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853A -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853A
KR20190027853A KR1020197003438A KR20197003438A KR20190027853A KR 20190027853 A KR20190027853 A KR 20190027853A KR 1020197003438 A KR1020197003438 A KR 1020197003438A KR 20197003438 A KR20197003438 A KR 20197003438A KR 20190027853 A KR20190027853 A KR 20190027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ding body
liquid
holding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921B1 (ko
Inventor
나탈리 허버틴 허트
헤인리히 울리우스
Original Assignee
에이치투 이노베이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투 이노베이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이치투 이노베이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27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 B65D21/06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the movable parts being attached or integral and displaceable into a position overlying the top of the container, e.g. bails, corner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 B65D21/06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the movable parts being supports or feet, e.g. retractable feet, pivot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 본체(2)를 포함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에 관한 것으로서, 유지 본체는 유지 챔버(5)의 경계를 이루는 최하부(3)와 측면 벽면(4)을 갖고 있다. 유지 본체(2)는 적층 요소(6)를 갖고 있으며, 적층 요소는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이동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적어도 2개의 이러한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서 적층되는 것과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적층되는 것을 허용한다. 유지 본체는 또한 유지 본체의 최하부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7)를 갖고 있으며, 최하부는 유지 챔버 내에 존재하는 수분 및/또는 액체를 유지하고 수분 및/또는 액체를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를 향하여 안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적층 요소(6)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배수 그루브(8)를 가지며, 이는 수분 및/또는 액체를 유지 및 이끌어 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
본 발명은 최하부에서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매우 다양한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예를 들어, 물품을 운반하고 보관하기 위한 운반 및 보관 컨테이너가 선행 기술로부터 충분히 알려져 있다. 컨테이너들은 또한 종종 적층 가능하게 설계되며, 사용 중일 때 하나가 다른 하나 최상부에 적층되어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비사용 상태로도 지칭될 수 있는, 빈 상태에서 최소의 가능한 공간을 필요로 하기 위해, 공지된 적층 가능한 운반 및 보관 컨테이너는 종종 접힐 수 있거나 꺾어 접힐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은 또한, 비사용 상태 또는 비사용 위치에서 운반 및 보관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서 적층될 수 있고, 사용 위치에서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 상에 적층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 운반 및 보관 컨테이너를 더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어, DE 20 2010 000 632 U1은 측면 벽면이 원추형으로 아래쪽으로 테이퍼지고(taper) 사용 위치에서는 지지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지지체가 상부 측 상에 제공된 운반 컨테이너를 설명하며, 지지체는 적층될 동일한 제2 운반 컨테이너를 위한 베어링 역할을 한다.
같은 방식으로, G 81 18 115 U1은 상부 에지를 향하여 원뿔형으로 확장되는 횡단면 및 컨테이너 최하부 아래에서 접힐 수 있는 피트를 갖는 컨테이너를 설명하며, 피트는 펴진 상태에서 컨테이너가 동일한 유형의 컨테이너 내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의도된 목적 및 유지될, 예를 들어, 운반 및/또는 보관될 물품에 따라, 컨테이너는 폐쇄되거나 완전히 밀봉될 수 있거나, 공기에 대해 투과성일 수 있고 및/또는 상단에서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외에서 보관된 물품의 보관을 위하여 또는 원예 또는 정원 설계에 사용하기 위하여 실외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할 때, 문제에 종종 직면한다. 예를 들어 불쏘시개 또는 장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필요한 것과 같이, 야외에서의 보관 동안 및 또한 예를 들어 화분으로 사용하는 동안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를 설계할 때 핵심 부분은 빗물과 같은 수분 및/또는 액체가 축적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침수 방지 이외에, 여기서 양호한 환기가 강조되어야 한다. 전술한 이유로,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해결책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컨테이너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이 유지 챔버에 축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효과적인 환기를 허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독립청구항 제1 항에 따른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양태, 세부 구조 및 실시예는 종속청구항,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지 본체를 포함하고 있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유지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최하부 및 최하부와 측면 벽면이 경계를 이루고 있는 유지 챔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적층 요소를 갖고 있다. 적층 요소는 적어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층 요소는 제1 위치에서 적어도 2개의 이러한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 내부에 적층되고 제2 위치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유지 본체가 최하부의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를 갖고 있고 있으며, 여기서 유지 본체의 최하부는 유지 챔버 내에 존재하는 수분 및/또는 액체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유지된 수분 및/또는 액체를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된다는 것과 적층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분 및/또는 액체를 유지 및 배출하도록 설계된 배수 그루브는 갖는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층 요소는 이동 가능한, 특히 회전적인 및/또는 회전 가능한 또는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본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의 유지 본체 상에 배열되며, 적어도 2개의 위치를 취하는 방식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정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적층 요소가 제1 위치로 배향된 경우, 각 컨테이너는 다른 동일하게 설계된 컨테이너를 유지할 수 있거나 후자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적층 요소는 따라서 여러 개의 동일한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적층될 수 있게 하며, 여기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적층된 상태는 또한 비사용 상태 또는 비사용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2 위치에 있는 적층 요소는 컨테이너가 동일한 컨테이너의 최상부에 적층될 수 있게 하며, 즉 이들은 따라서 적어도 2개의 동일한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서 적층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이는 또한 사용 상태로 이해된다.
최하부의 영역에 배열된 배수 개구는 여기서 배수 개구가 최하부 내에 또는 최하부에서 벽면으로의 전이부에 또는 최하부와 벽면 사이의 전이를 즉시 뒤따르는, 최하부에 인접한 벽면의 부분 내에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최하부에서 벽면으로의 전이부에 배열된 배수 개구는 또한 2개의 개구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개구 부분은 최하부에 형성되고, 제2 개구 부분은 벽면에 형성된다.
최하부의 특별한 형상과 함께 그리고 적층 요소의 배수 그루브와 결합하여 유지 본체의 최하부의 영역 내에 형성된 배수 개구로 인하여, 유지 챔버로부터 수분 및/또는 액체의 제거 또는 유지 챔버의 배수는 매우 특히 유리하게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의 사용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는 또한 옥외에서 매우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지 챔버 내에서 침전되거나 축적된 액체는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로 안내되고, 그에 따라 빠져나갈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컨테이너의 사용 위치에서 배수 개구를 빠져나가는 액체가 배수 그루브 내로 직접 들어가고 그루브를 통해 이끌려 나갈 수 있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적층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배수 그루브는 배열된다.
