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46Y1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446Y1
KR200484446Y1 KR2020160002399U KR20160002399U KR200484446Y1 KR 200484446 Y1 KR200484446 Y1 KR 200484446Y1 KR 2020160002399 U KR2020160002399 U KR 2020160002399U KR 20160002399 U KR20160002399 U KR 20160002399U KR 200484446 Y1 KR200484446 Y1 KR 200484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w
container
evaporation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희
최재훈
Original Assignee
김다희
최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희, 최재훈 filed Critical 김다희
Priority to KR2020160002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의 하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실내에 수분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가습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구성되어 화분(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며 내부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3)가 형성된 저수용기(10)와, 물을 흡수하는 부직포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13)에 대응되는 증발유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를 덮도록 상기 저수용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유도시트(20)와, 상기 저수용기(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화분(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30)로 구성되어, 상기 화분(1)에 물을 공급하면, 물이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후, 상기 증발유도시트(20)에 흡수되어 상기 증발유도부(21)에서 증발된다.
따라서, 단순히 물을 저장하는 종래의 화분 받침대와 달리, 증발유도시트(20)의 삼투압효과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물이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증발되어 공기중의 습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분 받침대{flower pot supporter}
본 고안은 화분의 하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실내에 수분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가습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식물을 기를 때 사용하는 화분은 하측면에 배수구가 형성된 용기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된 토양 등이 충진된다.
따라서, 상기 토양에 식물을 심은 상태에서 상기 토양에 적정한 영양분과 물을 공급하여, 식물이 자라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양에 공급된 물은 적정한 양의 물만이 토양에 남고, 여분의 물은 상기 배수구를 통해 하측으로 배수된다.
그런데, 화분의 경우,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주변이 젖을 수 있음으로, 화분의 하측에 별도의 화분 받침대를 구비하여, 화분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화분의 배수구로 배출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분 받침대의 경우, 기능이 매우 단순함으로,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 20-0461692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습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형태의 화분 받침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분 받침대는 단순히 상기 배수구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여 증발되도록 하는 접시와 같은 기능만을 함으로, 물이 효과적으로 증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분의 하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실내에 수분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가습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화분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분(1)의 하측에 구비되어 화분(1)을 지지함과 동시에 화분(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구성되어 화분(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며 내부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3)가 형성된 저수용기(10)와, 물을 흡수하는 부직포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13)에 대응되는 증발유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를 덮도록 상기 저수용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유도시트(20)와, 상기 저수용기(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화분(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증발유도시트(20)의 증발유도부(21)에서 증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30)의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배수관(32)이 구비되고, 상기 저수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관(32)의 하측 둘레부를 감싸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단관형태로 구성되고 상단에는 내부 하측으로 라운드진 유도부(14a)가 형성된 분리관체(14)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32)의 외경은 상기 유도부(14a)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14b)의 지름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배수관(32)으로 배수된 물은 상기 유도부(14a)와 배수관(32) 사이의 틈(G)을 통해 상기 분리관체(14)의 외측으로 배출되며, 물에 포함된 이물질(4)은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 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용기(10)는 원형의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12)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0)는 지름이 상기 저수용기(10)에 비해 크고 상면은 상기 배수관(32)쪽으로 하향경사진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저수용기(10)의 측벽(12) 상단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33)가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주변을 흐르는 공기가 상기 가이드부재(33)와 지지부재(30)의 하측면을 따라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로 안내되어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리관체(14)는 상기 저수용기(10)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저수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분리관체(14)가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결합부(15)가 상측으로 둘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리관체(14)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4)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용기(10)의 둘레부에 빛이 드는 곳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태양광이 조사되면 발전을 하는 솔라셀(31)과, 상기 솔라셀(31)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32)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에 상기 솔라셀(31)과 반대되도록 구비되어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33)와,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면에 상기 습도센서(33)와 반대되도록 구비된 배기팬(34)과, 상기 습도센서(33)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배기팬(34)을 구동시키도록 된 제어수단(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구성되어 화분(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며 내부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3)가 형성된 저수용기(10)와, 물을 흡수하는 부직포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13)에 대응되는 증발유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를 덮도록 상기 저수용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유도시트(20)와, 상기 저수용기(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화분(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30)로 구성되어, 상기 화분(1)에 물을 공급하면, 물이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후, 상기 증발유도시트(20)에 흡수되어 상기 증발유도부(21)에서 증발된다.
