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154B1 - 모듈형 식물재배기 - Google Patents

모듈형 식물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154B1
KR101548154B1 KR1020130058438A KR20130058438A KR101548154B1 KR 101548154 B1 KR101548154 B1 KR 101548154B1 KR 1020130058438 A KR1020130058438 A KR 1020130058438A KR 20130058438 A KR20130058438 A KR 20130058438A KR 101548154 B1 KR101548154 B1 KR 101548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se
pollen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654A (ko
Inventor
우태하
우동하
서정민
김세은
Original Assignee
(주)오믹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믹시스 filed Critical (주)오믹시스
Priority to KR102013005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15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된 수분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물을 흡습하도록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에 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워터 챔버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배치되며, 수분 도입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타워; 및 복수의 화분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화분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하단 플레이트, 상기 수분 도입부에 탈착되도록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며, 공급되는 수분이 상기 수분 도입부에 형성된 제1워터채널, 상기 베이스 타워와 상기 화분 유닛 사이에 형성된 간극 공간부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 챔버에 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콤팩트한 구조의 모듈화된 화분에 다양한 식물을 기를 수 있고, 수분 보충공급이 용이하며, 저수된 물을 워터 챔버로부터 화분 유닛으로 지속적으로 토양에 공급하므로 관리상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식물재배기{Modular Plant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수경재배, 관상식물 재배, 새싹채소 또는 종자(씨앗) 발아 등을 위한 콤팩트한 구조의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양한 식물들을 모듈화된 화분 유닛에 재배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에 관한다.
일반적으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은 하단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물(수분)을 공급하면, 일정량의 물은 토양에 침투되나, 나머지 물은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지나치게 많은 수분을 공급하였을 경우에는 식재의 뿌리가 썩을 뿐만 아니라, 화분 받침 등에 수분이 고여있게 되어, 미생물 오염이나 악취를 발생시키며 미관을 해치게 된다.
한편, 여러 종류의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화분을 별도로 구입할 경우, 화분의 형상으로 인해 공간 점유도가 높아 효율적이지 않다.
설령, 큰 화분에 여러 종류의 식물을 일괄적으로 재배한다고 하더라도, 각 식물마다 필요한 수분의 양이 다르므로, 효과적으로 식물재배를 할 수 없다. 또한, 화분을 옮길 때에도 큰 화분은 무게가 상당하여 화분 이동시 어려움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10781호(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5475호(다용도 화분) 등에서는 물을 연속적으로 자동공급하는 수분공급 심지를 사용한 바 있다. 이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물받이 외의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오염을 차단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45781(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에서는 단위 화분에 걸쇠를 형성하여 프레임의 수평부재에 걸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한 조립식 입체화분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들은 다양한 식물들을 함께 기르기 위한 콤팩트한 구조가 아니거나, 저수된 수분을 자동공급 받을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부재의 사출성형시 비용 상승이 초래되고, 심미감도 좋지 아니하다. 게다가, 실내에서 가꾸는 경우 채광이 부족하여 별도의 조명수단을 독립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요구되는 점유공간이 커지며, 다수의 화분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0781호 (2012.10.1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5475호 (2011.12.1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5781호 (2004.06.02.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i)수분의 보충이 용이하고, ii)저장된 수분이 화분 유닛으로 자동공급되도록 하는 식물재배기로서, iii)최소의 부재로 이루어져 비용절감이 가능하며, iv)콤팩트한 형상으로 공간 활용도가 탁월한 식물재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v)화분 유닛들은 자체적으로도 화분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복수개가 조합될 경우, 조합에 의한 효과가 발휘되도록 하며, vi)수분이 과공급되어 넘치지 않도록 하며,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 또는 해충들이 서식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를 취하는 식물재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는, vii)별도의 부재(예:조명수단) 등을 확장사용할 수 있는 구조 또는 viii)식물재배기의 방향전환이 용이한 구조의 모듈형 식물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워터 챔버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배치되며, 수분 도입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타워; 및 복수의 화분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화분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된 하단 플레이트, 상기 수분 도입부에 탈착되도록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며, 공급되는 수분이 상기 수분 도입부에 형성된 제1워터채널, 상기 베이스 타워와 상기 화분 유닛 사이에 형성된 간극 공간부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 챔버에 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분 도입부는 유입 저면, 상기 유입 저면의 둘레에 형성된 끼움벽 및 상기 제1워터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흡수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워터챔버로부터 화분 유닛으로 수분을 자동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는 제2워터채널을 형성하거나, 상부에 소정 면적의 도입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분 도입부의 상부에는 추가적으로 조명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베이스의 하면에는 회전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 유닛들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중앙 상부로부터 물을 낙수시켜 수분을 저수시킬 수 있다. 즉, 화분 유닛, 베이스 타워에 각각 형성된 워터채널을 경유하여 워터 챔버에 수분을 저수할 수 있으므로, 수분 보충시 편의성을 제공한다. 특히, 볼록부재, 도입곡면을 포함하는 수분 도입부의 구성은 낙수시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명수단 등의 추가적인 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하는 확장성이 있다.
