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769A - 투명 화분 - Google Patents

투명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769A
KR20100000769A KR1020080060390A KR20080060390A KR20100000769A KR 20100000769 A KR20100000769 A KR 20100000769A KR 1020080060390 A KR1020080060390 A KR 1020080060390A KR 20080060390 A KR20080060390 A KR 20080060390A KR 20100000769 A KR20100000769 A KR 20100000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ot
planter
flowerpot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
Original Assignee
옥성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성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옥성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769A/ko
Publication of KR2010000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외주연 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화분 몸체; 상기 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상단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화분 받침대; 및 상기 화분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타공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가 투명한 PET 재질로 이루어져 식물의 생장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충진된 용토나 난석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를 PET 재질로 형성하여 화분의 제조가 용이하며, 화분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분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
화분, 투명, PET, 타공판

Description

투명 화분{Transparent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한 PET 재질로 이루어져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가 나사 체결되어 있어 쉽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투명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실내의 조경을 위해 화분 몸체에 꽃이나 난초 등의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거나, 또는 실내의 공기 정화를 위해 공기 정화용 식물을 식재하여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화분은 플라스틱이나 자기 등의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식물에 양분을 공급하는 흙이나 자갈 등의 용토를 그 내부에 담고, 그 용토에 식물을 식재(植栽)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불투명 재질의 화분은 용토 상부의 식물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지만, 용토 내부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 일부와 뿌리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화분에 충진된 용토의 수분 정도를 확인하기 어려워 적정량의 물을 주는 화분에 공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용토와 식물이 수용되는 화분 몸체 이외에도 화분에 공급되는 물 중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화분 받침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화분 받침대는 통상적으로 화분 몸체보다 크게 형성되어 화분 받침대에 배수되어 수용된 물이 공기중으로 빠르게 증발하기 때문에 건조한 날씨에는 화분에 물을 자주 공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육안으로 화분 내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배수를 위한 화분 받침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일체형의 투명 화분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몸체(80)가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화분 몸체(80) 내부에 충진된 용토(100) 및 식물(20)의 뿌리(4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의 생장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용토(100)의 수분 함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투명 화분은 상기한 장점들이 있지만, 화분 몸체(80)가 일체형의 투명 유리로 이루어져 있어 화분 내부의 통기를 위한 통기공뿐만 아니라 배수를 위한 배수구를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유리 재질의 투명 화분은 화분이 쓰러져 깨질 수 있고, 제조 비용이 높으며, 화분 자체의 무게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화분의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볍고 안전한 투명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외주연 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화분 몸체; 상기 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상단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화분 받침대; 및 상기 화분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타공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하단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화분 몸체; 및 상기 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상단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화분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분 몸체는 외주연 상부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분 몸체는 외주연 하부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가 투명한 PET 재질로 이루어져 식물의 생장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충진된 용토나 난석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를 PET 재질로 형성하여 화분의 제조가 용이하며, 화분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분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가 나사 체결되어 있어 쉽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와 화분 받침대가 일체로 체결 가능하기 때문에, 화분 받침대에 수용된 물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 외부로 증발되지 않고, 화분 몸체 상부로 증발되면서 충진된 용토나 난석으로 재흡수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화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내부에 설치된 타공판을 도시하며,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투명 화분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100) 및 화분 받침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분 몸체(100)는 식재될 식물에 양분을 공급해주는 용토 또는 난석과 같은 재료를 충진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화분 몸체(100)의 하단 일부는 상부 외주연보다 직경이 약간 작게 형성되고, 이 하단 외주연에는 나사산(110)이 형성된다. 이 나사산(110)은 화분 몸체(100)의 하단 내주연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화분 몸체(10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화분 몸체(100)는 유리와 같은 투명 재질도 무방하지만, 제작의 편의성을 위해 통상적으로 음료수 병에 적용되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분 받침대(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화분 몸체(100)의 나사산(110)과 체결되도록 상단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나사산(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분 몸체(100) 및 화분 받침대(200)는 각각의 나사산(110, 210)을 나사 결합시켜 간편하게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다.
또한, 화분 받침대(200) 역시 화분 몸체(100)와 마찬가지로 유리와 같은 투명 재질도 무방하지만, 제작의 편의성을 위해 통상적으로 음료수 병에 적용되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분 몸체(100) 및 화분 받침대(200)가 PET와 같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식재된 식물의 생장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화분 몸체(100)의 내부에 충진된 용토나 난석 등의 수분 함유 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PET 재질의 화분은 화분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화분 몸체(100)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타공판(120)이 설치된다. 이 타공판(120)은 화분 몸체(100)에 충진된 용토나 난석 등이 화분 받침대(20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타공판(120)에 형성된 통공(121)들은 그 상부에 충진된 용토나 난석 등의 입자들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타공판(120)에 의해, 화분 몸체(100)에 충진된 용토나 난석 등이 화분 받침대(200)에 수용된 물에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식재된 식물에 과다한 수분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타공판(120)은 화분 몸체(100) 내주연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단턱(130)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도 가능하고,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나사산(110)이 형성된 화분 몸체(100)의 하단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100)와 화분 받침대(200)가 일체로 체결 가능하기 때문에, 화분 받침대(200)에 수용된 물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 상부로 증발되면서 충진된 용토나 난석으로 재흡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4와는 다른 형태의 투명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에 도시된 투명 화분은 타공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화분 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다수의 배수공(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하단의 외주연에는 나사산(110)이 형성된다.
이때, 화분 몸체(100)는 도 4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PET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110)은 외주연 또는 내주연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화분 받침대(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화분 몸체(100)의 나사산(110)과 체결되도록 상단 내주연 또는 외주연 중 어느 한 곳에 나사산(210)이 형성되어 화분 몸체(100)와 체결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100)의 저면 자체가 도 4의 타공판(120)의 역할을 하며, 화분 몸체(100)에 충진된 용토나 난석 등이 화분 받침대(200)에 수용된 물에 잠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화분 받침대(200)의 높이를 도 4의 화분 받침대보다 더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몸체(100)의 외주연 상부에는 다수의 통기공(150)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공(150)은 화분 몸체(100)에 충진된 용토나 난석뿐 아니라 식재된 식물과 외부 공기 사이에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몸체(100)의 외주연 하부에는 다수의 배수공(160)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공(160)은 화분에 과다한 양의 물을 공급했을 때, 화분 받침대(20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높아져 상부의 용토나 난석, 그리고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물에 잠겨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 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가 투명한 PET 재질로 이루어져 식물의 생장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충진된 용토나 난석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를 투명한 PET 재질로 형성하여 화분의 제조가 용이하며, 화분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분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가 나사 체결되어 있어 쉽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화분은 화분 몸체와 화분 받침대가 일체로 체결 가능하기 때문에, 화분 받침대에 수용된 물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 외부로 증발되지 않고, 화분 몸체 상부로 증발되면서 충진된 용토나 난석으로 재흡수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투명 화분을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와는 다른 형태의 투명 화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투명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분 몸체 110: 나사산
120: 타공판 121: 통공
130: 단턱 140: 배수공
150: 통기공 160: 배수공
200: 화분 받침대 210: 나사산

