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512Y1 -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 Google Patents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512Y1
KR200367512Y1 KR20040022829U KR20040022829U KR200367512Y1 KR 200367512 Y1 KR200367512 Y1 KR 200367512Y1 KR 20040022829 U KR20040022829 U KR 20040022829U KR 20040022829 U KR20040022829 U KR 20040022829U KR 200367512 Y1 KR200367512 Y1 KR 200367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x
pot
vertical wall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22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석
Original Assignee
정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석 filed Critical 정화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5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받침용 육묘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함께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된 화분의 저부에 필요량의 물을 원활히 공급하여 화분들의 물 관리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화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화분받침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바닥면 둘레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높이 연장되어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용 수직벽을 포함하며; 상기 물저장용 수직벽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상자 내에 삽입된 화분의 저면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화분이격돌기를 바닥면 전체에 걸쳐 조밀하게 형성하여 상기 화분이격돌기들 간의 이격틈새에 의해 수로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이 수로상에는 상자 내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기 위한 물공급/배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Multi tray for supporting 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받침용 육묘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함께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된 화분의 저부에 필요량의 물을 원활히 공급하여 화분들의 물 관리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앞서 제안된 바 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63814호의 다용도 육묘 상자나 실용신안등록 20-0263815호의 난 출하용 육묘 상자를 살펴보면, 육묘 상자에 화분을 삽입 배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화분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화분삽입공간의 측면이나 혹은 상측에 공기의 출입을 허용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같은 육묘 상자에 여러개의 화분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이 화분삽입공간들에 하나씩의 화분을 삽입하여 배치할 경우, 여러개의 화분을 한번에 이동시키거나 물을 주는 등 화분에 심어진 난이나 기타 식물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기술들에 의하면, 화분삽입공간들 하나씩 물을 개별적으로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거나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화분삽입공간의 구조상 공급된 물이 쉽게 빠져나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확인을 통해 부족한 량의 물을 공급하여 주는 작업이 매번 반복되는 등 식물 관리에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선행기술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화분삽입공간들에 적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에 수용되는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작업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육묘 상자를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4-06026호로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선 출원의 육묘 상자 역시, 복수개로 구획된 내부의 화분삽입공간에 제한된 크기의 화분을 수용하여야 하는 까닭에 재배하는 화분의 칫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육묘 상자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과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다시말해,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이상의 화분을 재배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칫수가 상이한 2이상의 육묘 상자가 필요하게 되며, 더욱이 육묘 상자 내에 여유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재배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중대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함께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된 화분의 저부에 필요량의 물을 원활히 공급하여 화분들의 물 관리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분받침용 상자 내에 항상 적정의 물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저장된 물을 일시에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수용된 작물의 수경재배가 가능토록 하는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받침용 상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화분받침용 상자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화분받침용 상자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화분받침용 상자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화분받침용 상자, 10:바닥면, 11:물저장용 수직벽, 12:통기부, 15:화분이격돌기, 20:함몰수로, 22:물공급/배수부, 23:수위조절관, 24:파이프, 30:파이프 밀림저지용 돌기, 35:화분