또한, 저수된 수분은 삼투압 원리를 이용하여 수분공급용 심지를 통해 워터 챔버로부터 화분 유닛으로 침투되어 자동공급되므로, 식물의 고사를 방지하고, 주기적인 관리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듈화된 화분 유닛들을 이용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다양한 씨앗채소 또는 식물들을 재배할 수 있다. 특히, 방사형으로 화분 유닛들을 배열할 경우, 콤팩트하면서 최소화된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취향에 따라 화분 유닛의 배치를 원하는대로 재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의 각도 전환이 용이하다.
모듈화된 화분 유닛은 동일 부피의 일체형 화분에 비하여, 내구성 및 지지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이 용이하다. 특히, 모듈된 화분 유닛의 걸이부는 이러한 걸이부가 끼워질 수 있는 여타의 사물과 호환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화분 유닛들을 워터 챔버로부터 이격시키고, 제1지지부 둘레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할 경우,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차단하고,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화분 유닛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경우라도, 워터 챔버에 재차 저수되므로 수분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1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100) 및 베이스 타워(3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화분 유닛(500)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화분 유닛(500)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부분 확대도로서 실물 사진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10)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수분 도입부(320)의 실물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분이 공급되는 경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격부재(548)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10)의 실물사진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수단(800)의 하면을 나타내는 실물사진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명수단(900)이 부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의 상세한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1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10)는 베이스(100), 베이스 타워(3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분 유닛(500)을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공급된 물(수분)을 소정량 저수할 수 있는 워터 챔버(12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의 중심에 배치되는 베이스 타워(300)의 상단에는 수분이 공급되는 수분 도입부(320)가 구비된다. 화분 유닛(500)의 일측에는 도 1과 같이, 수분 도입부(320)에 탈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걸이부(540)가 구비되고, 도 3을 참조하면, 화분 유닛(500)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527a)이 형성된 하단 플레이트(527)가 구비된다.