예를 들어, 응축수 또는 침투하는 빗물은 특히 인접하게 및/또는 밑에 위치된 컨테이너 내로 유출수를 유입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컨테이너의 유지 챔버 밖으로 효과적으로 이끌려 나갈 수 있다. 이는 장작을 보관하거나 화분 또는 재배 및/또는 식물 컨테이너로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매우 특별한 이점을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또한 컨테이너의 사용 상태에서, 배수 그루브 및/또는 배수 개구와 대응적으로 연결된, 제공된 유체 채널 또는 유체 라인에 의해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액체가 컨테이너 적층체로부터 이끌려 나가거나 제거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는 컨테이너 벽면의 내부 측 또는 컨테이너 벽면의 외부 측 중 어느 하나 상에서 이끌려 나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컨테이너 적층체의 컨테이너에 축적된 액체가 적층체의 최하단 컨테이너에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도입되고, 예를 들어 배수 개구를 폐쇄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유지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배수 개구를 갖고 있으며, 여기서 제공된 배수 개구는 최하부의 벽면 바로 옆에 또는 최하부 상의 벽면의 연결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배수 개구를 배열하고 분배할 때, 컨테이너의 사용 위치에서 각 배수 개구가 적층 요소의 배수 그루브와 상호 작용하며 따라서 빠져나가는 액체가 대응적으로 배수 그루브 내에 수집되는 것만이 보장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배수 개구는 단순한 보어홀로 설계되며, 둥근, 타원형 또는 다각형 횡단면 형상과 같은 매우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슬릿 형상일 수 있다. 배수 개구의 크기 또는 횡단면적은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최하부의 면적보다 훨씬 작을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배수 개구의 전체 면적은, 예를 들어 최하부 면적의 일부분만을 차지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들로 구성된 컨테이너 적층체 내의 특정 컨테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 또는 여러 개의 배수 개구에 폐쇄 가능한 설계를 부여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간단한 스토퍼 또는 커버가 제공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배수 호스 및/또는 탭을 추가로 폐쇄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밸브를 갖는 조절 가능한 폐쇄부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식물 또는 재배 컨테이너로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 컨테이너 적층체의 컨테이너로부터의 과량의 관개용수가 컨테이너 적층체의 컨테이너로부터 이끌려 나갈 수 있고, 식물이 심어져 있지 않은 컨테이너 내에 축적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곳으로부터 재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유리한 것으로 판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축적된 물은 또한 축적된 물을 분배하기 위한 적절한 라인 또는 운반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인접한 또는 근처에 설치된 다른 컨테이너 적층체를 관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적으로 설계된 호스 및/또는 펌프 시스템이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축적된 물이 동일 또는 다른 컨테이너 적층체의 상이한 높이에 배열된 컨테이너를 관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컨테이너 적층체 내의 식물이 심어져 있는 다른 컨테이너들 또는 필요에 따라 인접하거나 가까운 곳에 설치된 컨테이너 적층체들 내의 식물이 심어져 있는 다른 컨테이너를 관개하기 위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된 배수 개구를 갖는 컨테이너는 물탱크 또는 저수조를 형성하며, 따라서 관개 시스템 또는 자동 점적 관개를 위한 기초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 이점은 최하부에 만곡진 디자인을 부여함으로써 얻어진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최하부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설계상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하부를 경사진 또는 곡선 형상으로 만드는 것은 유지 챔버 내에 존재하는, 최하부 상에 침전되고 축적된 액체 또는 수분이 벽면을 향하여 흐르고 벽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별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하부는 유지 챔버를 향하여 쪽으로 돌출된 볼록한 만곡부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오목하게-볼록하게 만곡진 최하부 또한 가능하다.
배수 개구의 배열 및 위치에 따라, 오목하게 만곡진 최하부가 또한 생각될 수 있다. 액체는 배수 개구의 위치에 대한 곡률 또는 경사도를 조정함으로써 특히 효과적으로 유지 챔버를 빠져나갈 수 있다. 최하부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경사진 최하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최하부 부분들은 더 높은 평준점에서 인접하고, 각각은 더 낮은 평준점을 향하여 벽면의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경사 각도로 떨어진다. 이러한 바람직한 최하부의 구성에서, 배수 개구의 개수 및 최하부 부분의 개수 및 경사도는 효과적인 물 배출을 보장하기 위하여 서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지 본체는 본질적으로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특히 정사각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삼각형 표면 영역을 갖는 단절각뿔로서 설계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유지 본체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본질적으로 원뿔대와 같은 형상일 수 있거나 둥근 또는 타원형의 표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표면 영역으로 지칭된 단절각뿔 또는 원뿔대의 2개의 평행한 영역 중 더 넓은 영역은 유지 본체의 가상적인 상부 표면을 한정하며, 이 상부 표면은 설계상 개방되어 있고 유지 본체의 상부 개구를 형성한다. 단절각뿔 또는 원뿔대의 2개의 평행한 표면 중 더 작은 것이 유지 본체의 최하부를 형성한다. 단절각뿔 또는 원뿔대 형상의 유지 본체로 인하여, 여러 개의 컨테이너는 그들의 비사용 위치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 내로 쉽게 적층될 수 있으며, 여기서 특히 표면의 크기에 대한 사전결정된 비율은 중첩(nesting)의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정사각형 표면 영역을 갖는 단절각뿔 형상의 지지 본체는 장작을 보관하는데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유지 본체의 최하부가 약 33㎝ 내지 35㎝의 에지 길이를 갖는다면 대체로 25㎝ 내지 33㎝의 평균의 긴 길이를 갖는 장작은 유지 챔버 내로 특히 쉽고 정연하게 싸일 수 있다.
정사각형 표면 영역을 갖는 단절각뿔형 유지 본체를 갖는 실시예에서, 유지 본체는 직각으로 서로 인접하는 4개의 측면 벽면 부분을 갖고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벽면 부분은 관통 통로를 갖고 있다. 관통 통로는 조망 창(viewing window) 또는 접근 개구 둘 모두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 적층체의 사용 위치에서도 보관된 물질이 유지 챔버로 유입되거나 유지 챔버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관통 통로는 제1 벽면 부분의 거의 전체 표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를 화분으로 사용할 때 관통 통로는 또한 조명 구멍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용 영양토로 부분적으로 채워진 컨테이너에 심어진 덩굴나무 또는 교수 식물의 잎과 꽃 부분 또한 관통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화분의 형태를 취하는 설명된 실시예 변형은 또한 격자 구조물을 제공하며, 이 격자 구조물은 컨테이너 적층체의 컨테이너에 체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또한 식물의 위를 향하는 트레일링(trailing)을 허용한다. 격자 구조물(trellises)은 여기에서 각 격자 구조물이 컨테이너 적층체의 여러 개의 컨테이너, 바람직하게는 모든 컨테이너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 바람직한 변형에서, 컨테이너 적층체의 여러 컨테이너와 연결된 격자 구조물은 특히 유리하게는 컨테이너 적층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요소로서 동시에 작용한다. 예를 들어, 격자 구조물과 안정화 요소는 사다리와 같이 설계될 수 있으며, 사용 위치에서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2개의 길이 방향 로드 및 그에 체결된 여러 개의 수평 가로 방향 로드를 가질 수 있다. 본질적으로 수직적으로 진행하는 길이 방향 로드는 여기에서 길이 방향 로드가 컨테이너 적층체에 대해 위에서 아래로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길이 방향 로드들은 그들이 0°에서 30°, 바람직하게는 10°에서 20°의 수직 범위에 대한 각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수평 가로 방향 로드들은 마찬가지로 0°내지 30°또는 10°내지 20°의 수평 범위를 갖는 각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 로드는 본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임의의 예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방향 및 길이 방향 로드는 30° 또는 60°의 각도를 포함하고 있다. 대안적으로, 격자 구조물과 안정화 요소는 또한 여러 개의 평행하게 나아가는 길이 방향 로드와 이에 수직으로 나아가는 여러 개의 가로 방향 로드를 갖는 격자 구조물 펜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 로드들이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나아가는 구성 또한 가능하며, 여기서 안정화 요소는 본질적으로 V형 에스팔리어(espalier)를 포함한다. 안정화 요소는 또한 가위 유형의 에스팔리어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물과 안정화 요소는 프레임형 구조체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레임형 구조체는, 예를 들어 자유롭고 불규칙적인 형상의 지지체 및/또는 프레임 내부 또는 프레임 상에 배열된 설계 요소와 함께 프레임을 갖고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벽면 부분 내의 부가적인 관통 통로 및/또는 또한 단일 벽면 부분 내의 여러 개의 관통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면 부분은 미리 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요한 경우 영역 부분을 제공된 천공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관통 통로의 원하는 수 및/또는 원하는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연속적인 벽면이 주어지더라도 벽면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관통 통로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통 통로의 형상은 원하는 대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통 통로는 둥근 형상, 타원형, 다각형, 하트 또는 꽃 형상 또는 불규칙 형상일 수 있다.
