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849Y1 - 물 받침 수용 화분 - Google Patents

물 받침 수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849Y1
KR200486849Y1 KR2020170001052U KR20170001052U KR200486849Y1 KR 200486849 Y1 KR200486849 Y1 KR 200486849Y1 KR 2020170001052 U KR2020170001052 U KR 2020170001052U KR 20170001052 U KR20170001052 U KR 20170001052U KR 200486849 Y1 KR200486849 Y1 KR 200486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flowerpot
water
drai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경주
Original Assignee
도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경주 filed Critical 도경주
Priority to KR2020170001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Abstract

본 고안은 물 받침 수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 바닥을 이루는 저면부와 화분을 지지하는 지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화분 물 받침을 수용하여, 외부의 시선으로 부터 공간부에 화분 물 받침을 감추도록 하여 화분 전체의 심미감을 극대화 하도록하며, 급수, 배수 및 퇴수에 필요한 불편한 작업들을 간단하게 하도록 개구부, 물 받침 및 물 받침 바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 받침 수용 화분 { FLOWERPOT WITH CONTAINING SPACE FOR DRAIN PLATE }
본 고안은 물 받침 수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두부, 측면부, 저면부, 배수부, 배수부 하부 가이드, 배수 가이드 돌기, 물 받침 및 적층 필터부를 포함하여 물 받침을 외부의 시선에서 감추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화분이란 내부에 흙 또는 모래를 담고 꽃이나 화초를 키우는 용기다. 화분의 형상이나 사이즈는 다양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화분은 책상이나 탁자, 식탁 또는 지면과 같이 평편한 상면에 안착 되어 관상 기능을 제공한다.
화분에 식재된 식물은 실내 공기 정화 및 공간의 심미적인 요소, 여가 생활의 일부분인 취미활동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형상의 화분들이 개시되고 있으나, 물 받침(화분받침)이 없어 바닥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오염을 방지하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물 받침(화분받침)이 화분 아래에 배치 되는데, 이는 화분과 조화롭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는 미적으로 최적화된 화분 고유의 아름다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물 받침과 화분이 부조화한 동시에 물 받침 아래의 오염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게 된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858993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은, 물 받침을 화분의 하부 내부에 완전히 수용하여 물 받침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감추어 화분 자체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은, 사용자가 물 받침을 간편하게 화분의 하부 내부에 입출 하도록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화분 배수부를 열고 닫도록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은, 바닥면에 경사를 구비하여 원활한 배수를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은, 바닥면에 배수를 가이드 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와 홈을 구비하여 원활한 배수를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은, 배수부분을 바닥면보다 더 길게 하여 바닥면을 따라 배수된 퇴수가 화분을 따라 흘러 오염되지 않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은, 화분 하부에 필터부를 통해서 화분 영양분을 최대한 유지하고 오염된 퇴수를 최소화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예와 관련된 물 받침 수용 화분은 두부, 측면부, 저면부, 배수부, 배수부 하부 가이드, 배수 가이드 돌기, 물 받침 및 적층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부가 개방된 상기 화분의 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화분이 놓이는 지면까지 연장되어 화분의 케이싱을 이루고 지면에 접촉되어 화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측면부를 폼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의 지면 방향에서 상기 화분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상기 측면부 내측과 상기 화분이 놓이는 지면 상부에 구비되는 저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의 퇴수를 처리하는 물 받침이 수용되도록 화분이 놓이는 지면보다 높게 상기 저면부가 배치되어 상기 측면부, 상기 저면부 및 상기 화분을 받치는 지면이 3차원의 입체로서 구비되는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분에서 발생되는 퇴수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물 받침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저면부의 상면과 하면을 수직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부 내부 측면에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배수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측면부가 지면과 접촉하는 부위의 상기 측면부의 단면 두께(T2)는 상기 두부 방향의 상기 측면부의 두께(T1) 보다 두껍게(T2>T1)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면부는 상기 측면부 연결부위와 상기 배수부 연결부위 간에 기울기가 구비되는데 이 기울기는 상기 배수부 방향을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분 내측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는 상기 측면부 연결부위와 상기 배수부 연결부위 간에 복수의 배수 가이드 돌기를 상기 배수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 