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055B1 - 장식용 이중 화분 - Google Patents

장식용 이중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055B1
KR100879055B1 KR1020070049029A KR20070049029A KR100879055B1 KR 100879055 B1 KR100879055 B1 KR 100879055B1 KR 1020070049029 A KR1020070049029 A KR 1020070049029A KR 20070049029 A KR20070049029 A KR 20070049029A KR 100879055 B1 KR100879055 B1 KR 100879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resent
outer cylinder
humidifier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485A (ko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희 filed Critical 박상희
Priority to KR102007004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05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이끼층, 부양토층, 색돌층, 색모래층 등의 장식재료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여 몸체의 외주면에 다양한 무늬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되 몸체를 외통과 내통으로 구분형성하여 장식에 사용되는 특정 장식재료를 외통과 내통의 사이에만 채우도록 하므로서 장식에 사용되는 특정 장식재료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식용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담겨진 색돌이나 색모래의 적층상태가 몸체의 외부에서 관측되도록 형성된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는 내부통의 외주면이 외부통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는 형태로 내부통과 외부통으로 구분형성되고, 내부통과 외부통의 사이에 담겨진 내용물이 외부통의 외측에서 관측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화분, 이중, 색모래, 꽃꽂이, 가습기

Description

장식용 이중 화분{Double flowerpot for decorating}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이중 화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이중 화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이중 화분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이중 화분의 사용상태도를 보인 정면도
도 6c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장식용 이중 화분의 대략적인 단면상태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에 꽃꽂이용 깔대기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에 가습기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이 장식된 상태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장식용 이중 화분 110 : 몸체
112 : 바닥면 114 : 결합돌기
116 : 홀더 120 : 외부통
130 : 내부통 140 : 장식공간
150 : 식재공간 160 : 배수구
170 : 심볼 또는 문구 180 : 꽃꽂이용 깔대기
182 : 저수부재 190 : 가습기
본 발명은 장식용 이중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이끼층, 부양토층, 색돌층, 색모래층 등의 장식재료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여 몸체의 외주면에 다양한 무늬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되 몸체를 외통과 내통으로 구분형성하여 장식에 사용되는 특정 장식재료를 외통과 내통의 사이에만 채우도록 하므로서 장식에 사용되는 특정 장식재료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식용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다.
장식용 화분이라 함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의 뿌리부분이 심어지는 일반적인 화분의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화분 몸체의 외주면이 형형색색의 무늬로 장식된 화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화분의 몸체는 식물의 뿌리부를 수용할 뿐만 아니라,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 및 수분의 공급과 배수를 위한 부양토, 모래 자갈 등이 담겨질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부양토의 표층에는 이끼와 같은 선태류 식물이 자라도록 하거나 각종 색상을 띠는 색돌 또는 색모래를 깔아 장식하는 경우가 있다.
