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505B1 -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 Google Patents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505B1
KR100557505B1 KR1020030060471A KR20030060471A KR100557505B1 KR 100557505 B1 KR100557505 B1 KR 100557505B1 KR 1020030060471 A KR1020030060471 A KR 1020030060471A KR 20030060471 A KR20030060471 A KR 20030060471A KR 100557505 B1 KR100557505 B1 KR 10055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ater
pollen
drip tray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129A (ko
Inventor
정화석
Original Assignee
정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석 filed Critical 정화석
Priority to KR102003006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5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이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분에 심기어진 식물이 늘어지는데 걸리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본체의 벽면에 식재홀을 형성시켜 조기에 상품을 출하 할 수 있도록 하며, 화분의 바닥면을 이중통굽으로 하여 화분끼리 포겔때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중통굽의 외벽의 물 받침 걸림 턱을 일정한 높이에 형성하여 물받침내의 최대수위와 화분의 저면 사이에 공기 유입실이 이루어져 물흡수부를 통하여 항상 적정량의 수분과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 분토가 충진되며, 측면에 식물 재배를 위한 복수의 측면식재홀과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구간만큼 절개된 절개구가 형성된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화분본체 내에 충진된 물을 집수하는 물받침과; 상기 화분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측부에 상기 측면식재홀과 연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일정구간별로 반복되게 형성한 벽체홀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분, 물받침, 공기량 조절, 측면식재홀, 수위조절공, 공기유입실, 물흡수부, 벽체홀커버

Description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이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화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분본체, 10: 걸이구멍, 11: 걸이, 20: 물받침, 21: 걸림턱, 30: 측면식재홀, 40: 수위조절공, 50: 절개구, 60: 이중통굽, 70: 배수겸 흡수공, 80: 화분저면, 81: 공기유입실, 90: 물흡수부, 200: 벽체홀커버
본 발명은, 걸이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분에 심기어진 식물이 늘어지는데 걸리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본체의 벽면에 식재홀을 형성시켜 조기에 상품을 출하 할 수 있도록 하며, 화분의 바닥면을 이중통굽으로 하여 화분끼리 포겔때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중통굽의 외벽의 물 받침 걸림 턱을 일정한 높이에 형성하여 물받침내의 최대수위와 화분의 저면 사이에 공기 유입실이 이루어져 물흡수부를 통하여 항상 적정량의 수분과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이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는 것으로서, 그 내측에는 분토가 채워져 꽃이나 란 등을 심게 된다. 이러한 화분의 바닥면에는 배수 및 공기순환의 목적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화분 내부의 분토로 공급되어진 물은 화분 내부에 고여있지 않고 통공으로 배출될 수 있고 화분의 내외로 공기가 원활하게 통하여 식물이 생장하는데 적합한 조건이 갖춰지게 된다.
한편 화분을 보면 바닥에 놓아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직립식화분과, 일정한 높이에 걸어두어 식물을 재배하는 걸이화분으로 나뉜다. 전자의 경우에는 화분의 부피와 무관하기 때문에 무수한 종류의 식물을 재배할 수도 있으나, 후자의 경우에는 비교적 부피가 작고 가벼운 식물의 재배용으로 활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화원이나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던 종래의 걸이화분은, 실내의 인테리어를 위해 걸어 두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걸이화분에 물을 공급할 경우, 물이 실내의 바닥으로 넘치기 때문에 보통 다른 장소로 옮겨서 급수하여 충분히 물이 빠지도록 한 후, 다시 실내의 제자리에 옮겨서 걸어야 하므로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만일,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물받침이 있는 걸이화분을 준비하더 라도 화분의 저면이 항시 물받침에 접면하고 있기 때문에 고인 물로 인해 화분의 바닥면에 천공되어 있는 통공이 가리워져 식물의 뿌리에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뿌리가 쉽게 썩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말해, 종래의 걸이화분은 물받이의 수위 높이가 화분저면보다 높아 질 수 있어, 뿌리에 산소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 뿌리에 호흡장애를 일으켜 뿌리가 부패되는 것이므로 왕성한 생장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종래의 걸이화분에 심은 식물이 관상에 좋게 늘어지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서 수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받이에 고인 물을 비워 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특히, 옥외에 설치된 걸이화분은, 고온건조시에는 1일 1회 이상 물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물받침의 최대수위와 화분저면 사이에 공기유입실이 형성되도록 하며, 화분의 측면에는 필요한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벽체홀커버를 설치하여 식물이 생육하는데 필요한 적정의 수분과 공기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식물 생육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개량된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관리의 편리성과 더불어, 식물이 생장하는 기간을 단축시켜 조기 출하를 구현함으로써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분토가 충진되며, 측면에 식물 재배를 위한 복수의 측면식재홀과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구간만큼 절개된 절개구가 형성된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화분본체내에 충진된 물을 집수하는 물받침과; 상기 화분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측부에 상기 측면식재홀과 연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일정구간별로 반복되게 형성한 벽체홀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이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은, 크게 화분본체(100), 물받침(20) 및 벽체홀커버(200)로 이루어져 있다.
