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165Y1 -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 Google Patents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165Y1
KR200411165Y1 KR2020050035712U KR20050035712U KR200411165Y1 KR 200411165 Y1 KR200411165 Y1 KR 200411165Y1 KR 2020050035712 U KR2020050035712 U KR 2020050035712U KR 20050035712 U KR20050035712 U KR 20050035712U KR 200411165 Y1 KR200411165 Y1 KR 200411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bow
upper body
water discharg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조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진 filed Critical 조성진
Priority to KR2020050035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1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명칭]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구성] 상측으로는 상부 몸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단(22)이 형성되고 상기 단(22)의 위쪽으로는 상부 몸체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음과 아울러 물 배출용 엘보가 관통되는 절개홈(24)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환(23)이 형성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안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받침대(21)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제 하부 몸체(20)와;
상기 하부 몸체(20)의 단(22)에 얹히도록 돌출환(23)과 끼워 결합할 수 있으며 물 배출용 엘보가 관통되는 절개홈(13)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환(12)이 하방에 형성되고, 그 위로 형성된 바닥(14)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 배출관(14a)(14b)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14)과 연결되어 물을 담을 수 있는 물 저장통(14)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제 상부 몸체(10)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위쪽 물 배출관(14a)에 끼워져 연장되고 마개(32)를 가지는 호스(30)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아래쪽 물 배출관(14b)에 끼워진 채 끝 부분이 상하부 몸체(10)(20)의 절개홈(13)(24)을 관통하는 물 배출용 엘보(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경 화초, 호스, 엘보

Description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Flower pot for hydroponics}
도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 몸체 20: 하부 몸체
30: 호스 40: 엘보
본 고안은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가정이나 건물의 실내외는 물론 도로 주변의 인도 등에 두고 사용할 수 있다.
수경 화초는 물 위에 떠서 자라면서 그 뿌리는 수중에 머물거나 또는 물 위에 떠서 자라되 뿌리는 물과 흙 속에 머물면서 생장하는 화초를 말하는데, 이를 관상용으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물을 받아 둘 수 있는 용기만 있으면 된다.
한편, 상기 용기라고 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큰 대야 혹은 도기, 돌로 된 수반을 말하는데, 이들은 높이가 수 센티미터에서 수 십 센티미터 정도에 지나지 않아 실내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높은 높이가 요구되는 실외 관상용으로는 사용하기가 다소 곤란하다.
이에 실외 관상용으로 돌로 만든 절구통을 사용하거나 혹은 별도의 받침대를 마련하고 그 위에 상술한 소형의 용기를 얹어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돌로 만든 절구통은 가격이 비싸고 너무 무겁기 때문에 경제성이 양호하지 못함과 아울러 취급 및 이동을 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어 보편화가 되지 못하고 있으며, 별도의 받침대를 마련하고 그 위에 소형의 용기를 얹는 방법 역시 비경제적이고 작업하기에 까다로우며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용기들은 용기 안에 있는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물을 갈아주어야 할 경우 바가지 등으로 용기 안의 물을 퍼낸 다음, 다시 물을 채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주기적으로 물을 갈아주는 작업을 소홀히 하게 됨에 따라 용기 안의 물이 부패되거나 오염되어 화초가 잘 생장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초의 생명이 오래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속출되고 부패된 물은 매우 비위생적이어서 좋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이 가지고 있던 문제와 단점을 전부 해소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상측으로는 상부 몸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단(22)이 형성되고 상기 단(22)의 위쪽으로는 상부 몸체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음과 아울러 물 배출용 엘보가 관통되는 절개홈(24)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환(23)이 형성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안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받침대(21)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제 하부 몸체(20)와;
상기 하부 몸체(20)의 단(22)에 얹히도록 돌출환(23)과 끼워 결합할 수 있으며 물 배출용 엘보가 관통되는 절개홈(13)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환(12)이 하방에 형성되고, 그 위로 형성된 바닥(14)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 배출관(14a)(14b)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14)과 연결되어 물을 담을 수 있는 물 저장통(14)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제 상부 몸체(10)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위쪽 물 배출관(14a)에 끼워져 연장되고 마개(32)를 가지는 호스(30)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아래쪽 물 배출관(14b)에 끼워진 채 끝 부분이 상하부 몸체(10)(20)의 절개홈(13)(24)을 관통하는 물 배출용 엘보(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플라스틱(바람직하게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만든 것이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워서 취급하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하부 몸체(10)(20)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수송 및 이동, 설치가 편리하고 보관 시 장소를 작게 차지하는 장점이 두드러진다.