내측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는 상기 측면부 연결부위와 상기 배수부 연결부위 간에 복수의 배수 가이드 홈을 상기 배수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부에 착탈 결합되어 상기 배수부의 상부로 부터 상기 배수부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 방향으로 상기 저면부 보다 낮게 돌출 되도록 구비되는 배수부 하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의 상부는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걸침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침판에서 중심 부위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배수부에 끼워지도록 배수통공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수통공의 길이는 상기 배수부 단면의 두께보다 크게 하여, 상기 배수통공이 상기 공간부로 돌출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는 화분의 모래 또는 흙을 여과하도록 상기 배수통공의 상부를 커버 하도록 상기 걸침판 상면에 여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통공은 상기 화분의 모래 또는 흙을 여과하도록 상기 배수통공 중간에 통공 여과부를 하나 이상 더 구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통공 여과부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통공의 상부로 부터 상기 공간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통공 여과부의 필터 매쉬(mesh)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는 상기 공간부로 물 받침부가 입출 되도록 상기 측면부 하부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측면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 개구부는, 상기 측면부의 단면이 원형으로 360°를 이루는 경우에는 360° 중에서 85° 내지 100°가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부는 배수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부 내부에 형성된 상기 배수 가이더와 상기 배수 마개가 암수 나사 결합하도록 상기 배수 마개의 측면에 배수 마개 돌기를 나선형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에 의하면,
첫째, 물 받침을 화분의 하부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부에 완전히 수용하여 외부에 감춤으로써 화분 자체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살리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화분 측면부 하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물 받침을 간편하게 화분의 하부 내부에 입출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화분 물 받침 하부에 구비된 바퀴로 사용자가 물 받침을 간편하게 화분의 하부 내부에 입출 할 수 있으며, 화분을 바퀴가 달린 물 받침에 안착시켜 화분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넷째, 화분 배수부에 화분 배수 마개를 구비하여 장시간 부재시 화분에 수분을 저장 시키거나, 급수시 일시적으로 다량 발생하는 퇴수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측면 개구부를 이용하여 무거운 화분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배수 마개를 여닫게할 수 있다.
여섯째, 화분 바닥을 이루는 저면부에 경사를 구비하여 원활한 배수 처리를 하며, 저면부 경사에 따라 흘러내리는 퇴수가 물 받침으로 유도되어 화분이 놓인 바닥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한다.
일곱째, 바닥면에 배수를 가이드 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와 홈을 구비하여 원활한 배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덟째, 퇴수가 배출되는 배수부분을 저면부 보다 아래로 더 돌출되게 형성하여 저면부 하부를 따라 누수된 퇴수가 화분을 따라 흘러 내려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화분 하부에 적층식 여과부를 구비하여 화분에 필요한 영양분을 최대한 유지하고 오염된 퇴수를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저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저면부에 물 받침을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된 저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된 저면부에 물 받침을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에 물 받침을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되고 측면부가 원통형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되고 측면부가 원통형인 구성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되고 원통형 측면부의 저면부에 물 받침을 결합한 구성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배수부에 착탈 결합되는 배수부 하부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배수부 하부 가이드 단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저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저면부에 물 받침을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된 저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된 저면부에 물 받침을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에 물 받침을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되고 측면부가 원통형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되고 측면부가 원통형인 구성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 측면이 개구되고 원통형 측면부의 저면부에 물 받침을 결합한 구성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받침 수용 화분의 배수부에 착탈 결합되는 배수부 하부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배수부 하부 가이드 단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본원 고안인 물 받침 수용 화분은 두부(100), 측면부(102), 저면부(103), 배수부(104) 및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가 구비될수 있다.