관통 통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하부에서 먼 쪽을 향하는 벽면의 상부 영역에 배열되며 위로부터 컨테이너 에지 부분에 인접한다. 관통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 에지 부분으로부터 진행하는 상부 반부 또는 벽면 표면의 상부 2/3 지점에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최하부에 인접한 벽면의 영역은 폐쇄된 디자인을 갖고 있다. 특히, 컨테이너를 식물 또는 재배 컨테이너로 사용할 때, 이는 화분용 영양토 또는 식물 과립이 강제로 제거될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유지 챔버의 하부 영역에 화분용 영양토 또는 식물 과립을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벽면의 표면 또는 벽면 부분의 표면에 관하여, 관통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0% 범위의 표면적을 차지하며, 즉 벽면 표면의 약 절반이 하나 이상의 관통 통로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외부로 개방된다. 이는 충분한 광이 유지 챔버 내에 위치된 식물에 침투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다른 특별한 이점에서, 환기 개구가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벽면은 유지 챔버를 향하는 측 상에 스페이서를 갖고 있다. 특히, 유지 본체의 최상부 개구와 함께 벽면 내의 환기 개구와 결합하여 유지 챔버의 양호한 환기가 보장된다. 유지 챔버를 향하는 벽면 상의 스페이서는 유지 물품, 예를 들어 운반 및 보관 물품이 벽면에 인접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유지 챔버 내에서의 충분한 공기 순환을 지원한다. 이것은 장작을 보관하고 건조시키기에 특히 유리하다.
컨테이너는 플라스틱, 나무, 목재 재료, 복합 재료, 판지 또는 언급된 물질의 임의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 무엇보다도 판지 또는 목재 또는 목재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물질은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코팅, 바람직하게는 방수 코팅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컨테이너를 식물 또는 재배 컨테이너로 사용하는 경우, 특별한 이점은 투명 물질로 제조된 컨테이너와 관련된다.
리브 형태의 보강재 등이 최하부의 영역과 또한 벽면의 영역 모두에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유지 본체의 벽면의 외부 측은 또한 비사용 상태에서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 내로 적층될 때 멈춤부의 역할을 하는 웹 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서로 너무 멀리 미끄러지는 결과로서 하나가 다른 하나 내부에 적층되는 컨테이너들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컨테이너의 최하부는 또한 세팅 에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층 요소가 유지 본체의 상부 측에 배열된다면 특별한 이점은 적층 요소 내의 영역에 세팅 에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루브를 동시에 성형하는 것과 관련된다. 특히, 단절각뿔 형상의 유지 본체에서, 설계 상 에지와 코너는 경사지고 및/또는 둥근 형태일 수 있다.  물은, 예를 들어 외부로 흘러 넘치거나 벽면 부분에 의하여 향하게 되고 안내되기 때문에, 벽면 부분의 연결 영역 내의 에지를 경사지게 하고 에지에 오목 만곡부를 제공함으로써 특별한 이점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는 또한 커버 또는 리드 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커버 또는 리드 요소는 측면 외부 가이드 그루브를 갖출 수 있으며, 이는 커버 또는 리드 요소에 부딪히거나 응축되는 액체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그루브는 적층 요소의 배수 그루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효과적인 배수가 후자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또는 컨테이너 적층체의 최하부 컨테이너가 위치된 수집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면 벽면, 특히 바람직하게는 측면 벽면의 외부 측은 벽에 부딪힌 빗물을 포획하고, 빗물을 모으고, 빗물을 적층 요소의 배수 그루브 내로 도입시키도록 설계된 채널, 이음부 또는 그루브를 구비하고 있다. 채널 또는 이음부 또는 그루브는 여기에서 유지 본체의 필수 구성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미 유지 본체와 하나의 유닛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벽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채널 또는 이음부 또는 그루브는 대안적으로 또한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유지 본체의 벽면 상에 배열되거나 적절한 연결 장치 또는 결합 장치에 의하여 이와 합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 요소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또는 변위 축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적층 요소는 또한 유지 본체의 상부 측 및/또는 하부 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 요소는 또한 조합 수축 및 접힘 메커니즘에 의하여 유지 본체에, 특히 유지 본체의 상부 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변형에서, 각 적층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비사용 상태에서 유지 본체의 벽면을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벽면의 내부 측 상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적절한 가이드 수단, 예를 들어 신축식 레일 또는 로드에 의하여 유지 본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당김/접힘 움직임에 의하여 펼쳐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본체는 여기서 부가적으로 각 적층 요소를 위하여 일종의 포켓 또는 삽입부 또는 밀어넣기(push-in)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적층 요소는 비사용 상태에서 포켓 또는 삽입부 또는 밀어넣기 부분 내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적층 요소들은 또한 적층 요소가 유지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체결된다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특히, 컨테이너가 비사용 상태에 있다면, 적층 요소는 여기서 유지 본체의 제공된 포켓 또는 삽입부/밀어넣기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지 본체의 상부 측은 2개의 스트립형 적층 요소를 구비하며, 여기서 각 스트립형 적층 요소는 그의 말단 구역의 영역에 배열된 2개의 배수 그루브를 갖고 있다. 스트립형 적층 요소는 여기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설계상 회전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측 상에 제공된, 회전 가능하게 설계된 적층 요소는 커버를 동시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본체의 상부 측 개구를 함께 덮기 위하여 2개의 적층 요소가 여기에서 상호 작용할 수 있거나, 적층 요소가 커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부 측 개구의 기하학적 구조로 조정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지 본체의 밑면은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이동 가능하게 설계된 적층 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 각 적층 요소는, 예를 들어 각각의 배수 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장작 또는 불쏘시개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 컨테이너로 사용될 때 매우 특히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는 또한 운반 컨테이너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예를 들어 그리핑 요소 또는 운반 요소가 또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적층 요소는 또한 그리핑 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는 식물 컨테이너로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예를 들어 재배 또는 발아 컨테이너 또는 화분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소정 양의 화분용 영양토 또는 식물 과립이 컨테이너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 후 종자, 묘목, 꺾꽂이 순 또는 식물이 최종적으로 도입되거나 심어질 수 있다. 특히, 유지 본체가 투명, 반투명 또는 자외선(UV)-투과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관통 통로가 조명 개구와 환기 개구로서 벽면에 제공된 실시예에서, 식물은 특히 유리하게는 재배되거나, 성장되거나, 꽃피울 수 있다. 따라서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는 또한 적층 가능한 화단 또는 적층 가능한 야채 패치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를 식물 컨테이너로 사용할 때, 바람직한 실시예 변형은 유지 본체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램프 또는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램프 또는 램프 장치는 자체의 전원 공급부 또는 외부 전원 공급부로의 연결을 위한 연결 장치를 갖추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램프 또는 램프 장치는 여기서, 예를 들어 유지 챔버가 조명될 수 있도록 유지 본체의 유지 챔버 내에 또는 유지 본체의 상부 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램프 또는 램프 장치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는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하도록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특히 소정의 기간 동안 및/또는 하루 중 소정의 시간에 광을 방출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가 진 후에 광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또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가 일광이 없는 공간에서 하루종일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식물 컨테이너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램프 또는 램프 장치는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또는 램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 또는 축전지가 제공된다. 전력 공급 목적을 위하여 태양 전지 패널이 적절한 보관 장치와 결합하여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수 그루브 내에 수집된 액체를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적층 요소의 제1 측에서 적층 요소의 대향하는 제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적층 요소는 배수 그루브에 연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로를 더 갖고 있다.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깔대기형 보어홀로서 설계되어 있으나, 본질적으로 다각형 횡단면을 갖는 통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층 요소 내의 통로는 적층 요소의 상부 측 또는 상부 표면, 특히 적층 요소의 제1 측으로부터 하부 측, 특히 제2 측까지 액체가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배수 개구 밖으로 유도되고 이끌려 나가게 한다. 컨테이너 적층체 내의 적층 요소의 배수 그루브가 컨테이너 적층체의 배수 개구 또는 다른 컨테이너의 배수 개구와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액체는 적층 요소를 통해 본질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게 된다. 통로 배열, 특히 적층 요소의 깔때기형 보어홀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액체가 하부 컨테이너의 유지 챔버 내로 도입되거나 하부 컨테이너의 유지 본체의 벽면의 외측 측 상에서 제거되거나 배수되는 방식으로 액체는 따라서 한 컨테이너로부터 그 아래에 위치한 다음 컨테이너로 더 이끌려 나가거나 안내될 수 있다. 특히 컨테이너를 화분으로 사용할 때, 이는 특별한 이점을 낳는다.