수분 도입부(3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워터채널(328)이 형성되어 공급된 수분이 워터 챔버(120)로 흘러갈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타워(300)와 화분 유닛(500)의 조립시, 그 사이에 이격 공간인 간극 공간부(A1, 도 6 참조)가 형성됨으로써, 제1워터채널(328)을 경유한 수분이 워터 챔버(120)로 흘러가는 중간 경로로 활용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들의 세부 사항과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이스(100) 및 베이스 타워(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로서 베이스(100)는 맨 하단의 베이스 바닥면(122)과 베이스 바닥면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내측 외벽(124)에 의하여 상측으로 개구된 워터 챔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베이스(100)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화분 유닛(500)의 컨테이너 배면(524, 도 3 참조)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뿐만 아니라 다각형의 형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워터 챔버(120)의 둘레에는 제1지지부(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지지부(140)는 일실시예로서, 베이스(100)의 내측 외벽(124)로부터 절곡되는 제1지지부 면(142)과, 제1지지부 면(142)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 외벽(144)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0) 전부 및/또는 제1지지부(140)의 외측 외벽(144)을 투명한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공급되는 수분의 양을 육안으로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베이스 타워(300)의 하측에는 제2지지부(34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한 일실시예에서는, 제2지지부(340)는 수분 도입부(320)의 직경보다는 더 크게 구비된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2지지부(340)은 베이스 바닥면(122)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워터 챔버(120)를 형성하기 위한 제2지지부 벽(344) 및 제2지지부 벽(344)으로부터 절곡되어 소정 단차로 형성된 제2지지부 면(34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지지부(140) 및/또는 제2지지부(340)는 화분 유닛(500)의 하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워터 챔버(120)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지지부 면(342)와 상기 제1지지부 면(142)은 동일 높이로 구비되어 화분 유닛(500)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게 좋다. 다만, 화분 유닛(500)의 하측 형상에 따라 높이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제1지지부(140) 및/또는 제2지지부(340)를 구비하지 않고, 후술할 화분 유닛(500)의 하단 돌출부(560, 도 4 참조)를 길게 연장 형성하여, 워터 챔버(120)를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타워(300)의 상단에는 수분 도입부(320)가, 하단에는 제2지지부(340)가 구비되며, 수분 도입부와 제2지지부 사이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연장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330)의 높이는 화분 유닛(50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연장부(330)의 예시로서, 실린더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화분 유닛(500)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연장부(330)와 제2지지부(340) 사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부(33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음부(332)는 곡면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분의 유입에 따른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한 수분 도입부(320)는 유입 저면(322), 유입 저면의 둘레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끼움벽(326) 및 제1워터채널(328)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저면(322)과 끼움벽(326)은 후술할 화분 유닛(500)의 걸이부(540)가 효과적으로 끼워지기 위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워터채널(328)은 공급된 수분이 워터 챔버(120)로 흘러가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한 일실시예에서는, 끼움벽(326)에 소정 간격으로 ‘ㄷ’자형 홈의 형상으로 제거됨으로써 ‘ㄷ’자형 홈이 제1워터채널(328)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여 복수개의 끼움벽(326)들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1워터채널(328)로서 작용할 수 있다면, 제1워터채널(328)을 도 2에서 도시한 바 뿐만 아니라, 끼움벽(326)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원형 관통홀(미도시) 등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각각의 끼움벽(326)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호의 형상을 취하지 아니하고, 화분 유닛(500)의 걸이부(540)에 대응한 형상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유입 저면(322)의 중앙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높이로 구비되는 볼록부재(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재(324)의 상면은 곡면처리되어 있으므로, 위에서 물을 낙수하였을 때에 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볼록부재(324)의 높이는 후술할 화분 유닛(300)의 도입곡면(546, 도 3 참조) 보다는 낮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볼록부재(324)는 볼록부재에 외삽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타 부재(미도시)를 활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데, 기타 부재는 후술할 조명 수단(도 12 참조)이거나, 자동수분 공급기(미도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화분 유닛(5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화분 유닛(500)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걸이부의 실물 사진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분 유닛(500)은 흙을 담지하여 자체로서 