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425B1 - 화분용 식재구조 - Google Patents

화분용 식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425B1
KR100852425B1 KR1020080032237A KR20080032237A KR100852425B1 KR 100852425 B1 KR100852425 B1 KR 100852425B1 KR 1020080032237 A KR1020080032237 A KR 1020080032237A KR 20080032237 A KR20080032237 A KR 20080032237A KR 100852425 B1 KR100852425 B1 KR 10085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ixing bracket
hole
contai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춘
Original Assignee
윤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춘 filed Critical 윤영춘
Priority to KR102008003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으로 사용되는 본체의 측면에 다수의 화분용기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풍성한 식재형성이 가능하고, 식재의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및 보수 등 관리가 용이한 화분용 식재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는 내부에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측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관통구에 끼워져 결합되며 내부에는 식재공간이 마련되는 화분용기와, 상기 관통구 및 화분용기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용기를 상기 관통구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분, 식재구조, 본체, 화분용기, 결합수단

Description

화분용 식재구조{VEGETATION STRUCTURE FOR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용 식재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으로 사용되는 본체의 측면에 다수의 화분용기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풍성한 식재형성이 가능하고, 식재의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및 보수 등 그 관리가 용이한 화분용 식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또는 전신주의 지주 상에는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에 이르기까지 위치를 선택하여 화분을 설치함으로써 도로 및 거리의 미관을 향상토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화분의 경우 상부는 물론 측면에도 풍성하게 꽃 등의 식생부재들이 식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릿 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꽃 등의 식생부재가 측면으로 돌출 위치되어 장식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식생부재의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체 과정에서 다량의 토사가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으로 사용되는 본체의 측면에 다수의 화분용기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풍성한 식재형성이 가능하고, 식재의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및 보수 등 그 관리가 용이한 화분용 식재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내부에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측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관통구에 끼워져 결합되며 내부에는 식재공간이 마련되는 화분용기와, 상기 관통구 및 화분용기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용기를 상기 관통구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식재구조를 재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결합수단은 상기 관통구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화분용기의 가장자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그 양단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고정브래킷은, 결합시 상기 화분용기의 가장자리 측에 감싸지도록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 1 고정브래킷 부재 및 제 2 고정브래킷 부재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상기 화분용기의 식재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고 제 1 고정브래킷 부재와 제 2 고정브래킷 부재가 결합되는 측에는 각각 체결돌기 및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는 화분으로 사용되는 본체의 측면에 다수의 화분용기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풍성한 식재형성이 가능하고, 식재의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및 보수 등 관리가 용이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화분용기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화분용기에 대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다른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는 내부에는 공간 부(11)가 마련되고 측면에는 공간부(11)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구(12)가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공간부(11)에 수용되도록 관통구(12)에 끼워져 결합되며 내부에는 식재공간(21)이 마련되는 화분용기(20)와, 관통구(12) 및 화분용기(2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화분용기(20)를 본체(10)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내부에는 공간부(11)가 마련되고 측면에는 공간부(11)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구(12)가 형성되는 것으로, 공간부(11)에 식생부재가 식재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다수의 화분용기(20)가 결합되어 가로등(100)을 장식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체(10)는 가로등(10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가로등(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일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홈이 형성되는 본체(10)가 가로등(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는 반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재질 또한 합성수지, 목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가로등(100) 상에 고정하는 방법은 결합나사에 의한 결합, 브래킷에 의한 결합 등 종래기술에 따른 결합방법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공간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의 하부면에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식재된 식생부재에 급수되는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관통구(12) 