예를 들어, 여기서 마찬가지로 호스 또는 파이프 또는 배수관을 깔때기형 보어홀 내로 도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 호스 또는 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팽창 말단을 가지며, 호스 또는 파이프는 깔때기형 보어홀 내에서 오목한 반면에, 이 팽창 말단을 통하여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호스 또는 파이프 또는 이러한 배수관은 배수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예를 들어 액체를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컨테이너 적층체의 다른 컨테이너로 전환시키거나 액체를 다른 수집 용기 내에 축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수집 용기는 특히 과량의 관개용수를 수집하는데 적합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추출되거나 운반될 수 있는 물을 위한 저수조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추출은 수동으로 행해질 수 있거나, 또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 추출이 대응 수단의 사용을 통하여 일어날 수 있다. 수집 용기를 비우기 위하여 밸브 또는 탭이 적절한 위치 또는 여러 위치에서 포함될 수 있다.
유지 챔버를 향하는 벽면의 내부 측에서, 유지 본체는 유리하게는 액체를 안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와 연통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을 갖고 있으며, 여기서 유체 채널의 제1 말단은 배수 개구와 연통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유체 채널의 제2 말단은 액체의 유입을 위하여 유지 챔버 내로 연장된 유입구 개구를 갖고 있다. 매우 특별한 이점이 내부에서 액체를 안내 또는 배수시키기 위하여 통로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들)의 유체 채널의 유입구 개구와 상호 작용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그에 의하여, 제어되고 안내된,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액체의 방향이 보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특히 화분으로 사용 중에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과량의 관개용수 또는 빗물을 수집 및 재순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 낸다. 이는 또한 컨테이너 적층체 또는 심지어 인접하는 컨테이너 적층체의 모든 컨테이너들의 본질적인 자동 점적 관개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특히 컨테이너가 위치된 높이에 관계없다.
수집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셸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셸프는 이 목적을 위하여 설계되고 유지 본체의 벽면 상에 제공된 유지 웹에 의하여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유지 챔버 내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를 화분으로 사용할 때, 화분용 영양토 또는 식물 과립이 보관된 유지 챔버 내에 투수성 셸프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챔버는 셸프 아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수 개구를 폐쇄함으로써 관개용수가 챔버 내에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들의 배열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컨테이너는 하나의 제2 컨테이너 아래에 배열되어 있고, 제2 컨테이너는 제2 위치에 정렬된 적층 요소에 의하여 제1 컨테이너 상에 장착되어 있다.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들의 배열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컨테이너의 적층 요소는 유지 본체의 상부 측 상에 배열되어 있고, 제1 컨테이너의 적층 요소의 배수 그루브는 제2 컨테이너의 배수 개구와 상호 작용하여 수분 및/또는 액체를 제1 컨테이너의 유지 챔버 밖으로 이끌어 낸다.
이 배열체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들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측 상의 컨테이너 적층체 밖으로 액체를 이끌어 내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컨테이너의 적어도 유지 본체는 내부 측 상의 액체를 안내 및 배수시키기 위하여 유지 챔버를 향하는 벽면의 내부 측에 유입구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을 갖고 있고, 적층 요소는 배수 그루브 내에 수집된 액체를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적층 요소의 제1 측에서 적층 요소의 대향하는 제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배수 그루브에 연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로를 더 갖고 있으며, 액체가 적층 요소의 통로를 통하여 제1 컨테이너의 유체 채널 내로 도입되는 방식으로 통로는 제1 컨테이너의 유체 채널의 유입구 개구와 상호 작용한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이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벽면의 외부 표면 또는 외부 측 상의 배출 채널 또는 배출 그루브를 따라서 외부의 유지 본체 밖으로 물을 이끌어 내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적용 및 구성에 따라 이는 컨테이너 시스템의 전반적인 개념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배열체에서, 적어도 2개의 컨테이너 적층체가 바람직하게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적층체들을 연결하고 적층체들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 및 고정 요소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이 도면과 함께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초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제2 위치에서 정렬된 적층 요소를 갖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의 상세도이며;
도 3b는 제1 위치에서 정렬된 적층 요소를 갖는 도 3a의 컨테이너의 상세도이며;
도 3c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2개의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도면의 상세도이며;
도 3d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서 적층된 2개의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도면의 상세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 본체의 최하부의 개략적인 하부 도면으로서, 적층 요소가 그의 제1 위치에서 유지 본체의 밑면에 위치되어 있으며;
도 4b는 도 4a의 유지 본체의 최하부의 개략적인 하부 도면으로서, 적층 요소가 그의 제2 위치에서 있으며;
도 5a는 최하부의 영역 내의 유지 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직 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5b는 최하부의 영역 내의 유지 본체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직 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6a는 위에서 본 적층 요소의 부분이며;
도 6b는 사시도에서의 도 6a의 적층 요소의 부분이며;
도 7a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2개의 컨테이너의 배열체이며;
도 7b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2개의 대안적인 컨테이너의 다른 배열체이며;
도 8a는 위에서 본 적층 요소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이며;
도 8b는 사시도에서의 도 8a의 적층 요소의 부분이며;
도 8c는 위에서 본 적층 요소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부분이며;
도 9a는 컨테이너의 실시예의 코너 영역의 내부 도면이며;
도 9b는 컨테이너의 다른 실시예의 코너 영역의 내부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는 최하부(3)와 유지 챔버(5)를 갖는 유지 본체(2)를 포함하고 있으며, 유지 챔버는 유지될 물품, 특히 운반 및/또는 보관될 운반 및 보관 물품을 위하여 측면 벽면(4)들이 경계를 이루고 있다. 본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설계된 최하부는 유지 본체(2)의 밑면(10)을 형성하고 있다. 밑면(10) 맞은 편에 놓여 있는 유지 본체의 상부 측(10)은 개방된 디자인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의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는 최상부에서 개방된 비덮개식 운반 및 보관 컨테이너(1)이다.