화분본체(100)는 그 하단보다 상단의 직경이 큰 절두원추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는 식물의 생장을 위한 분토가 충진된다. 화분본체(100)의 저면인 화분저면(80)에는 화분본체(100) 내에 충진된 물이 하방으로 낙하하는 한편 하부영역의 공기가 화분본체(100) 내로 유입되기 위한 배수겸 흡수공(70, 도 2 및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화분본체(100)의 상면에는 본 걸이화분을 걸어두기 위한 걸이(11)가 지지되는 복수의 걸이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걸이(11)의 상단은 본 걸이화분이 소정 이 위치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화분본체(100)의 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의 빠른 재배를 위해 식물을 측면에서도 심을 수 있도록 하는 측면식재홀(30)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식재홀(30)은 화분본체(100)의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식재홀(30)은, 화분본체(100)의 상부에 심는 식물이 늘어지는데 걸리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편으로 마련되며, 화분본체(100)의 벽면으로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기에 식물을 생장시켜 출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측면식재홀(30)의 하부영역에는 화분본체(10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구간만큼 절개된 절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구(50)는 물을 공급하는 역할 외에도 공기가 화분본체(100) 내로 유입되어 순환되는 통로로 활용된다.
화분본체(100)의 하부영역에는 화분저면(80)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연장되어 화분본체(100)를 물받침(20)에 지지하는 이중통굽(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중통굽(60)은, 화분끼리 포갤 때,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정성과 미관을 부여한다.
이 때, 화분저면(80)으로부터 이중통굽(60)의 하단까지의 높이는 물받침(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침(20)에 고인 물과 화분본체(100)의 화분저면(80) 사이에는 항시 공기가 배치되어 식물의 뿌리에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입실(81)이 형성된다.
화분본체(100)의 화분저면(80) 양측에는 물을 배수하거나 혹은 하부의 공기를 상측으로 인도하기 위한 배수겸 흡수공(70)이 형성되어 있고, 배수겸 흡수공(70)의 주변에는 물흡수부(9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물흡수부(90)로 통하여 식물이 필요로 하는 수분과 공기가 동시에 공급되므로 식물 생장이 왕성하게 될 수 있다.
물받침(20)은 화분본체(100)의 하부 이중통굽(60) 영역에 배치되어 화분본체(100)를 지지하는 한편 화분본체(100) 내에 충진된 물을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물받침(20)에 저장된 물을 식물이 흡수하게 되므로 물받침(20)으로 인해, 물을 주는 회수를 줄일 수 있고 타 장소로 옮겨 급수 후 제자리로 옮기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있다. 따라서, 벽면 홀로 식재시 식물이 늘어지는 기간이 단축되어 조기 출하가 가능하므로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추가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걸이화분이 소정의 높이게 걸려 있는 것을 고려할 때, 물받침(20)은 화분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화분본체(100)의 외면과 물받침(20)의 내면에는 물받침(20)을 화분본체(100)에 걸림유지시키는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1)은 형상은 물받침(20)이 자중에 의해 화분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후크형상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종래의 걸이화분들과는 다르게 본 발명의 걸이화분에는 화분본체(100)내에 삽입되는 벽체홀커버(20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같은 벽체홀커버(200)는 화분본체(100)의 높이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가 빈 통상체로 형성되며 측부에는 측면식재홀(30)과 연통하는 복수의 통공(20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벽체홀커버(200)는 화분본체(100)의 상측으로부터 화분본체(100) 내에 삽입되는데 화분본체(100)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따라서, 벽체홀커버(200)를 화분본체(100) 내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벽체홀커버(200)를 부분적으로 회전시키면서 통공(201)과 측면식재홀(30)이 상호 연통하도록 하면, 화분본체(100)내로 좀 더 많은 량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어 식물 생장이 보다 빨라질 수 있다. 결국, 벽체홀커버(200)는 화분본체(100) 내부로 향하는 공기의 량의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침(20)을 화분본체(100)의 하부로 삽입하여 화분본체(100)와 물받침(20)에 형성된 걸림턱(21)이 상호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는 화분본체(100)의 상부로 벽체홀커버(200)를 삽입한 상태에서 화분본체(100)에 분토를 충진한다.