화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컨테이너(520)와, 컨테이너의 상측 일측면에 형성된 걸이부(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컨테이너(520)의 하단 플레이트(527)를 베이스 바닥면(122) 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하단 돌출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컨테이너(52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모듈화된 구조로서, 상술한 베이스(100)에 방사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520)의 횡단면은 대략 부채꼴의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컨테이너(520)는 베이스 타워(300)를 향하는 정면 플레이트(521), 이와 대향하는 배면 플레이트(524), 우측면 플레이트(526a), 좌측면 플레이트(526b) 및 하단 플레이트(52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 플레이트(527)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527a)가 형성된다. 통공(527a)은 후술할 수분공급용 심지(720, 도 6 참조)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통공(527a)의 배치와 개수는 최적의 것으로 채택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단 플레이트(527)의 형상 및 워터 챔버(120)와의 결합관계를 고려하려 통공(527a)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통공(527a)의 개수를 복수개로 설정하고, 다양한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은식물이 요구하는 수분량에 따라, 수분공급용 심지(720)을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데, 지속적인 수분공급을 요하지 않는 식물의 경우는 수분공급용 심지(720)를 제외하고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를 참조하면, 화분 유닛(500)은 하단 플레이트(527)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하단 돌출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단 돌출부(560)의 베이스 타워(300) 방향 또는 정면 플레이트(521) 방향은 개방되도록 하여 유입된 수분이 워터 챔버(120)로 흘러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면 플레이트(521)의 하단에 형성된 제3워터채널(523)은 하단 플레이트(527)까지 연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간극 공간부(A1, 도 6 참조)를 경유하여 내려오는 수분을 워터 챔버(120)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단 돌출부(560)의 배면 플레이트(524, 도 3 참조) 방향도 개방되어 외측 개구(56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분 유닛(500)이 베이스(100) 및 베이스 타워(300)와 결합되지 아니하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에도 공급된 수분이 외부로 잘 유출되고, 통풍 효율을 높이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베이스(100) 및 베이스 타워(300)에 안착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40)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된다면, 공급된 수분이 어느 정도 높이로 보충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육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과잉 공급시 공급된 물을 다시 퍼내야 하거나, 하단 플레이트(527)에 수면이 맞닿아 식재 뿌리가 썩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단 플레이트(527)에 의해 상방향으로 컨테이너(527) 내부에 상측 수용공간(A2)을 형성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하단 돌출부(560)와 하단 플레이트(527)에 의해 하방향으로 하측 이격공간(A3)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520)의 측면 플레이트(526a, 526b)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 플레이트(521)의 높이가 배면 플레이트(524)의 높이보다 크도록 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한다. 이는 상측 수용공간(A2)의 부피를 최대화 하면서도, 외부에서 식물의 생장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내부를 보이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특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걸이부(540)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걸이부(540)는 상술한 베이스 타워(300)의 수분 도입부(32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즉, 식재된 식물들의 종류, 개화된 꽃의 색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에 따라 화분 유닛을 용이하게 꺼내어 재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걸이부(5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520)의 정면 플레이트(521) 및 측면 플레이트(526a, 526b)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하여 절곡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할 경우, 걸이부(540)가 상술한 수분 도입부(320)의 제1워터채널(328)을 폐색시킬 수 있으므로, 걸이부(540)는 끼움 지지부재(542)의 사이에 제2워터채널(544)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끼움 지지부재(542)가 ‘ㄷ’자형으로 구비되고, 제2워터채널(544)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끼움 지지부재(542)가 ‘ㅁ’자형(미도시)으로 구비되고, 제2워터채널(544)이 제1워터채널(328)에 맞닿는 부위만큼 관통홀(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워터채널(544)은 상술한 작용 뿐만 아니라, 화분 유닛(500)을 집어 올릴 때에 파지할 수 있는 부위로서 기능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를 참조하면, 걸이부(540)의 끼움 지지부재(542)는 가벼우면서도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위하여 연접된 리브 형상(542a, 542b, 542c)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화분 유닛(500)에 구비되는 보조 끼움부(522)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수분 도입부(320)를 향하는 컨테이너(520)의 정면 플레이트(521) 상면에는 소정 위치에 보조 끼움부(5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조 끼움부(522)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걸이부(540)와 떨어져 있어서, 그 사이의 유격 공간으로 상술한 수분 도입부(320)의 끼움벽(326)이 내삽되는 구조이다.