상기한 목적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화분받침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바닥면 둘레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높이 연장되어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용 수직벽을 포함하며; 상기 물저장용 수직벽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상자 내에 삽입된 화분의 저면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화분이격돌기를 바닥면 전체에 걸쳐 조밀하게 형성하여 상기 화분이격돌기들 간의 이격틈새에 의해 수로가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이 수로상에는 상자 내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기 위한 물공급/배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공급/배수부의 내측에는, 수위조절관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수위조절관은 물저장부로 공급되는 물이 수위조절관의 승강된 높이까지 머물도록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상기 상기 물공급/배수부를 통해 물저장부에 체워진 물은 파이프와 연결된 호스를 제거하더라도 일시에 배출되지 아니한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자의 바닥면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이 함몰수로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대하여 상호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결된 함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상자의 저면에는 거치용 파이프의 위치이동을 저지하는 파이프 밀림저지용 돌기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받침용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화분 받침용 상자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화분받침용 상자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화분받침용 연결상자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받침용 상자(1)는, 난이나 기타 화초가 심어진 화분(35)을 그 칫수에 관계없이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구획되지 않은 개방형 바닥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대체로 접시형으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접시형의 화분받침용 상자(1)는, 바닥면(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그바닥면(10)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높이 연장되는 물저장용 수직벽(11)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화분받침용 상자(1)는 내부에 수용되는 화분(35)에 공급할 안정적이고도 충분한 량의 물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물저장용 수직벽(11)으로 인해 본 고안의 화분받침용 상자(1)는 공급된 물이 바로 배수되지 않고 일정량이 저장될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일시적 혹은 장기적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한 물저장용 수직벽(11)의 상측에는 복수의 통기부(12)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물저장용 수직벽(11)의 상측에 제공되는 상기 통기부(12)는 화분받침용 상자(1)의 안정적인 높이를 유지하여 이에 수용되는 화분(35)이 운반도중 쓰러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화분받침용 상자(1)에 있어서는 내부에 격벽을 구성함이 없이 수용공간이 모두 개방되어 있어, 상기 물저장용 수직벽(11)의 상측부에 통기부(12)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는 화분받침용 상자(1)에 수용되는 화분(35)들이 서로 충분히 이격된 공간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그 상부는 또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어서 이부로부터 충분한 량의 공기가 화분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물저장용 수직벽(11)에 의해 제공되는 물저장부에는 물이 장기간 고여있고, 고인 물에 화분(35)의 하부영역이 계속 잠겨 있다면, 난이나 기타 식물의 뿌리가 썩게 된다. 그러므로 최소한 식물의 뿌리가 물에 직접 잠기지 않도록 화분의 하부에 공기통로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화분받침용 상자(1)의 바닥면(10)에는 수용공간 안에 삽입된 화분(35)의 저면을 바닥면(10)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복수의 화분이격돌기(15)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화분이격돌기(15)는 바닥면(10)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고도 조밀하게 배치하게 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형 화분(35)의 경우라 할지라도 개별 화분의 저면에 적어도 4개이상의 화분이격돌기(15)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좋다.
따라서 상기 화분이격돌기(15) 위에 크기와 관계없이 놓여지는 화분(35)은 놓여진 자리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다만 그 높이나 크기, 이웃한 돌기간의 이격된 거리 등은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상자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화분(35)을 개별적이고도 독립적인 공간에 나누어 수용하였기 때문에 화분삽입공간들 하나씩 물을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전체적 물관리를 위하여 상자(1) 바닥면(10)에 함몰수로(20)를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한다. 이 함몰수로(20)는 바닥면(10)에서 하측으로 더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함몰수로(20)의 형태는 화분이 놓여질 위치를 고려하여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다수 형성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교차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수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호 연결된 수로의 일례로서 "H"자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함몰수로(20)는 상자(1)의 바닥면(10) 길이방향을 향한 1개의 함몰부와 폭방향에 3개이상의 함몰부를 서로 연결되도록 교차 구성하여 인접한 수로간의 폭이 일정하도록 구성한 대체로 "임금 왕(王)"자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함몰수로(20) 상에는 함몰수로(20)로 물을 한번에 공급하거나 한번에 배수하기 위한 물공급/배수부(22)가 형성하게 되며, 이 물공급/배수부(22) 내측에는 수위조절관(23)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게 된다.
물공급/배수부(22)의 내면을 따라 승강조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상기 수위 조절관(23)은 그 둘레면에 수밀링이 끼워져 물공급/배수부(22) 내면과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고, 수위조절관(23)의 노출된 하측 단부에는 다시 별도의 급수용 호스(도시없음)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게 된다.
이같은 급수용 호스는, 후술될 상자 거치용 파이프(24)로부터 분기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자 거치용 파이프(24)는 급수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물공급/배수부(22)에 설치된 상기 수위조절관(23)을 통해 공급된 물은 "H"형으로 된 함몰수로(20)를 거쳐 화분(1) 전체에 유입된다.