내에는 다수의 화분용기(20)가 결합되는데, 이 화분용기(20)는 식생부재가 식생될 수 있는 식생공간이 마련되어 전술한 본체(10)의 측면을 식생부재로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화분용기(20)는 식생부재가 식재되는 측이 본체(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관통구(12) 내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화분용기(2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화분이 사용될 수 있는데, 전술한 관통구(12)는 규격화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화분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관통구(12) 및 화분용기(20)의 가장자리에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결합수단은 전술한 화분용기(20)를 본체(10)의 관통구(12)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전술한 관통구(12)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3)와, 화분용기(20)의 가장자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그 양단에는 결합돌기(13)가 끼워지는 결합홈(34)이 형성되는 고정브래킷(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결합돌기(13)는 관통구(12)로 부터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어, 관통구(12)에 결합되는 화분용기(20)의 결합홈(34)에 끼워지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고정브래킷(30)은, 결합시 화분용기(20)의 가장자리 측에 감싸지도록 힌지(3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돌기(13)가 끼워지는 결합홈(34)이 각각 형성되는 제 1 고정브래킷 부재(31) 및 제 2 고정브래킷 부재(32)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화분용기(20)의 식재공간(21)과 연통되도록 개방부(36)가 형성되고 제 1 고정브래킷 부재(31)와 제 2 고정브래킷 부재(32)가 결합되는 측에는 각각 체결돌기(37) 및 체결홈(38)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고정브래킷 부재(31) 및 제 2 고정브래킷 부재(32)는 전술한 화분용기(20)의 상부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제 1 고정브래킷 부재(31) 및 제 2 고정브래킷 부재(32)가 결합된 화분용기(20)는 제 1 고정브래킷 부재(31) 및 제 2 고정브래킷 부재(32)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34)과 관통구(1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3)의 결합으로 인해 관통구(12) 상에 결합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결합홈(34)은 결합돌기(13)가 끼워진 상태에서 화분용기(20)를 소정각도 회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수평연장되는 결합홈(34)은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 결합돌기(13)가 이에 억지끼움 되어 화분용기(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고정브래킷 부재(31) 및 제 2 고정브래킷 부재(32)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호 결합을 위해서 제 1 고정브래킷 부재(31)에는 체결돌기(37)가 형성되고 제 2 고정브래킷 부재(32)에는 전술한 체결돌기(37)가 체결되는 체결홈(38)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돌기(37) 및 체결홈(38)의 결합은 억지끼움 되는 것으로 하되, 자석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제 1 고정브래킷 부재(31) 및 제 2 고정브래킷 부재(32)의 결합시 그 중앙에는 전술한 화분용기(20)의 식재공간(21)과 연통되는 개방부(36)가 형성되는데, 이 개방부(36)는 식재공간(21)에 식재되는 식재부재가 외부로 노출되 도록 함과 동시에, 식재공간(21)에 비해 다소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토사 등이 비 또는 바람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생부재가 식재되어 있는 다수의 화분용기(20)를 준비한다.
그런 다음, 화분용기(20)의 상부 가장자리 양측에서 제 1 고정브래킷 부재(31) 및 제 2 고정브래킷 부재(32)를 상호 체결하여 화분용기(20) 상에 고정브래킷(30)이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고정브래킷(30)이 설치되어 있는 화분용기(20)를 본체(10)의 관통구(12) 내에 삽입하되, 관통구(1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13)가 고정브래킷(3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34) 내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화분용기(20)를 소정각도로 회동시켜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본체(10)의 관통구(12) 내에 모두 화분용기(20)가 결합된 후에는, 본체(10)의 공간부(11) 내에 식생부재를 식재한 후, 가로등(100) 상에 본체(10)를 고정 설치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화분용기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화분용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식재구조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0a : 홈
11 : 공간부 12 : 관통구
13 : 결합돌기 20 : 화분용기
21 : 식재공간 30 : 고정브래킷
31 : 제 1 고정브래킷 부재 32 : 제 2 고정브래킷 부재
34 : 결합홈 35 : 힌지
36 : 개방부 37 : 체결돌기
38 : 체결홈 100 : 가로등

Claims (3)

  1. 내부에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측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관통구에 끼워져 결합되며 내부에는 식재공간이 마련되는 화분용기; 및
    상기 관통구 및 화분용기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용기를 상기 관통구 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관통구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화분용기의 가장자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그 양단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래킷은, 결합시 상기 화분용기의 가장자리 측에 감싸지도록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 1 고정브래킷 부재 및 제 2 고정브래킷 부재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상기 화분용기의 식재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되고 제 1 고정브래킷 부재와 제 2 고정브래킷 부재가 결합되는 측에는 각각 체결돌기 및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식재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080032237A 2008-04-07 2008-04-07 화분용 식재구조 KR100852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237A KR100852425B1 (ko) 2008-04-07 2008-04-07 화분용 식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237A KR100852425B1 (ko) 2008-04-07 2008-04-07 화분용 식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425B1 true KR100852425B1 (ko) 2008-08-18

