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648B1 - 이중 화분 - Google Patents

이중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648B1
KR101246648B1 KR1020110021233A KR20110021233A KR101246648B1 KR 101246648 B1 KR101246648 B1 KR 101246648B1 KR 1020110021233 A KR1020110021233 A KR 1020110021233A KR 20110021233 A KR20110021233 A KR 20110021233A KR 101246648 B1 KR101246648 B1 KR 10124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er
shell
endothelial
decorative film
po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149A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이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주 filed Critical 이승주
Priority to KR102011002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6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29C45/14016Intermittently feeding endless articles, e.g. transfer films, 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며 화분 내피를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분리 구성하여 조립한 화분 내피의 외면에는 장식 필름을 접착시키고, 화분 외피 금형에 인서트 시켜서 화분 외피를 사출 성형한 이중 화분을 제공하며 화분 외면의 문양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하고 연출된 디자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분 내피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분리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된 화분 내피의 외면에는 장식 필름을 접착시키고, 화분 외피 금형에 인서트 시켜서 화분 내피와 화분 외피를 일체가 되도록 성형 제조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은 화분 내피의 색상이 바탕색이 되고, 장식 필름의 디자인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화분 외피를 통하여 연출된다.
상기 화분 외피를 연질소재로 하게 되면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이 방지되고, 화분 내피와 장식 필름의 디자인을 보호하게 되므로 미려하게 되어 실내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분 내피와 화분 외피는 일체형으로 제조되므로 견고하여 장구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중 화분{A double flowerpot}
본 발명은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며 화분 내피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분리되게 하여 조립으로 구성하고, 조립된 상기 화분 내피 외면에 장식용 필름을 접착시킨 다음 화분 외피 제조금형에 인서트 시켜서 일체로 성형하여서 다양한 디자인의 이중 화분을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화초(초화, 관엽 등)를 실내에서 재배할 때에는 화분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화분은 금속재, 합성수지재, 도기재, 목재 등을 소재로 하여 다양하게 제조되며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으로 하고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구비되고 있고, 도기재의 경우에는 화분 외면에 각종 문양을 그려서 유약을 바른 후 소성로에 구워서 제조되고, 합성수지재의 경우에는 사출 성형금형에 액상수지를 고압으로 주입시켜서 성형하고 냉각시켜 제조하며, 화분 외면에 각종 문양이 인쇄된 장식 필름을 가열접착 하거나 바인더(접착제)로 접착하여 색상과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하게 된다.
상기에서 합성수지재 화분은 외면 장식 필름이 태양광에 노출되면 색상이 변색되고, 또 표면 마찰에 의해서 장식 필름이 벗겨져 디자인이 손상되는 결점과, 부딪히게 되면 파손되는 결점이 있다.
또 소재는 합성수지로 하고 화분 내피와 화분 외피를 분리 구성하고, 이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이중 화분도 알려지고 있으나, 상기 이중 화분은 화분 내피와 화분 외피 사이에 공간을 두고 상기 공간에 장식 필름(종이류 포함)을 끼워서 장식 필름의 색상이 화분 외피를 통하여 연출되게 하거나, 또는 화분 외피와 화분 내피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유통되게 하여 흙에 공기가 유입하게 하거나 용수를 저장하여 상기 용수가 화분의 흙에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외부로 발산하여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이중 화분이 알려지고 있다.
또 다른 수단으로는 화분의 외면에 투명 소재를 도포시켜서 피막이 형성되도록 코팅하여 화분에 구비한 디자인을 보호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을 코팅하여 외면을 장식하는 기능의 이중 화분도 알려지고 있으나, 1차 성형한 화분 내피를 화분 외피의 제조금형에 인서트 시켜서 2차 성형하여 한 몸통이 되게 제조하며, 화분 내피에 다양한 색상이나 디자인이 화분 외피에서 연출되게 하고 외부 충격에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의 이중 화분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상기 지적에 관련한 종래의 이중 화분은 아래와 같다.