따라서, 단순히 물을 저장하는 종래의 화분 받침대와 달리, 증발유도시트(20)의 삼투압효과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물이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증발되어 공기중의 습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도시한 분해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저수용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지지부재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받침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받침대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도시한 것으로, 화분(1)의 하측에 구비되어 화분(1)을 지지함과 동시에 화분(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화분(1)은 하측면에 배수구(2)가 형성된 용기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된 토양(3) 등이 충진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화분 받침대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구성되어 화분(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용기(10)와, 물을 흡수하는 부직포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저수용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유도시트(20)와, 상기 저수용기(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화분(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3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저수용기(10)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저수용기(10)는 원형의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12)을 갖는 원형의 접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수용기(10)의 내부 바닥면, 즉, 상기 하판(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용기(10)의 내부 바닥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3)는 저수용기(10)에 저장되는 물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용기(10)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배수관(32)의 하측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분리관체(14)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관체(1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단관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단부가 상기 저수용기(10)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단에는 내부 하측으로 라운드진 유도부(14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도부(14a)는 상기 분리관체(14)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링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부(14a)의 중앙부에 수술하는 배수관(32)이 삽입과는 통공(14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발유도시트(20)는 흡수성이 좋은 부직포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돌출부(13)에 대응되는 증발유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유도부(21)가 상기 돌출부(13)를 덮도록 상기 저수용기(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증발유도시트(20)의 중앙부에는 상기 분리관체(14)에 대응되는 원형의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유도증발시트가 상기 분리관체(14)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유도부(21)는 상측으로 충분히 길게 연장되어, 증발유도부(21)의 상측둘레부가 상기 저수용기(20)에 저장된 물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저수용기(10)에 비해 지름이 큰 원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리관체(14)의 유도부(14a)에 형성된 통공(14b)에 삽입되는 배수관(32)이 구비되며, 하측면 둘레부에는 하측면이 상기 저수용기(10)의 측벽(12)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33)가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0)는 지름이 상기 저수용기(10)에 비해 크고 상면은 상기 배수관(32)쪽으로 하향경사진 원판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30)는 중앙부가 하향된 기울기가 낮은 콘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32)은 상기 지지부재(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수구(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상기 유도부(14a)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14b)을 통해 상기 분리관체(14)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32)은 외경이 상기 유도부(14a)에 형성된 통공(14b)의 내경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배수관(32)의 외경과 유도부(14a)의 사이에 물이 통과하는 틈(G)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32)은 하단이 상기 저수용기(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3)는 두께가 얇은 평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다수개로 구성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면에 일정각도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저수용기(10) 측벽(12)의 상단이 삽입되는 결합홈(3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33)의 결합홈(33a)이 상기 측벽(12)의 상단에 삽입되도록 지지부재(30)를 설치한 후,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에 화분(1)을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1)에 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은 도 5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1)에 형성된 배수구(2)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으로 배출된 후, 상기 배수관(32)을 통해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로 공급된 물의 수위가 상승되면 물은 상기 분리관체(14)의 유도부(14a)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14b)과 배수관(32) 사이의 틈(G)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2)에서 배출된 물은 배수구(2)의 하단에서 둘레부외측으로 배출된 후 상측으로 상승되며, 상승된 물은 상기 분리관체(14)의 유도부(14a)의 하측면을 따라 다시 하측으로 방향전환되면서 소용돌이를 일으킨 후 상기 틈(G)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4)은 상기 분리관체(14)의 외측로 배출되지 못하여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 남게 되고, 이물질(4)이 제거된 물만이 외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다.
즉, 상기 물은 화분(1)에서 배출된 것임으로, 화분(1)에 충진된 토양(3)의 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이물질(4)이 물과 함께 흘러나오게 된다.
