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672B1 -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672B1
KR101255672B1 KR1020110030047A KR20110030047A KR101255672B1 KR 101255672 B1 KR101255672 B1 KR 101255672B1 KR 1020110030047 A KR1020110030047 A KR 1020110030047A KR 20110030047 A KR20110030047 A KR 20110030047A KR 101255672 B1 KR101255672 B1 KR 10125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support surface
drain
plant pot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527A (ko
Inventor
박경진
Original Assignee
박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진 filed Critical 박경진
Priority to KR102011003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67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에 연장 형성되며, 일 단부 에서 타 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깊게 파여지도록 형성되는, 트렌치; 및 상기 트렌치의 타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를 관통 개구되어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PLANT POT PROP FOR ACCELERATING DRAINAGE}
본 발명은 화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의 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인테리어 소품의 하나로 자리 잡으면서 미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식물의 정화 기능 등에 착안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LED 등으로 표시해주는 등 화분은 기능적 관점에서도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의 미적, 기능적 발달에도 불구하고,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생장을 위해 수분 공급이 가장 중요한 관리상의 요인임은 변하지 않고 있다. 수분 공급을 위해서는 화분을 화장실이나 베란다 등 배수가 가능한 곳으로 옮겨 두고서 물을 뿌리거나, 화분에 공급된 물을 화분 받침대에 설치되는 물통에 받아서 버리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화분을 옮겨서 물을 주는 방식은 화분의 무게 때문에 불편할 뿐더러 허리 등에 대한 부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물통을 이용한 방식에 의하면, 화분 받침대에서 물통으로의 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서, 화분 받침대의 물이 있는 부분에 생기는 물때 등을 청소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물통을 화장실 등에 가지고 가서 물을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고 그 물을 가속시켜서 배출하여 물때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에서 떨어지는 물을 모으지 않고 관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는, 화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에 연장 형성되며, 일 단부 에서 타 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깊게 파여지도록 형성되는, 트렌치; 및 상기 트렌치의 타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를 관통 개구되어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지지면은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에서 상기 트렌치를 향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화분에서 낙하되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면 내에는, 일 단부는 상기 수용홈에 연통되고 타 단부는 상기 트렌치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홈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크홈은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타 단부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작아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크홈의 타 단부를 향해 유동하는 물의 힘의 일 성분은 상기 트렌치 내에서의 물의 유동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후크홈의 타 단부의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복수의 다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에서 상기 트렌치로 흐르는 물을 상기 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지지면 및 상기 트렌치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보다 높이 돌출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은, 일 단부가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타 단부가 측방에서 연통되도록 연장하는, 메인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는, 화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을 감싸도록 폐곡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지지면과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서 상기 측벽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트렌치; 상기 트렌치에 연통되도록 상기 측벽에 관통 개구되는 배수구; 및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트렌치와 연통되는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배수구에 대응하는 위치가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단부가 상기 트렌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홈이 상기 지지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홈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다리;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폐곡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를 연결하는 보강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에 따르면, 화분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고 그 물을 가속시켜서 배출하여 물때 등에 의해 화분 받침대가 오염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화분에서 떨어지는 물을 모으지 않고 관을 통해서 배출되게 하므로, 모은 물을 따로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분을 화장실 등으로 옮겨서 물을 주는 불편함과 그 과정에서 신체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위험성을 제거하면서도 물을 모으지 않고 가속시켜 배출함으로써, 화분에 대한 물공급 시의 편리함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가 거실에 설치된 일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분 받침대(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분 받침대(10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화분 받침대(100)의 종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트렌치(120)의 구간에 따른 깊이(D)와 속도(S)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2의 화분 받침대(100)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화분 받침대(100)에 배수관(170)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수관(18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가 거실에 설치된 일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실내 공간(거실)의 한쪽 벽에는 책장(B)이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한쪽 벽은 유리창(W)이 설치될 수 있다. 유리창(W) 너머로는 발코니(V)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발코니(V)는 통상적으로 물이 흘러 내려가는 배수구를 갖는다.
거실의 바닥에는 카펫(C)이 놓여 질 수 있다. 카펫(C)을 벗어난 영역으로서 유리창(W)에 가까운 곳에는 화분(FP)이 놓여 질 수 있다. 화분(FP)은 탁자(T)나 항아리(P)의 소품 위에 올려질 수 있다. 이 경우에, 화분(FP)은 탁자(T)에 바로 놓이기 보다는, 화분 받침대(100)에 지지된 채로 탁자(T)에 놓여 질 수 있다.