이와같이 공급된 물은 소정 높이의 연속된 벽을 이루고 있는 상기 물저장용 수직벽(11)에 수위조절관(23)의 승강된 높이까지 체워져 일정한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자(1)의 내측 화분삽입공간에 화분(35)을 삽입하여 배치한 상태라면 상기한 급수작업으로 인하여 쉽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물저장부에 공급된 물을 빼고자 하는 경우라면, 물공급/배수부(22)의 내면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기 수위조절관(23)을 하부로 내려서그 선단(23a)이 바닥면(10)에 이르도록 한다.
그러면, 낮아진 수위 만큼의 물이 수위조절관(23)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된다. 때문에 화분(35)을 끄집어내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은 배제된다.
이때, 물공급/배수부(22) 내면을 따라 승강하는 상기 수위조절관(23)의 선단(23a)은 바닥면(10)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함몰수로(20)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내려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면(10)에 남아 있는 물이 모두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화분삽입공간에 수용된 화분(35)들은 물공급이 중단되어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연결상자 거치용 파이프(24) 위에 화분받침용 상자(1)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화분받침용 상자(1) 저면에 파이프 밀림저지용 돌기(30)를 다수 돌설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파이프 밀림저지용 돌기(30)는,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에 인접한 적어도 두 쌍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화분삽입공간들에 적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분삽입공간들에 저장된 물을 일괄적으로 배수하는 작업이 또한 간편한 것으로서, 이는 물관리의 자동화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화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화분받침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바닥면 둘레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높이 연장되어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용 수직벽을 포함하며;
    상기 물저장용 수직벽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상자 내에 삽입된 화분의 저면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화분이격돌기를 바닥면 전체에 걸쳐 조밀하게 형성하여 상기 화분이격돌기들 간의 이격틈새에 의해 수로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이 수로상에는 상자 내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기 위한 물공급/배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용 수직벽의 상측에, 복수개의 통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는, 상자의 바닥면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이 함몰수로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대하여 상호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결된 함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저면에, 거치용 파이프의 위치이동을 저지하는 파이프 밀림저지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배수부의 내측에는, 수위조절관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40022829U 2004-04-02 2004-08-10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3675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9279 2004-04-02
KR2020040009279 2004-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512Y1 true KR200367512Y1 (ko) 2004-11-12

Family

ID=3987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22829U KR200367512Y1 (ko) 2004-04-02 2004-08-10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51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68B1 (ko) 2006-09-20 2007-05-11 최승수 화분 받침대
WO2008023923A1 (en) * 2006-08-23 2008-02-28 Seung Soo Choi Flowerpot support
KR200453742Y1 (ko) 2010-03-31 2011-05-23 박공영 녹지 조성용 식생상자 구조체
KR200486849Y1 (ko) * 2017-03-06 2018-07-05 도경주 물 받침 수용 화분
KR102455554B1 (ko) * 2022-01-17 2022-10-17 김호태 식기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3923A1 (en) * 2006-08-23 2008-02-28 Seung Soo Choi Flowerpot support
KR100716168B1 (ko) 2006-09-20 2007-05-11 최승수 화분 받침대
KR200453742Y1 (ko) 2010-03-31 2011-05-23 박공영 녹지 조성용 식생상자 구조체
KR200486849Y1 (ko) * 2017-03-06 2018-07-05 도경주 물 받침 수용 화분
KR102455554B1 (ko) * 2022-01-17 2022-10-17 김호태 식기 자동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45015A (ja) 植栽容器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US5797217A (en) Inserts providing size adaptable self watering systems for potted plants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US6962022B2 (en) Suspended barrier for a plant pot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JP7337405B2 (ja) 植物を栽培するため栽培システム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JP2023054743A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GB2369980A (en) A self watering tiered plant container
KR200469008Y1 (ko) 소형 분화 유통트레이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WO20091097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200088730A (ko)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JP3146548U (ja) プランター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WO2023058257A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JP7126294B1 (ja) イチゴ苗の生育方法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JP7445217B2 (ja) 植物栽培用容器及び植物の栽培方法
KR102303717B1 (ko)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KR20030094129A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