이때, 물과 함께 흘러나온 이물질(4)은 비교적 비중이 커서, 물이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킨 후 상기 틈(G)을 통해 배출될 때, 물에 포함된 이물질(4)은 상기 틈(G)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분리관체(14)의 내부에 남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4)이 제거된 깨끗한 물만 상기 분리관체(14)의 외측으로 배출됨으로, 이물질(4)에 의해 상기 증발유도시트(20)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 남은 이물질(4)은 별도로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분리관체(14)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징발유도시트에 흡수된 후 삼투압효과에 의해 상기 증발유도부(21) 상측, 즉,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의 상부로 상승된 후 증발된다.
그리고, 바람이 불 경우, 화분 받침대의 주변을 흐르는 건조한 외부공기가 상기 가이드부재(33)에 의해 상기 저수용기(10)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안내되어,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증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분 받침대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구성되어 화분(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며 내부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3)가 형성된 저수용기(10)와, 물을 흡수하는 부직포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13)에 대응되는 증발유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를 덮도록 상기 저수용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유도시트(20)와, 상기 저수용기(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화분(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30)로 구성되어, 상기 화분(1)에 물을 공급하면, 물이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후, 상기 증발유도시트(20)에 흡수되어 상기 증발유도부(21)에서 증발된다.
따라서, 단순히 물을 저장하는 종래의 화분 받침대와 달리, 증발유도시트(20)의 삼투압효과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물이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증발되어 공기중의 습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0)의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배수관(32)이 구비되고, 상기 저수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관(32)의 하측 둘레부를 감싸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단관형태로 구성되고 상단에는 내부 하측으로 라운드진 유도부(14a)가 형성된 분리관체(14)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32)의 외경은 상기 유도부(14a)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14b)의 지름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배수관(32)으로 배수된 물이 상기 유도부(14a)와 배수관(32) 사이의 틈(G)을 통해 상기 분리관체(14)의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4)은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 남게 된다.
따라서, 물과 함께 배출된 이물질(4)이 상기 증발유도시트(20)에 부착되어 증발유도시트(20)가 쉽게 더러워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수용기(10)는 원형의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12)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0)는 지름이 상기 저수용기(10)에 비해 크고 상면은 상기 배수관(32)쪽으로 하향경사진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저수용기(10)의 측벽(12) 상단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33)가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주변을 흐르는 공기가 상기 가이드부재(33)와 지지부재(30)의 하측면을 따라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로 안내되어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의 증발을 촉진하게 됨으로,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이 더욱 빨리 증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분리관체(14)는 상기 저수용기(10)에 일체로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분리관체(1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용기(1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수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분리관체(14)가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결합부(15)가 상측으로 둘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분 받침대는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일 경우, 상기 분리관체(14)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4)을 세척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저수용기(10)의 둘레부에 빛이 드는 곳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태양광이 조사되면 발전을 하는 솔라셀(31)과, 상기 솔라셀(31)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32)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에 상기 솔라셀(31)과 반대되도록 구비되어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33)와,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면에 상기 습도센서(33)와 반대되도록 구비된 배기팬(34)과, 상기 습도센서(33)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배기팬(34)을 구동시키도록 된 제어수단(35)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해가 뜨면, 상기 솔라셀(31)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발전된 전기는 상기충전지(32)에 충전된다.