화분의 상기 측면부(102) 내부에 지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기 저면부(103)는 화분 내부의 흙 또는 모래를 지지하는 화분의 바닥면이 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저면부(103)의 지면 방향 하부에는 지면과 상기 저면부(103) 사이에 상기 측면부(102)로 3차원의 입체인 공간부(200)가 형성 되는데, 상기 공간부(200)에는 식물 식재에 사용되는 퇴수를 저장하여 바닥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물 받침(106)이 수용되며 상기 물 받침(106)에는 상기 물 받침(106) 또는 상기 물 받침(106)에 언혀진 화분을 이동시키도록 바퀴(107)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두부(101)는 화분의 최상단부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식물을 식재하고 식생에 필요한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두부(101)에서 지면 방향으로 지면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측면부(102)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부(102)는 화분의 케이싱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측면부(102)는 화분이 놓아는 지면과 직접 접촉하여 화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지면과 만나는 부위인 상기 측면부(102) 하부의 단면 두께(T2)는 상기 두부(101) 방향의 상기 측면부(102) 두께(T1)보다 두껍게 하여(T2 > T1) 화분과 화분 내의 흙 또는 모래 및 식물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면부(102)의 두께는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 질 수도 있고, 상기 저면부(103)이 시작되는 높이의 지점부터 지면까지 두껍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102)의 두께는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화분의 상기 측면부(102)가 라래로 내려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게 보일 수도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두꺼워 지는 두께를 화분 내부방향으로만 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l)자형으로 보이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면부(103)은 상기 측면부(102)와 연결되어 상기 화분의 바닥면을 이루어 화분의 흙 또는 모래를 수용하도록 상기 측면부(10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면부(103)은 상기 화분과 지면 사이에 상기 공간부(200)를 형성하도록 지면으로 부터 상기 물 받침(106)의 높이를 고려한 이격 높이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측면부(102), 상기 저면부(103) 및 지면이 3차원의 입체감을 갖는 상기 공간부(200)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공간부(200)에 물 받침(106)을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면으로 부터 상기 저면부(103)의 하부면까지의 높이는 또한 상기 물 받침(106)이 원활히 입출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 받침(106)에 바퀴(107)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바퀴(107)의 높이도 고려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분을 상기 물 받침(106)에 안착시켜서 상기 바퀴(107)를 통해 화분을 자유롭게 이동시키도록 상기 저면부(103)와 지면과의 높이가 고려되어 상기 공간부(200)가 구비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저면부(103)에는 상기 화분에서 사용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부(104)가 구비된다.
만일, 상기 배수부(104)가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면부(103)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부(104)에 착탈 결합되어 상기 배수부(104)의 상부로 부터 상기 배수부(104)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200) 방향으로 상기 저면부(103) 보다 낮게 돌출 되도록 구비되는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부(104)의 지면 방향 하부에서 상기 공간부(200) 방향으로 돌출 되도록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가 착탈 되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를 상기 저면부(103) 보다 더 지면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이유는 퇴수가 상기 저면부(103)의 지면 방향을 타고 흘러서 상기 물 받침(106)으로 모아지지 않아 바닥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돌출된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에 따라서 퇴수는 곧바로 상기 물 받침(106)으로 수용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배수부(104)에 착탈 결합되어 상기 배수부(104)의 상부로 부터 상기 배수부(104)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200) 방향으로 상기 저면부(103) 보다 낮게 돌출 되도록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의 상부는 상기 저면부(103)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걸침판(105c)이 구비되며 상기 걸침판(105c)에서 중심 부위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배수부(104)에 끼워지도록 배수통공(105d)이 구비된다.
즉, 화분 내부에서 발생된 퇴수는 상기 저면부(103)에 누적되면서 상기 걸침판(105c)을 따라 흐르다 상기 배수통공(105d)을 따라 퇴수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통공(105d)의 길이는 상기 배수부(104) 단면의 두께보다 크게 하여 상기 배수통공(105d)이 상기 공간부(200)로 돌출 되도록 구비되도록 하여 퇴수가 상기 물 받침(106)으로 유도되어, 상기 배수구(104)를 바로 통과한 후 상기 저면부(103)의 상기 공간부(200) 방향 하면을 따라 흘러내려 화분이 놓여진 바닥으로 흘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는 화분의 모래 또는 흙을 여과하도록 상기 배수통공(105d)의 상부를 커버 하도록 상기 걸침판(105c) 상면에 여과부(105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통공(105d)은 상기 화분의 모래 또는 흙을 여과하도록 상기 배수통공(105d) 중간에 통공 여과부(105e)를 하나 이상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공 여과부(105e)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통공(105d)의 상부로 부터 상기 공간부(20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통공 여과부(105e)의 필터 매쉬(mesh)의 크기가 작아도록 하여 오염 물질을 순차적으로 걸러지게 하여 