·실용신안등록제170421호(공고일자 : 2002. 02. 15.)
·실용신안등록제242446호(공고일자 : 2001. 10. 15.)
·실용신안등록제278171호(공고일자 : 2002. 06. 20.)
·실용신안등록제369970호(공고일자 : 2004. 12. 09.)
·실용신안등록제369971호(공고일자 : 2004. 12. 09.)
·실용신안등록제390130호(공고일자 : 2005. 07. 18.)
·특허등록제879055호(공고일자 : 2009. 01. 15.)
본 발명은 상기 지적과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화분 내피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분리하여 조립 구성하고, 상기 화분 내피의 외면에는 문양이 인쇄된 장식 필름을 접착하고, 상기 화분 내피를 화분 외피 제조금형에 인서트 시켜서 연질이고 투명 소재인 수지재로 2차 성형시켜서 일체로 제조하여 화분 내피의 색상과 장식필름의 문양이 화분 외피로 연출되도록 하고, 완충기능으로 파손이 없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발명은 화분 내피(1)와, 장식 필름(2)과, 화분 외피(3)로 구성되는 이중 화분에 있어서 도1 및 도7과 같이 화분 내피(1)는 바닥체(10)와, 중간체(11)와, 상체(12)로 분리하고, 상기 중간체(11) 하부와 상체(12) 하부에는 단턱(13)을 구비하거나, 또는 도4와 같이 좌 내피(14)와 우 내피(15)로 분리하고, 좌우 내피(14)(15)의 분리된 변부에는 상호 대응되는 걸림턱(16)(16a)을 구비하여 도2와 같이 상기 바닥체(10)는 상기 중간체(11) 하부의 단턱(13)과 조립하고, 중간체(11) 상부는 상체(12) 하부의 단턱(13)과 조립하거나 또는 도5와 같이 좌 내피(14)의 변부에 구비된 걸림턱(16)에는 우 내피(15)의 변부 걸림턱(16a)으로 조립하여서 화분 내피(1)를 구성하고, 상기 화분 내피(1)의 외면에는 도안이 인쇄된 장식 필름(2)을 바인더(접착제)로 접착하고, 상기 장식 필름(2)이 접착된 화분 내피(1)를 화분 외피 성형 금형에 인서트 시키고, 도3 및 도6과 같이 화분 내피(1) 외면에 화분 외피(3)가 구비되게 연질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서 일체형으로 된 이중 화분이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분 내피는 분리 구성되므로 색상을 다르게 하면 상하 또는 좌우의 색상이 다른 화분을 제조할 수 있게 되고, 또 화분 내피 외면에는 장식 필름을 접착시키고 투명 되거나 반투명의 화분 외피를 구비하게 되면 화분 내피는 바탕색이 되고, 장식 필름의 디자인이 화분 외피를 통하여 그대로 연출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 화분 외피를 연질 합성수지재로 성형하게 되면 장식 필름을 보호하면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게 되어 파손을 예방하고 장구히 사용할 수 있게 되고 2단계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므로 견고하고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화분 내피를 횡방향으로 분리한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 화분 내피를 외면에 장식 필름을 위치시킨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 화분 내피와 화분 외피를 일체로 성형한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 화분 내피를 종방향으로 분리한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 화분 내피 외면에 장식 필름을 위치시킨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 화분 내피와 화분 외피를 일체로 성형한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분 내피(1)와, 장식 필름(2)과, 화분 외피(3)로 구성되는 이중 화분에 있어서 도1 및 도7과 같이 화분 내피(1)는 바닥체(10)와, 중간체(11)와, 상체(12)로 분리하고, 상기 중간체(11) 하부와 상체(12) 하부에는 단턱(13)을 구비하거나, 또는 도4와 같이 좌 내피(14)와 우 내피(15)로 분리하고, 분리된 변부에는 상호 대응되는 걸림턱(16)(16a)이 구비하여 구성하며, 상기 화분 내피(1)는 바닥체(10)와, 중간체(11)와, 상체(12) 또는 좌 내피(14)와 우 내피(15)를 제조하는 금형에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게 되면 양산제조가 가능하고, 소재의 색상을 다르게 하면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화분 내피(1)는 바닥체(10)와, 중간체(11)와, 상체(12)로 분리된 경우에는 도2와 같이 바닥체(10)에는 중간체(11) 하방의 단턱(13)으로 조립하고, 중간체(11) 위에는 상체(12) 하방의 단턱(13)으로 조립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도5와 같이 좌 내피(14)와 우 내피(15)를 대향시키고 분리된 변부의 걸림턱(16)(16a)을 결합시켜서 구성된다.