더 나아가 장식용 화분은 부양토의 표층 뿐만이 아니라 부양토 하층에도 일정구간에 걸쳐 색돌이나 색모래를 적층시키고, 화분의 몸체 외부에서 색돌, 색모래, 부양토 등의 적층된 상태가 관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분의 몸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장식용 화분(10)의 몸체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특정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화분의 몸체 내부를 채우는 색돌, 색모래, 부양토의 적층순서 및 적층량에도 제한되지 않는 것이다. 즉, 화분을 가꾸는 관리자의 임의에 의해서 식물의 생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아주 다양한 형태로 꾸밀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장식용 화분의 경우에는 화분의 몸체가 하나의 통형상으로 구성됨으로서 화분의 몸체 내부에 채워지는 색돌 또는 색모래 등과 같은 오로지 장식에만 사용되는 장식용 부재의 소비량이 많아질 수 밖에 없었다. 색돌이나 색모래와 같은 장식용 부재는 일반적인 화분에도 공통적으로 담겨지는 부양토, 자갈, 모래에 비하여 별도의 추가 공정을 통해서 공급되기 때문에 공급단가가 상대적으로 비쌀 수밖에 없었으며, 결과적으로는 화원 등에서 공급되는 화분의 단가가 상승되 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가정 등에서도 화분을 관리하는 비용이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화분의 외주면을 다시 장식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뿌리부분을 화분의 몸체로부터 완전히 뽑아야만 했기 때문에 식물의 뿌리부분이 끊어지는 등의 폐해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이끼층, 부양토층, 색돌층, 색모래층 등의 장식재료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여 몸체의 외주면에 다양한 무늬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되 몸체를 외통과 내통으로 구분형성하여 장식에 사용되는 특정 장식재료를 외통과 내통의 사이에만 채우도록 하므로서 장식에 사용되는 특정 장식재료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식용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측면에 특정한 메세지의 전달을 위한 심볼이나 축하의 말을 표현하는 문양 또는 문구를 스티커 형식으로 붙이거나, 콜라주(collage) 기법을 통하여 주변과 구분되는 색상의 색모래를 이용하여 해당 문양 또는 문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장식용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식물이 심겨지는 몸체의 중앙부에 꽃꽂이용 깔대기 또는 가습기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여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식용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담겨진 색돌이나 색모래의 적층상태가 몸체의 외부에서 관측되도록 형성된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는 내부통의 외주면이 외부통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는 형태로 내부통과 외부통으로 구분형성되고, 내부통과 외부통의 사이에 담겨진 내용물이 외부통의 외측에서 관측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통의 내측 바닥면에 내부통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내부통과 외부통은 서로 분리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통과 내부통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몸체의 바닥면에 내부통 및 외부통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통의 내측면에 이미지화된 심볼이나 축하의 문구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심볼 또는 문구가 콜라주 기법에 의해 외부통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바른 후 색모래를 뿌려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몸체의 바닥면 내측 중앙부에 꽃꽂이용 깔대기 또는 가습기의 케이스가 추가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몸체의 바닥면 내측 중앙부에 꽃꽂이용 깔대기 또는 가습기의 케이스 하단 일부를 수용하는 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홀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가습기의 케이스가 상광하협한 역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측에는 물분자의 확산을 위한 확산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의 구성 및 사용 상태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이중 화분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이중 화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이중 화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을 지시하는 것으로, 상기한 장식용 이중 화분(100)은 그 명칭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그 몸체(110)가 외부통(120)과 내부통(130)을 가진 이중의 몸체로 구성된다. 특히, 외부통(120)의 내주면과 내부통(1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gap)이 유지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부통(120)과 내부통(130)의 벽사이에 마련된 장식공간(140)에는 화분의 외주면 장식을 위한 색돌이나 색모래가 채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부통과 내부통 사이의 장식공간(140)에만 색돌이나 색모래를 채우 도록 구성되므로서 색돌이나 색모래를 이용하여 화분의 외주면을 장식하였던 종래의 경우보다 화분의 몸체를 채우는 데 필요한 색돌이나 색모래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장식용 이중 화분(100)은 도 3a 및 도 3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통(120)과 내부통(130)이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시에 서로 결합시켜 사용하는 