동일한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들의 적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유지 본체(2)는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적층 요소(6)를 갖고 있으며, 적층 요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위치에서 적층 요소는 동일한 컨테이너(1)들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되는 것을 허용한다. 대조적으로, 적층 요소(6)의 제1 위치(P1)(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d 참조)에서 동일한 컨테이너(1)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서 적층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유지 본체(2)의 밑면(10)은 각각의 변위 축(V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배열된 4개의 적층 요소(6)를 갖고 있는 반면에,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유지 본체(2)의 상부 측(9)은 회전 축(S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2개의 스트립형 적층 요소(6)를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의 유지 본체(2)는 기본적으로 정사각형 표면 영역을 갖는 단절각뿔과 같이 형성되며, 여기서 단절각뿔의 더 넓은 표면 영역은 상부 측(10) 상의 가상의 상부측 표면에 의해 한정되고, 유지 본체(2)의 최하부(3)는 단절각뿔의 더 작은 덮힘 표면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유지 본체(2)의 하부 에지 길이(au)는 대략 33㎝이며, 유지 본체(2)의 상부 에지 길이(ao)는 대략 40㎝이다. 유지 본체(2)가 단절각뿔처럼 구성되기 때문에 적층 요소(6)들이 이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제1 위치(P1)에서 정렬된다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동일한 컨테이너(1)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서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본체(2)의 벽면(4)은 직각으로 서로 접해 있는 4개의 측면 벽면 부분(4.1, 4.2, 4.2, 4.4)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유지 본체(2)의 전면 측을 한정하는 제1 벽면 부분(4.1)은 관통 통로(11)를 갖고 있다. 환기 개구(12)들은 유지 본체(2)의 측면을 포함하는 제2 및 제4 벽면 부분(4.2, 4.4)뿐만 아니라 후방측을 포함하는 제3 벽면 부분(4.3)에 제공되어 있으며, 유지 챔버(5) 내의 공기 순환을 개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유지 챔버를 향하는 벽면 부분(4.2, 4.3, 4.4)의 측면들 각각은 웹(web) 형태의 여러 개의 스페이서(13)를 더 갖고 있다.
최하부(3)의 영역에서, 유지 본체(2)는 4개의 배수 개구(7)를 갖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최하부(3)의 4개의 코너 중 각각의 하나 및 벽면(4)과 최하부(3)를 연결하는 각각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최하부(3)는 4개의 접해 있는 경사진 최하부 부분(3.1, 3.2, 3.3, 3.4)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경사진 최하부 부분(3.1, 3.2, 3.3, 3.4)은 최하부(3)가 중앙 지점 주위의 영역에 더 높은 높이를 그리고 4개의 코너의 각각에 더 낮은 높이를 갖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다. 최하부 부분(3.1, 3.2, 3.3, 3.4)의 각각은 중간의 더 높은 높이로부터 더 낮은 높이를 향하여 코너의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경사 각도로 테이퍼진다. 따라서, 유지 챔버(5) 내에 존재하는 수분 또는 액체는 최하부(3)의 구성 때문에 배수 개구(7)의 방향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 요소(6)는 배수 그루브(8)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 배수 그루브(8)와 배수 개구(7)는 배수 개구(7)를 빠져나가는 수분 또는 액체가 배수 그루브(8) 내로 직접 들어가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 그루브(8)는 배수 개구(7)를 빠져나가는 수분 또는 액체가 배수 그루브(8)를 통하여 이끌려 나갈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 본체(2)의 배수 개구(7)와 상호 작용한다.
그러나, 도 2의 예에서, 수분 또는 액체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적어도 2개의 컨테이너(1)의 적층체에서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 그루브에 의하여 이끌려 나간다.
본 컨테이너(1)는 특히 유리하게 장작, 장작 통나무 또는 불쏘시개를 보관 및 운반하기에 적절하며, 이들은 운반 및 보관 컨테이너(1)의 유지 챔버(5) 내에서의 이들은 보관 및 건조를 위하여 반입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장작 헛간에서처럼 하나의 통나무씩 쌓일 수 있다. 여기서, 불쏘시개는 유지 본체(2)의 상부 측(9)의 상부 측 개구를 통하여, 또는 제1 벽면 부분(4.1)에 형성된 관통 통로(11)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에지 길이(a0, au)에 대하여 약 40㎝ 또는 약 33㎝인 유지 본체(2)의 치수는 약 25 내지 33㎝의 원목 길이를 갖는 불쏘시개를 절단하도록 조정된다.
유지 챔버(5)를 향하는 벽면 부분(4.2, 4.3, 4.4)의 측부 상의 스페이서(13)는 불쏘시개가 벽면(4)의 더 넓은 표면에 인접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면 측의 관통 통로(11)뿐만 아니라 벽면 부분(4.2, 4.3, 4.4) 내의 환기 개구(12)와 결합된 운반 및 보관 컨테이너(1)의 개방 구조는 유지 챔버(5) 내에서의 효과적인 환기 및 공기 순환을 보장하며, 이는 곰팡이 형성 및 부패에 대응하며 목재 건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상호 작용하는 배수 그루브(8)와 배수 개구(7)를 통한 설명된 배수의 결과로서, 예를 들어 응축수 또는 침투할 가능성이 있는 빗물 조차도 아무 문제없이 배출되어 나갈 수 있다. 기본적으로 폐쇄된 구조를 갖는 최하부는 컨테이너(1)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먼지를 일으키지 않고 장작을 생활공간으로 운반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소비될 때까지 로(furnace) 내에 깨끗하게 보관한다.
