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36B1 -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 Google Patents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136B1
KR102291136B1 KR1020200130521A KR20200130521A KR102291136B1 KR 102291136 B1 KR102291136 B1 KR 102291136B1 KR 1020200130521 A KR1020200130521 A KR 1020200130521A KR 20200130521 A KR20200130521 A KR 20200130521A KR 102291136 B1 KR102291136 B1 KR 10229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erpot
water storage
storage laye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상준
이형각
이주빈
Original Assignee
(주)꿈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꿈제작소 filed Critical (주)꿈제작소
Priority to KR1020200130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자동으로 포집하고 수분 흡수가 가능한 부재를 이용하여 식물에 수분 공급이 가능한 구성이 이루어지고 토양 내에 공기 주입이 가능하여 식물 성장을 위한 최적의 환경으로 이루어며, 대기와 토양의 온도차로 인한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한 수분을 저수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닥판과 내측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로 토양을 넣고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에 있어서, 화분(100)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물을 저수하는 저수층(10); 상기 저수층(1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도록 상기 저수층(10) 상에서 화분(100)의 내측벽을 타고 연장되는 수분전달층(20);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반원형 단면의 개구부가 하부를 향하고 상기 수분전달층(20) 상에서 화분(100)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의 개방된 측면은 화분(100) 측벽에 대면하고 상기 반원형 단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공기공급부(30); 상기 저수층(1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양 위로 상부가 노출되는 물공급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FLOWERPOT WITH AUTOMATIC WATER STORAGE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 등을 자동으로 포집하고 수분 흡수가 가능한 부재를 이용하여 식물에 수분 공급이 가능한 구성이 이루어지고 토양 내에 공기 주입이 가능하여 식물 성장을 위한 최적의 환경으로 이루어지며, 대기와 토양의 온도차로 인한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한 수분을 저수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의 사용 증가와 공업 활동으로 인한 온실 가스의 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지구온난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후와 더불어,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문제들이 대두됨에 따라 공기정화를 위해 도심지에 활엽수 등의 식물을 식재하는 노력이 필요하지만,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기존의 도심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인터로킹 등의 바닥에 일정 크기의 화단을 설치하여 식물을 식재하여 재배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근래에는 폭염으로 인하여 물 공급 부족으로 나무가 시들거나 고사하는 등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식물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와, 이러한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이 필요하게 되어, 외부 전력이나 태양광 패널 설치 등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9808호에는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착탈식 화분"이 개시되었고, 종래기술은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태양광패널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자동급수 작동을 위해서 태양광 집열판, 축전지, 모터, 타이머 등 물 공급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해야 하고, 저장된 빗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 없어 외장을 마감한 화분의 경우에는 저수된 물의 관리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친환경적으로 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고 저수된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실외 공간에 배치되어도 식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화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불어, 여름철 무더운 시기에는 수분 증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가적인 물공급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9808호(2011.06.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 등을 자동으로 저수하도록 구성하여 이를 이용하여 식물에 물 공급이 가능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저수된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 증발이 빠르게 이루어져 물 공급이 더욱 필요한 여름철 시기에 고온다습한 환경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을 저수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과 내측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로 토양을 넣고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에 있어서, 화분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물을 저수하는 저수층; 상기 저수층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도록 상기 저수층 상에서 화분의 내측벽을 타고 연장되는 수분전달층;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반원형 단면의 개구부가 하부를 향하고 상기 수분전달층 상에서 화분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의 개방된 측면은 화분 측벽에 대면하고 상기 반원형 단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공기공급부; 상기 저수층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양 위로 상부가 노출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저수층은 화분 바닥에 일정 높이를 갖고 상부가 폐쇄된 저수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수통에는, 상기 저수통에 저수된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분전달층에서 연장형성된 수분전달부재가 상기 저수통의 상부로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층은 저수부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저수부재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숯과,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숯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분전달층은 수분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와, 상기 화분의 내측벽에 배치되는 부직포의 외면에 결합되는 방수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부로 넓어지는 형태로 상기 토양 위에 노출되는 포집부와, 상단은 상기 포집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화분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하단에는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저수층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는 물유입부와, 상기 포집부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물은 유입되되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는 거름망이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는, 상기 마개의 상단에는 상기 포집부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포집부의 상단측으로 연장되는 이물질수거부와, 파지 가능하여 상기 마개를 포집부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마개의 상단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마개에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화분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연장되며 하단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수위표시를 위한 게이지가 형성되며, 하단으로 유입된 물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단이 선택적으로 폐쇄되는 수위측정부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유입부는, 외기와 상기 화분의 토양 간의 온도차에 의해 내주연에 물방울을 맺히게 하여 상기 저수층으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에 의하면, 물공급부를 이용하여 빗물 등의 물을 자동으로 포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저수된 물을 활용하여 화분 내의 식물에 물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유입부가 결로 유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빗물뿐만 아니라 대기와 