상기 물 받침(106)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 가이드 돌기(미도시)는 나선형으로 구비하여 후술하는 배수부 마개(미도시)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분에는 매일 물을 공급하는 경우도 있지만, 며칠에 한번씩만 물을 동급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렇게 오랜만에 물을 일시적으로 다량 공급하는 경우에는 퇴수가 이에따라 다량 발생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퇴수가 조금씩 누수되는 형태인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퇴수가 흐르는 물줄기를 유도해 상기 물 받침(106)까지 유도되어 바닥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가 구비되는 것이며, 동시에 다량 발생되는 퇴수를 화분에 가두어 퇴수 발생을 방지하고, 식재된 식물이 충분히 수분을 흡수한 이후에 상기 배수부 마개(미도시)를 다시 개방하여 퇴수를 내리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여행등으로 장시간 화분을 관리 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배수부 마개(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배수부(104)를 닫아 놓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렇게 유도되는 퇴수는 상기 저면부(103) 아래의 상기 공간부(200)에 수용되어 상기 화분의 퇴수를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상기 물 받침(106)에 저장되는데, 이러한 퇴수 속의 이물질들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게는 영양분이지만 배출되는 퇴수는 오염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을 줄이고 화분내의 영양분이 흘러내려 배출되는 물에의한 낭비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배수부(104)의 상부에 있는 모래 또는 흙의 하층 부분에서 상기 배수부(104)를 커버하는 크기로 적층 필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면부(103)는 상기 측면부(102)와의 연결부위의 지면 높이가 상기 배수부(104) 연결부위 지면 높이 보다 더 높도록 구비하여 상기 측면부(102)부터 상기 배수부(10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저면부(103)에 물매 기울기를 구비함으로써 퇴수 배출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 이렇게 구비된 기울기를 따라서 화분에서 배출되는 퇴수가 상기 물 받침(106)까지 유도됨으로써 화분 바닥의 오염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하도록 기울기가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저면부(103)의 상기 측면부(102)부터 상기 배수부(104)까지 복수의 배수 가이드 돌기(미도시)를 상기 배수부(104)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102)로 부터 상기 배수부(104)까지 복수의 배수 가이드 홈(미도시)을 상기 배수부(104)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하여 퇴수 물 줄기를 상기 물 받침(106)까지 가이드 되어 원활하게 배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 가이드 돌기(미도시)와 상기 배수 가이드 홈(미도시)과 상기 적층 필터부(미도시)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적층 필터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퇴수의 배출이 하향 경사를 통해서 원활하게 배출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부(104)에 착탈 결합 되어 상기 배수부(104)의 상부로 부터 상기 배수부(104)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200) 방향으로 상기 저면부(103) 보다 낮게 돌출 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를 더 포함될 수 있는데 도 12 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 상부에는 오염물을 여과하도록 여과망(105b)으로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105) 내측 퇴수가 흐르는 퇴수 유도로(105a)에도 여과망(105b)이 구비되는 것이 오염물질을 제거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퇴수 유도로(105a)는 상기 저면부(103) 단면의 두께보다 길게하여 상기 퇴수 유도로(105a)로 유도되어 흐른 퇴수가 상기 저면부(103)의 하부측면을 따라 누수되어 화분이 놓여진 바닥을 오염시키지 않고, 상기 퇴수 유도로(105a)아래에 바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물 받침(106)으로 모아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104)는 상기 저면부(103)에 구비되되 상기 배수부(104)의 상부가 하부보다 작게 하여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배수부(104)의 단면을 삼각형 형태로하여 후술하는 배수부 마개를 상기 배수부(104)에 끼워 퇴수를 막는데 사용자가 수직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배수부(104)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힌편, 상기 측면부(102)는 상기 공간부(200)로 상기 물 받침(106)이 입출 되도록 상기 측면부(102) 하부의 일측이 개방되는 측면 개구부(108)를 더 포함할 수있다.
상기 측면부(102)의 단면이 사각형이면 사각의 일 측면을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측면부(102)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360° 중에서 85° 내지 100°가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 받침(106)의 입출입이 용이하도록 하여 무거운 화분을 들어 올리거나 이동하지 않고도 상기 물 받침(106)에 저장된 퇴수를 처리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부(104)는 배수 마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부(104)와 상기 배수 마개가 암수 나사 결합하도록 상기 배수부(104)의 내부 측면에 배수부 나사 홈(미도시)을 나선형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화분의 상기 두부(101)를 통하여 식물을 위해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으로 퇴수가 다량 발생하여 상기 물 받침(106)로 흘러 내려 넘치게 되며, 이는 필요완 수분을 식물에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배수부 마개를 이용하여 공급된 수분이 필요한 시간 만큼 화분에 머무르며, 식물에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배수부 마개가 일시적인 수밀 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수부 마개는 상기 저면부(103)에 배치된 상기 배수부(104)에 결합되어야 하며, 상기 저면부(103)는 화분의 바닥 부위에 상기 측면부(102)에 가려진 위치에서 지면보다 상기 물 받침(106) 높이 만큼 지면과 이격된 상기 공간부(200)을 갖으므로 일반적으로 상기 배수부 마개를 상기 배수부(104)에 결합하는 작업은 화분을 들어 올리지 않는한 어려운 일이다.