하부 몸체(20)의 받침대(21)는 도면과 같이 안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반드시 상협하광식으로 제작할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 원통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지만 원통형은 재료가 많이 소요되며 무게가 더 나가고 심미감도 부족하여 본 고안과 같이 나팔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 몸체(1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다시 하부 몸체(20)를 살피면, 상측으로 단(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몸체(10)의 돌출환(112)이 얹힐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하부 몸체(20)의 단(22)은 상부 몸체(10)의 중량을 지지한다. 이어서 상술한 단(22)의 위쪽으로는 돌출환(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몸체(10)의 돌출환(12)과 끼워져 결합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돌출환(23)에는 후술하는 물 배출용 엘보(40)가 관통하는 절개홈(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구멍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부 몸체(10)는, 하부 몸체(20)와 거의 대칭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환(12)은 하부 몸체(20)의 돌출환(23)에 끼워져 조립이 되고 역시 절개홈(13)이 형성되어 있어서 물 배출용 엘보(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역시 구멍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몸체(10)는 바닥(14)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14)과 연하여 물을 담을 수 있는 물 저장통(11)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바닥(14)에는 도면과 같이 물 배출관(14)(14b)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하방의 물 배출관(14b)에는 물 배출용 엘보(40)가 조립되어 있어서 물 저장통(11) 안의 물을 갈아주어야 할 경우 용이하게 사용된다. 이때 별도의 호스(50)를 엘보(40)에 조립시켜서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한편, 상부 몸체(10)의 물 저장통(11) 위로 노출된 물 배출관(14a)에는 도면과 같이 마개(32)를 가지는 호스(30)가 끼워질 수 있는데, 수경 화초의 종류에 따라 물 저장통(11)의 바닥에 흙을 깔아주고 그 위로 물을 채워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때 요긴하게 사용된다. 즉, 물 저장통(11) 안에 흙을 "a" 선까지 혹은 "b"선까 지 깔아주고 흙 위로 물을 채울 경우 흙으로 인하여 물 배출관(14a)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것이다. 따라서 물 저장통(11) 안에 흙을 깔아주어야 할 경우에는 물 배출관(14a)에 호스(30)를 끼우고 마개(32)를 막아준다. 이 상태에서 물 저장통(11) 안의 물을 외부로 빼낼 경우에는 마개(32)를 열고 호스(30)를 옆으로 기울여서 엘보(40)를 통해 물을 빼 내거나 혹은 물 저장통(11) 안에 깔린 흙의 높이보다 약간 더 높은 높이만 유지하도록 호스(30)의 상단부를 절단하고 마개(32)를 막아 주었다가 물을 빼낼 경우에는 마개(32)만 호스(30)로부터 분리시키면 흙 위에 고여 있던 물이 엘보(40)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되는 것이다.