토양의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한 수분을 포집하여 물을 자동으로 저수하여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단면적이 큰 숯과 작은 숯을 혼합하여 저수층을 충진함으로써, 수분 흡수 기능을 가지면서 토양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빗물 등을 포집하는 포집부에 거름망이 형성된 마개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이 걸러진 후 저수층에 공급되어 저수층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물공급부에 게이지가 형성된 수위측정부가 삽입되어 저수된 물의 수위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마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잡이의 회전에 따른 수위측정부의 개폐를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을 사용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 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마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손잡이의 회전에 따른 수위측정부의 상단 개폐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은 빗물 등을 포집하여 물을 저수하여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대기와 토양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 현상 유도 가능한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을 이용하여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을 저수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닥판과 내측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로 토양을 넣고 상록수 나무 등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100)으로 이루어지고, 기본적으로 저수층(10)과, 수분전달층(20)과, 공기공급부(30)와, 물공급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저수층(10)은 화분(100)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 공간에 형성되고 물을 저수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저수층(10)은 저수부재(11)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저수부재(11)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숯(11a)과,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숯(11b)을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큰 숯(11a)과 작은 숯(11b)은 저수된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큰 숯(11a)은 화분(100) 내에 식재되는 식물과 토양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면적이 크게 이루어진 참나무 등의 숯으로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은 숯(11b)은 상기 복수의 큰 숯(11a)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충진할 수 있도록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지되 수분을 흡수하여 후술되는 구성인 수분전달층(20)에 수분을 전달하여 식물 및 토양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면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왕겨 숯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분전달층(20)은, 상기 저수층(1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도록 상기 저수부재(11)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저수층(10) 상에서 화분(100)의 내측벽을 타고 연장되어 화분 내 토양 전체에 수분 공급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전달층(20)은 상기 저수층(1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 내의 식물 및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수분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21)와, 상기 부직포(21)가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상기 화분(10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분(100)의 내측벽에 배치되는 부직포(21)의 외면에 결합되는 방수시트(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분전달층(20)은, 상기 화분(100) 내의 벽체에서 방수시트(22)와 부직포(21)가 결합되어 화분(100) 내측벽에는 방수시트(22)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므로 우천 시 빗물이 화분(100) 외부로 손실되지 않고 내부의 저수층(10)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전달층(20)은, 상기 저수층(10)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100) 내의 토양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100)의 내측벽을 둘러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저수층(10)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화분(100) 바닥판의 상측에 적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분(100) 내측벽을 타고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저수부재(11)의 상기 큰 숯(11a) 및 작은 숯(11b)은 저수된 물을 흡수할 수 있고, 흡수한 물을 상기 수분전달층(20)에 전달하여 토양 및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30)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반원형 단면의 개구부가 하부를 향하고 상기 수분전달층(20) 상에서 화분(100)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의 개방된 측면은 화분(100) 측벽에 대면하고 상기 반원형 단면에는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공기공급부(30)는 유공관인 것이 바람직하고, 토양 및 식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식물의 고사를 예방하고 토양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식물 성장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물공급부(40)는, 상기 저수층(1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층(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양 위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물공급부(40)는, 깔대기 형상과 같이 상부로 넓어지는 형태로 상기 토양 위에 노출되어 상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포집부(41)와, 상단은 상기 포집부(41)에 연결되고 하단은 화분(100)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하단에는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저수층(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42a)이 형성되는 물유입부(42)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물공급부(40)에는, 상기 포집부(41)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물은 유입되되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는 거름망(43c)이 형성되는 마개(43)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43)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지지부(43a)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43a) 사이에 거름망(4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43)는, 상기 마개(43)의 상단에서 상기 포집부(41)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포집부(41)의 상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개(43)의 개폐 시 상기 포집부(41)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수거부(44)와, 상기 마개(43)를 포집부(41)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마개(43)의 상단에 마련되는 손잡이(4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수거부(44)는 빗물 저수를 위한 포집부(41)에 외부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이물질수거부(44)는 상기 포집부(41)의 상단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5)는 파지 가능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개(43)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개(43)의 하단에는, 상기 물유입부(4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물공급부(4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측정부(46)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수위측정부(46)는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투명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측정부(46)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43)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화분(100)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연장되며 하단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수위표시를 위한 게이지(47)가 형성되며, 하단으로 유입된 물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손잡이(45)의 회전에 의해 상단이 선택적으로 폐쇄된다.