Family

ID=3987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237A KR100852425B1 (ko) 2008-04-07 2008-04-07 화분용 식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4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355B1 (ko) * 2010-07-14 2012-11-14 (주) 에코컬쳐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KR200485275Y1 (ko) * 2016-06-24 2017-12-14 김필주 식물재배기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500A (ja) * 1994-06-09 1995-12-19 Ichiro Yamashita 植栽ボックス及びこれを利用した植物育成方法
KR200144483Y1 (ko) 1997-03-22 1999-06-15 이용 소형화분 합식용 재치대
KR200264609Y1 (ko) * 2001-10-04 2002-03-13 최재준 조경용 화분
KR200367898Y1 (ko) 2004-08-06 2004-11-17 김인찬 수목지지대
KR200387463Y1 (ko) * 2005-03-12 2005-06-17 배근학 가로등 및 전신주의 지주걸이용 화분
KR20050079444A (ko) * 2004-02-05 2005-08-10 윤종진 화환대
JP2006034114A (ja) * 2004-07-22 2006-02-09 Takami Ito 立体花壇形成用基枠
KR100771486B1 (ko) 2006-05-09 2007-10-3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KR100778074B1 (ko) 2006-07-18 2007-11-29 (주) 삼육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500A (ja) * 1994-06-09 1995-12-19 Ichiro Yamashita 植栽ボックス及びこれを利用した植物育成方法
KR200144483Y1 (ko) 1997-03-22 1999-06-15 이용 소형화분 합식용 재치대
KR200264609Y1 (ko) * 2001-10-04 2002-03-13 최재준 조경용 화분
KR20050079444A (ko) * 2004-02-05 2005-08-10 윤종진 화환대
JP2006034114A (ja) * 2004-07-22 2006-02-09 Takami Ito 立体花壇形成用基枠
KR200367898Y1 (ko) 2004-08-06 2004-11-17 김인찬 수목지지대
KR200387463Y1 (ko) * 2005-03-12 2005-06-17 배근학 가로등 및 전신주의 지주걸이용 화분
KR100771486B1 (ko) 2006-05-09 2007-10-3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KR100778074B1 (ko) 2006-07-18 2007-11-29 (주) 삼육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355B1 (ko) * 2010-07-14 2012-11-14 (주) 에코컬쳐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KR200485275Y1 (ko) * 2016-06-24 2017-12-14 김필주 식물재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3429A1 (en) Prefabrication type flowerpot block
KR100852425B1 (ko) 화분용 식재구조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101201355B1 (ko)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KR200390580Y1 (ko) 액자형 화분
KR100933250B1 (ko) 다리 난간용 화분
KR100879055B1 (ko) 장식용 이중 화분
KR101620883B1 (ko) 가로수 조경을 위한 조립식 화분
KR200438549Y1 (ko)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100000769A (ko) 투명 화분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KR200464609Y1 (ko) 수경식재형 플랜터
KR200303931Y1 (ko) 건축물 실내 기둥 장식용 화분
US20140059929A1 (en) Self contained planter for growing seeds
KR200402372Y1 (ko) 캔 화분
KR20200014607A (ko) 조경용 꽃볼
KR100597934B1 (ko) 자동급수 화분
KR200353414Y1 (ko) 화분 걸이 장치 및 화분 걸이 장치를 구비한 기둥
KR200246685Y1 (ko) 장식용 화분
KR200412712Y1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200355808Y1 (ko) 자동급수 화분
KR20120069857A (ko) 블럭화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화분장식장
KR100931564B1 (ko) 지주 부착용 화분
KR200427147Y1 (ko) 실내장식용 화분커버
KR100638742B1 (ko) 조경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