본 컨테이너(1)는 특히 유리하게는 또한, 예를 들어 묘목 또는 꺾꽂이 순을 발아 또는 재배하기 위한 식물 컨테이너로, 또는 또한 녹색 식물 또는 꽃을 위한 화분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상호 작용하는 배수 그루브(8)와 배수 개구(7)를 통한 설명된 배수는 침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벽면(4)에 제공된 관통 통로(11) 및 환기 개구(12)와 결합하여 컨테이너(1)를 제조하기 위한 투명한 물질의 사용은 유지 챔버(2) 내의 충분한 광의 입사와 유지 챔버(2)의 충분한 환기를 보장한다. 따라서, 본 컨테이너(1)는 적층 가능한 야채 패치 또는 화단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컨테이너(1)의 적층체는 마찬가지로 식물의 잎과 꽃이 관통 통로(11)를 통하여 외부를 향하여 나아감으로써 그리고 식물의 잎과 꽃을 유지 본체(2)의 외부 측 상에 늘어트리거나 뻗어나가게 함으로써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식물 컨테이너(1)들에 주어진 녹색 분리 요소 또는 녹색 분리 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대응하는 컨테이너(1)의 실시예의 각각의 상부 측 상세 구조의 뒤쪽으로부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회전 가능한 스트립 형 적층 요소(6)는 도 3b에 나타나 있는 제1 위치(P1)로부터 회전 축(SA)을 중심으로 도 3a에 나타나 있는 제2 위치(P2)로 회전될 수 있다. 적층 요소(6)의 제1 위치(P1)에서, 동일한 컨테이너(1)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서 적층될 수 있다. 도 3d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서 적층된 2개의 컨테이너(1)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제2 컨테이너(1")는 밑에 위치된 제1 컨테이너(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적층 요소들의 제2 위치(P2)에서, 적층 요소(6)는 동일한 컨테이너(1)들을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c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컨테이너(1')의 적층 요소(6)는, 또한 도 7b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컨테이너(1') 상에 배열된 제2 컨테이너(1")의 최하부(3)에 대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대응하는 운반 및 보관 컨테이너(1)의 실시예의 유지 본체(2)의 개략적 하부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동 가능한 적재 요소(6)는 각각의 변위 축(VA)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도 4a에 나타나 있는 제1 위치(P1)에서 도 4b에 나타나 있는 제2 위치(P2)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 요소(6)는 록킹 후크를 갖는 래칭(latching)을 통해 2개의 위치(P1 및 P2) 각각에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7a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2 위치(P2)에 있는 적층 부재는 밑에 위치된 컨테이너(1)의 상부 에지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계된 지지 피트(feet)를 형성한다. 밑에 위치된 컨테이너(1)에 대해 특히 신뢰성있는 지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나타나 있는 예에서의 적층 요소(6)의 각각의 밑면은 밑에 위치된 숄더부(14)를 가지며, 숄더부는 컨테이너(1)의 상부 에지에 대한 접촉면의 역할을 하며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도 5a 및 도 5b는 플로어(3)의 영역 내의 유지 본체(2)의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직 부분의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a의 플로어는 복수의 경사진 최하부 부분(3.1, 3.2, 3.3, 3.4)을 가지며, 이 부분들은 표면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진행하는 벽면(4)의 방향으로 경사를 발생시키는 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배열되고, 여기서 경사진 최하부 부분(3.1, 3.2, 3.3, 3.4)은 별 형상으로 배열된 가상선들을 따라 서로 접해 있다. 배수 개구(7)는 정사각 최하부(3)의 4개의 코너에 위치되며, 여기서 4개의 코너는 더 깊은 평준점을 형성하고, 벽면(4)의 각각의 벽면 부분(4.1, 4.2, 4.3, 4.4)은 코너의 영역에서 서로 접해 있다. 경사진 최하부 부분(3.1, 3.2, 3.3, 3.4)은 최하부(3)에 충돌하는 수분 또는 액체가 배수 개구(7)의 방향으로 흐르는 방식으로 서로에 관하여 정렬되거나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다. 도 5a에서의 예와는 대조적으로, 도 5b에서의 최하부는 설계상 만곡져 있다.
도 6a와 도 6b는 적층 요소(6)에 형성된 배수 그루브(8)를 도시하고 있으며, 가능한 물의 가장 효과적인 배수 또는 가장 효과적인 유출을 보장하기 위하여 배수 그루브는 적층 요소(6)의 자유 말단의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고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배수 그루브(8) 외에도 적층 요소에 연통적으로 연결된 깔때기형 보어홀 형태의 통로(15)를 갖고 있는 적층 요소(6)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깔대기형 보어홀(15)은 배수 그루브(8)에 모이는 액체를 적층 요소(6)의 상부 측을 형성하는 제1 측부(6a)에서 적층 요소(6)의 밑면을 형성하는 대향하는 제2 측부(6b)로 안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의 적층 요소(6)는 변위 축(VA)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의 밑면에 고정된 적층 요소(6)에 대한 예이며, 도 8c의 적층 요소(6)는 회전 축(S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의 상부 측에 고정된 스트립형 적층 요소(6)에 대한 예이다.
유지 본체(2)의 코너 영역의 내부 도면에서, 도 9a 및 도 9b는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액체를 안내하고 유도하기 위하여 보유 챔버(5)를 향하는 벽면(4)의 내부 측 상에 배열된 유체 채널(16)을 갖는 컨테이너(1)의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유체 채널(16)은 제1 말단에서 배수 개구(7)와 연통적으로 연결되며, 제2 말단에서 유지 챔버(5) 내로 연장되는, 액체 진입을 위한 유입구 개구(16.1)를 갖고 있다.
또한 도 9a의 예에는 셸프(shelf, 17)가 제공되며, 이 셸프의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셸프(17)는 물 또는 액체에 대해 투과성이며, 이 목적을 위해 설계되고 유지 본체(2)의 벽면(4) 상에 제공된 유지 웹에 의하여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유지 챔버(5) 내에 장착되고, 여기서 셸프(17)는 기본적으로 최하부(3)에 평행하게 나아가고 최하부에서 이격된 삽입 평면을 형성한다. 특히 유체 채널(16)이 삽입 평면 위로 상향 돌출되는 방식으로 유체 채널(16)은 최하부(3)의 영역에서 배수 개구(7) (도 9a에서는 보이지 않음)를 그의 한 말단으로 완전히 덮으며, 최하부(3)로부터 유지 본체(2)의 상부 측(9)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체 채널(16)의 유입구 개구(16.1)는 셸프(17) 위에 배열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물은 유체 채널(16)의 유입구 개구(16.1)의 높이까지, 따라서 본질적으로 셸프(17) 바로 위까지 축적될 수 있다. 액체 높이가 유입구 개구(16.1)의 높이에 도달하자마자, 물 또는 액체는 유입구 개구(16.1)를 통해 유체 채널(16) 내로 흐르고, 거기에서 배수 개구(7)를 통해 그리고 유지 본체(2) 밖으로 나온다. 이 실시예에서, 유체 채널(16)은 유사-오버 플로우 터널로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채널(16)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기본 형상을 갖는 컨테이너(1)의 각 코너에 배열되어 있다.
도 9b에 나타나 있는 예는 내부의 액체를 안내하고 멀리 이끌기 위하여 적층 요소(6) 내의 통로(15)가 컨테이너(1)의 유체 채널(16)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적층 요소(6)의 배수 그루브(8) 내에 축적된 액체는 통로(15)를 통하여 유지 본체(2)의 유지 챔버(5) 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통로(15)는 바람직하게는 액체가 벽면 부분(4.2, 4.3)이 서로 접해 있는 코너 영역에서 유지 챔버(5)를 향하는 벽면(4)의 내부 측을 따라 유지 챔버(5) 내로 침투하거나 도입되고, 최종적으로 유입구 개구(16.1)를 통해 유체 채널(16) 내로 들어가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거기서부터, 액체는 최하부(3)의 영역에서 배수 개구(7)의 방향으로 안내되고, 후자를 통해 유지 본체(2)를 빠져나간다. 컨테이너의 배수 개구(7)를 빠져나갈 때 액체가 밑에 위치된 컨테이너(1)의 배수 그루브(8)에 의하여 수용되고 거기로부터 그의 유지 챔버(5) 내로 더 유입된다는 점에서, 컨테이너(1)가 컨테이너 적층체에서 밑에 위치된 컨테이너 상에 적층되면, 액체에 의해 취해진 경로는 유사하게 계속 이어진다. 예를 들어, 전체 컨테이너 적층체에 걸쳐 위에서 아래로, 특히 컨테이너 적층체의 최상부에서 최하부 컨테이너(1)로의 연속적인 액체 전도 또는 흐름 채널을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여기에서 컨테이너(1)의 벽면(4)의 외부 영역에서의 오염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액체는 기본적으로 유지 본체의 내부로 안내된다.