이를 위한 일례로서, 손잡이(45)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43)에는 상기 손잡이(45)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결합공에 이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43)에는 측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공(43b)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4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공(43b)이 선택적으로 개폐됨에 따라 상기 수위측정부(46)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위측정부(46)의 상단 개폐 동작에 대하여 도면과 더불어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의 (a)는 수위측정부(46)의 상단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수위측정부(46)의 상단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5)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45)를 상기 마개(43)의 결합공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마개(43)에 형성된 제1공(43b)을 폐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수위측정부(46)는 상단이 폐쇄됨에 따라 하단으로 유입된 물의 유출이 방지되고 스포이드 방식으로 상기 물유입부(42)에 저수된 물을 유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측정부(46)의 상단이 폐쇄되어 상기 수위측정부(46) 내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마개(43)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게이지(47)를 통해 상기 수위측정부(46) 내부로 유입된 물의 양을 확인하여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측정부(46)는, 화분(100)이 대형 화분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에 상기 수위측정부(46)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위측정부(46)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에 불편함이 없도록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되어 수위 측정 시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위측정을 위한 동작을 편리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수위측정부(46)는 외부의 물을 유입하여 저수층(10)으로 공급하는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물유입부(42)는, 결로현상을 이용하여 물을 포집할 수 있도록 외기와 상기 화분(100)의 토양 간의 온도차에 의해 내주연에 물방울을 맺히게 하여 상기 저수층(10)으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포집부(41)도 상기 물유입부(42)와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물유입부(42)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유리 등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물유입부(42)의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을 이용하여 온도차에 의해 물방울을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한 물방울은 저수층(10)으로 유입되어 화분(100) 내의 토양 및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수분 증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식물에 물 공급이 더욱 필요한 시기인데,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환경에 의한 흙 표면과 대기 중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한 수분을 저수층에 저수할 수 있고, 저수된 수분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어 식물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을 사용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은 상기 물공급부(40)으로 포집된 물이 배수공(42a)를 통해 저수층(10)으로 유입되어 저수되고, 이때 적층된 저수부재(11)가 물을 흡수하여 화분 내의 토양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전력을 이용하지 않고 빗물, 결로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한 물방울 등의 물을 자동으로 저수하고, 저수층에 접촉하는 수분흡수 가능한 부재를 이용하여 화분 내의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식물 재배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고, 저수된 물의 수위 확인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저수부재의 적층구조에 따라 토양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구성을 포함하면서 저수층(10)이 변형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대응되는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 1의 부호와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은, 저수층(10)이 화분(100) 바닥에 일정 높이를 갖고 상부가 폐쇄된 저수통(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분전달층(20)은, 상기 저수층(10)의 상측에 적층되어 화분(100)의 내측벽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저수층(10) 상에 적층된 상기 수분전달층(20)에는 상기 저수통(12)의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통(12)을 향해 하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분전달부재(23)가 연장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분전달부재(23)는 상기 저수통(12)에 저수된 물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통(12)의 바닥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분전달부재(23)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12)에는 상기 수분전달부재(23)가 상기 저수통(12)에 저수된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통(12)의 상부로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2a)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분전달부재(23)는 저수통(12)의 관통공(12a)을 통과하여 상기 저수통(12)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여 수분전달층(20)에 수분을 전달하여 화분(100) 내의 토양에 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전달부재(23) 및 상기 관통공(12a)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전달부재(23)는 1 내지 3개가 형성되어 식물의 생장을 위한 수분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저수층 11 : 저수부재
11a : 큰 숯 11b : 작은 숯
12 : 저수통 12a : 관통공
20 : 수분전달층 21 : 부직포
22 : 방수시트 23 : 수분전달부재
30 : 공기공급부 31 : 통공
40 : 물공급부 41 : 포집부
42 : 물유입부 42a : 배수공
43 : 마개 43a : 지지부
43b : 제1공 43c : 거름망
44 : 이물질수거부 45 : 손잡이
46 : 수위측정부 47 : 게이지
100 : 화분

Claims (8)