화분 받침대(100)는 크게 몸체(110)와, 배수관(17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화분(FP)을 지지하며 화분(FP)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게 된다. 이러한 물은 화분 받침대(100) 내에서 가속되어, 배수관(170)을 통해 바로 발코니(V)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효과적인 이해를 위해 배수관(170)을 화분(FP)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배수관(170)을 화분(FP)의 배면 측에 배치하면 배수관(170)이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상에서 화분 받침대(100)의 물을 가속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화분 받침대(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화분 받침대(100)의 몸체(110)에는 트렌치(120)와, 배수구(130)와, 수용홈(140)과, 후크홈(150)과, 다리(160)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몸체(110)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하면, 몸체(110)는 대체로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10)가 원판형인 것으로 예시하나, 몸체(110)는 사각판형, 오각판형 등의 다각판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몸체(110)는 상부(111)와, 상부(111)에 반대되는 부분인 하부(115)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111)에는 화분(FP)을 지지하는 지지면(112)과, 지지면(112)을 감싸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폐곡선 형태의 측벽(113)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하부(115)에는 다리(16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리(160)와 관련한 구성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트렌치(120)는 지지면(112)과 측벽(11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부(111)에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도랑이다. 트렌치(120)는 몸체(110)의 둘레 방향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120)는 지지면(11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지지면(112) 보다는 낮은 높이를 가진다. 이러한 트렌치(120)는 시작점(일 단부, 121, 도 3)에서 종료점(타 단부, 122, 도 3)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30)는 몸체(110)의 일 부분에 관통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구(130)가 측벽(1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수구(130)가 지지면(112)에 개구된 경우에는 화분(FP)의 무게에 의해 지지면(112)이 비틀려서 배수구(130)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배수구(130)가 측벽(113)에 형성되면 그러한 문제로부터 보다 자유로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수구(130)는 트렌치(120)의 종료점(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될 수 있다. 종료점(122)이 시작점(121)보다 깊게 파여진 경우에, 종료점(122) 측에 배수구(130)가 형성되는 것이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바람직할 것이다.
수용홈(140)은 지지면(112)의 중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40)은 또한 몸체(110)의 상부(111)의 중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수용홈(140)은 화분(FP)에서 낙하되는 물을 일차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후크홈(150)은 수용홈(140)의 물을 트렌치(120)로 안내하도록 지지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홈(150)의 일 단부는 수용홈(140)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트렌치(120)에 연결된다. 후크홈(150)은 수용홈(14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후크홈(150)에 의해, 수용홈(140)에 모인 물이 트렌치(120)의 전 구간에 대하여 대체로 균등하게 배분되게 된다.
이상의 트렌치(120)와, 수용홈(140)과, 후크홈(150)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화분 받침대(100)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트렌치(120)는 측벽(113)을 따라 몸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원형을 이룬다. 트렌치(120)의 시작점(121)과 종료점(122) 사이에는 물막이턱(1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막이턱(125)에 의해, 트렌치(120)로 유입된 물의 흐름(F1)은 시작점(121)에서 종료점(122)을 향하여 도면상 반시계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종료점(122)에 대응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구(130)가 위치하게 된다. 수용홈(140)은 트렌치(12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홈(150)은 수용홈(140)에서 시작되어 방사상으로 연장하여 트렌치(120)에 연결된다.
후크홈(150)은 수용홈(140)에서 트렌치(120)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곡선의 궤적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40)에 가까운 측에는 제1 원(C1)이 내접된다면, 트렌치(120)에 가까운 측에는 제1 원(C1)보다 반경이 작은 제2 원(C2)이 내접될 수 있다.
또한, 후크홈(150)의 굽어진 방향은 후크홈(150)의 트렌치(120)에 연결되는 단부를 향해 유동하는 물의 흐름(F2)의 힘의 일 성분은 트렌치(120) 내에서의 물의 유동 방향을 따르도록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홈(150)의 단부에서의 물의 속도 벡터(VH)의 수평 성분(VH1)은 반 시계 방향[트렌치(120) 내의 물의 유동(F1)의 방향]을 따르게 된다. 다시 말해서, 후크홈(150)의 굽어진 방향이 도면상 반 시계 방향이 되어서, 트렌치(120) 내의 물의 유동 방향과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트렌치(120) 내를 유동하는 물의 제1 흐름(F1)에, 후크홈(150) 내를 유동하여 트렌치(120)에 합류되는 물의 제2 흐름(F2)이 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흐름(F1)의 유동 속도가 제2 흐름(F2)의 합류로 인하여 저하되는 정도가 낮아지게 지고, 오히려 제1 흐름(F1)의 유동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제2 흐름(F2)의 물의 속도 벡터(VH)의 수직 성분(VH2)의 크기보다는 수평 성분(VH1)의 크기가 훨씬 커서 달성될 수 있다.
트렌치(120)와 지지면(112)의 형태 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화분 받침대(100)의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트렌치(120)의 시작점(121, 도 3)에 가까운 지점(121a)의 높이는 종료점(122, 도 3)에 가까운 지점(122a)의 높이 보다 높게 된다. 그에 의해, 트렌치(120)의 물은 중력의 작용에 의한 물의 위치 에너지 차에 의해 시작점(121)에서 종료점(122)을 향한 반시계 방향(도 3 참조)으로 흐르게 가속되면서 흐르게 된다.