1: 컨테이너
1', 1": 제1 또는 제2 컨테이너
2: 유지 본체
3: 최하부
3.1: 최하부 부분
3.2: 최하부 부분
3.3: 최하부 부분
3.4: 최하부 부분
4: 벽면
4.1: 벽면 부분
4.2: 벽면 부분
4.3: 벽면 부분
4.4: 벽면 부분
5: 유지 챔버
6: 적층 요소
6a: 적층 요소의 제1 측면
6b: 적층 요소의 제2 측면
7: 배수 개구
8: 배수 그루브
9: 상부 측
10: 밑면
11: 관통 통로
12: 통풍 개구
13: 스페이서
14: 숄더부
15: 통로
16: 유체 채널
16.1: 유입구 개구
17: 셸프
ao: 상부 에지 길이
au: 하부 에지 길이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SA: 회전 축
VA: 변위 축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최하부(3) 및 상기 최하부(3)와 측면 벽면(4)들이 경계를 이루고 있는 유지 챔버(5)를 갖는 유지 본체(2)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본체(2)는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적층 요소(6)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적층 요소(6)는 적어도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적층 요소(6)는 적어도 2개의 이러한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중 하나가 제1 위치(P1)에서 다른 하나의 내부에서 적층되고 상기 제2 위치(P2)에서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되도록 허용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본체(2)는 상기 최하부(3)의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7)를 갖고 있고, 상기 유지 본체(2)의 상기 최하부(3)는 상기 유지 챔버(5) 내에 존재하는 수분 및/또는 액체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유지된 수분 및/또는 액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7)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적층 요소(6) 중 적어도 하나는 수분 및/또는 액체를 유지하고 배출하도록 설계된 배수 그루브(8)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7)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들)(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 그루브(8)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유지 챔버(5) 내에 존재하는 수분 및/또는 액체를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본체(2)는 여러 개의 배수 개구(7)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배수 개구는 플로어(3) 내에서 및/또는 상기 벽면(4)을 상기 최하부(3)에 연결하는 영역 내에서 상기 벽면(4)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3)는 경사지거나 만곡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3)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경사진 최하부 부분(3.1, 3.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최하부 부분(3.1, 3.2)은 더 높은 평준점에서 서로 인접하고, 각각은 상기 벽면(4)의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경사 각도로 더 깊은 평준점으로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본체(2)는 기본적으로 다각형, 특히 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표면 영역을 갖는 단절각뿔로서 설계되고 인접하는 측면 벽면 부분(4.1, 4.2, 4.3, 4.4)을 포함하며 기본적으로 둥근 형태 또는 타원형 표면 영역을 갖는 원뿔대와 같은 형상이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 통로(11)가 상기 유지 본체(2)의 상기 벽면(4)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통풍 개구(12)가 상기 벽면(4) 내에 형성되며 및/또는 상기 벽면(4)은 상기 유지 챔버(5)를 향하는 측부 상에 스페이서(13)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요소(6)는 이동 가능하거나 회전 축(S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요소(6)는 상기 유지 본체(2)의 상부 측(9)에 및/또는 밑면(10)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본체(2)의 상기 상부 측(9)은 2개의 스트립형 적층 요소(6)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스트립형 적층 요소(6)는 그의 말단 구역의 영역 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배수 그루브(8)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본체(2)의 밑면(10)은 이동 가능하게 설계된 4개의 적층 요소(6)를 구비하며, 각 적층 요소(6)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그루브(8)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저장 컨테이너로 및/또는 운반 컨테이너 및/또는 식물 컨테이너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요소(6)는 상기 배수 그루브(8) 내에 축적된 액체를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적층 요소(6)의 제1 측(6a)에서 상기 적층 요소(6)의 대향하는 제2 측(6b)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 그루브(8)에 연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로(15)를 더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챔버(5)를 향하는 상기 벽면(4)의 내부 측에서, 상기 유지 본체(2)는 액체를 안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배수 개구(7)와 연통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16)을 갖고 있으며, 상기 유체 채널(16)의 제1 말단은 상기 배수 개구(7)와 연통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체 채널(16)의 제2 말단은 액체의 유입을 위하여 유입구 개구(16.1)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15. 제14항에 있어서, 내부에서 액체를 안내 및 배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로(15)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들)의 상기 유체 채널(16)의 상기 유입구 개구(16.1)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챔버(5)는 적어도 하나의 셸프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셸프는 이 목적을 위하여 설계되고 상기 유지 본체(2)의 상기 벽면(4) 상에 제공된 유지 웹에 의하여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유지 챔버(5) 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한 항에 따른 컨테이너 적층체 내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 상에 적층된 적어도 2개의 컨테이너(1)를 포함하는 배열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컨테이너(1')는 하나의 제2 컨테이너(1")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컨테이너(1")는 제2 위치(P2)에서 정렬된 상기 적층 요소(6)에 의하여 상기 제1 컨테이너(1') 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1')의 상기 적층 요소(6)는 상기 유지 본체(2)의 상기 상부 측(9) 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컨테이너(1')의 상기 적층 요소(6)의 상기 배수 그루브(8)는 상기 제2 컨테이너(1")의 상기 배수 개구(7)와 상호 작용하여 수분 및/액체를 상기 제2 컨테이너(1")의 상기 유지 챔버(5) 밖으로 이끌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상기 컨테이너(1', 1")들은 액체를 상기 내부 측에서 상기 컨테이너 적층체 밖으로 이끌어 내기 위하여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컨테이너(1')의 적어도 유지 본체(2)는 내부 측 상의 액체를 안내 및 배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지 챔버(5)를 향하는 상기 벽면(4)의 내부 측에 유입구 개구(16.1)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16)을 갖고 있고, 상기 적층 요소(6)는 상기 배수 그루브(8) 내에 수집된 액체를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적층 요소(6)의 상기 제1 측(6a)에서 상기 적층 요소(6)의 대향하는 제2 측(6b)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 그루브(8)에 연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로(15)를 더 갖고 있으며, 액체가 상기 적층 요소(6)의 상기 통로(15)를 통하여 상기 제1 컨테이너(1')의 상기 유체 채널(16) 내로 도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통로(15)는 상기 제1 컨테이너(1')의 상기 유체 채널(16)의 상기 유입구 개구(16.1)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최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1)들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컨테이너 적층체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상기 적층체들을 연결하고 상기 적층체들을 서로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 및 고정 요소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체.
KR1020197003438A 2016-07-06 2017-05-19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 KR102407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2399.4 2016-07-06
DE102016112399.4A DE102016112399B3 (de) 2016-07-06 2016-07-06 Stapelbarer Behälter
PCT/EP2017/062139 WO2018007064A1 (de) 2016-07-06 2017-05-19 Stapelbarer behälter mit mitteln zur bodenseitigen flüssigkeitsabfuh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853A true KR20190027853A (ko) 2019-03-15
KR102407921B1 KR102407921B1 (ko) 2022-06-13

Family

ID=5876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438A KR102407921B1 (ko) 2016-07-06 2017-05-19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30614B2 (ko)
EP (1) EP3481736B1 (ko)
KR (1) KR102407921B1 (ko)
DE (1) DE102016112399B3 (ko)
WO (1) WO2018007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6648B1 (en) * 2017-09-19 2020-10-14 Sergio Tontarelli Stackable crate provided with slidingly extractable shelves
CH714972A1 (de) * 2018-05-08 2019-11-15 Utz Georg Holding Ag Stapelbarer Behälter.