이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부(108)을 통하여 상기 배수부 마개를 상기 공간부(200)에 인입하여 상기 배수부(104)와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작업이 된다.
한편 화분의 모래 또는 흙 층 하부와 상기 저면부(103)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적층 필터부(미도시)는 상기 화분의 상부로 부터 제 1 필터부, 제 2 필터부 및 제 3 필터부로 적층 형태로 배치되는데, 제 1 필터부, 제 2 필터부 및 제 3 필터부 순서대로 필터 매쉬(mesh)의 크기가 작아지게 하여 퇴수의 여과 효과를 높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 받침(106)는 하부에 바퀴(107)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물 받침부(106) 자체를 이동시키는데 유리하게 하거나, 상기 물 받침부(106)가 상기 저면부(103)를 통해 화분 전체를 지지하는 경우 화분의 이동을 용이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퀴(107)은 수평방향으로 360°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전후좌우 이동이 편리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물 받침 수용 화분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또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102)의 단면은 원형, 육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면부(103) 하부에 상기 물 받침(106)을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물 받침(106)에는 상기 바퀴(10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108)을 통하여 상기 물 받침(106)을 입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개구부(108)을 통해 상기 배수부 마개(미도시)를 상기 배수부(104)에 끼우거나 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상기 저면부(103)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공간부(200)에 상기 물받침부(106)가 완전히 수용되므로 사용자와 화분을 감상하는 사람들은 종래와 다른 완전한 화분 전체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물 받침 수용 화분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이거나 육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측면부(102)로 구비된 화분에 상기 저면부(103)를 사각형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공간부(400)가 하부가 개구된 육면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저면부(103)을 아래에서 올려다 볼때 원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공간부(200)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부(102)의 단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상기 저면부(103)과 상기 공간부(2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면부(102)의 단면이 원형이면 상기 공간부(200)가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 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부(102)의 단면이 육각형이면 상기 공간부(200)를 하부가 개구되고 단면이 육면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물 받침 수용 화분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7 또는 도 11 과 같이 상기 물 받침(106)을 화분 하부에 놓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받침(106)에 상기 바퀴(107)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물 받침(106)과 상기 바퀴(107)의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저면부(103)과 지면의 높이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화분의 상기 저면부(103)를 상기 바퀴(107)이 구비된 상기 물 받침(106) 위에 안착 시켜 화분을 상기 물 받침(106)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1 ... 두부
102 ... 측면부
103 ... 저면부
104 ... 배수부
105 ... 배수부 하부 가이드
105a ... 퇴수 유도로
105b ... 여과망
105c ... 걸침판
105d ... 배수통공
105e ... 통공 여과부
106 ... 물 받침
107 ... 바퀴
108 ... 개구부
200 ... 공간부

Claims (10)

  1. 식물을 심어 가꾸도록 상부가 개방된 두부를 갖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두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화분이 놓이는 지면까지 연장되어 화분의 케이싱을 이루고 지면에 접촉되어 화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측면부;
    상기 화분의 지면 방향에서 상기 화분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상기 측면부 내측과 상기 화분이 놓이는 지면 상부에 구비되는 저면부;
    상기 화분의 퇴수를 처리하는 물 받침이 수용되도록 화분이 놓이는 지면보다 높게 상기 저면부가 배치되어 상기 측면부, 상기 저면부 및 상기 화분을 받치는 지면이 3차원의 입체로서 구비되는 공간부;
    화분에서 발생되는 퇴수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물 받침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저면부의 상면과 하면을 수직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 내부 측면에 나선형으로 구비되는 배수 가이더; 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가 지면과 접촉하는 부위의 상기 측면부의 단면 두께(T2)는 상기 두부 방향의 상기 측면부의 두께(T1) 보다 두껍게(T2>T1)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에 착탈 결합되어 상기 배수부의 상부로 부터 상기 배수부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 방향으로 상기 저면부 보다 낮게 돌출 되도록 구비되는 배수부 하부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의 상부는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걸침판이 구비되며,
    상기 걸침판에서 중심 부위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배수부에 끼워지도록 배수통공이 구비되되,
    상기 배수통공의 길이는 상기 배수부 단면의 두께보다 크게 하여,
    상기 배수통공이 상기 공간부로 돌출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 하부 가이드는,
    화분의 모래 또는 흙을 여과하도록 상기 배수통공의 상부를 커버 하도록 상기 걸침판 상면에 여과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통공은,
    상기 화분의 모래 또는 흙을 여과하도록 상기 배수통공 중간에 통공 여과부를 하나 이상 더 구비하되,
    상기 통공 여과부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통공의 상부로 부터 상기 공간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통공 여과부의 필터 매쉬(mesh)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측면부는,
    상기 공간부로 물 받침부가 입출 되도록 상기 측면부 하부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측면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 개구부는,
    상기 측면부의 단면이 원형으로 360°를 이루는 경우에는 360° 중에서 85° 내지 100°가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받침 수용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는,
    상기 측면부 연결부위와 상기 배수부 연결부위 간에 기울기가 구비되되,
    상기 배수부 방향을 중심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받침 수용 화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내측 상기 저면부의 상면은,
    상기 측면부 연결부위와 상기 배수부 연결부위 간에 복수의 배수 가이드 돌기를 상기 배수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받침 수용 화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내측 상기 저면부의 상면은,
    상기 측면부 연결부위와 상기 배수부 연결부위 간에 복수의 배수 가이드 홈을 상기 배수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받침 수용 화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배수 마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수부 내부에 형성된 상기 배수 가이더와 상기 배수 마개가 암수 나사 결합하도록 상기 배수 마개의 측면에 배수 마개 돌기를 나선형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받침 수용 화분.