수용홈(140)은 트렌치(12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의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수용홈(140)과 트렌치(12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지지면(112)은 수용홈(140)에서 트렌치(120)를 향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된다.
지지면(112)이 트렌치(12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의하여, 수용홈(140)의 물이 트렌치(120)를 향해 흐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지지면(112)에 형성되는 후크홈(150)의 깊이가 동일하더라도, 지지면(112) 자체의 경사에 의해 물이 트렌치(120) 측으로 가속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상의 트렌치(120)와 후크홈(150)에서의 물의 속도 등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트렌치(120)의 구간에 따른 깊이(D)와 속도(S)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도면, 그리고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트렌치(120)는 시작점(121)에서 종료점(122)으로 갈수록 깊이(D)가 증가하게 된다. 그에 의해, 종료점(122)의 깊이는 시작점(121)에 비하여 깊다. 그 결과, 트렌치(120)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속도(S)는 시작점(121)에서 종료점(122)으로 갈수록 또한 증가한다.
이에 더하여, 지지면(112)이 트렌치(12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수용홈(140)은 물은 후크홈(150)을 따라 유동하는 중에 가속되면서 트렌치(120)에 유입된다. 또한, 후크홈(150)의 형태는 트렌치(120) 내의 물의 유동 방향에 부합하도록 굽어지므로, 후크홈(150) 내의 물이 트렌치(120) 내의 물의 유동을 약화시키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화분(FP)에서 수용홈(140)으로 떨어져서, 후크홈(150)을 거쳐서 트렌치(120) 내를 유동하는 물은, 시작점(121)에서 종료점(122)으로 갈수록 가속되어 종료점(122)에 위치하는 배수구(130)를 통해 몸체(110)의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이 몸체(110) 내에서 정체되는 것이 아니고 가속되어 바로 배출됨에 의하여, 몸체(110) 내에 물때 등이 생길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배수구(130)로 바로 배출된 물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관(170)을 통해 최종 배수 위치로 유동하게 된다.
이상의 몸체(110)의 하부(115)의 구성에 대하여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화분 받침대(100)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110)의 하부(115)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3개의 다리(16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리(160)는 하부(115)에서 돌출되므로, 하부(115)가 화분 받침대(100)가 놓이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하부(115)의 가장 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보강 링(16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링(165)은 폐곡선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링(165)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에 다리(160)와 연결될 것이다.
이러한 보강 링(165)에 의하면, 화분(FP)의 무게에 의해 몸체(110)가 변형되거나 다리(16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몸체(110)의 사이즈 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본 발명자는 보강 링(165)의 폭이 대략 다리(160)의 폭의 반 정도 수준으로 결정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을 알게 되었다.
이하, 도 1의 배수관(170)의 구조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도 2의 화분 받침대(100)에 배수관(170)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배수관(18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배수관(170)은 몸체(110)의 측벽(113)의 배수구(130)에 연통되도록 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170)은 구체적으로, 연결관(171)과, 메인관(17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71)의 일 단부(172a)는 몸체(110)의 배수구(130)에 연결된다. 연결관(171)의 타 단부(172b)는 메인관(175)에 연결된다. 메인관(175)은 연결관(171)이 연결되는 곡관부(176)와, 곡관부(176)가 측면에 연결되는 직관부(178)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171)의 일 단부(172a)의 외면에는 나사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171)의 일 단부(172a)의 나사산은 몸체(110)의 배수관(1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연결관(171)의 타 단부(172b)는 메인관(175)의 곡관부(176)의 일 단부(176a)와 바로 연결될 수 있으나(도 7), 별도의 호스(미도시)를 개재시켜 일 단부(176a)와 연결될 수 있다(도 8). 이를 위하여, 연결관(171)의 타 단부(172b)와 곡관부(176)의 일 단부(176a)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 링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링은 호스 내로 삽입되어, 호스가 일 단부(172b, 176a)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것이다. 곡관부(176)를 기준으로 메인관(175)을 회전시키면, 물의 유동 방향(F4)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메인관(175)의 직관부(178)의 양 단부(178a,178b)는 다른 화분 받침대의 직관부와 바로 연결되거나, 앞서와 같이 호스(미도시)를 개재하여 연결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양 단부(178a,178b)에는 앞서와 같이 돌출 링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171)의 중앙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17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 부분(173)을 잡고서 연결관(171)을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 부분(173)과 나사산부(172a) 사이에는 오링(174)이 배치될 수 있다. 오링(174)는 위 부분(173)과 몸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배수구(130)와 연결관(171)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게 된다.