즉, 끼움벽(326)의 내측면 방향으로는 걸이부(540)의 끼움 지지부재(542)가 밀착되고, 끼움벽(326)의 외측면 방향으로는 보조 끼움부(522)가 밀착됨으로써 보다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보조 끼움부(522)와 제1워터채널(328)이 맞닿는 부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 배수공(522a)을 구비하여 수분의 유로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끼움부(522)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끼움 지지부재(542)의 리브 형상(542a, 542b, 542c)과 마찬가지로, 중공의 리브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무게를 낮추되, 내구성은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걸이부(540)의 상면에는 도입곡면(5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입곡면(546)은 후술할 도 6과 같이, 볼록부재(324)보다 소정 높이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되되, 베이스 타워(300) 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입곡면(546)은 미관상 효과 뿐만 아니라, 물의 보충공급시에 수분 도입부(320)에 물이 집중되고,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기타 부재 등을 확장 설치할 때에 지지면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를 참조하면, 도입곡면(546)과 끼움 지지부재(542) 사이에는 보조 받침구(54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받침구(546a)는 상술한 기타 부재 등을 확장 설치할 때에 지지면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화분 유닛(500)을 들어 올릴 때에, 손가락이 걸칠 수 있는 부위로 활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베이스(100), 베이스 타워(300) 및 화분 유닛(500)은 합성수지로 각각 일체 사출성형되는 구조로 제공될 경우, 금형 비용의 절감으로 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 아울러, 화분 유닛(500)을 동일한 형상으로 복수개 구비할 경우, 금형 비용은 더욱 절감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10)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수분 도입부(320)의 실물 사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분이 공급되는 경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분 유닛(500)의 걸이부(540), 구체적으로는 끼움 지지부재(542)를 베이스 타워(300)의 수분 도입부(300)에 걸침으로써, 화분 유닛(500)이 베이스(100)에 안착된다. 이 때,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조 끼움부(522)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하였다.
아울러, 베이스(100)에 구비된 제1지지부(140) 및 베이스 타워(300)에 구비된 제2지지부(340)의 상면으로 화분 유닛(500)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하단 플레이트(527)의 통공(527a)으로는 흡수 수단(700)이 구비되어 워터 챔버(120)로부터 삼투압 원리에 의해 수분을 흡수하고, 이후, 화분 유닛(500)의 상측 수용공간(A2)으로 수분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흡수 수단(700)은 공지의 수분공급용 심지(720)가 사용될 수 있다. 수분 공급용 심지(720)는 인출용 통공(527a)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나아가 스폰지 또는 솜과 같은 흡습부재(740)를 수분 공급용 심지(720) 상부에 배치하여 수경재배시 응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습부재(74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지된 걸름망(미도시)를 개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흡수 수단(700) 상부에는 흙을 담지하여 씨앗채소 등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흙을 담지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수분 공급용 심지(720) 및 스폰지 또는 솜과 같은 흡습부재(740)를 이용한 씨앗 발아용 수경재배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수분의 공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분 도입부(320)의 위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끼움벽(326) 또는 끼움벽(326) 사이에 형성된 제1워터채널(328)을 통해 낙하된다. 낙하된 수분은 베이스 타워(300)의 측면과 화분 유닛(500) 사이의 빈 공간인 간극 공간부(A1)를 경유하여 워터 챔버(120)에 저수된다.
이 때, 공급되는 수분이 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볼록부재(324)를 설치할 수 있으며, 걸이부(54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조 끼움부(522)가 구비됨은 상술하였다.
특히,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걸이부(540)에는 제2워터채널(544)이 구비되어, 제2워터채널(544), 제1워터채널(328), 경사배수공(522a), 간극 공간부(A1), 제3워터채널(523)을 경유하여 워터 챔버(120)로 수분의 유통이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유로 구조는 워터 챔버(120)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해충의 유충이 서식하는 것을 봉쇄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저수된 워터 챔버(120)로부터 수분 공급용 심지(720)가 수분을 삼투압에 의해 흡수하게 되면, 화분 유닛(500)의 상측 수용공간(A2)의 흙 및/또는 흡습부재(740)로 수분이 자동 공급되어, 식물이 필요한 수분을 섭취하게 된다.