KR2020170001052U 2017-03-06 2017-03-06 물 받침 수용 화분 KR200486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52U KR200486849Y1 (ko) 2017-03-06 2017-03-06 물 받침 수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52U KR200486849Y1 (ko) 2017-03-06 2017-03-06 물 받침 수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49Y1 true KR200486849Y1 (ko) 2018-07-05

Family

ID=6290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052U KR200486849Y1 (ko) 2017-03-06 2017-03-06 물 받침 수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82U (ko) * 2020-11-27 2022-06-03 배병인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512Y1 (ko) * 2004-04-02 2004-11-12 정화석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80050363A (ko) * 2008-05-08 2008-06-05 변혜란 자석 부착식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KR100858993B1 (ko) 2007-04-27 2008-09-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200448401Y1 (ko) * 2009-08-12 2010-04-09 이정문 저수 및 배수기능이 구비된 화분
KR20120042484A (ko) * 2010-10-25 2012-05-03 권춘자 대형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5025A (ko) * 2010-11-22 2012-05-31 설재훈 텃밭용 화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512Y1 (ko) * 2004-04-02 2004-11-12 정화석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100858993B1 (ko) 2007-04-27 2008-09-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20080050363A (ko) * 2008-05-08 2008-06-05 변혜란 자석 부착식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0448401Y1 (ko) * 2009-08-12 2010-04-09 이정문 저수 및 배수기능이 구비된 화분
KR20120042484A (ko) * 2010-10-25 2012-05-03 권춘자 대형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5025A (ko) * 2010-11-22 2012-05-31 설재훈 텃밭용 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282U (ko) * 2020-11-27 2022-06-03 배병인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496880Y1 (ko) * 2020-11-27 2023-05-16 배병인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710B1 (ko) 화분 관리용 이동식 급수기
CN1306863C (zh) 溶液培养管的附件
US6659043B1 (en) Aquarium water circulation system
US20140075841A1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US9185853B1 (en) Double-walled nested plant pot assembly for hydroponic irrigation system
KR101234615B1 (ko) 벽면 조경용 플랜터
KR20190027853A (ko)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
KR200486849Y1 (ko) 물 받침 수용 화분
KR101567546B1 (ko) 저면 관수용 포트 받침
CN209090230U (zh) 一种环艺生态桌
KR100504938B1 (ko) 양액 재활용 시스템 및 양액재배용기의 구조
WO2018103530A1 (zh) 生态系统鱼缸花盆
KR101426080B1 (ko) 원형 파이프를 이용한 비대칭 배수구를 갖는 수경재배기
CN210184137U (zh) 无土种植盆和利用无土种植盆组合的立体栽培装置
US20190261588A1 (en) Plant growth system with root barrier
KR20130050615A (ko) 조립식 화분받침대
KR20090056752A (ko) 안정된 급·배수구조가 마련된 적층식 화분
KR20110105937A (ko) 테이블 또는 벤치를 겸한 수족관
KR20150019469A (ko) 조립식 화분 장치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100602172B1 (ko) 조립식 화단의 급수장치
KR20240053104A (ko) 플랜트 박스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CN218868963U (zh) 一种花卉种植组合盆
CN213308776U (zh) 一种具有集中排水和养鱼功能为一体的花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