메인관(175)의 곡관부(176)는 굽어지도록 연장하며 직관부(178)에 연결된다. 그에 의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후크홈(150)과 트렌치(120)의 관계처럼, 곡관부(176)를 흐르는 물의 흐름(F3)이 직관부(178)와 합류되는 경우에, 직관부(178)를 흐르는 물의 흐름(F4)의 속도가 저하되지 않게 된다. 그에 의해, 화분(FP)에서 몸체(110)를 거쳐서 배수관(170)으로 흐르는 물이 신속하게 최종적으로 배수될 곳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화분 받침대 110: 몸체
111: 상부 112: 지지면
113: 측벽 115: 하부
120: 트렌치 121: 시작점
122: 종료점 130: 배수구
140: 수용홈 150: 후크 홈
160: 다리 165: 보강 링
170: 배수관 171: 연결관
175: 메인관

Claims (18)

  1. 화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면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몸체에 연장 형성되며, 일 단부 에서 타 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깊게 파여지도록 형성되는, 트렌치; 및
    상기 트렌치의 타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를 관통 개구되어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지지면은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에서 상기 트렌치를 향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화분에서 낙하되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내에는, 일 단부는 상기 수용홈에 연통되고 타 단부는 상기 트렌치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홈이 연장 형성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홈은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타 단부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작아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홈의 타 단부를 향해 유동하는 물의 힘의 일 성분은 상기 트렌치 내에서의 물의 유동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후크홈의 타 단부의 형태가 결정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복수의 다리를 더 포함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링을 더 포함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에서 상기 트렌치로 흐르는 물을 상기 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지지면 및 상기 트렌치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보다 높이 돌출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일 단부가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타 단부가 측방에서 연통되도록 연장하는, 메인관을 포함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14. 화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을 감싸도록 폐곡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지지면과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서 상기 측벽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트렌치;
    상기 트렌치에 연통되도록 상기 측벽에 관통 개구되는 배수구; 및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트렌치와 연통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배수구에 대응하는 위치가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16. 제14항에 있어서,
    일 단부가 상기 트렌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홈이 상기 지지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홈은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다리;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폐곡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를 연결하는 보강링을 더 포함하는,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KR1020110030047A 2011-04-01 2011-04-01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KR10125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47A KR101255672B1 (ko) 2011-04-01 2011-04-01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47A KR101255672B1 (ko) 2011-04-01 2011-04-01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27A KR20120111527A (ko) 2012-10-10
KR101255672B1 true KR101255672B1 (ko) 2013-04-17

Family

ID=4728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047A KR101255672B1 (ko) 2011-04-01 2011-04-01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4542A1 (en) * 2020-10-05 2022-04-14 Hamlin Hugh Planter drainage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27Y1 (ko) * 2004-07-27 2004-10-15 박영제 배수 받침대가 일체화된 화분
JP2005125061A (ja) * 2003-10-21 2005-05-19 Munkon Go 間接加熱式調理板
KR20110003274U (ko) * 2009-09-25 2011-03-31 유경열 기능성 화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061A (ja) * 2003-10-21 2005-05-19 Munkon Go 間接加熱式調理板
KR200365127Y1 (ko) * 2004-07-27 2004-10-15 박영제 배수 받침대가 일체화된 화분
KR20110003274U (ko) * 2009-09-25 2011-03-31 유경열 기능성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27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441B2 (en) Insertable plant watering device and reservoir with inlet pipe
AU2012243428B2 (en) A container
US20090000189A1 (en) Modular planter system
US5819469A (en) Support plate for flower-pots that prevents overflow and inhibits mosquito propagation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AU2009338088A1 (en) Post or wall mounted stackable plant pot
KR102095127B1 (ko) 재배효율을 증진시킨 고설재배용 딸기 육묘 연결포트
KR101255672B1 (ko) 배수 가속형 화분 받침대
US20200128767A1 (en) Plant pot insert
KR200214155Y1 (ko) 화분
JPH05137471A (ja) 吊下げ植木鉢用給水システム
TWM582295U (zh) Planting pot and planting container using the same
CN206423209U (zh) 一种蜂巢状垂直绿化种植盆及组合结构
KR200401655Y1 (ko) 벽걸이 화분세트
CN217445972U (zh) 多功能绿植盆
KR101914112B1 (ko) 화분
KR200411165Y1 (ko)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KR101920412B1 (ko) 자동배수 및 수위감지 기능을 갖는 화분
JP3932435B2 (ja) 吊下げかん水プランター
KR102666050B1 (ko) 식물에 수직으로 급수가 가능한 수직화분
CN211861359U (zh) 基于独立悬空支撑框架系统的高层建筑墙体绿化灌溉系统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CN213155159U (zh) 一种便于排水防烂根的立体花架结构
JP4691717B2 (ja) 排水口カバー
CN211960242U (zh) 一种植物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