구조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통과 내부통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의하여 가급적이면 외부통(120)으로부터 내부통(130)이 분리되는 3a에 의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몸체(110)에 공급되는 물의 적절한 배출을 위한 배수구(16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배구수(160)는 도면에서와 같이 몸체의 바닥면(112) 중앙부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주변부에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몸체의 바닥면에 배구수(160)가 형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배수구(160)는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화분이 사용되는 상태에 따라서는 배수구의 형성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경우처럼 외부통(120)과 내부통(130) 사이에 공급된 물이 바닥면 중앙부에 마련된 배출구(160) 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수통로(162)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외부통(120)과 내부통(130)이 서로 분리 및 조립가능한 구조의 장식용 이중 화분(100)의 경우에는 외부통(120)의 정해진 위치에 내부통(130)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 기 위한 도 3a에서는 결합수단으로 몸체의 바닥면(112)에 내부통(130)의 하단부를 가두기 위한 결합돌기(114)가 소정 높이로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 결합돌기(114)는 내부통의 하단 전둘레를 가두는 환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b의 경우에는 내부통(130)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부통의 하단 주연부가 결합돌기(114)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14)의 도중에는 외부통과 내부통 사이에 공급된 물이 배출구(160) 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수통로(162)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 장식용 이중 화분(100)의 외부통(120) 및 내부통(130)의 구조는 단순한 컵 형상으로 표시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즉, 몸체의 상부 끝단부에 라운드 부분이 형성되거나, 몸체의 전체적인 구조가 다각형상을 이루어지거나, 몸체의 도중이 굴곡진 유선상으로 형성되는 식으로 당업자의 기술 수준에서 응용가능한 구조의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실시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100)은 합성수지재, 금속재를 포함한 종래기술에 의한 화분을 제작하는 데 이용되었던 모든 원재료의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외부통(120)과 내부통(130)의 높이는 서로 같게 형성되어도 되지만 어느 일측의 것이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장식용 화분이 축하 메세지의 전달에 많이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100)의 몸체(110)에는 보다 다양한 형태로 축하의 문구나 특정 심볼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이중 화분의 사용상태도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6c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장식용 이중 화분의 대략적인 단면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즉, 화분의 외부면에 특정한 이미지를 상징하는 심볼이나 문구를 새기거나, 메세지를 담은 문구가 인쇄된 리본을 매달아왔던 기존의 일반적인 방식 이외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외부통(120)의 내측면에서 특정 심볼 또는 문구(170)가 형상화된 스티커를 붙이거나 콜라주 기법을 이용한 심볼 또는 문구(170)가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스티커가 이용될 경우에는 별도로 제작 공급되는 스티커에서 해당 부분만을 떼어 붙이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콜라주 기법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심볼 또는 문구(170)가 새겨질 해당 부분에 먼저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색모래를 뿌리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7a 내지 도 7b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에 꽃꽂이용 깔대기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에 가습기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꽃꽂이용 깔대기(180) 또는 가습기(190)의 케이스(192)가 부착될 수 있도록 몸체(110)의 바닥면(112)에는 별도의 홀더(116)가 형성된다. 홀더(116)는 꽃꽂이용 깔대기(180) 또는 가습기(190)의 케이스 하단부 중 일부구간이 수용될 수 있는 구조의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꽃꽂이용 깔대기(180) 또는 가습기(190) 케이스는 반드시 화분의 몸체(110)에서 분리가능한 구조로 제작될 필요로 없는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꽂이용 깔대기(180)를 이용하여 꽃꽂이가 실시되는 경우에 꽃꽂이용 깔대기(180)의 내부 공간에는 일명 오아시스라고 불리우며 일정 시간 동안 물을 담고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저수부재(182)가 수용된다.
한편, 도 8a의 단면도 상에서 표시된 도면부호 190은 가습기를 지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100)에 적용되기 위한 해당 가습기(190)의 케이스(192)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상광하협한 역깔대기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기(190)의 케이스(192) 중간부에는 공급된 물을 수증기 형태의 입자로 변환시켜 주는 가습기 메인 유닛(194)이 수용되고, 가습기 메인 유닛(19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96) 등은 케이스 하측에 위치되는 배수구(160)를 통해서 배선된다.
