조 134 : 배수지연용 미로
136 : 배수구 138 : 덮개
138a : 거름망 140 : 측벽
150 : 파이프 안치홈
V1 : 급수밸브 V2 : 배수밸브
T : 저장탱크

Claims (8)

  1. 모종이 심겨진 연결포트(10)의 각 포트(11) 하단이 안치되는 안치돌기(112)가 바닥면(110)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일측에는 급수호스(10)가 배치되는 급수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110)의 타측에는 배수부(130)가 형성된 형성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0)은 급수부(120)에서 배수부(130)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사방으로는 포트 받침 내부에 물이 채워질 때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벽(140)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130)는 바닥면(110)의 낮은 쪽에 형성되는 저류조(132)와, 상기 저류조(132)에 연통된 배수지연용 미로(134) 및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말단의 배수구(1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2. 모종이 심겨진 연결포트(10)의 각 개별 포트(11) 하단이 안치되는 안치돌기(112)가 바닥면(110)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좌·우 측에는 급수호스가 배치되는 급수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110)의 중간부에는 배수부(130)가 형성된 형성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0)은 좌·우측의 급수부(120)에서 중간의 배수부(130)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사방으로는 포트 받침(100) 내부에 물이 채워질 때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벽(140)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130)는 바닥면(110)의 낮은 쪽에 형성되는 저류조(132)와, 상기 저류조(132)에 연통된 배수지연용 미로(134) 및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말단의 배수구(1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6)는 저류조(132)에서 배수구(136) 측으로 갈수록 단차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배수지연용 미로(134) 위에는 덮개(138)가 분리가능하게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덮개(138)의 둘레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시일(139)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덮개(138)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덮개(138)는 저류조(132) 위에도 씌워지되 저류조(132) 위에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거름망(138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8. 모종이 심겨진 연결포트(10)의 각 포트(11) 하단이 안치되는 안치돌기(112)가 바닥면(110)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일측에는 급수호스(20)가 배치되는 급수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110)의 타측에는 배수부(130)가 형성된 형성된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0)은 급수부(120)에서 배수부(130)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110)의 사방으로는 포트 받침 내부에 물이 채워질 때 소정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측벽(140)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130)는 바닥면(110)의 낮은 쪽에 형성되는 저류조(132)와, 상기 저류조(132)에 연통된 배수구(136)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134)에는 배수밸브(V2)가 구비된 배수호스(30)가 연결되어 상기 배수밸브(V2)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 포트 받침 내부의 수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KR1020130054141A 2012-12-12 2013-05-14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KR20140081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251A KR20140082554A (ko) 2012-12-12 2013-09-10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KR1020130149657A KR101567546B1 (ko) 2012-12-12 2013-12-04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4349 2012-12-12
KR1020120144349 2012-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651A true KR20140081651A (ko) 2014-07-01

Family

ID=517329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141A KR20140081651A (ko) 2012-12-12 2013-05-14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KR1020130108251A KR20140082554A (ko) 2012-12-12 2013-09-10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251A KR20140082554A (ko) 2012-12-12 2013-09-10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0816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2255A (zh) * 2018-06-06 2018-09-14 贵州光合新植科技有限公司 一种活体蔬菜一体化生产消费方法及种植活动托盘装配
KR20190051400A (ko) * 2017-11-06 2019-05-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유니플랜텍 통기성이 극대화된 저면관수 재배통
CN111684963A (zh) * 2018-04-08 2020-09-22 台州来智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育苗棚内的环形育苗床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5297A1 (fr) * 2015-04-21 2016-10-28 Nicolas Giordano Meuble de culture hors-sol
CN111543302A (zh) * 2017-05-05 2020-08-18 方松科 一种农业大棚的浮漂养殖装置
CN107466830A (zh) * 2017-09-01 2017-12-15 无锡微云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无土栽培装置
CN209390764U (zh) 2018-11-06 2019-09-17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底部给水灌溉床及栽培装置
CN116636454B (zh) * 2023-07-26 2023-09-29 吉林大学 一种防止分泌物交叉感染的人参水培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400A (ko) * 2017-11-06 2019-05-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유니플랜텍 통기성이 극대화된 저면관수 재배통
CN111684963A (zh) * 2018-04-08 2020-09-22 台州来智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育苗棚内的环形育苗床架
CN108522255A (zh) * 2018-06-06 2018-09-14 贵州光合新植科技有限公司 一种活体蔬菜一体化生产消费方法及种植活动托盘装配
CN108522255B (zh) * 2018-06-06 2023-09-26 贵州光合新植科技有限公司 一种活体蔬菜一体化生产消费方法及种植活动托盘装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554A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1651A (ko)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US20210251163A1 (en) Hybrid aeroponic/hydroponic growing system
KR20180046623A (ko) 개량된 급수구조를 갖는 다단식 식물 재배장치
KR102026448B1 (ko) 수경재배기
KR101362020B1 (ko) 수경 재배 장치
JP2008099663A (ja) 潅水樋と育苗装置
KR101567546B1 (ko)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KR100979343B1 (ko) 식물재배장치
KR20200113708A (ko) 작물 재배용 포트
JP4928992B2 (ja) 底面潅水用給水パネル及び同パネル用の栽培ポッ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栽培システム
KR101845060B1 (ko) 딸기 육묘 설비
KR101195301B1 (ko) 수경재배기 및 그 수경재배기를 이용한 수경재배시스템
KR101845228B1 (ko) 버티컬식 수경재배장치
KR101519965B1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KR20090020887A (ko) 다단식 식물재배기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KR20150107908A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KR102034639B1 (ko) 식물재배용 단위 유니트를 이용한 조적식 식물재배장치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KR200460987Y1 (ko) 계영배 원리를 이용한 새싹 재배기
KR20210009746A (ko)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CN213095109U (zh) 一种中药种植用育苗装置
CN210328852U (zh) 一种兼具育苗功能的水培蔬菜种植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