JP7092696B2 (ja) * 2019-01-31 2022-06-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積層型トレイ
US11547227B2 (en) * 2019-04-25 2023-01-10 Tammy L. Pass Salad storage assembly
DE102020104208A1 (de) 2020-02-18 2021-08-19 Thomas Rieth Lager- und Transportbehälter
US11407561B2 (en) * 2020-02-18 2022-08-09 Henry Guindi Portable basket with moveable support members
US11891236B2 (en) 2020-02-25 2024-02-06 Pvpallet, Inc. Transport container
EP3906776A1 (de) * 2020-05-04 2021-11-10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Blocklagerelement mit flüssigkeitsübernahme und überlauf
BE1028635B1 (nl) 2020-09-23 2022-04-25 Bevax Bvba Stapelbare, nestbare container en e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die container
CN114402853B (zh) * 2022-01-19 2023-06-23 邱鹏 一种林业树苗培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02828A (fr) * 1954-06-23 1955-10-26 Bergs Maskin As Réceptacle ouvert pour emmagasinage et transport de marchandises
NL8105429A (nl) * 1981-12-01 1983-07-01 Sag Trading S A Visbak met kantelstrippen.
KR20110032103A (ko) * 2009-09-22 2011-03-30 김문회 화분 진열대 겸 운반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9217A (en) * 1927-06-10 1928-10-30 White William King Receptacle
US2175390A (en) * 1938-04-30 1939-10-10 George E Harrison Lug box
GB657502A (en) * 1948-07-29 1951-09-19 Edward Charles Sanders Improvements relating to boxes or like carriers
DE807084C (de) 1948-10-02 1951-06-25 Hans Joachim Von Hippel Dr Ing Verfahren zum Umsetzen des Ausbaus, vorzugsweise beim Strebbau
DE807074C (de) * 1949-03-12 1951-06-25 Baumgarten Geb Fischversandkiste fuer Frisch- und Raeucherfisch
US2765099A (en) * 1955-05-31 1956-10-02 James W Lively Lug box
US2864530A (en) * 1955-09-02 1958-12-16 Edward T Johnson Receptacle
US3169659A (en) * 1962-12-31 1965-02-16 Lus Trus Corp Receptacle
US3220603A (en) * 1963-06-19 1965-11-30 Gen Am Transport Containers for egg cartons, or the like
US3375953A (en) * 1966-07-01 1968-04-02 Portage Plastics Co Inc Receptacles
GB1245100A (en) * 1968-11-09 1971-09-02 C E & J P Britton Ltd Improvements in crates or boxes
DE8118115U1 (de) * 1981-06-20 1982-10-07 Chemowerk Erhard Mödinger, Fabrik f. Kunststofferzeugnisse, 7056 Weinstadt Behaelter fuer landwirtschaftliche und industrielle Zwecke
NL8104492A (nl) 1981-10-02 1983-05-02 Sag Trading S A Houder voor vervoer van waren met ijs.
DE3521894A1 (de) * 1985-06-19 1987-01-02 Peter Seitz Stapelbarer behaelter
US4901859A (en) * 1987-07-04 1990-02-20 Jones David L Container
US4984691A (en) * 1989-10-31 1991-01-15 Styropack (Uk) Limited Container
DE9308219U1 (ko) * 1993-06-02 1993-07-29 Gebr. Poeppelmann, Kunststoffwerk-Werkzeugbau, 49393 Lohne, De
DE19522252A1 (de) 1995-06-20 1997-01-09 Berolina Kunststoff Behälter
SE518283C2 (sv) * 1999-03-03 2002-09-17 Arca Systems Ab En i flera nivåer trav- och stapelbar container
US20020117420A1 (en) * 2001-02-23 2002-08-29 Mcdade Clinton Stack and nest bail container
US6581771B2 (en) * 2001-10-24 2003-06-24 Schaefer Systems International, Inc. Stack and nest bail container
US7478726B2 (en) * 2002-05-28 2009-01-20 Rehrig Pacific Company Collapsibile crate with support members
US6938772B2 (en) * 2002-06-04 2005-09-06 Rehrig Pacific Company Portable storage container
US6994216B2 (en) * 2003-04-07 2006-02-07 Rehrig Pacific Company Storage container
US7234599B2 (en) * 2004-05-25 2007-06-26 Rehrig Pacific Company Portable storage container
DE102006037335B4 (de) * 2006-08-10 2010-11-1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Transport- und Lagerkasten
US10412902B2 (en) * 2007-03-19 2019-09-17 A To Z Van Wingerden And Associates, Llc Planter, planting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DE202010000632U1 (de) * 2010-01-06 2010-04-22 Damhuis, Bernhard Transportbehälter
CA2751182A1 (en) * 2010-09-01 2012-03-01 Rehrig Pacific Company Nestable container
US8561799B2 (en) * 2010-09-01 2013-10-22 Rehrig Pacific Company Nestable container
US20120222983A1 (en) * 2011-03-04 2012-09-06 Azad Sabounjian Stackable contain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02828A (fr) * 1954-06-23 1955-10-26 Bergs Maskin As Réceptacle ouvert pour emmagasinage et transport de marchandises
NL8105429A (nl) * 1981-12-01 1983-07-01 Sag Trading S A Visbak met kantelstrippen.
KR20110032103A (ko) * 2009-09-22 2011-03-30 김문회 화분 진열대 겸 운반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30614B2 (en) 2021-09-28
US20190322417A1 (en) 2019-10-24
DE102016112399B3 (de) 2017-07-13
EP3481736A1 (de) 2019-05-15
EP3481736B1 (de) 2022-07-06
KR102407921B1 (ko) 2022-06-13
WO2018007064A1 (de)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921B1 (ko) 적층 가능한 컨테이너
JP5627467B2 (ja) 大気中の水分を回収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7515505A (ja) 雨水自動供給栽培装置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US9468155B2 (en) Planting wall container structure
DE102017110988B3 (de) Stapelbares Behältersystem
US20010052199A1 (en) Stackable planter
EP2894965B1 (en) A plant wall and a method for recycling nutrients in the plant wall
JP2004073003A (ja) 植物栽培容器、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この植物栽培ユニットを用いた植物栽培装置
ES2600169T3 (es) Unidad de cultivo aeropónico para cultivar plantas, sistema, invernadero y procedimientos asociados
KR101457665B1 (ko) 수직 적층형 화분
RU200411002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ива горшечных растений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US20190261588A1 (en) Plant growth system with root barrier
KR101705488B1 (ko) 옥상농원용 경량 텃밭 상자
KR20210002743U (ko) 그린월용 트레이 모듈
KR102666050B1 (ko) 식물에 수직으로 급수가 가능한 수직화분
KR102406445B1 (ko)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및 배수 구조
JP2009291174A (ja) 軽量土パックおよび栽培容器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240000031U (ko) 우수한 통풍성을 갖는 화분
WO2001080625A1 (en) Seedling nursing vessel
KR20210002744U (ko) 그린월용 식물포트 모듈
JP2005095143A (ja) 水耕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