가습기(190)의 케이스(192) 상단부에는 가습기 메인 유닛(194)으로부터 분무된 물분자들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일부 물입자들이 부딪쳐 커진 물입자는 다시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확산판(198)이 형성된다. 확산 판(198)은 그 주변부에 방사상의 형태로 연결된 리브(198a)들에 의해서 케이스(192)와 일체인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가습기 유닛을 대신하여 케이스 내부에는 조명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화분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꾸밀 수도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식용 이중 화분(100)을 이용하는 과정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장식용 이중 화분(100)을 이용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과정에서 식물의 뿌리부분은 내부통(130)에 마련된 식재공간(150)에 심겨지는데, 해당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은 종래의 일반적인 식재방식과 별 차이가 없이 이루어진다. 즉, 최하층에는 투수성이 우수한 자갈 등과 같은 입자가 큰 배수층이 형성되고, 그 상부층에는 모래 또는 마사토 등이 채워지고, 식물의 뿌리부분이 심겨지는 부분에는 해당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포함하며 함수율이 좋은 부양토 등으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색돌이나 색모래를 이용하여 화분의 외부통(120)을 장식하기 이전의 단계에서 화분의 표면에 이미지화된 특정의 심볼(예를 들어, 하트 모양)이나 특정한 축하 문구(예를 들어, 축 생일)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제작되어 공급된 스티커를 이용하거나, 해당 심볼이나 문구가 표시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색모래 혹은 가루화된 색돌을 뿌리는 방식의 콜라주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심볼 또는 문구(170)를 표시한 후에는 장식용 이중 화분(100)의 외주면을 본격적으로 장식하기 위해서 미리 준비된 다양한 색상의 색돌 또는 색모래로써 외부통(120)과 내부통(130) 사이에 마련된 벽사이 장식공간(140)을 도 9에 도시된 예의 경우와 같이 채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채워지는 색돌이나 색모래의 양을 달리하거나 그 적층되는 순서를 달리하면서 형형색색의 보다 다양한 외형을 가진 화분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외부통(120)과 내부통(130) 사이의 장식공간(140)에는 반드시 색돌이나 색모래만이 채워지는 것은 아니다. 즉, 일반적인 자갈이나 모래 등과 함께 외부통(120)과 내부통(130) 사이의 장식공간(140)에 채워져 장식될 수 있는 재료에는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다. 특히, 색돌이나 색모래 등과 같은 장식용 부재는 외부통(120)과 내부통(130) 사이의 장식공간(140)을 채울 정도의 양만이 필요하게 되므로서 장식용 부재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색돌이나 색모래를 이용하여 이미 꾸며진 화분의 외주면을 다시 장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식물이 식재된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외부통(120)과 내부통(130) 사이에 채워진 색돌이나 색모래의 적층만을 다시 실시할 수 있으므로서 전체의 분갈이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즉, 식물이 식재된 내부통(130)을 외부통(120)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외부통(120)과 내부통(130) 사이에 채워졌던 기존의 색돌이나 색모래를 수거한 후, 내부통(130)을 외부통(1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사이의 장식공간(140)에 장식에 필요한 색돌이나 색모래를 원하는 상태로 채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분의 외주면을 다시 장식하기 위해서 식재공간(150)에 심겨진 식물의 뿌리부분을 뽑아내지 않아도 되므로서 식물에 끼치는 영향을 크 게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꽃꽂이용 깔대기(180)를 끼워 식물이 식재된 중간부분에는 꽃꽂이를 실시하여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기(190) 또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내부통(130) 및 외부통(120)으로 공급된 물은 배수구(160) 및 배수통로(162)를 통해서 배출이 이루어지므로서 식재공간(150)에 심겨진 식물의 뿌리가 보다 건강한 상태로 자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공간(140)에 위치된 색돌이나 색모래에 의한 연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의 장식을 위해서 사용되는 색돌이나 색모래 등의 장식용 부재의 사용량이 크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이미 꾸면진 장식용 화분을 재장식하는 경우에도 식물의 뿌리부분이 심어진 부분에는 손을 대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통과 내부통 사이에 적층된 장식용 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서 식물의 뿌리부분의 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이중 