  1. 바닥판과 내측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로 토양을 넣고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100)에 있어서,
    화분(100)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물을 저수하는 저수층(10);
    상기 저수층(10)에 저수된 물을 흡수하도록 상기 저수층(10) 상에서 화분(100)의 내측벽을 타고 연장되는 수분전달층(20);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반원형 단면의 개구부가 하부를 향하고 상기 수분전달층(20) 상에서 화분(100)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일단 및 타단의 개방된 측면은 화분(100) 측벽에 대면하고 상기 반원형 단면에는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되는 공기공급부(30);
    상기 저수층(10)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양 위로 상부가 노출되는 물공급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40)는,
    상부로 넓어지는 형태로 상기 토양 위에 노출되는 포집부(41)와,
    상단은 상기 포집부(41)에 연결되고 하단은 화분(100)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하단에는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저수층(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공(42a)이 형성되는 물유입부(42)와,
    상기 포집부(41)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물은 유입되되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는 거름망(43c)이 형성되는 마개(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층(10)은 화분(100) 바닥에 일정 높이를 갖고 상부가 폐쇄된 저수통(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수통(12)에는, 상기 저수통(12)에 저수된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분전달층(20)에서 연장형성된 수분전달부재(23)가 상기 저수통(12)의 상부로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층(10)은 저수부재(11)가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저수부재(11)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숯(11a)과,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숯(11b)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전달층(20)은 수분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21)와, 상기 화분(100)의 내측벽에 배치되는 부직포(21)의 외면에 결합되는 방수시트(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43)는,
    상기 포집부(41)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포집부(41)의 상단측으로 연장되는 이물질수거부(44)와, 파지 가능하여 상기 마개(43)를 포집부(41)에서 개폐하도록 상기 마개(43)의 상단에 마련되는 손잡이(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43)에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43)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화분(100)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연장되며 하단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수위표시를 위한 게이지(47)가 형성되며, 하단으로 유입된 물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손잡이(45)의 회전에 의해 상단이 선택적으로 폐쇄되는 수위측정부(46)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입부(42)는, 외기와 상기 화분(100)의 토양 간의 온도차에 의해 내주연에 물방울을 맺히게 하여 상기 저수층(10)으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KR1020200130521A 2020-10-08 2020-10-08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KR10229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521A KR102291136B1 (ko) 2020-10-08 2020-10-08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521A KR102291136B1 (ko) 2020-10-08 2020-10-08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136B1 true KR102291136B1 (ko) 2021-08-18

Family

ID=7746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521A KR102291136B1 (ko) 2020-10-08 2020-10-08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1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275A (ja) * 2001-03-16 2002-09-24 Tadashi Miyamoto 植物栽培装置
KR20030000777A (ko) * 2001-06-27 2003-01-06 강문식 식물 재배용 화분
KR101039808B1 (ko) 2010-10-07 2011-06-09 주식회사 송산기공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착탈식 화분
JP2020058386A (ja) * 2015-12-07 2020-04-16 三菱ケミカルアグリドリーム株式会社 養液栽培用部材および養液栽培方法
KR102138933B1 (ko) * 2020-01-28 2020-07-28 (주)꿈제작소 친환경 물공급 기능을 구비한 화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275A (ja) * 2001-03-16 2002-09-24 Tadashi Miyamoto 植物栽培装置
KR20030000777A (ko) * 2001-06-27 2003-01-06 강문식 식물 재배용 화분
KR101039808B1 (ko) 2010-10-07 2011-06-09 주식회사 송산기공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착탈식 화분
JP2020058386A (ja) * 2015-12-07 2020-04-16 三菱ケミカルアグリドリーム株式会社 養液栽培用部材および養液栽培方法
KR102138933B1 (ko) * 2020-01-28 2020-07-28 (주)꿈제작소 친환경 물공급 기능을 구비한 화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0957A1 (en) Device for unpowered irrigation and fertilization, and unpowered pot cultivation system using same
TWI379628B (ko)
CN107114136B (zh) 园林盆栽容器
KR102291136B1 (ko) 자동 저수기능을 구비한 화분
US10292344B2 (en) Hydro planter
CN201146729Y (zh) 多元立体无土种植装置
KR100852893B1 (ko) 바이오 누드화분
US20240002259A1 (en) Water distiller
CN205567345U (zh) 自动浇花装置
JP3163460U (ja) 植木鉢
JP3043873U (ja) 空気清浄機
KR200484446Y1 (ko) 화분 받침대
KR20100055039A (ko) 녹화 장치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JP4703665B2 (ja) 緑化装置
KR200434750Y1 (ko) 화분
CN202232286U (zh) 一种花盆
CN220108745U (zh) 花盆
KR102550539B1 (ko) 가습 효과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CN215218783U (zh) 绿色屋顶雨水净化后水质监测系统
CN212358580U (zh) 一种生态绿色房屋
KR200364349Y1 (ko) 분수형 급수화분
JP4733946B2 (ja) プランター
KR102142276B1 (ko) 옥상용 식재 장치
JPH02166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