Claims (5)

  1.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외주연 또는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화분 몸체;
    상기 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상단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화분 받침대; 및
    상기 화분 몸체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타공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화분.
  2.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하단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화분 몸체; 및
    상기 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상단 내주연 또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화분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화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몸체 및 화분 받침대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화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몸체는 외주연 상부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화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몸체는 외주연 하부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화분.
KR1020080060390A 2008-06-25 2008-06-25 투명 화분 KR20100000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390A KR20100000769A (ko) 2008-06-25 2008-06-25 투명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390A KR20100000769A (ko) 2008-06-25 2008-06-25 투명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769A true KR20100000769A (ko) 2010-01-06

Family

ID=4181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390A KR20100000769A (ko) 2008-06-25 2008-06-25 투명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7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7020A (zh) * 2015-06-12 2015-10-07 吴俊娟 水培植物花瓶
WO2019245139A1 (ko) * 2018-06-18 2019-12-26 주식회사 뉴텍정공 스텐화분
GB2586196A (en) * 2018-08-31 2021-02-17 Morris Brothers And Company Holdings Ltd An improved plant pot
KR102650394B1 (ko) * 2022-09-23 2024-03-21 서미수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화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7020A (zh) * 2015-06-12 2015-10-07 吴俊娟 水培植物花瓶
WO2019245139A1 (ko) * 2018-06-18 2019-12-26 주식회사 뉴텍정공 스텐화분
GB2586196A (en) * 2018-08-31 2021-02-17 Morris Brothers And Company Holdings Ltd An improved plant pot
KR102650394B1 (ko) * 2022-09-23 2024-03-21 서미수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8274B2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KR20100000769A (ko) 투명 화분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100403830B1 (ko) 식물 재배용 화분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200490422Y1 (ko) 수경어항화분
JP2007061104A (ja) 植木鉢
KR101031234B1 (ko) 화분장치
CN203302053U (zh) 多功能景观花盆
KR200469973Y1 (ko) 이중 화분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0303931Y1 (ko) 건축물 실내 기둥 장식용 화분
KR100852425B1 (ko) 화분용 식재구조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CN202617796U (zh) 自动加水花盆
CN212971117U (zh) 一种水培红掌花盆
JP2010035456A (ja) 給水調節機能付き鉢植給水器
KR101120752B1 (ko) 화분 물통
KR20220002080U (ko) 수직형 화분
CN205454882U (zh) 一种自动浇水的陶瓷花盆
JP6630124B2 (ja) プランター
CN203934397U (zh) 一种陶瓷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