화분은 꽃꽂이용 깔대기 또는 가습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서 보다 다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내부에 담겨진 색돌이나 색모래의 적층 상태가 몸체의 외부에서 관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내부통의 외주면이 외부통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는 형태로 내부통과 외부통으로 구분형성되며, 내부통과 외부통 사이에 담겨진 내용물이 외부통의 외측에서 관측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면 내측 중앙부에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에 탈부착되는 가습기 케이스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가습기 케이스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역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습기 케이스 내에 가습기 메인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가습기 케이스 상부측에 상기 가습기 메인유닛에서 분무된 물분자의 확산을 위한 확산판이 리브들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이중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70049029A 2007-05-21 2007-05-21 장식용 이중 화분 KR100879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029A KR100879055B1 (ko) 2007-05-21 2007-05-21 장식용 이중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029A KR100879055B1 (ko) 2007-05-21 2007-05-21 장식용 이중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485A KR20080102485A (ko) 2008-11-26
KR100879055B1 true KR100879055B1 (ko) 2009-01-15

Family

ID=4028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029A KR100879055B1 (ko) 2007-05-21 2007-05-21 장식용 이중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224B1 (ko) * 2009-03-09 2009-09-16 주식회사 디브이씨 인테리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KR101246648B1 (ko) * 2011-03-10 2013-03-25 이승주 이중 화분
KR200470339Y1 (ko) * 2013-09-16 2013-12-09 (주)에듀케이션아이코퍼레이션 화병 겸용 화분
KR101973274B1 (ko) * 2017-09-28 2019-04-26 이성해 테라리움 화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935Y1 (ko) * 2001-02-09 2001-09-25 최순철 꽃 포장 겸용 꽃꽂이 재배용기
KR200274703Y1 (ko) * 2002-02-19 2002-05-04 이재진 통풍과 미관을 고려한 이중벽 화분
KR20050006011A (ko) * 2003-07-08 2005-01-15 김경일 누드화분
KR100626998B1 (ko) * 2005-05-09 2006-09-25 공영근 장식용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935Y1 (ko) * 2001-02-09 2001-09-25 최순철 꽃 포장 겸용 꽃꽂이 재배용기
KR200274703Y1 (ko) * 2002-02-19 2002-05-04 이재진 통풍과 미관을 고려한 이중벽 화분
KR20050006011A (ko) * 2003-07-08 2005-01-15 김경일 누드화분
KR100626998B1 (ko) * 2005-05-09 2006-09-25 공영근 장식용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485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9523A (en) Plant holder and watering device for potted plants
KR100879055B1 (ko) 장식용 이중 화분
KR100653790B1 (ko)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컬러블록화분세트
CN214628358U (zh) 一种室内多肉植物栽植用石笼花盆
KR102435788B1 (ko) 조립식 디자인 화분
KR100852425B1 (ko) 화분용 식재구조
CN209390730U (zh) 一种挂墙式组合花盆
KR20220154877A (ko) 다기능성 화분
KR101140073B1 (ko) 일회용 컵을 활용한 화분
KR200404181Y1 (ko) 반투명 화분
KR200303931Y1 (ko) 건축물 실내 기둥 장식용 화분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KR200182370Y1 (ko) 다방향 식재가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050077576A (ko) 기능성 화분
CN214902389U (zh) 一种漂浮花盆
CN203968779U (zh) 一字型屏风花盆
CN214593089U (zh) 攀岩式种植用的花盆
WO2008009201A1 (fr) Pot de fleurs d'ornement en pierre de cristal
CN211833779U (zh) 一种新型花瓶
CN209057632U (zh) 一种用于盆栽定时浇水的陶瓷工艺品
CN207135648U (zh) 一种花盆套
KR200369971Y1 (ko) 이중화분
CN205727467U (zh) 保水剂水培植物环形吊灯
KR200393055Y1 (ko) 화분
CN207219494U (zh) 一种可扩容的花卉苗木培育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