한편, 물을 수분 도입부(320)에 보충하지 아니하고, 직접적으로 각각의 화분 유닛(500)에 물을 주더라도, 하단 플레이트(527)의 통공(527a)을 통해 배출되어 워터 챔버(120)에 저수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는 달리, 과잉 공급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격부재(548)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제1이격부재(548a) 및 제2이격부재(548b)를 구비하여, 복수의 화분 유닛(500)을 인접하여 베이스(100)에 안착시, 어느 화분 유닛(500)에 구비된 제1이격부재(548a)와 인접하는 다른 화분 유닛(500)에 구비된 제2이격부재(548b)가 서로 엇갈리게 교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격 공간으로는 산소가 하단 플레이트 밑의 하측 이격공간(A3)까지 유통되도록 하여 통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10)의 실물사진 예시도로서, 원형상의 베이스(1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조된 화분 유닛(500)이 8개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예이다. 화분 유닛(500)의 우측 플레이트(526a)와 좌측 플레이트(526b)가 이루는 각도(θ)는 45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화분 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 10에서는 동일한 금형에 의해 제조되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화분 유닛들을 도시하였으나, 우측 플레이트(526a)와 좌측 플레이트(526b)가 이루는 각도(θ)가 서로 다른 화분 유닛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데, 30도인 화분 유닛 4개와, 120도인 화분 유닛 1개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2 및 도 3에서는 끼움벽(326)에 걸이부(540)가 걸쳐지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끼움벽(326)을 돌출 형성하지 아니하고, 수분 도입부(320)에 걸이부(540)가 삽입될 수 있는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걸쳐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수단(800)을 뒤집어서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11을 참조한 회전수단(800)은 베이스(100)의 하면에 위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기(10)를 지지한다.
도 11을 참조한 바람직한 예에서는, 회전수단(800)의 하면에는 내측치구(820), 외측치구(840) 및 받침판(86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치구(840)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자체 무게로 인해 지면에 고정된다. 내측치구(820)는 받침판(860)에 고정되고, 내측치구(820)과 외측치구(840)는 베어링(미도시) 등을 내장하여 매끄럽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수단(800)이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식물재배기를 돌려 관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명수단(900)이 부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볼록부재(324)에 끼워져 입설되는 조명수단(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명수단(900)은 하단에 볼록부재(324)가 내삽될 수 있는 끼움공(922)이 형성된 조명 끼움구(920)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조명 지지대(960) 및 LED 등의 조명등(990)이 구비된 조명 몸체(9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분 유닛(500)의 도입곡면(546) 및/또는 보조 받침구(546a)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안착 지지구(9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에서 식물재배기를 사용할 경우, 채광이 부족하므로 별도의 조명수단이 필요할 수 있는데, 별도의 조명수단을 사용할 경우, 식물재배기 외의 공간을 차지하거나, 천정 등에 매달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수단을 일체로 모듈형 식물재배기에 결합시킬 수 있어서, 점유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모듈형 식물재배기
100 : 베이스
120 : 워터 챔버
140 : 제1지지부
300 : 베이스 타워
320 : 수분 도입부
322 : 유입 저면 324 : 볼록부재
326 : 끼움벽 328 : 제1워터채널
330 : 연장부
340 : 제2지지부
A1 : 간극 공간부
500 : 화분 유닛
520 : 컨테이너
522 : 보조 끼움부 523 : 제3워터채널
527 : 하단 플레이트 527a : 통공(인출용)
A2 : 상측 수용공간
540 : 걸이부
542 : 끼움 지지부재 544 : 제2워터채널
546 : 도입곡면 548 : 이격부재
560 : 하단 돌출부
A3 : 하측 이격공간
700 : 흡수 수단
800 : 회전 수단
900 : 조명 수단

Claims (12)

  1. 워터 챔버(120)를 구비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배치되며, 수분 도입부(320)를 구비하는 베이스 타워(300); 및 복수의 화분 유닛(500)을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에 있어서,
    상기 화분 유닛(5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527a)이 형성된 하단 플레이트(527), 상기 수분 도입부(320)에 탈착되도록 형성된 걸이부(540)를 포함하며,
    공급되는 수분이 상기 수분 도입부(320)에 형성된 제1워터채널(328) 및 상기 베이스 타워(300)와 상기 화분 유닛(500) 사이에 형성된 간극 공간부(A1)를 경유하여 상기 워터 챔버(120)에 저수되며,
    상기 수분 도입부(320)는 유입 저면(322), 상기 걸이부(540)의 일면에서 절곡 형성된 끼움 지지부재(542)가 탈착되도록 상기 유입 저면(322)의 둘레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끼움벽(326)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 도입부(320)는 중앙에 소정 높이로 구비되며 상면이 곡면처리된 볼록부재(324)를 포함하며,
    상기 통공(527a)을 관통하는 흡수 수단(700)을 포함하며, 상기 워터 챔버(120)로부터 상기 화분 유닛(500)으로 수분을 자동공급하며,