물론 물 저장통(11) 안에 흙을 깔지 않고 물만을 채울 경우에는 호스(30)를 사용하지 않고 마개(32)를 물 배출관(14a)에 바로 막아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그러나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은 물만을 사용할 경우와 물과 흙을 같이 사용할 경우가 발생되므로 본 고안과 같이 호스(30)를 구비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본 고안으로부터 호스(30)를 생략시킨다고 하여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난 것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엘보(40)를 생략하고 동시에 상하부 몸체(10)(20)의 돌출환(12)(23)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홈(13)(24)을 생략한 채 물 배출관(14b)만을 통해 물 저장통(11) 안의 물을 상부 몸체(10)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기는 하지만, 이 경우 물 저장통(11) 안의 물이 하부 몸체(20) 안으로 쏟아져 내려 청소를 하기에도 매우 불편하고 화분 주변이 매우 지저분해지기 때문에 사실상 옳은 상품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물 저장통(11) 안의 물은 화분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지 않으 면서 편리하고 간단하게 다른 용기 혹은 하수구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본 고안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 최선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엘보(40)는 보통의 호스로 대체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고안은 경우에 따라 상부 몸체(10) 만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실외용으로서 높은 높이가 요구되는 화분용으로도 훌륭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플라스틱(바람직하게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만든 것이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워서 취급하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값이 싼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하부 몸체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수송 및 이동, 설치가 편리하며 보관 시 장소를 작게 차지하는 장점이 두드러지고, 상부 몸체 안의 물을 편리하고 간단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초 재배를 위하여 물만을 사용하거나 혹은 물과 흙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부 몸체 안의 물만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하부 몸체가 분리되므로 높은 높이가 요구되는 경우와 낮은 높이가 요구되는 경우 모두를 만족시키는 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상측으로는 상부 몸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단(22)이 형성되고 상기 단(22)의 위쪽으로는 상부 몸체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음과 아울러 물 배출용 엘보가 관통되는 절개홈(24)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환(23)이 형성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안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받침대(21)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제 하부 몸체(20)와;
    상기 하부 몸체(20)의 단(22)에 얹히도록 돌출환(23)과 끼워 결합할 수 있으며 물 배출용 엘보가 관통되는 절개홈(13)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환(12)이 하방에 형성되고, 그 위로 형성된 바닥(14)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 배출관(14a)(14b)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14)과 연결되어 물을 담을 수 있는 물 저장통(14)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제 상부 몸체(10)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위쪽 물 배출관(14a)에 끼워져 연장되고 마개(32)를 가지는 호스(30)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아래쪽 물 배출관(14b)에 끼워진 채 끝 부분이 상하부 몸체(10)(20)의 절개홈(13)(24)을 관통하는 물 배출용 엘보(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KR2020050035712U 2005-12-15 2005-12-15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KR200411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712U KR200411165Y1 (ko) 2005-12-15 2005-12-15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712U KR200411165Y1 (ko) 2005-12-15 2005-12-15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165Y1 true KR200411165Y1 (ko) 2006-03-10

Family

ID=4176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712U KR200411165Y1 (ko) 2005-12-15 2005-12-15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1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094A1 (ko) * 2014-10-23 2016-04-28 여상철 수경재배용 화분
KR101635799B1 (ko) * 2015-11-11 2016-07-04 전효찬 수경 재배 블록 및 이를 갖는 수경 재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094A1 (ko) * 2014-10-23 2016-04-28 여상철 수경재배용 화분
KR101635799B1 (ko) * 2015-11-11 2016-07-04 전효찬 수경 재배 블록 및 이를 갖는 수경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13960A1 (en) Mobile planter
CN102919078A (zh) 自吸式自供水花盆
KR200411165Y1 (ko)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JP2011050329A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AU2013311431A1 (en) Improvements in water storage devices and apparatuses therefor
CN201947705U (zh) 细孔托盘双层蓄水花盆
CN208293745U (zh) 一种一体式种植阳台
JP2003235360A (ja) 水面上に空間のある底面給水の植木鉢
CN207022636U (zh) 一种园林绿化用植物种植墙
CN201127211Y (zh) 免浇水花盆
CN201911093U (zh) 水、土分隔浸润式植物栽培花盆
CN205648488U (zh) 一种屋顶绿化种植结构
CN201585307U (zh) 自动给水花盘
JP3932435B2 (ja) 吊下げかん水プランター
JPH064697Y2 (ja) 貯水槽から給水する装置の植木鉢
CN2633013Y (zh) 节水保湿花盆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JPH10178908A (ja) 栽培装置
KR20110011906U (ko) 서랍이 내장된 화분
JPH1156136A (ja) ペットボトル等を活用した植木鉢等への給水装置
CN203801373U (zh) 自动吸水花盆
JP3112080U (ja) 水抜き穴を側面に設けた植木鉢
IE86759B1 (en) An integrated recessed drainage and manhole inspection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