상기 화분 내피(1)는 횡방향으로 상하 3개층으로 구성되나, 더 많은 층수로 나누어 성형 제조하게 되면 색상을 다색으로 할 수 있고, 종방향인 좌우 내피(14)(15)를 더 많은 수량으로 나누면 색상을 다색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화분 내피(1)의 외면에는 도3 및 도5와 같이 도안 된 장식 필름(2)을 바인더를 이용하여 접착하고, 화분 외피(3) 제조금형에 인서트 시키고, 상기 화분 내피(1) 및 장식 필름(2) 외면에 합성수지소재로 사출 성형하게 되면 화분 내피(1)와 장식 필름(2)과 화분 외피(3)는 일체로 구성되는 이중 화분이 제조된다.
상기 이중 화분에서 화분 외피(3)의 소재를 투명이나 반투명 소재로 하게 되면 화분 내피(1)의 색상은 바탕색이 되고, 장식 필름(2)의 디자인이 화분 외피(3)를 통하여 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화분 외피(3)의 소재를 연질소재로 하게 되면 충격을 완충할 수 있게 되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화분 내피(1)와 장식 필름(2)의 변색과 손상도 예방된다.
상기 화분 내피(1)의 외면에 부착하는 장식 필름(2) 대용으로 입체적인 디자인의 부품을 바인더(접착제)로 부착하여 장식하거나, 바인더를 도포시킨 표면에 장식 물질을 뿌려서 장식하거나 또는 그려서 장식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이중화분은 화분 내피(1)와, 장식 필름(2)과, 화분 외피(3)는 별개이나 동일 소재로 사용하게 되면 사용 수명이 완료되어 폐기하게 되더라도 소재가 동일하여 자원소재로 반복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화분 내피(1)는 금속재 등의 소재로 하고, 화분 외피(3)는 합성수지재로 소재를 다르게 하게 되더라도 디자인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고 폐기시에는 분리하여 소재별로 자원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분 내피(1)를 상하 분리하여 블럭 형태로 하여 상하 적층 조립하거나, 또는 좌우 분리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색상을 다르게 제조하여 조립하게 되면 다양한 색상의 화분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화분 내피를 화분 외피 제조금형에 인서트 시켜서 일체가 되게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게 되면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갖는 이중 화분을 제조할 수 있고 실내의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화초를 식재하는 화분은 물론 다기, 용기, 식기 등에서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1 : 화분 내피 2 : 장식 필름
3 : 화분 외피 10 : 바닥체
11 : 중간체 12 : 상체
13 : 단턱 14 : 좌 내피
15 : 우 내피 16, 16a : 걸림턱

Claims (3)

  1. 삭제
  2. 화분 내피(1)는 종 또는 횡으로 분리 구성하여서 조립하고, 조립된 화분 내피(1)의 외면에는 장식 필름(2)을 접착시키고, 상기 화분 내피(1)를 화분 외피 제조금형에 인서트 시켜서 화분 외피(3)를 사출 성형하여 화분 내피(1)와 화분 외피(3)를 일체형으로 한 이중 화분에 있어서 화분 내피(1)는 바닥체(10)와, 중간체(11)와, 상체(12)로 분리하고, 상기 중간체(11) 및 상체(12) 하부에는 단턱(13)을 구비하고, 바닥체(10) 상부에는 중간체(11) 하부의 단턱(13)과 조립하고, 중간체(11) 상부는 상체(12) 하부 단턱(13)에 끼워지게 적층으로 조립하여 구성한 화분 내피(1) 외면에는 장식 필름(2)을 접착시키고, 화분 외피 제조금형에 인서트 시켜서 화분 외피(3)와 일체형이 되게 성형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화분 내피(1)는 좌 내피(14)와 우 내피(15)로 분리하고, 상기 좌우 내피(14)(15)의 분리된 변부에는 상호 대응되는 걸림턱(16)(16a)을 구비하여서 조립한 화분 내피(1)의 외면에는 장식 필름(2)을 접착시키고 화분 외피 제조금형에 인서트 시켜서 화분 외피(3)와 일체형이 되게 성형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 화분