그리고, 화분 받침대 주위가 건조해지면, 상기 제어유닛(35)은 상기 습도센서(3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기팬(34)을 구동시킴으로서, 주변의 공기가 강제로 상기 저수용기(10)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이 더욱 빠르게 증발되어 주변의 습도를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분 받침대는 주변의 공기가 건조해지면 이를 감지하여 가제로 물이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솔라셀(31)와 습도센서(33)는 상호 반대쪽에 구비되어, 솔라셀(31)에 햇빛이 조사될 때, 상기 습도센서(33)는 상기 화분(1)에 가려져 햇빛이 비추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팬(33)은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면에 상기 습도센서(33)와 반대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습도센서(33)에 햇빛이 비추거나, 상기 배기팬(33)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습도센서(33)의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의 습도를 더욱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저수용기 20. 증발유도시트
30. 지지부재

Claims (5)

  1. 화분(1)의 하측에 구비되어 화분(1)을 지지함과 동시에 화분(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화분 받침대의 상면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화분(1)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며 내부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3)가 형성된 저수용기(10)와,
    물을 흡수하는 부직포재질의 시트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13)에 대응되는 증발유도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를 덮도록 상기 저수용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유도시트(20)와,
    상기 저수용기(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화분(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증발유도시트(20)의 증발유도부(21)에서 증발되는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의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배수관(32)이 구비되고,
    상기 저수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관(32)의 하측 둘레부를 감싸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단관형태로 구성되고 상단에는 내부 하측으로 라운드진 유도부(14a)가 형성된 분리관체(14)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32)의 외경은 상기 유도부(14a)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14b)의 지름에 비해 작게 구성되어, 상기 배수관(32)으로 배수된 물은 상기 유도부(14a)와 배수관(32) 사이의 틈(G)을 통해 상기 분리관체(14)의 외측으로 배출되며, 물에 포함된 이물질(4)은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 남게 되며,
    상기 저수용기(10)는 원형의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둘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12)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0)는 지름이 상기 저수용기(10)에 비해 크고 상면은 상기 배수관(32)쪽으로 하향경사진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면에는 상기 저수용기(10)의 측벽(12) 상단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33)가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주변을 흐르는 공기가 상기 가이드부재(33)와 지지부재(30)의 하측면을 따라 상기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로 안내되어 저수용기(10)에 저장된 물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분리관체(14)는 상기 저수용기(10)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저수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분리관체(14)가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결합부(15)가 상측으로 둘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리관체(14)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관체(14)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4)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기(10)의 둘레부에 빛이 드는 곳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태양광이 조사되면 발전을 하는 솔라셀(31)과,
    상기 솔라셀(31)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32)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면에 상기 솔라셀(31)과 반대되도록 구비되어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33)와,
    상기 지지부재(30)의 하측면에 상기 습도센서(33)와 반대되도록 구비된 배기팬(34)과,
    상기 습도센서(33)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배기팬(34)을 구동시키도록 된 제어수단(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KR2020160002399U 2016-05-03 2016-05-03 화분 받침대 KR200484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99U KR200484446Y1 (ko) 2016-05-03 2016-05-03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99U KR200484446Y1 (ko) 2016-05-03 2016-05-03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446Y1 true KR200484446Y1 (ko) 2017-09-06

Family

ID=6057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99U KR200484446Y1 (ko) 2016-05-03 2016-05-03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539B1 (ko) * 2023-01-26 2023-07-03 엄기은 가습 효과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543U (ko) * 1990-05-14 1992-01-28
KR101294468B1 (ko) * 2011-12-16 2013-08-07 최병희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식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543U (ko) * 1990-05-14 1992-01-28
KR101294468B1 (ko) * 2011-12-16 2013-08-07 최병희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식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539B1 (ko) * 2023-01-26 2023-07-03 엄기은 가습 효과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987B2 (en) Dehumidifier container
RU2010110595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CN103843606B (zh) 一种自动喷雾花盆
US20150033625A1 (en) Sub-Irrigated Planter
KR20130106913A (ko) 화분용 급수장치
CN107114136B (zh) 园林盆栽容器
KR200484446Y1 (ko) 화분 받침대
KR20130004813A (ko) 저수조를 구비한 육묘포트
US9610374B2 (en) Combination air freshener, odor absorber and moisture absorber
JPH0240213A (ja) 室内脱湿器
CN206423214U (zh) 自动供水透气式花盆
CN109220369A (zh) 自动输水转向家用花盆
CN203243736U (zh) 可清淤泥的防涝保湿花盆
CN103461021A (zh) 喷淋花盆
CN210746744U (zh) 一种自动灌溉立体化种植设备
KR10166962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1643649B1 (ko) 벽면 녹화용 화분
CN202190573U (zh) 一种多功能花盆
KR20200001356U (ko) 빗물 집수 장치
KR102291136B1 (ko)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CN115335130A (zh) 水蒸馏器
KR102653506B1 (ko) 자동 관수 화분
KR200434750Y1 (ko) 화분
KR102550539B1 (ko) 가습 효과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EP3582606A1 (en) Vertical greening module, vertical green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rtical green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