    상기 흡수 수단(700)은 상기 통공(527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수분 공급용 심지(720)와, 상기 수분 공급용 심지(7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스폰지 또는 솜으로 구성되는 흡습부재(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의 횡단면은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화분 유닛(500)은 방사상으로 상기 베이스(100)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재(324)에 결합되기 위한 끼움공(922)이 하단에 형성된 조명수단(9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540)는 제2워터채널(5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540)의 상부에는 소정 면적의 도입곡면(5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챔버(120)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40)와,
    상기 베이스 타워(3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3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화분 유닛(500)의 하측이 상기 제1지지부(140) 및 상기 제2지지부(3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플레이트(527)에는 하단 돌출부(56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부(140) 및 상기 제2지지부(340)로부터 상기 하단 플레이트(527)를 상방향소정 높이만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의 하부에 회전수단(8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유닛(500)은 정면 플레이트(521), 배면 플레이트(524), 우측면 플레이트(526a) 및 좌측면 플레이트(526b)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면 플레이트(521)에는 보조 끼움부(5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기(10).
KR1020130058438A 2013-05-23 2013-05-23 모듈형 식물재배기 KR10154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38A KR101548154B1 (ko) 2013-05-23 2013-05-23 모듈형 식물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38A KR101548154B1 (ko) 2013-05-23 2013-05-23 모듈형 식물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54A KR20140137654A (ko) 2014-12-03
KR101548154B1 true KR101548154B1 (ko) 2015-08-28

Family

ID=5245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38A KR101548154B1 (ko) 2013-05-23 2013-05-23 모듈형 식물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840A (ko) * 2020-04-28 2021-11-05 한경수 다용도 모듈형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5835A (zh) * 2016-08-17 2016-11-16 卢乐平 一种可视蓄水组合种植花盆
CN109691329A (zh) * 2019-01-22 2019-04-30 甘肃正翰菁泰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应用于空中花园的组合式花卉种植架
KR102183493B1 (ko) * 2020-05-06 2020-11-26 김득수 물 절약형 화분
CN114404813A (zh) * 2022-01-06 2022-04-29 罗忠祥 基于植物能量减少饥饿感的高效减肥系统及其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02B1 (ko) * 2012-03-23 2012-06-25 안주현 다용도 식물재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02B1 (ko) * 2012-03-23 2012-06-25 안주현 다용도 식물재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840A (ko) * 2020-04-28 2021-11-05 한경수 다용도 모듈형 화분
KR102458955B1 (ko) * 2020-04-28 2022-10-25 어스그린코리아(주) 다용도 모듈형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54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375A (en) Modular planter system
KR101548154B1 (ko) 모듈형 식물재배기
US20090000189A1 (en) Modular planter system
US20100313473A1 (en) Live plant box
KR101127310B1 (ko)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KR20150087510A (ko)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KR101303247B1 (ko)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JP2010510806A (ja) 組立式植木鉢
KR101371128B1 (ko)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KR200461726Y1 (ko) 원예용 용기
KR20190000852U (ko) 수경어항화분
KR20090123372A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KR102128426B1 (ko) 화분 포트
KR200488475Y1 (ko) 수조가 구비된 기능성 화분
KR101379738B1 (ko) 물분사부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100557505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KR20210157755A (ko)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CA2284389C (en) Modular planter system
KR200416035Y1 (ko)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KR200435608Y1 (ko)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102652312B1 (ko) 수직 정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