KR1020110021233A 2011-03-10 2011-03-10 이중 화분 KR101246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33A KR101246648B1 (ko) 2011-03-10 2011-03-10 이중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33A KR101246648B1 (ko) 2011-03-10 2011-03-10 이중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49A KR20120103149A (ko) 2012-09-19
KR101246648B1 true KR101246648B1 (ko) 2013-03-25

Family

ID=4711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233A KR101246648B1 (ko) 2011-03-10 2011-03-10 이중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002430U1 (de) * 2017-05-09 2017-06-07 Pöppelmann Holding GmbH & Co. KG Pflanzenbehälter mit Wasserüberlauföff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808A (ja) * 1999-05-28 2000-12-05 Kantoh Plastic Industry Co Ltd 環状オレフィンポリマー製食器
KR20080102485A (ko) * 2007-05-21 2008-11-26 박상희 장식용 이중 화분
KR20100002962U (ko) * 2008-09-05 2010-03-15 이재성 수경화분의 분리형 수조
KR100987000B1 (ko) * 2010-01-28 2010-10-11 이관준 압축성형 코이어 망사포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808A (ja) * 1999-05-28 2000-12-05 Kantoh Plastic Industry Co Ltd 環状オレフィンポリマー製食器
KR20080102485A (ko) * 2007-05-21 2008-11-26 박상희 장식용 이중 화분
KR20100002962U (ko) * 2008-09-05 2010-03-15 이재성 수경화분의 분리형 수조
KR100987000B1 (ko) * 2010-01-28 2010-10-11 이관준 압축성형 코이어 망사포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49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211693Y (zh) 一种由三个有透气性能的盆型容器套装成的蓄水、保湿花盆
KR101246648B1 (ko) 이중 화분
US20160345509A1 (en) Outdoor planter with open bottom and removable cap
CN205577290U (zh) 一种墙面装饰用建筑装饰板
CN202750527U (zh) 一种自动吸水式花盆
KR101381510B1 (ko) 외면 장식 화분
KR100582270B1 (ko) 벽걸이형 화분의 제작방법
KR101140073B1 (ko) 일회용 컵을 활용한 화분
KR20130098581A (ko) 화분
CN202005171U (zh) 贴珠花盆
CN2865256Y (zh) 一种原木工艺花盆
KR102650394B1 (ko)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화분
JP3194240U (ja) プリザーブド植物を利用した盆栽、及び同盆栽用の鉢
CN214593089U (zh) 攀岩式种植用的花盆
CN206380369U (zh) 立体园艺花盆
JP3206143U (ja) 美術工芸品
CN211280463U (zh) 一种五谷工艺装饰画
CN201869603U (zh) 有衬托装置的花盆
CN2474360Y (zh) 一种石头形仿真陶瓷花盆
CN210840799U (zh) 一种兰花种植盆
KR100460395B1 (ko) 거리와 주변장식용 화분 및 그 제조방법
CN207754176U (zh) 一种用于种植萱草的葫芦容器
KR100556543B1 (ko)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CN2496683Y (zh) 一种仿真树头陶瓷花盆
CN203387998U (zh) 可降解环保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