그런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본체(100)의 상부를 통해 식물을 심거나 혹은 화분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식재홀(30)을 통해 식물을 심어놓고 절개구(50)를 통해 물받침(20)으로 물을 넣는다.
이때, 물받침(20)으로 필요한 량의 물을 체우게 되면, 물받침(20)에 고인 물과 화분본체(100)의 화분저면(80) 사이에는 높이차에 의해 공기유입실(81)이 형성되기 때문에 심어진 식물은 물과 공기로 인해 효율적으로 생장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식재된 식물의 생육 성질에 따라 화분본체(100) 내로 좀 더 많은 량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면 벽체홀커버(200)를 부분적으로 회전시키면서 통공(201)과 측면식재홀(30)이 상호 연통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받침(20)의 최대 수위와 화분저면(80) 사이에 공기유입실(81)이 형성되도록 하여 식물이 필요로 하는 수분과 공기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식물 생장이 왕성해진다. 또한, 물받침(20)으로 인해 물을 주는 회수를 줄일 수 있고 물 주는데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식물이 생장하는 기간을 단축시켜 조기 출하를 구현함으로써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화분의 사시도로써 이 도면을 보면, 물받침(20)에는 절개구(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위조절공(4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위조절공(40)은 절개구(50)를 통해 물받침(20)으로 물을 넣는 과정에서 물의 높이를 관찰 및 조절할 수 있는 추가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받침의 최대 수위와 화분저면 사이에 공기유입실이 형성되도록 하여 식물이 필요로 하는 수분과 공기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식물 생장이 왕성하도록 하고, 물받침으로 인해 물을 주는 회수를 줄일 수 있어 물 주는데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식재되는 식물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하여 식물이 생장하는 기간을 단축시켜 조기 출하를 구현함으로써 수익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내부에 분토가 충진되며, 측면에 식물 재배를 위한 복수의 측면식재홀과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구간만큼 절개된 절개구가 형성된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화분본체 내에 충진된 물을 집수하는 물받침과;
    상기 화분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측부에 상기 측면식재홀과 연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일정구간별로 반복되게 형성한 벽체홀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의 상면에는 걸이를 지지하는 복수의 걸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의 외면과 상기 물받침의 내면에는 상기 물받침을 상기 화분본체에 걸림유지시키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의 하단에는 이중통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본체의 화분저면으로부터 상기 이중통굽의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물받침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물받침에 고인 물과 상기 화분본체의 화분저면 사이에 공기유입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침에는 상기 절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위조절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KR1020030060471A 2003-08-29 2003-08-29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KR10055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471A KR100557505B1 (ko) 2003-08-29 2003-08-29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471A KR100557505B1 (ko) 2003-08-29 2003-08-29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33U Division KR200288868Y1 (ko) 2002-06-05 2002-06-05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129A KR20030094129A (ko) 2003-12-11
KR100557505B1 true KR100557505B1 (ko) 2006-03-07

Family

ID=3238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471A KR100557505B1 (ko) 2003-08-29 2003-08-29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5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60B1 (ko) 2007-03-02 2008-01-14 홍우종 통기성 조절이 용이한 이중 구조 화분
KR101501411B1 (ko) * 2014-03-26 2015-03-10 김기태 계단식 시트화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85B1 (ko) * 2012-02-29 2013-01-03 한유미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화단
KR200482570Y1 (ko) * 2014-11-07 2017-02-09 대한민국 저속형 관수장치
CN110249725A (zh) * 2019-07-31 2019-09-20 付少春 一种增强花盆原有透气渗水性能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60B1 (ko) 2007-03-02 2008-01-14 홍우종 통기성 조절이 용이한 이중 구조 화분
KR101501411B1 (ko) * 2014-03-26 2015-03-10 김기태 계단식 시트화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129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392B2 (en) Self-watering system for a potted plant
RU18286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101127310B1 (ko)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KR20140122821A (ko) 수경 재배장치
KR20190089391A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200384330Y1 (ko) 계단형 채소 재배기
KR100557505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220091077A (ko) 스마트팜 수경재배장치
KR200214155Y1 (ko) 화분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10166962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EP0788734A1 (en) Plant sprouting pot
KR102076813B1 (ko) 기능성 화분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0288868Y1 (ko)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US20230255136A1 (en) Planting system for optimization of plant growth with direct air injection
JP7506931B2 (ja) 蘭用育苗ポット及び蘭の育成方法
KR101194869B1 (ko) 자동 수분공급기능을 갖는 화분
KR20130077304A (ko)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