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196U -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 Google Patents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196U
KR20080002196U KR2020060032354U KR20060032354U KR20080002196U KR 20080002196 U KR20080002196 U KR 20080002196U KR 2020060032354 U KR2020060032354 U KR 2020060032354U KR 20060032354 U KR20060032354 U KR 20060032354U KR 20080002196 U KR20080002196 U KR 200800021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potted
hole
water tank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테크
Priority to KR2020060032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196U/ko
Publication of KR20080002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1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화분 구조물은 상부가는 개방되어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의 중심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보다 작은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화분 몸체와, 이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일정거리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계단 턱, 및 상기 화분 몸체의 하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저수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물받침이 필요없는 일체형 화분으로 제작하면서 엎어져도 저수조의 물이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효과 및 화분 크기를 소형으로 할 수 있어 책상이나 자동차 용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이용가능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화분, 저수조, 결합부, 계단턱, 관통홀, 중공부

Description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flowerpot structure with water reservoir}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화분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화분, 12 : 화분 몸체,
14 : 저수조, 16 : 수용부,
20 : 관통홀, 22 : 결합부,
24 : 계단 턱, 32 : 중공부
본 고안은 화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수조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엎어져도 저수조의 물이 외부로 누출이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미려함이 증대될 수 있는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들은 내부에 배양토만 수장되도록 되어 있어 배양토에 식수된 씨앗이나 꽃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항상 일정 간격으로 물을 공급해야한다.
이에 따라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화분 등을 개발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화분은 대개가 대형 화분에 사용되며, 그 구성이 복잡하고 크기가 대형이므로 미관이 수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형의 화분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물 공급시 과도한 물주기는 화분 저부에 위치한 배수구를 통해 물받침에 저장되거나 넘쳐 흐르며 이러한 물받침에 담겨진 물은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저수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물받침이 필요없는 일체형 화분으로 제작하면서 엎어져도 저수조의 물이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미려함이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은, 상부는 개방되어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의 중심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보다 작은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화분 몸체와, 이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일정거리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계단 턱, 및 상기 화분 몸체의 하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분 몸체는 불투명하고 상기 저수조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화분 몸체의 수용부에 식물을 식재한 후 투명재질의 뚜껑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화분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 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은 상부가 화분인 화분 몸체(12)와 하부가 물통인 저수조(14)로 구분된다.
상기 화분 몸체(12)는 상부가 개방되어 수용부(16)가 형성되고, 하부의 중심부는 상기 수용부(16)의 상부보다 작은 크기의 관통홀(20)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이때 상기 화분 몸체(12)는 원통 형상이 아니라 다각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화분 몸체(12)의 하단에는 상기 관통홀(20)을 중심으로 일정거리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는 계단 턱(24)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계단 턱을 2개 이상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계단 턱(24)의 형성은 상기 몸체(12)가 엎어져도 후술할 저수조(14)의 물이 상기 관통홀(2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일조하기 위함이다.
상기 저수조(14)는 상기 화분 몸체(12)의 하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도 1 에서는 상기 몸체(12)의 결합부(22)에 상기 저수조(14)의 상부를 압입시켜 결합하였으나 나사산 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상기 화분 몸체(12)는 불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데 이는 상기 수용부(16)에 식재되는 식물의 성장을 도와주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저수조(14)는 투명재질로 형성시킨다.
투명재질의 저수조(14)를 이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미려감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작은 물고기 등을 사육시킬 수 있는 어항으로도 활용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저수조(14)의 청소는 상기 몸체(12)와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쉽게 청소가 이루어 지게 된다.
또한 상기 화분 몸체의 수용부(16)에 식물을 식재하고 투명재질의 뚜껑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도면에는 생략하였지만 상기 화분(10)에 식재되는 식물에 따라 노끈 등을 이용한 심지를 사용하여 상기 저수조(14)에서 식재되는 식물로 수분을 유입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 3 에 따른 실시예는 몸체(12)의 주변 둘레를 내벽과 외벽으로 구분될 수 있게 중공부(32)를 형성한 것으로 보다 가볍고 제조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저수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물받침이 필요없는 일체형 화분으로 제작하면서 엎어져도 저수조의 물이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효과 및 화분 크기를 소형으로 할 수 있어 책상이나 자동차 용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이용가능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어 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의 중심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보다 작은 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화분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일정거리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계단 턱; 및
    상기 화분 몸체의 하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몸체는 불투명하고 상기 저수조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몸체의 수용부에는 식물을 식재하고 투명재질의 뚜껑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KR2020060032354U 2006-12-22 2006-12-22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KR200800021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54U KR20080002196U (ko) 2006-12-22 2006-12-22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354U KR20080002196U (ko) 2006-12-22 2006-12-22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196U true KR20080002196U (ko) 2008-06-26

Family

ID=4132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354U KR20080002196U (ko) 2006-12-22 2006-12-22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19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08Y1 (ko) 2008-04-01 2010-12-08 심동복 수관 파이프
FR3138024A1 (fr) * 2022-07-24 2024-01-26 Luo Module pour jardin vertic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08Y1 (ko) 2008-04-01 2010-12-08 심동복 수관 파이프
FR3138024A1 (fr) * 2022-07-24 2024-01-26 Luo Module pour jardin vertical.
WO2024022942A1 (fr) * 2022-07-24 2024-02-01 Luo Module pour jardin vertic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714Y1 (ko) 돌출부 및 급수구가 형성된 이중 화분
CN108064601A (zh) 一种新型盆栽花盆
JP4898161B2 (ja) 植木鉢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KR200278171Y1 (ko) 이중화분
CN205511365U (zh) 一种桌摆补光种植盒
CN201138958Y (zh) 节水免浇花盆
JP2007068524A (ja) 植物への液体補給装置
CN209676927U (zh) 一种自动补水花盆和一种带水位指示的蓄水花盆
CN206776182U (zh) 一种植物种植盆
KR200395445Y1 (ko) 어항용 받침분이 구비된 농작물재배화분
CN214902389U (zh) 一种漂浮花盆
KR20100136623A (ko) 화분
KR200493686Y1 (ko) 화분 키트
CN207692486U (zh) 一种相框花盆
KR200381974Y1 (ko) 일체형 화분
KR200267191Y1 (ko) 자동으로 물주기 하는 화분
KR200416497Y1 (ko) 상부에 표시 수단을 구비한 이중 화분
KR200348057Y1 (ko) 물받침대가 필요없는 화분
KR20040075677A (ko) 풍란재배 화병 및 그 제조방법
CN205611159U (zh) 一种花卉工具套件
JP3106137U (ja) 底面給水用の園芸鉢
KR20150012390A (ko) 물이 넘쳐 흐르지 않는 화분
KR20140104276A (ko) 난 재배용 화분
KR20050006011A (ko) 누드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